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052A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Google Patents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8052A KR20130078052A KR1020110146768A KR20110146768A KR20130078052A KR 20130078052 A KR20130078052 A KR 20130078052A KR 1020110146768 A KR1020110146768 A KR 1020110146768A KR 20110146768 A KR20110146768 A KR 20110146768A KR 20130078052 A KR20130078052 A KR 201300780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tree
- composition
- antimicrobial
-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애기땅빈대, 오동나무, 와사초, 무화과나무, 칡, 인디언감자, 노나무, 고본, 팔각회향, 자리공, 고사리, 부처꽃, 고사리, 호두나무, 회화나무, 엄나무 및 와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andine beetle, paulownia, wasabi, fig tree, bamboo, Indian potato, old tree, old book, octagonal fennel, periwinkle, fern, buddha flower, fern, walnut tree, painting tree, oak tree and hawthorn It relates to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 light irradiation on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항균제란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상세하게는 세균이 세포벽이나 단백질 등을 합성하는 시스템을 저해시킴으로써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로부터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항균제는 세균 감염에 의한 질병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곰팡이를 비롯한 천연물로부터 분리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어왔다.The antimicrobial agent means a substance which has an antimicrobial action against bacteria, in particular, a substance which has an antimicrobial action by inhibiting a system for synthesizing a cell wall or a protein, or the like, or prepared from such a substance. Antimicrobial agents are widely used to treat diseases caused by bacterial infections, and have been mainly produced by separating or chemically synthesizing them from natural products including mold.
항균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항균제는 1928년에 알렌산더 플레밍이 발견한 페니실린이다. 페니실린은 인류가 최초로 개발한 항균제로써, 페니실린의 베타-락탐의 일부분이 세균의 세포막인 펩티도글리칸 분자를 연결하는 트랜스펩티다아제(transpeptidase)와 임의로 결합하여 세균의 세포벽을 자라지 못하게 함으로써 세포벽이 약화되어 삼투압을 견디지 못하고 세균이 용균(lysis)되게 하여 박테리아의 생장을 억제시켜 항균 효과를 낸다. 페니실린의 개발 이후 이를 기초로 우수한 항균제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것이 페니실린의 화학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제조한 메티실린(methicillin)이다.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antimicrobials is penicillin, discovered by Alexander Fleming in 1928. Penicillin is the first antimicrobial agent developed by humans. A part of the penicillin beta-lactam is randomly combined with a transpeptidase linking a peptidoglycan molecule, which is a bacterial cell membrane, thereby weakening the cell wall. It does not endure osmotic pressure and bacteria are lysed, which inhibits the growth of bacteria and produces an antibacterial effect. Since the development of penicillin, excellent antimicrobial agent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is, and the representative one is methicillin (methicillin) prepared by partially changing the chemical structure of penicillin.
항균제가 세균 감염을 막거나 치료하는데 있어서 많은 역할을 하였으나 항균제의 무분별한 사용 등으로 인하여 기존 항균제에 내성을 보여 약효가 듣지 않는 항균제 내성 세균이 출현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항균제 내성 세균이란 특정 항균제에 내성을 보여 약효가 듣지 않는 세균을 말하는데, 내성균은 다른 균에도 내성을 전이시켜서 내성균이 계속 늘어나게 하기 때문에 내성이 생기면 항균력이 더 강한 항균제를 사용하든지 다른 계열의 항균제로 바꾸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Antimicrobial agents played a role in preventing or treating bacterial infections, but due to the indiscriminate use of antimicrobial agents,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antimicrobial resistant bacteria appeared to be resistant to the existing antimicrobial agents. Antimicrobial-resistant bacteria are bacteria that show resistance to certain antimicrobial agents and do not work. Resistant bacteria transfer resistance to other bacteria so that resistant bacteria continue to increase. Therefore, if resistance occurs, use an antimicrobial with a stronger antimicrobial activity or change to another class of antimicrobial agents. There is a problem.
