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222A -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9222A KR20130079222A KR1020120151772A KR20120151772A KR20130079222A KR 20130079222 A KR20130079222 A KR 20130079222A KR 1020120151772 A KR1020120151772 A KR 1020120151772A KR 20120151772 A KR20120151772 A KR 20120151772A KR 20130079222 A KR20130079222 A KR 201300792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magnet
- clamping force
- coil
- mold
- curr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5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mould clamping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2045/645—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using magnetic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224—Closure or clamping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25—Electric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성형품의 생산효율이 뛰어난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소정의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49)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10)는, 전자석(49)의 코일(48)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70)와, 전류공급부(7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제어부(60)는, 소정의 형체력을 해제할 때, 소정의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방향과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전자석(49)의 코일(48)에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수단] 소정의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49)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10)는, 전자석(49)의 코일(48)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70)와, 전류공급부(7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제어부(60)는, 소정의 형체력을 해제할 때, 소정의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방향과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전자석(49)의 코일(48)에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1년 1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28409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기는, 금형장치의 캐비티 공간에 용융한 수지를 충전하여, 고화시킴으로써 성형품을 성형한다. 금형장치는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으로 구성되고, 형체시에 고정금형과 가동금형 사이에 캐비티 공간이 형성된다. 금형장치의 형폐(型閉), 형체(型締), 및 형개(型開)는 형체장치에 의하여 행해진다. 형체장치로서, 형 개폐동작에는 리니어모터를 이용하고, 형체동작에는 전자석을 이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종래, 형개 전에 형체력을 해제할 때, 전자석으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하였었다. 이때, 전자석(예컨대 전자석의 코어 등)에 남는 자장의 영향으로, 형체력은 즉시 0(제로)으로 저하되지 않고, 리니어모터 등의 형개폐구동부에 의한 형개가 가능해질 때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였었다. 그로 인하여, 생산효율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성형품의 생산효율이 뛰어난 사출성형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한 사출성형기는,
소정의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코일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와,
그 전류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그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형체력을 해제할 때, 상기 소정의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방향과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상기 전자석의 코일에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품의 생산효율이 뛰어난 사출성형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폐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자석의 코일로의 공급전류의 경시변화, 및 전자석에 의한 형체력의 경시변화를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5는 전자석의 코일로의 공급전류의 경시변화, 및 전자석에 의한 형체력의 경시변화를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자석의 코일로의 공급전류의 경시변화, 및 전자석에 의한 형체력의 경시변화를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5는 전자석의 코일로의 공급전류의 경시변화, 및 전자석에 의한 형체력의 경시변화를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형폐를 행할 때의 가동플래튼의 이동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형개를 행할 때의 가동플래튼의 이동방향을 후방이라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폐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사출성형기, Fr은 사출성형기(10)의 프레임, Gd는 그 프레임(Fr) 상에 부설되는 2개의 레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11은 고정플래튼이다. 고정플래튼(11)은, 형개폐방향(도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뻗는 가이드(Gd)를 따라 이동 가능한 위치조정베이스(Ba) 상에 설치되어도 된다. 다만, 고정플래튼(11)은 프레임(Fr) 상에 재치(載置; 올려놓음)되어도 된다.
고정플래튼(11)과 대향하여 가동플래튼(12)이 배치된다. 가동플래튼(12)은 가동베이스(Bb) 상에 고정되고, 가동베이스(Bb)는 가이드(Gd) 상을 주행 가능하다. 이로써, 가동플래튼(12)은, 고정플래튼(11)에 대하여 형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고정플래튼(1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한, 고정플래튼(11)과 평행으로 리어플래튼(13)이 배치된다. 리어플래튼(13)은, 다리부(13a)를 통하여 프레임(Fr)에 고정된다.
