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863A -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863A
KR20130078863A KR1020110148021A KR20110148021A KR20130078863A KR 20130078863 A KR20130078863 A KR 20130078863A KR 1020110148021 A KR1020110148021 A KR 1020110148021A KR 20110148021 A KR20110148021 A KR 20110148021A KR 20130078863 A KR20130078863 A KR 20130078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eller machine
case
rail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8567B1 (ko
Inventor
이종옥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8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5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의 내부에 모듈을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고, 케이스의 전방으로 모듈을 수평하게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MODULE WITHDRAWING STRUCTUR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의 인출 구조를 변경하여 설계 자유도 및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지폐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다양한 기능의 모듈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모듈들이 유기적으로 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모듈들에 고장이나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정기 점검은 매우 중요하며, 고장과 불량의 발생시 신속한 정비 작업도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유지 보수 작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일부분을 개방한 상태에서 실시되거나, 또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부분을 개방한 후 모듈을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실시하고 있다.
특히, 모듈이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부로 인출되면,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듈 인출 구조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추가되면, 설치 공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모듈들의 위치와 인출 방향을 고려하여 설계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듈의 인출시 모듈의 이동 경로를 수평 이외의 방향으로 형성하여 금융자동화기기의 설계 자유도 및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모듈을 경사지게 수납할 수 있고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부로 모듈을 수평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두 개의 모듈을 동시에 인출하거나 또는 하나의 모듈을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각종 모듈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상기 모듈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제1 이송 레일, 상기 제1 이송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이송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인출 기구, 상기 제1 이송 레일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수평 형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2 이송 레일, 및 상기 모듈이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인출 기구에 전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송 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제2 이송 레일에 후방부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인출 기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모듈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정상 작동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유지 보수시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인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송 레일은 상기 케이스의 전방을 향해 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 레일의 인출 길이는 상기 제2 인출 기구의 후방부를 상기 제2 이송 레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송 레일의 전방부는 상기 제1 이송 레일과 평행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방부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 레일의 후방부는 상기 제2 이송 레일의 전방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인출 기구는, 상기 모듈이 상면에 장착되는 모듈 장착부, 상기 모듈 장착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인출 기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회동부, 및 상기 모듈 장착부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이송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후방 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회동부에는 상기 제1 인출 기구의 전방부를 향해 돌출된 링크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단부는 상기 제1 인출 기구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 이송레일과 상기 제2 이송레일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는, 상기 제1 이송 레일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제3 이송 레일, 상기 제3 이송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3 이송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3 인출 기구, 및 상기 제3 인출 기구와 상기 제1 인출 기구를 함께 인출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인출하도록 상기 제3 인출 기구와 상기 제1 인출 기구에 형성된 인출 조절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출 조절 기구는, 상기 제3 인출 기구의 일측에 형성된 상측 조절부, 상기 제1 인출 기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측 조절부와 일부분이 겹치도록 형성된 하측 조절부, 상기 상측 조절부와 상기 하측 조절부의 겹침부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겹침부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 조절 기구는,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겹침부를 상기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도록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겹침부의 타측에 형성된 잠금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어느 하나의 겹침부에는 위치 설정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다른 하나의 겹침부에는 상기 상측 조절부와 하측 조절부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위치 설정 홀부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위치 설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어느 하나의 겹침부에는 제1 체결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체결 홀부와 연통되는 위치에 제2 체결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 홀부와 상기 제2 체결 홀부에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고시 상기 제1 인출 기구와 상기 제3 인출 기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에서는 상기 모듈의 인출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수평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정상 작동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 이외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유지 보수시 상기 인출 경로를 따라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는, 케이스의 내부에 모듈을 경사지게 배치함과 아울러 케이스의 전방으로 모듈을 수평하게 인출하므로,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주변 모듈 및 부품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모듈을 케이스의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소형화 및 콤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는, 케이스의 내부에 모듈을 경사지게 배치하므로, 케이스보다 길게 형성된 모듈을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으며, 모듈의 배치 방향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는, 케이스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모듈을 주변의 다른 모듈과 함께 케이스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인출하거나 또는 주변의 다른 모듈과 별도로 케이스의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의 유지 보수시 복수개의 모듈들을 동시에 인출하거나 또는 유지 보수가 필요한 모듈만 개별적으로 인출하여 정비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와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인출 구조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인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인출 조절 기구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모듈 인출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2와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인출 구조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인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모듈 인출 구조는 케이스(110), 모듈(120, 122, 123), 제1 이송 레일(130), 제2 이송레일(140), 제1 인출 기구(150) 및 제2 인출 기구(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모듈 인출 구조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 각종 모듈(120, 122, 123)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모듈(120, 122, 123)을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인출하는 구조이다.