항균제에 내성을 가지는 여러 가지 세균 중 대표적인 것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키(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 반코마이신 매개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VISA), 그리고 최소 6종 이상의 항균제에 내성을 가지는 대장균(E.coli) P157:H7 등이 있다. Among the bacteria that are resistant to antimicrobials, representatives include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 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VISA ) And E. coli P157: H7, which is resistant to at least six antimicrobial agent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 1961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후 세계 각처에서 보고되기 시작하였는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메티실린 뿐 아니라 대부분의 항균제에 내성을 보여 극히 제한된 항균제로만 치료가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병원내 감염을 유발하는 병원균 중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원인균이고,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노약자에게 감염되는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정도로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as first reported in the United Kingdom in 1961 and reported around the worl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resistant to most antimicrobials as well as methicillin and can be treated with extremely limited antimicrobial agents.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the most frequent pathogen causing the infection in the hospital, and is serious in that it can be fatal to death when infected with a weak immune system or the elderly.
예로, 2006년 한 해 동안 미국에서 9만 4000여명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되었고, 이 중 1만 9천여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병원의 감염 병원체로 대형 종합병원에서 80% 가까이 상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For example, in 2006, more than 94,000 people were infected with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ith more than 19,000 reported dead. In Kore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an infectious agent of hospitals, and it is reported that it is located almost 80% in large general hospitals.
항균제에 대한 내성 증가는 새로운 고가 항균제의 사용 증가, 치료 기간의 증가, 사망률 등을 증가시키며 의료 분쟁을 일으키는 등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항균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 항균제를 개발한다 하여도 시간이 지나면 내성이 생기는데 천연물을 이용한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약물을 개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천연물 속에는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다양한 성분의 혼합물이어서 복합물 상호간의 약리 작용으로 인하여 내성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Increasing resistance to antimicrobials has led to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including increased use of new high-cost antimicrobials, increased treatment duration, and mortality, leading to medical disputes. Therefore, development of new antimicrobial agents is required to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even if a new antimicrobial agent is developed over time, resistance develops. If a natural product is used, a safe drug with less side effects can be developed while solving this problem. Because natural products contain new ingredients that are not known until now, and because they are a mixture of various components can reduce side effects such as resistance due to the pharmacological action between the complexes.
한편,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는 대극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밭이나 들에서 자라고, 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지면을 따라 퍼지며 길이는 10 내지 25cm이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 모양이며 중심 부분에 붉은빛이 도는 갈색 반점이 있고 백색의 유액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암, 해독, 진정, 지혈, 이뇨 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uphorbia supina , on the other hand, is a herbaceous herb that belongs to the Great Family , and is native to North America. It grows in a field or field, and its stem splits along the ground with its branches split from the bottom, and its length is 10-25 cm. The leaves are long, elliptical in shape, with reddish brown spots in the center, white milky fluid, and are known to have anti-cancer, detoxification, soothing, hemostatic, and diuretic effects.
애기땅빈대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생약학회지 39(3); 260-253(2008)에는 애기땅빈대 메탄올 추출물과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In the context of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s using cephalobacterial bedbugs, Journal of Pharmacognosy 39 (3); 260-253 (2008) disclose compounds which exhibit antioxida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rabidopsis methanol extract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는 현삼과의 오동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한국 특산종이다. 오동나무의 높이는 15m 정도이며, 나무 껍질은 연한 갈색으로 짙은 갈색의 줄이 세로로 나있다. 오동나무의 껍질은 동피라고 하는데 기관지 폐렴, 세균성 설사, 급성 장염, 급성 결막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동나무 잎은 동엽이라고 하는데 안면 홍조, 농포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ulownia coreana Uyeki is a deciduous tree belonging to the genus Paulownia, a native species of Korea. The paulownia tree is about 15m high, and the bark is light brown with dark brown lines. The bark of paulownia is known as copper skin, and it is known to be effective in bronchial pneumonia, bacterial diarrhea, acute enteritis, acute conjunctivitis, and paulownia leaf is said to be copper leaf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in hot flushes and pustules.
오동나무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21021호는 오동나무 내수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28029호는 오동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및 항염 효능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02566호는 오동나무 수피의 물 추출물을 포함한 항균성 천연염료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s using paulownia,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21021 discloses a novel compound having antioxidant activity isolated from paulownia inner bark,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28029 No.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utilizing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aulownia leaf extract. 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0502566 discloses an antimicrobial natural dye including a water extract of paulownia bark.
