KR20130082015A -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015A
KR20130082015A KR1020120003181A KR20120003181A KR20130082015A KR 20130082015 A KR20130082015 A KR 20130082015A KR 1020120003181 A KR1020120003181 A KR 1020120003181A KR 20120003181 A KR20120003181 A KR 20120003181A KR 20130082015 A KR20130082015 A KR 2013008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layer
adhesiv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168B1 (ko
Inventor
안창덕
나영수
정일두
Original Assignee
세계화학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계화학공업(주) filed Critical 세계화학공업(주)
Priority to KR1020120003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1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스틸 및 도장용 강판 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제작할 때, 재료의 표면을 보호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연제가 함유되어 난연성을 나타내는 기재층,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전술한 접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전술한 기재층에 함유된 난연제를 차단하는 필름층 및 전술한 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THE STICKY TAPE FOR PROTECTING SURFACE HAVING FIRE RETARDANT}
본 발명은 난연성 표면보호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및 도장용 강판 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제작할 때, 재료의 표면을 보호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난연성 표면보호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및 도장용 강판 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제작할 때, 재료의 표면을 보호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철판의 절곡(bending)은 철판의 평판으로부터 다양한 모양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성형법으로서, 절곡시 수직 혹은 180도에 가까운 각도로 철판을 접어주면서 다양한 모양의 형태를 만들어 주는 가공법이다.
상기의 철판 가공법은 철판을 접어주는 과정에서 철판의 표면을 절곡기로부터 보호해주기 위해 표면에 보호용 테이프를 사용하는데, 이때 1mm 이하의 얇은 철판은 절곡시 가해지는 힘이 작기 때문에 보호용 테이프의 표면에 손상없이 가공이 가능하나, 1mm 이상의 철판은 절곡힘이 매우 커서 일반적인 PE, PVC의 기재로 이루어진 보호용 테이프는 표면이 손상되어 보호하고자하는 철판의 표면에 압입,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주게되어 보호용 테이프로써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철판을 용접할 때 발생하는 불꽃으로 인해 화제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절곡 등의 가공을 할 소재의 표면보호를 위해 기존 보호용 테이프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난연제가 첨가된 보호용 테이프는 난연제의 영향으로 프라즈마 등으로 방전가공 처리된 면의 표면에너지가 시간에 따라 급속하게 낮아지고, 특히 난연제의 산포에 따라 균일한 표면에너지를 갖지 못하여 점착제와 기재의 접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접착력의 약화로 인해 보호용 테이프 부착 후 용접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보호용 테이프를 제거하게 되면 보호용 테이프에 형성된 접착제 성분이 피착물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아 피착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운 철판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압입 및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철판의 표면을 보호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연제가 함유되어 철판을 용접할 때 발생하는 불꽃으로 인한 화제의 위험성이 없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연제가 함유된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필름층이 형성되어 난연제로 인한 점착층의 물성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제가 함유되어 난연성을 나타내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재층에 함유된 난연제를 차단하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터 100 중량부에 난연제 1 내지 50 중량부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는 인계난연제, 할로겐계 난연제 및 수산화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에는 삼산화 안티몬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터 100 중량부에 난연제 1 내지 50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 내지 3 중량부, 안료 0.1 내지 3 중량부, 충전제 1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는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및 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은 고무, 아크릴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는 두꺼운 철판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압입 및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철판의 표면을 보호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난연제가 함유되어 철판을 용접할 때 발생하는 불꽃으로 인한 화제의 위험성이 없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난연제가 함유된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필름층이 형성되어 난연제로 인한 점착층의 물성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는 난연제가 함유되어 난연성을 나타내는 기재층(10), 전술한 기재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20), 전술한 접착층(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전술한 기재층(10)에 함유된 난연제를 차단하는 필름층(30) 및 전술한 필름층(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의 두께는 수십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센티미터까지 자유롭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재층(10)은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난연제가 함유되어 난연성을 나타내는데, 폴리에스터 100 중량부에 난연제 1 내지 50 중량부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며, 폴리에스터 100 중량부에 난연제 1 내지 50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 내지 3 중량부, 안료 0.1 내지 3 중량부, 충전제 1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충전제는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기재층(10)의 내충격성 및 내스크레치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술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0)은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피착물에 적용하면 가장 외측에 형성되어 압입 및 스크래치 등의 외력으로부터 피착물인 철판의 손상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충전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기재층의 기계적 물성향상이 미미하고, 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전술한 기재층(10)과 전술한 접착층(20)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전술한 기재층(10)이 전술한 접착층(20)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기재층(10)은 난연제가 함유되어 철판을 용접할 때 발생하는 불꽃으로 인한 화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할로겐계 난연제 및 수산화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난연제의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삼산화 안티몬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기재층(10)의 두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의 총 두께의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총 두께의 10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접착층(20)은 전술한 기재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전술한 기재층(10)과 전술한 필름층(30)을 접착하는 역할을 하는데, 전술한 기재층(10)과 전술한 필름층(30)의 주성분과 접착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및 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접착층(20)은 전술한 기재층(10)과 전술한 필름층(30)을 접착하는 접착력이 우수하다.
이때, 전술한 접착층(20)은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의 총 두께에 15%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필름층(30)은 전술한 접착층(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전술한 기재층(10)에 함유된 난연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필름층(30)이 형성된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는 전술한 기재층(10)에 함유된 난연제가 전술한 점착층(40)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점착층(40)의 물성저하를 억제하기 때문에, 철판의 가공이 완료된 후에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는 피착물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폴리에틸렌은 LDPE, LLEPE 및 HDPE와 같은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폴리염화비닐은 가소제의 함량이 50% 이하인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술한 성분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 필름층(30)은 우수한 신율(Elongation)을 나타낸다.
이러한 필름층(30)은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의 총 두께에 9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9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점착층(40)은 전술한 필름층(3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피착물인 철판에 점착시키고, 철판의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피착물인 철판으로부터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술한 점착층(40)은 고무, 아크릴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며,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의 총 두께에 10%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의 기계적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폴리에스터 100 중량부에 인계난연제 2.5 중량부를 첨가하여 3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기재층을 제조하고,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아크릴로 이루어지며, 10 마이크로미터 두께를 나타내는 접착층을 형성하고, 전술한 접착층의 상부면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5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필름층을 형성하고, 전술한 필름층의 상부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점착층을 형성하여 총 두께가 100마이크로미터인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스터 100 중량부에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수산화 화합물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4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기재층을 제조하고,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우레탄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1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전술한 접착층의 상부면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2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필름층을 형성하고, 전술한 필름층의 상부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점착층을 형성하여 총 두께가 80 마이크로미터인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스터 100 중량부에 할로겐계 난연제(1,2-bis(pentabromophenyl) ethane) 10 중량부와 난연성을 높이기 위한 Antimony trioxide(Sb2O3)를 1 중량부 첨가하여 3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기재층을 제조하고,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우레탄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5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전술한 접착층의 상부면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4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필름층을 형성하고, 전술한 필름층의 상부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며, 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점착층을 형성하여 총 두께가 90마이크로미터인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의 난연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난연성의 측정은 난연성 공인 시험법인 : UL 94V(Vertical Burning Test)를 이용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는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어 철판을 용접할 때 발생하는 불꽃으로 인한 화제의 위험성이 없고, 두꺼운 철판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압입 및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철판의 표면을 보호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난연제가 함유된 기재층(10)과 점착층(40) 사이에 필름층(30)이 형성되어 난연제로 인한 점착층의 물성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10 ; 기재층
20 ; 접착층
30 ; 필름층
40 ; 점착층