케이스(110)은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출금부, 입금부, 디스플레이 장치, 카드 인식부, 통장 인식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은 복수개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 구획 공간에는 모듈(120, 122, 123)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일부는 원활한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하여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의 전면부가 개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측면부, 상면부 또는 저면부가 개방될 수도 있다.
모듈(120, 122, 123)은 금융자동화기기(1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모듈(120, 122, 123)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모듈(120, 122, 123)들의 일부(123)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모듈(120, 122, 123)들의 다른 일부(120, 122)는 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구조로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이송 레일(130)은 케이스(110)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송 레일(13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한 쌍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송 레일(130)은 케이스(110)의 전방을 향해 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이송 레일(130)은 케이스(110)의 개구된 전면부를 통해 전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이다. 제1 이송 레일(130)의 인출 길이는 모듈(120, 122, 123)을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되, 제2 인출 기구(160)의 후방부가 제2 이송 레일(1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이송 레일(140)은 케이스(110)의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수평 형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송 레일(140)은 제1 이송 레일(1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 레일(14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한 쌍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송 레일(140)의 전방부(142)는 제1 이송 레일(130)과 평행하도록 케이스(110)의 전방부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이송 레일(140)의 후방부(144)는 제2 이송 레일(140)의 전방부(142)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이송 레일(140)의 전방부(142)와 후방부(144)는 제2 인출 기구(160)의 이동시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인출 기구(150)는 제1 이송 레일(13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1 이송 레일(13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인출 기구(150)는 모듈(120, 122, 123)의 인출시 모듈(120, 122, 123)과 함께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인출 기구(160)는 모듈(120, 122, 123)이 상면에 장착되는 장치로써, 제1 인출 기구(150)에 전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이송 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제2 이송 레일(140)에 후방부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인출 기구(160)는 모듈 장착부(162), 전방 회동부(164), 및 후방 이동부(166)를 구비할 수 있다.
모듈 장착부(162)는 모듈(120)이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장착부(162)는 모듈(120)보다 길이와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회동부(164)는 모듈 장착부(162)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전방 회동부(164)는 제1 인출 기구(1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회동부(164)에는 제1 인출 기구(150)의 전방부를 향해 돌출된 링크부재(164a)가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164a)의 단부는 제1 인출 기구(150)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부재(164a)의 길이는 제1 이송 레일(130)과 제2 이송레일(140)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 이동부(166)는 모듈 장착부(162)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후방 이동부(166)는 제2 이송 레일(14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이동부(166)는 제2 이송 레일(140)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모듈 인출 구조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정상 작동시 모듈(120)을 케이스(110)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유지 보수시 모듈(120)을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듈(120)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 중 전방 인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불가능한 공간(S)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모듈 인출 구조는 제3 이송 레일(170), 제3 인출 기구(180), 및 인출 조절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이송 레일(170)은 제1 이송 레일(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 이송 레일(170)은 케이스(110)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인출 기구(180)는 제3 이송 레일(17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3 이송 레일(17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이송 레일(170)과 제3 인출 기구(180)는 전술한 제1 이송 레일(130)과 제1 인출 기구(180)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인출 조절 기구는 제3 인출 기구(180)와 제1 인출 기구(150)를 함께 인출시키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인출시키는 장치이다. 인출 조절 기구는 제3 인출 기구(180)와 제1 인출 기구(15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출 조절 기구는 상측 조절부(181), 하측 조절부(151), 및 연결 부재(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측 조절부(181)는 제3 인출 기구(18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조절부(151)는 제1 인출 기구(15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조절부(181)와 하측 조절부(151)의 일부분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측 조절부(181)와 하측 조절부(151)의 겹침부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측 조절부(181)의 겹칩부가 하측 조절부(151)의 겹침부 배면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153)는 상측 조절부(181)와 하측 조절부(151)의 겹침부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부재이다. 