와사초(Ranunculus sceleratus)는 미나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물가에서 자라며, 구룡초, 늪바구지, 개구리자리, 놋동우, 석룡예라고 불리기도 한다. 관절염, 구안와사, 부스럼, 궤양, 두드러기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asaccho ( Ranunculus sceleratus ) is a perennial herb that grows on the shores of the Araaceae family, and is also called Kowloon-cho, Swamp Weeper, Frog, Noddongwoo, and Sukryongye. It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arthritis, old ophthalmology, swelling, ulcers and hives.
와사초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50773호는 묘과초, 석룡예, 해백, 낭독 및 원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Regarding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s using wasabi, Korean Patent No. 10-0550773 improves blemishes, freckles containing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n the group consisting of Myocho, Sukryongye, Habaek, reading and Wonhwa extracts. And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무화과 나무(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서 아시아 서부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2~4m의 높이로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모양으로 두꺼우며,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는 털이 있다. 유액은 무좀, 종기, 치질에, 잎은 무좀이나 신경통에, 열매는 혈압 강하, 변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 tree ( Ficus carica L ) is a deciduous shrub belonging to the family Mulberry family and is native to the western Mediterranean coast of Asia. The bark is 2 ~ 4m high, the bark is gray white, the leaves are alternately thick, broad egg-shaped, the surface is rough and the hair is on the back. Latex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athlete's foot, boil, hemorrhoids, leaves for athlete's foot and neuralgia, fruit for drop in blood pressure, constipation, etc.
무화과 나무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9306호는 무화과 유액을 이용한 늙은 닭 재활발육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2285호는 무화과 열매 또는 잎 추출분리물을 함유하는 진균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약용비누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fig tree, Korean Patent No. 10-0999306 discloses an old chicken rehabilitation agent using the fig milk. 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12285 discloses a medicinal soap composition having a fungal and antibacterial effect containing a fig fruit or leaf extract.
칡(Pueraria thunbergiana)은 콩과에 속하는 덩굴식물로서 우리나라 전역의 표고가 낮은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게 뻗어가면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고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칡을 찧어 즙을 짜낸 다음 가라 앉혀 물로 여러번 우려내고 말린 것을 갈분이라 하는데, 설사를 멎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생즙은 두통, 갈증, 불면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ueraria thunbergiana is a vine plant belonging to the legume and grows in low mountains and fields all over Korea. The stem extends long and winds up another object, the leaves are shifted, and the edge is flat. 분 squeeze juice, squeeze out, and then squeeze several times with water and dried, called brown powder. It has been known to have diarrhea and thirst quencher, and the juice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headache, thirst and insomnia.
칡을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4-0025579호는 칡 성분 중 폴리페놀류 중에서 카테킨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방지, 콜레스테롤 억제 및 간기능 강화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8814호는 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농도의 증가, 혈중 중성지방 수치 감소, 골밀도 손실 억제 등의 효능이 있는 폐경기 여성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3800호는 갈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모 방지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4-0025579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yperlipidemia, suppressing cholesterol, and enhanc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catechin as an active ingredient among polyphenols among 칡 components. .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88814 disclos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ostmenopausal women's health, which has an effect of increasing estrogen concentration, reducing blood triglyceride level, and inhibiting bone mineral density loss, which contai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53800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white hair and vitiligo containing the roots as an active ingredient.
인디언감자(Apios americana Medikus)는 북미 원산의 콩과 식물로 아피오스, 아메리카오드이모 등의 이름으로 불리우며, 당뇨병, 비만, 고혈압, 아토피, HIV 증식 억제, 골다공증, 빈혈 및 자양강장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dian potato ( Apios americana Medikus ) is a legume native to North America called Apios and American emo, and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diabetes, obesity, hypertension, atopy, HIV proliferation, osteoporosis, anemia, and nourishment tonic. Known.
인디언감자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7-332092호는 인디언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s using Indian potatoe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332092 discloses a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Indian potato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노나무(Catalpa ovata)는 능소화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개오동나무라고도 불리우며,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열매는 자실이라고 불리는데 이뇨제로서 신장염, 부종, 단백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무의 속껍질은 자백피라고 불리는데 신경통, 간염, 담낭염, 황달, 신장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talpa ovata is a deciduous broad-leaved arboreous tree belonging to Jacaranda family, also known as the paulownia, and is distributed in Korea, China, and Japan. Fruits are called fruiting and are known to be effective as a diuretic for nephritis, edema, proteinuria, etc. The inner skin of the tree is called confessional blood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neuralgia, hepatitis, cholecystitis, jaundice and nephritis.