고정플래튼(11)과 리어플래튼(13) 사이에 4개의 연결부재로서의 타이바(14)(도면에 있어서는, 4개의 타이바(14) 중 2개만을 나타냄)가 가설된다. 타이바(14)를 통하여 고정플래튼(11)이 리어플래튼(13)에 고정된다. 타이바(14)를 따라 가동플래튼(12)이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동플래튼(12)에 있어서의 타이바(14)와 대응하는 개소에 타이바(14)를 관통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구멍이 형성된다. 다만, 가이드구멍 대신, 절결부(cutout)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타이바(14)의 전단부(도면에 있어서 우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나사부에 너트(n1)를 나사결합하여 조임으로써, 타이바(14)의 전단부가 고정플래튼(11)에 고정된다. 타이바(14)의 후단부는 리어플래튼(13)에 고정된다.
고정플래튼(11)에는 고정금형(15)이, 가동플래튼(12)에는 가동금형(16)이 각각 장착되고, 가동플래튼(12)의 진퇴에 따라 고정금형(15)과 가동금형(16)이 접속 분리되어, 형폐, 형체 및 형개가 행해진다. 다만, 형체가 행해짐에 따라, 고정금형(15)과 가동금형(16)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캐비티 공간이 형성되고, 캐비티 공간에 용융된 수지가 충전된다. 고정금형(15) 및 가동금형(16)에 의하여 금형장치(19)가 구성된다.
흡착판(22)은, 가동플래튼(12)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흡착판(22)은 장착판(27)을 통하여 슬라이드베이스(Sb)에 고정되고, 슬라이드베이스(Sb)는 가이드(Gd) 상을 주행 가능하다. 이로써, 흡착판(22)은, 리어플래튼(13)보다 후방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된다. 흡착판(22)은, 자성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다만, 장착판(27)은 없어도 되고, 이 경우, 흡착판(22)은 슬라이드베이스(Sb)에 직접 고정된다.
로드(rod)(39)는, 후단부에 있어서 흡착판(22)과 연결시키고, 전단부에 있어서 가동플래튼(12)과 연결시켜서 배치된다. 따라서, 로드(39)는, 형폐시에 흡착판(22)이 전진함에 따라 전진되어 가동플래튼(12)을 전진시키고, 형개시에 흡착판(22)이 후퇴함에 따라 후퇴되어 가동플래튼(12)을 후퇴시킨다. 그로 인하여, 리어플래튼(13)의 중앙부분에 로드(39)를 관통시키기 위한 로드구멍(41)이 형성된다.
리니어모터(28)는, 가동플래튼(12)을 진퇴시키기 위한 형개폐구동부로서, 예컨대 가동플래튼(12)에 연결된 흡착판(22)과 프레임(Fr) 사이에 배치된다. 다만, 리니어모터(28)는 가동플래튼(12)과 프레임(Fr)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리니어모터(28)는, 고정자(29), 및 가동자(31)를 구비한다. 고정자(29)는, 프레임(Fr) 상에 있어서, 가이드(Gd)와 평행으로, 또한, 슬라이드베이스(Sb)의 이동 범위에 대응시켜 형성된다. 가동자(31)는, 슬라이드베이스(Sb)의 하단에 있어서, 고정자(29)와 대향시키고, 또한, 소정의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가동자(31)는, 코어(34) 및 코일(35)을 구비한다. 그리고, 코어(34)는, 고정자(29)를 향하여 돌출시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복수의 자극(磁極)치(齒)(33)를 구비하고, 코일(35)은, 각 자극치(33)에 감긴다. 다만, 자극치(33)는 가동플래튼(1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자(29)는, 도시되지 않은 코어, 및 그 코어 상으로 뻗게 하여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영구자석을 구비한다. 그 영구자석은, N극 및 S극의 각 자극을 교대로 착자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가동자(3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53)가 배치된다.
리니어모터(28)의 코일(35)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리니어모터(28)를 구동하면, 가동자(31)가 진퇴된다. 그에 따라, 흡착판(22) 및 가동플래튼(12)이 진퇴되어, 형폐 및 형개를 행할 수 있다. 리니어모터(28)는, 가동자(31)의 위치가 설정치가 되도록, 위치센서(53)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피드백 제어된다.