연결 부재(153)는 상측 조절부(181) 또는 하측 조절부(151) 중 적어도 하나의 겹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153)가 하측 조절부(151)의 겹침부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연결 부재(153)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153)는 하측 조절부(151)의 겹침부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부재(153)의 상부에는 상측 조절부(181)의 겹침부의 배면에 걸림되는 연결 돌기부(153b)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부재(153)의 전면부에는 연결 돌기부(153b)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연결 버튼부(15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버튼부(153a)는 하측 조절부(151)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하측 조절부(151)에 형성된 홀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153)의 연결 돌기부(153b)가 상측 조절부(181)를 하측 조절부(151)에 구속시키면, 제1 인출 기구(150)와 제3 인출 기구(180)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연결 부재(153)의 연결 버튼부(153a)를 이용하여 연결 돌기부(153b)에 의한 상측 조절부(181)와 하측 조절부(151)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면, 제1 인출 기구(150)와 제3 인출 기구(180)는 각각 개별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인출 조절 기구는 상측 조절부(181) 또는 하측 조절부(151) 중 적어도 하나를 케이스(110)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잠금 부재(18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잠금 부재(183)가 상측 조절부(181)를 케이스(110)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잠금 부재(183)는 상측 조절부(181)의 겹침부에 형성되되, 상측 조절부(181)와 케이스(110)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 부재(183)는 전술한 연결 부재(153)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잠금 부재(183)의 하부에는 케이스(110)의 걸림턱의 배면에 걸림되는 잠금 돌기부(183b)가 구비될 수 있다. 잠금 부재(183)의 전면부에는 잠금 돌기부(183b)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잠금 버튼부(18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 버튼부(183a)는 상측 조절부(181)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측 조절부(181)에 형성된 홀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부재(183)의 잠금 돌기부(183b)가 상측 조절부(181)를 케이스(110)에 구속시키면, 제3 인출 기구(180)는 인출될 수 없다 반면에, 잠금 부재(183)의 잠금 버튼부(183a)를 이용하여 잠금 돌기부(183b)에 의한 상측 조절부(181)와 케이스(110)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면, 제3 인출 기구(180)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측 조절부(181) 또는 하측 조절부(151) 중 어느 하나의 겹침부에는 위치 설정 홀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조절부(181) 또는 하측 조절부(151) 중 다른 하나의 겹침부에는 상측 조절부(181)와 하측 조절부(151)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위치 설정 홀부(154)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위치 설정 돌기(18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설정 홀부(154)와 위치 설정 돌기(184)는, 상측 조절부(181)와 하측 조절부(151)의 상대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으며, 하측 조절부(151)의 처짐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설정 홀부(154)가 하측 조절부(151)에 형성되고, 위치 설정 돌기(184)가 상측 조절부(181)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측 조절부(181) 또는 하측 조절부(151) 중 어느 하나의 겹침부에는 제1 체결 홀부(185)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에는 제1 체결 홀부(185)와 연통되는 위치에 제2 체결 홀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 홀부(185)가 상측 조절부(181)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체결 홀부(185)와 제2 체결 홀부(112)에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출고시 제1 인출 기구(150)와 제3 인출 기구(180)를 케이스(1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출고시 상측 조절부(181)와 하측 조절부(151)가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스(1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인출 기구(150)와 제3 인출 기구(180)가 임의로 인출되고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설치시 제거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측 조절부(181) 또는 하측 조절부(15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손잡이(152, 182)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조절부(181)와 하측 조절부(151)의 전면에 손잡이(152, 182)가 각각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손잡이(152, 182)를 이용하여 제1 인출 기구(150)와 제3 인출 기구(180)를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금융자동화기기
110: 케이스
120, 122, 124: 모듈
130: 제1 이송 레일
140: 제2 이송 레일
150: 제1 인출 기구
160: 제2 인출 기구
170: 제3 이송 레일
180: 제3 인출 기구

Claims (11)

  1.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각종 모듈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상기 모듈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제1 이송 레일;
    상기 제1 이송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이송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인출 기구;
    상기 제1 이송 레일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수평 형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2 이송 레일; 및
    상기 모듈이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인출 기구에 전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송 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제2 이송 레일에 후방부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인출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정상 작동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유지 보수시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인출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레일은 상기 케이스의 전방을 향해 인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송 레일의 인출 길이는 상기 제2 인출 기구의 후방부를 상기 제2 이송 레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 레일의 전방부는 상기 제1 이송 레일과 평행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방부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 레일의 후방부는 상기 제2 이송 레일의 전방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출 기구는,
    상기 모듈이 상면에 장착되는 모듈 장착부;
    상기 모듈 장착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인출 기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회동부; 및