노나무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5719호는 노나무 추출물과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33768호는 개오동나무 열매에서 분리한 항산화 물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21625호는 개오동나무 표피에서 분리한 카탈포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01484호는 노나무에서 단리한 4,9-디하이드록시-α-라파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도파민 결핍에 의한 신경퇴행성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roe, Korean Patent No. 10-0985719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topic dermatitis having an antioxidant effect, including a roe extract and a rose of sharon.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33768 discloses an antioxidant material isolated from the paulownia fruit,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21625 discloses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catalposide separated from the cuticle of the paulownia tree as an active ingredient Doing.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01484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aused by dopamine deficiency comprising 4,9-dihydroxy-α-rapacone isolated from an alga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disclosed.
고본(Angelica tenuissima)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산기슭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말린 것을 고본이라고 하는데 두통, 관절통, 치통, 복통, 설사, 습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ngelica tenuissima is a perennial herbaceous perennial plant that grows in deep mountain foothills. In oriental medicine, the roots of dried roots in autumn are known to be effective for headache, joint pain, toothache, abdominal pain, diarrhea and eczema.
고본을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72303호는 고본 추출물 및/또는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성장 억제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08324호는 고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 및 허혈성 뇌졸중 등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9-0053083호는 고본, 대황, 빈랑자 및 조각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 이상 함유하는 여드름, 탈모, 지루성 피부염 등에 사용할 수 있는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스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original bon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72303 discloses a hair growth inhibitory composition comprising a high bone extract and / or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2005-0008324 describ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ischemic stroke, which contains Gobon extract.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No. 1999-0053083 discloses 5α-reductase activity inhibition and propionibacterium arc, which can be used for acne, hair loss, seborrheic dermatitis, and the like containing one or more of the group consisting of gobon, rhubarb, betel and flakes. Disclosed i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the essence.
팔각회향(Illicium religiosum)은 붓순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식물인 팔각의 열매를 말린 것을 말한다. 중국에서 주로 이용하는 향신료인데, 이뇨 작용과 식욕 증진, 복부 팽만감이나 구역질의 완화, 요통, 변비, 방광염, 급성 류머티스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Octalium religiosum refers to the dried fruit of the octagon, an evergreen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of the eduncles. It is known to be effective in diuretic action and appetite promotion, abdominal bloating and nausea relief, back pain, constipation, cystitis, acute rheumatism and the like, which is mainly used in China.
팔각회향을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35502호는 정향 또는 팔각회향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및 살균 효과가 있는 손 세정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35501호는 정향 또는 팔각회향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및 살균 효과가 있는 섬유 탈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41444호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25715호는 팔각회향 증류정제농축액이 첨가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세정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79492호는 팔각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19049호는 팔각회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octagonal fennel,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35502 discloses a hand cleaning composition having an antibacterial and bactericidal effect using an extract of cloves or octagonal fennel. -2011-0035501 discloses a fiber deodorant composition having an antibacterial and bactericidal effect using an extract of cloves or octagonal fennel. 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1041444 discloses an antibacterial soap composition using octagonal fennel,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5715 discloses an antibacterial and antiviral detergent composition to which octagonal distillate tablet concentrate is added. Doing. 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79492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ion-related diseases containing the octagonal fenne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19049 includes the octagonal fennel extract It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은 자리공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이 원산지이다. 약 1m 내외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뿌리는 신장염 치료 및 이뇨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hytolacca esculenta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family Liliaceae, native to China. It grows around 1m and leaves are alternate, the ends are narrow and the edges are flat. Roots are known to have the effect of treating nephritis and diuretics.
자리공을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일본 공개특허 평1-153612호는 자리공 뿌리를 포함하는 모발 촉진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In connection with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pore ho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1-53612 discloses a hair promo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re root.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는 양치류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뿌리줄기가 1m 이상으로 땅속에서 자라고 잎은 큰 삼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뿌리줄기를 잘 말려 가루로 만든 것은 기생충에 효과가 있으며, 기관지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ern ( Pteridium aquilinum var.latiusculum )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ern, with roots growing more than 1m in the ground, and leaves are shaped like a large triangle. Dried root stems made of powder is effective for parasites and bronchitis is known to be effective.