다만,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자(29)에 영구자석을, 가동자(31)에 코일(35)을 배치하도록 되어 있지만, 고정자에 코일을, 가동자에 영구자석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리니어모터(28)가 구동됨에 따라, 코일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만, 형개폐구동부로서, 리니어모터(28) 대신에, 회전모터 및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볼나사기구, 또는 유압실린더 혹은 공기압실린더 등의 유체압실린더 등이 이용되어도 된다.
전자석유닛(37)은, 리어플래튼(13)과 흡착판(22) 사이에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이 흡착력은, 로드(39)를 통하여 가동플래튼(12)에 전달되어, 가동플래튼(12)과 고정플래튼(11) 사이에 형체력이 발생한다.
다만, 고정플래튼(11), 가동플래튼(12), 리어플래튼(13), 흡착판(22), 리니어모터(28), 전자석유닛(37), 로드(39) 등에 의하여 형체장치가 구성된다.
전자석유닛(37)은, 리어플래튼(13)측에 형성된 형체구동부로서의 전자석(49), 및 흡착판(22)측에 형성된 흡착부(51)로 이루어진다. 흡착부(51)는, 흡착판(22)의 흡착면(전단면)의 소정의 부분, 예컨대, 흡착판(22)에 있어서 로드(39)를 포위하고, 또한, 전자석(49)과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리어플래튼(13)의 흡착면(후단면)의 소정의 부분, 예컨대, 로드(39)의 둘레에는, 전자석(49)의 코일(48)을 수용하는 홈(45)이 형성된다. 홈(45)보다 내측에 코어(46)가 형성된다. 코어(46)의 주위에 코일(48)이 감긴다. 리어플래튼(13)의 코어(46) 이외의 부분에 요크(47)가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어플래튼(13)과는 별도로 전자석(49)이, 흡착판(22)과는 별도로 흡착부(51)가 형성되지만, 리어플래튼(13)의 일부로서 전자석을, 흡착판(22)의 일부로서 흡착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전자석과 흡착부의 배치는 반대이어도 된다. 예컨대, 흡착판(22)측에 전자석(49)을 설치하고, 리어플래튼(13)측에 흡착부(51)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전자석(49)의 코일(48)의 수는, 복수이어도 된다.
전자석유닛(37)에 있어서, 코일(48)에 전류를 공급하면, 전자석(49)이 구동되고, 흡착부(51)를 흡착하여, 형체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60)는, 예컨대 CPU, 및 메모리 등을 구비하고, 메모리에 기록된 제어프로그램을 CPU에 의하여 처리함으로써, 리니어모터(28) 및 전자석(49)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만, 리니어모터(28)의 동작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60)는, 전자석(49)의 코일(48)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70)를 제어하는 형체처리부(62)를 구비한다. 형체처리부(62)는, 전자석(49)의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류공급부(70)에 출력한다.
전류공급부(70)는, 예컨대 복수의 파워모듈을 포함한 인버터 등에 의하여 구성되고, 형체처리부(6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른 직류전류를 전자석(49)의 코일(48)에 공급한다. 전류공급부(70)는, 전자석(49)의 코일(48)에 흘리는 직류전류의 방향, 및 강도(크기)를 바꾸는 기능을 가진다.