Claims (9)

  1. 난연제가 함유되어 난연성을 나타내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재층에 함유된 난연제를 차단하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터 100 중량부에 난연제 1 내지 50 중량부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할로겐계 난연제 및 수산화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에는 삼산화 안티몬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보호용 점착테이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터 100 중량부에 난연제 1 내지 50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 내지 3 중량부, 안료 0.1 내지 3 중량부, 충전제 1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6.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및 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고무, 아크릴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KR1020120003181A 2012-01-10 2012-01-10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KR10134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181A KR101342168B1 (ko) 2012-01-10 2012-01-10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181A KR101342168B1 (ko) 2012-01-10 2012-01-10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015A true KR20130082015A (ko) 2013-07-18
KR101342168B1 KR101342168B1 (ko) 2013-12-18

Family

ID=4899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181A KR101342168B1 (ko) 2012-01-10 2012-01-10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94B1 (ko) * 2020-05-08 2020-08-26 김화숙 내화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869A (ko) 2015-10-06 2017-04-14 세계화학공업(주) 선박의 도장 강판용 표면보호 피브이씨 점착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4960A1 (en) 2005-07-18 2007-01-18 Western Nonwovens, Inc. Fire retardant binding tape for mattresses
JP5150436B2 (ja) 2008-09-26 2013-02-20 株式会社寺岡製作所 耐熱性粘着テ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94B1 (ko) * 2020-05-08 2020-08-26 김화숙 내화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168B1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58300A1 (en) Protective sheet for glass etching
KR20160140673A (ko)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6924243B2 (ja) 保護膜形成用複合シート
KR20080014653A (ko) 웨이퍼 그라인딩용 휨-방지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JP2005330464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US20110126983A1 (en) Paint film-protecting sheet
JP200716072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支持基材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508685B1 (ko) 폴리에틸렌 기재의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KR101342168B1 (ko)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JP2011208087A (ja) ロール状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19091903A (ja) ダイシングシートおよび当該ダイシングシートを用いるチップの製造方法
CN108701641B (zh) 保护膜形成用片、保护膜形成用片的制造方法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JP2014095041A (ja) 封止材および封止方法
KR101913540B1 (ko) 금속소재의 표면보호를 위한 난연성 보호테이프
KR20140120422A (ko) 알루미늄 기재의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JP2023133232A (ja) 粘着シート
JP6782719B2 (ja) 粘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
JP201906426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用又は錆部を有する構造体用の追従性積層シート及びそれらの施工方法
JP2015147324A (ja) 表面保護シート用基材および表面保護シート
JP7258729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難燃性シート
KR102545898B1 (ko)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5361760B2 (ja) 保護フィルム
JP6666748B2 (ja)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及び携帯情報端末機器
JP5800463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70040869A (ko) 선박의 도장 강판용 표면보호 피브이씨 점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