    상기 모듈 장착부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이송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후방 이동부;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회동부에는 상기 제1 인출 기구의 전방부를 향해 돌출된 링크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단부는 상기 제1 인출 기구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 이송레일과 상기 제2 이송레일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레일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제3 이송 레일;
    상기 제3 이송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3 이송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3 인출 기구; 및
    상기 제3 인출 기구와 상기 제1 인출 기구를 함께 인출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인출하도록 상기 제3 인출 기구와 상기 제1 인출 기구에 형성된 인출 조절 기구;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조절 기구는,
    상기 제3 인출 기구의 일측에 형성된 상측 조절부;
    상기 제1 인출 기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측 조절부와 일부분이 겹치도록 형성된 하측 조절부;
    상기 상측 조절부와 상기 하측 조절부의 겹침부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겹침부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 부재;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조절 기구는,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겹침부를 상기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도록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겹침부의 타측에 형성된 잠금 부재;
    를 더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어느 하나의 겹침부에는 위치 설정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다른 하나의 겹침부에는 상기 상측 조절부와 하측 조절부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위치 설정 홀부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위치 설정 돌기가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어느 하나의 겹침부에는 제1 체결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체결 홀부와 연통되는 위치에 제2 체결 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 홀부와 상기 제2 체결 홀부에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고시 상기 제1 인출 기구와 상기 제3 인출 기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조절부 또는 상기 하측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KR1020110148021A 2011-12-31 2011-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KR101888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8021A KR101888567B1 (ko) 2011-12-31 2011-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8021A KR101888567B1 (ko) 2011-12-31 2011-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863A true KR20130078863A (ko) 2013-07-10
KR101888567B1 KR101888567B1 (ko) 2018-08-16

Family

ID=4899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8021A KR101888567B1 (ko) 2011-12-31 2011-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57B1 (ko) * 2013-12-19 2015-06-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엘씨디모듈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1527659B1 (ko) * 2013-12-27 2015-06-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무게중심의 유지가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0635A (ja) * 1997-05-16 1998-12-04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飲料自動販売機
JPH1142132A (ja) * 1997-07-24 1999-02-16 Yoichiro Norimatsu 底を取りはずして深さの変更が可能な机等の引き出し
KR20060073675A (ko) * 2004-12-24 2006-06-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출금기용 카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0635A (ja) * 1997-05-16 1998-12-04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飲料自動販売機
JPH1142132A (ja) * 1997-07-24 1999-02-16 Yoichiro Norimatsu 底を取りはずして深さの変更が可能な机等の引き出し
KR20060073675A (ko) * 2004-12-24 2006-06-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출금기용 카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57B1 (ko) * 2013-12-19 2015-06-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엘씨디모듈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1527659B1 (ko) * 2013-12-27 2015-06-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무게중심의 유지가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567B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479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hield plate of automated teller machine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CN102160094B (zh) 现金自动交易装置
PT2128831E (pt) Aparelho distribuidor e receptor de notas bancárias
KR100926856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회수함 구조
KR20130078863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 인출 구조
JP2012164299A (ja) 運賃箱
US11568701B2 (en) Cash handling apparatus
US20200184780A1 (en) Transfer path unit structure for supply/collection cassette of atm
KR102323439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101181587B1 (ko) 보충회수박스 잠금 장치
KR10112133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110079353A (ko)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KR102361301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201234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보충회수 카세트용 트랜짓 반송로 유닛 구조
KR10149973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회수 장치
KR20160077908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120088101A (ko) 카세트 안전장치
JP2019206442A (ja) 媒体処理装置
JP6554939B2 (ja) 媒体処理装置
JP7197860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KR10106254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0926857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회수함 구조
KR1007732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모듈 탈착구조
KR100603935B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지폐 스택 장치 및 적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