전류공급부(70)에는, 직류전원(80)이 접속되어 있다. 직류전원(80)은, 교류전원(90)의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다이오드 등의 정류기(82), 정류기(8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류를 평활화하는 콘덴서(84)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60)는, 형체력을 검출하는 형체력검출부(63)를 구비한다. 형체력검출부(63)는, 예컨대 형체력에 따라 신장되는 타이바(14)의 변형(신장량)을 검출하는 변형센서(55)와 접속되어 있고, 변형센서(55)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형체력을 검출한다. 형체력의 검출에는, 타이바(14)의 변형을 검출하는 변형센서(55) 대신에, 로드(39)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하는 로드셀 등의 하중센서, 전자석(49)의 자장을 검출하는 자기센서가 이용되어도 되고, 형체력의 검출에 이용되는 센서의 종류는 다종다양해도 된다. 예컨대, 변형센서는 타이바(14)뿐만 아니라 로드(39)에도 적용 가능하다. 로드(39)의 변형(축소량)은 형체력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제어부(60)는, 형체력을 해제할 때, 형체력이 소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형체력판정부(66)를 더욱 구비해도 된다. 형체력판정부(66)는, 형체력검출부(63)에 의하여 검출된 형체력을 이용하여 판정을 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사출성형기(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출성형기(10)의 각종 동작은, 제어부(60)에 의한 제어하에서 행해진다.
제어부(60)는, 형폐공정을 제어한다. 도 2의 상태(형개상태)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코일(35)에 전류를 공급하여, 리니어모터(28)를 구동한다. 가동플래튼(12)이 전진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금형(16)이 고정금형(15)에 맞닿는다. 이때, 리어플래튼(13)과 흡착판(22) 사이, 즉 전자석(49)과 흡착부(51) 사이에는, 갭(δ0)이 형성된다. 다만, 형폐에 필요하게 되는 힘은, 형체력과 비교되어 충분히 작다.
이어서, 제어부(60)는, 형체처리부(62)에 의하여 형체공정을 제어한다. 형체처리부(62)는, 전류공급부(70)를 제어하여, 전자석(49)의 코일(48)에 직류전류를 공급하여, 전자석(49)에 흡착부(51)를 흡착한다. 이 흡착력은, 로드(39)를 통하여 가동플래튼(12)에 전달되어, 가동플래튼(12)과 고정플래튼(11) 사이에 형체력이 발생한다.
형체상태의 금형장치(19)의 캐비티 공간에 용융된 수지가 충전된다. 수지가 냉각 고화되면, 형체처리부(62)는, 전류공급부(70)를 제어하여, 전자석(49)의 코일(48)에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조정하여, 형체력을 해제한다.
이어서, 제어부(60)는, 형개공정을 제어한다. 제어부(60)는, 리니어모터(28)의 코일(35)에 전류를 공급하여, 가동플래튼(12)을 후퇴시킨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금형(16)이 후퇴하여 형개가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4에 근거하여, 형체처리부(62)에 의한 형체력의 해제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처리는, 소정의 형체력을 금형장치(19)에 가한 후, 형개 전에 행해진다.
도 4 (a)는 전자석의 코일로의 공급전류의 경시변화를 나타내고, 도 4 (b)는 전자석에 의한 형체력의 경시변화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실선은 본 실시형태의 일례, 일점쇄선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 파선은 종래예를 각각 나타낸다. 어느 예에 있어서도, 형체처리부(62)는, 시각(t0)까지, 전자석(49)의 코일(48)에 일정한 직류전류(I0)를 공급함으로써, 소정의 형체력(P0)를 발생시키고 있다(도 4에 있어서 시각(t0)까지의 경시변화는 종래예만 도시됨).
형체처리부(62)는, 소정의 형체력(P0)을 해제할 때, 도 4 (a)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t0)에서 직류전류의 방향을 반전시켜, 소정의 형체력(P0)을 발생시키는 방향과 역방향의 직류전류(I1)를 전자석(49)의 코일(48)로 흘린다. 따라서, 도 4 (a)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t0)에서 코일(48)로의 공급전류를 차단했을 경우에 전자석(49)에 남는 자장을, 상쇄하는 방향의 자장이 형성되어, 도 4 (b)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형체력의 저하가 촉진된다. 그로 인하여, 형개까지의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역방향의 직류전류(I1)의 강도(크기)가 커질수록, 형개까지의 대기시간이 짧아진다. 이 대기시간이 짧아질수록, 생산효율이 좋아지는 반면, 형체력의 저하 속도가 빨라져, 금형장치(19) 등에 걸리는 부하의 변동이 급격해진다. 따라서, 역방향의 직류전류(I1)의 강도는, 생산효율과, 금형장치(19) 등에 걸리는 부하의 변동의 양방을 고려하여 시험 등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다. 또한, 역방향의 직류전류(I1)의 강도는, 소정의 형체력(P0)을 발생시킬 때의 직류전류(I0)의 강도에 근거하여 정해져도 된다.