고사리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83338호는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개고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6129호는 선바위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 미백, 아토피 피부 개선 등의 용도로 사용 가능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7-297381호는 고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 억제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fern, Korean Patent No. 10-0483338 discloses a composition containing a dog fern extract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 and Korean Patent No. 10-0986129 discloses sun rock fern extract It discloses a skin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which can be used for the use of anti-aging, whitening, atopic skin improvement, etc. containing the as an active ingredient.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7-297381 discloses a composition having an inhibitory effect on atherosclerosis containing fern extract.
부처꽃(Lythrum anceps)은 부처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천굴채라고도 불리우며, 냇가, 초원 등의 습지에서 높이 1m 정도로 곧게 자라고 꽃은 5~8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이뇨, 지사, 방광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ythrum anceps is a perennial herb that is also called perennial herb. It grows up to 1m high in wetlands such as streams and meadows, and blooms in purple in May-August. It is known to be effective in diuresis, branches, cystitis and the like.
부처꽃을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10-0852737호는 항산화 및 간보호 효과를 가지는 털부처꽃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특허 특0163119호는 배롱나무 또는 털부처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 및 증상 완화 효과를 가지는 구강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중국 공개특허 101637483호는 항암 보조요법에 사용할 수 있는 부처꽃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bud flower, Korean Patent No. 10-0852737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cirrhosis, which contains hairy bud root extract having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163119 discloses an oral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and symptomatic relief of tooth decay and periodontal disease, which comprises baconthus or brucia extract. In addition, Chinese Patent Publication No. 101637483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lavonoids extracted from Buddha flowers that can be used for chemotherapy.
호두나무(Juglans sinensis)는 가래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높이는 약 20m이고 가지는 굵고 사방으로 퍼지며 자란다. 호두알은 강장, 강정이나 변비를 없애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저 있으며, 호두 기름은 피부병을 고치는 데 쓰이기도 한다. The walnut tree ( Juglans sinensis ) is a deciduous arboreous tree of the phlegmaceae, about 20m high, and its branches are thick and spread out in all directions. Walnut egg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eliminating tonic, gangjeong and constipation, and walnut oil is also used to cure skin diseases.
호두나무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04-0051784호는 가자, 호두 또는 조협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 10-2005-0097578호는 호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10-2011-0034150호는 복숭아 뿌리, 자두 뿌리, 매화 뿌리 및 호두 껍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항염, 자극완화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 10-2009-0018200호는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In relation to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a walnut tre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51784 discloses a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aza, walnut or crude extract,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97578 Discloses a skin 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walnut extract.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34150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irritation-releasing and immuno-enhancing skin containing a mixed extract of peach root, plum root, plum root and walnut shell as an active ingredien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18200 discloses a composition for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viral containing walnut extract.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는 콩과의 낙엽교목으로 꽃봉오리를 괴화, 열매를 괴실이라고 부른다. 꽃봉오리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열매, 가지, 나무껍질은 치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ophora japonica L. is a deciduous tree of the legume, and the flower buds are called lumps and the fruit is called lumps. Buds are known to be effective for atherosclerosis and hypertension, and fruits, branches, and bark are known to be effective for hemorrhoids.
회화나무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10-0312735호는 괴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부종, 통증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소염진통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 10-0380865호는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특허 10-0380865호는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국제 공개특허 WO2004/002435호는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슬리밍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In relation to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a painting tree, Korean Patent No. 10-0312735 discloses an anti-inflammatory analgesic composition that can be used for arthritis, edema, pain, etc. containing a lump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0380865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s containing lump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0380865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containing lump extract, and WO2004 / 002435 discloses a slimming composition containing lump extract. have.
엄나무(Kalopanax pictus)는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음나무라고도 불리우며 한국, 일본, 만주, 중국 등에 분포한다. 나무껍질은 해동피라고 불리는데 신경통, 요통, 관절염, 강장, 해열, 신장병, 당뇨병, 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alopanax pictus is a deciduous arborescent of the arboraceae, also called Yin -tree, and is distributed in Korea, Japan, Manchuria, and China. Bark is called thawing blood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neuralgia, back pain, arthritis, tonic, fever, kidney disease, diabetes, and fatigue.