그런데, 역방향의 직류전류(I1)를 흘리는 시간이 길어지면, 전자석(49)과 흡착부(51)가 재흡착되므로, 도 4 (b)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형체력이 다시 증가된다. 다만, 형체력이 제로로 되돌아가기 전에 다시 증가되는 것은, 전자석(49)에 남은 자장에 불균일이 있어, 장소에 따라 자장이 소멸되는 타이밍이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형체력의 재증가를 억제하기 위하여, 형체력을 해제할 때, 제어부(60)에 구비되는 형체력판정부(66)에 의하여 형체력이 소정 범위 내(Pmin~Pmax)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 판정은, 소정 시간마다 반복하여 행해져도 된다.
형체력이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형체력판정부(66)가 판정했을 때, 형체처리부(62)는 전자석(49)의 코일(48)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해도 된다. 전자석(49)의 코일(48)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타이밍은, 형체력의 재증가의 도중이어도 되지만, 형체력의 저하의 도중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석(49)의 코일(48)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한 후, 코일(48)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형체력은 전자석(49)의 응답 지연에 따른 속도로 저하된다.
형체력이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형체력판정부(66)가 판정했을 때, 또는 전자석(49)의 코일(48)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했을 때, 제어부(60)는 리니어모터(28)의 형개동작을 허용한다. 형체력이 낮은 상태에서 형개동작이 행해지므로, 형개동작을 위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형개동작을 안정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근거하여, 형체처리부(62)에 의한 형체력의 해제처리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처리는, 소정의 형체력을 금형장치(19)에 가한 후, 형개 전에 행해진다.
도 5 (a)는 전자석의 코일로의 공급전류의 경시변화를 나타내고, 도 5 (b)는 전자석에 의한 형체력의 경시변화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소정의 형체력(P0)을 해제할 때, 전자석(49)의 코일(48)로 흘리는 직류전류의 강도를 시각(t0)에서부터 서서히 감소시켜, 시각(t11)에서 제로로 한 후, 직류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직류전류의 강도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그렇게 하여, 소정의 형체력(P0)을 발생시키는 방향과 역방향의 직류전류(I11)를 전자석(49)의 코일(48)로 흘린 후, 전자석(49)의 코일(48)로 흘리는 직류전류의 방향을 1회 이상 반전시킨다. 반전마다, 직류전류의 강도의 최대치는 작게 설정되어도 된다(I11>I12>I13>I14>I15). 반전의 타이밍(t12<t13<t14<t15)은, 전자석(49)과 흡착부(51)의 재흡착이 시작되기 직전, 즉, 형체력의 증가가 시작되기 직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전자석(49)의 코일(48)로 흘리는 직류전류의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전자석(49)에 남은 자장의 불균일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형체력의 저하를 더욱 촉진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류 공급시간이 길어, 형체력이 다시 증가되었을 경우에, 전자석(49)의 코일(48)로 흘리는 직류전류의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형체력을 다시 저하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하여, 패턴설정의 자유도가 높고, 제어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 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 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상기의 실시형태 등에 각종 변형이나 치환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낸 예에서는, 전자석(49)의 코일(48)로 흘리는 직류전류의 방향을 시각(t0)에서 반전시키지만, 시각(t0)에서 전자석(49)으로의 전류공급을 일단 정지하고, 소정의 시간을 둔 후, 역방향의 직류전류(I1)를 전자석(49)의 코일(48)로 공급해도 된다.
10 사출성형기
15 고정금형
16 가동금형
48 전자석의 코일
49 전자석
55 변형센서
60 제어부
62 형체처리부
63 형체력검출부
66 형체력판정부
70 전류공급부
15 고정금형
16 가동금형
48 전자석의 코일
49 전자석
55 변형센서
60 제어부
62 형체처리부
63 형체력검출부
66 형체력판정부
70 전류공급부
Claims (4)
- 소정의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코일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와,
상기 전류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형체력을 해제할 때, 상기 소정의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방향과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상기 전자석의 코일로 흘리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형체력을 해제할 때, 상기 소정의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방향과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상기 전자석의 코일로 흘린 후, 상기 전자석의 코일로 흘리는 직류전류의 방향을 1회 이상 반전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형체력을 해제할 때, 형체력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형체력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체력판정부에 의하여 형체력이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전류공급부에 의한 상기 전자석으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체력판정부에서 형체력이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또는 상기 전자석으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했을 때, 형개폐구동부의 형개동작을 허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284096 | 2011-12-26 | ||
JP2011284096A JP5749153B2 (ja) | 2011-12-26 | 2011-12-26 | 射出成形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222A true KR20130079222A (ko) | 2013-07-10 |
KR101339972B1 KR101339972B1 (ko) | 2013-12-10 |
Family
ID=4863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1772A KR101339972B1 (ko) | 2011-12-26 | 2012-12-24 | 사출성형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749153B2 (ko) |
KR (1) | KR101339972B1 (ko) |
CN (1) | CN103171106B (ko) |
TW (1) | TWI53399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09719B2 (ja) * | 2013-11-21 | 2017-04-05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射出成形機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98093B2 (ja) * | 1990-11-30 | 1999-05-31 | 東芝機械株式会社 |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
JP4732226B2 (ja) | 2006-04-21 | 2011-07-27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型締装置及び型締力制御方法 |
JP4588664B2 (ja) | 2006-04-21 | 2010-12-01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型締力制御方法及び型締装置 |
DE112008001353T5 (de) | 2007-05-21 | 2010-04-01 |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 Formklemm- bzw. Formschließ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 Formklemm- bzw. Formschließvorrichtung |
JP5179109B2 (ja) * | 2007-07-30 | 2013-04-10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型締装置 |
DE112008002597B4 (de) | 2007-09-28 | 2012-12-20 |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 Formklemm- bzw. Formschließsteuervorrichtung und Formschließsteuerverfahren |
JP5340625B2 (ja) * | 2008-04-08 | 2013-11-13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型締装置 |
CN102046352B (zh) * | 2008-05-26 | 2014-04-30 |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 合模装置 |
-
2011
- 2011-12-26 JP JP2011284096A patent/JP574915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9-20 TW TW101134459A patent/TWI53399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0-25 CN CN201210413199.1A patent/CN10317110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2-24 KR KR1020120151772A patent/KR10133997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325867A (zh) | 2013-07-01 |
TWI533995B (zh) | 2016-05-21 |
JP2013132804A (ja) | 2013-07-08 |
CN103171106A (zh) | 2013-06-26 |
KR101339972B1 (ko) | 2013-12-10 |
JP5749153B2 (ja) | 2015-07-15 |
CN103171106B (zh) | 2016-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7824B1 (ko) | 사출성형기 | |
KR101327250B1 (ko) | 사출성형기 | |
JP5774420B2 (ja) | 射出成形機 | |
KR101330043B1 (ko) | 사출성형기 | |
KR101339974B1 (ko) | 사출성형기 | |
KR101339972B1 (ko) | 사출성형기 | |
TW201006656A (en) | Mold clamping device | |
KR101330041B1 (ko) |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형두께 조정방법 | |
KR101395470B1 (ko) | 사출성형기 | |
KR101417602B1 (ko) | 사출성형기 | |
KR101403780B1 (ko) | 사출성형기 | |
KR101327247B1 (ko) | 사출성형기 | |
JP5823349B2 (ja) | 射出成形機 | |
KR20130100677A (ko) | 사출성형기 | |
JP2014043045A (ja) | 射出成形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