엄나무를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71228호는 항암, 항미생물, 항산화, 간기능 개선, 숙취해소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엄나무 추출물의 용도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96130호는 해동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8448호는 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 증상의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7456호는 엄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IDS 치료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5314호는 엄나무 추출물 및 진득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7-0007644호는 엄나무의 수피인 해동피로부터 분리한 시린진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101344호는 탄닌을 함유하는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33281호는 해동피로부터 분리한 칼로파낙스사포닌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발암제 용도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55660호는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In relation to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a moth tree,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0071228 discloses a use of a moth extract which can be used for anti-cancer, anti-microbial, antioxidant, liver function improvement, hangover relief, and the like. 10-2006-0096130 discloses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Haedongpi extract and ginger extract,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88448 discloses a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the symptoms of degenerative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It is starting. 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0567456 discloses an AIDS therapeutic agent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oak as an active ingredient, and Korean Patent No. 10-0855314 discloses an antimicrob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oak tree and Jindukchal. And it is disclosed with respect to the food compos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97-0007644 discloses a composition for the protection of liver function containing a syringe isolated from thawed bark of bark of the oak.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101344 discloses an anti-inflammatory analgesic composition comprising tannin-containing Haedongpi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33281 discloses carlopanax saponin A isolated from thawed skin. It discloses the use of an anti-cancer agent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55660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rthritis as an active ingredient Haedongpi extract.
와송(Orostachys japonica A. Berger)은 돌나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촘촘히 달리고 잎자루가 없으며 꽃은 백색으로 9월에 핀다. 오래된 사찰 등의 기와 지붕에 잘 자라 지붕지기로 불리기도 하며, 간기능 회복, 항암,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Orostachys japonica A. Berger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Sedumaceae, with dense leaves, no petioles, and white flowers in September. It grows well on tiled roofs of old temples and is also known as roof keeper. It is known to restore liver function, anticancer and antibacterial effect.
와송을 이용한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35047호는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15567호는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복합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66719호는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 및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20030호는 와송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19262호는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46583호는 와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011-0042851호는 와송을 이용한 피부보습 및 진정, 아토피 개선 등에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14222호는 와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25815호는 와송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25816호는 와송 다당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ing vortex,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35047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astritis and peptic ulcer including vortic extract,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15567 No. discloses an anti-diabetic complex composition comprising a seungsong extract, Korean Patent No. 10-0966719 disclos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obesity and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comprising a seungsong extract.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20030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ntaining the vortex extrac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9262 discloses an antithrombotic composition comprising a vortex extract 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346583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the skin containing the Wahsong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011-0042851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that is effective in moisturizing and soothing skin and improving atopic dermatitis using vortex, and Korean Patent No. 10-0614222 includes vorte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Disclosed is a composition for treating colorectal cancer, and Korean Patent No. 10-0525815 disclose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thanol extract of Wasong, and Korean Patent No. 10-0525816 discloses an antidiabetic agent comprising a polysaccharide extract of Wasong The composition is disclosed.
그러나 현재까지 상기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빛을 조사한 항균용 조성물에 대하여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However, there is no disclosure about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irradiated with light to the extract of the plant or a fraction thereof until now.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제, 특히 메티실린에 내성을 가지는 균에 대한 항균제를 개발하고자 시도하여 왔으며 그 결과, 애기땅빈대, 오동나무, 와사초, 무화과나무, 칡, 인디언감자, 노나무, 고본, 팔각회향, 자리공, 고사리, 부처꽃, 고사리, 호두나무, 회화나무, 엄나무 및 와송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병원내 주된 감염균인 황색포도상구균,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을 효과적으로 사멸시키며, 특히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증진되고, 부작용이 적으며 안전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attempted to develop antimicrobial agents, particularly antimicrobial agents resistant to methicillin, using various plant extracts, and as a result, Arabidopsis, paulownia, wasabi, fig tree, 칡, Indian potato, The ethanol extracts of Roe, Root, Octagonal Fennel, Periwinkle, Fern, Buddha, Fern, Walnut, Painted Tree, Umbrella and Wason effectively kill Staphylococcus aureus, especiall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hich are the main infectious agents in the hospital. In particular, when the plant extract or its fractions are irradiated with light, the antibacterial effect is enhanced, and the side effects are confirmed to be safe and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애기땅빈대, 오동나무, 와사초, 무화과나무, 칡, 인디언감자, 노나무, 고본, 팔각회향, 자리공, 고사리, 부처꽃, 고사리, 호두나무, 회화나무, 엄나무 및 와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빛을 조사한 빛 조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by bedbug, paulownia, wasabi, fig tree, 칡, Indian potato, Japanese oak, ancient book, octagonal fennel, periwinkle, fern, buddha, fern, walnut tree, painting tree, oak tree and hawthorn It is to provide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light fractions thereof irradiated with ligh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빛 조사물이 간균, 구균 또는 나선균에 대해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wherein the light irradiation exhibits an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bacilli, cocci or helix.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의약품, 세정제, 화장료 등의 용도로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the use of medicines, detergents, cosmetics and the like.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애기땅빈대, 오동나무, 와사초, 무화과나무, 칡, 인디언감자, 노나무, 고본, 팔각회향, 자리공, 고사리, 부처꽃, 고사리, 호두나무, 회화나무, 엄나무 및 와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빛을 조사한 빛 조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by bedbug, paulownia, wasabi, fig tree, 칡, Indian potato, Japanese oak, Gobon, octagonal fennel, perforated, fern, buddha, fern, walnut tree, painting tree, oak tree and wason It provide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any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light fractions irradiated with ligh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애기땅빈대, 오동나무, 와사초, 무화과나무, 칡, 인디언감자, 노나무, 고본, 팔각회향, 자리공, 고사리, 부처꽃, 고사리, 호두나무, 회화나무, 엄나무 및 와송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를 참조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dars, paulownia, wasabi, fig tree, 칡, Indian potato, old tree, old book, octagonal fennel, periwinkle, fern, buddha flower, fern, walnut tree, painting tree, oak tree and hawthorn See the above for details.
상기 식물은 식물의 잎, 꽃, 열매, 종자, 줄기, 뿌리, 껍질 및 전초를 포함하며, 이들 부위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plant includes leaves, flowers, fruits, seeds, stems, roots, shells and outposts of the plant, and may be used including one or more of these sit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식물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 뿐만 아니라, 그들의 정제물, 그 추출물, 분획물 또는 정제물의 농축 또는 건조된 형태 등을 모두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include not only extracts or fractions by solvents of plants, but also their purified matters, their extracts, fractions or concentrated forms of dried products, and the like.
상기 식물 추출물을 위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및 헥산올이다.The solvent for the plant extract is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pentanol, hexanol, ethylene, acetone, hexane,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cetate, dichloromethane, N, N-dimethylformamide ( DMF), dimethylsulfoxide (DMSO),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and water can be used alone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Preferred are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pentanol and hexanol.
상기 식물 분획물을 위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르말 부탄올, 이소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에틸렌, 아세톤, 노르말 헥산, 이소헥산, 시클로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노르말 헥산올,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및 물이다.The solvent for the plant fractions is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normal butanol, isobutanol, pentanol, hexanol, ethylene, acetone, normal hexane, isohexane, cyclohexane,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cetate, Dichloromethane, N, N-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sulfoxide (DMSO),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and water may be used alone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Preferred are normal hexanol, ethyl acetate, normal butanol and water.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상기 식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이용하여 식물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노르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및 물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In one specific implementation, the extract of the plant was prepared using ethanol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lant,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using normal hexane, ethyl acetate, normal butanol and wat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reparing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cold needle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reflux extraction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정제물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is a process for removing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an extract or a fraction. The purified water may be filtered using a cotton, nylon, or the like, or an ultrafiltration method, a freezing filtration method, a centrifugation method, or the like. In addi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separation process by various chromatographies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chromatographic).
상기 추출물, 분획물 또는 정제물은 액체 형태로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를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농축 및/또는 건조 방법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의 방법을 포함한다.The extracts, fractions or purified products can be used as such in liquid form or concentrated and / or dried. The method of concentration and / or drying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freeze drying, vacuum drying, hot air drying, spray drying, vacuum drying, foam drying, high frequency drying, infrared drying and the lik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빛은 태양, 형광램프, 백열램프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의미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빛에는 가시광선, 자외선 및 적외선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means light emitted from the sun, fluorescent lamps, incandescent lamp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light preferably includes both visible light, ultraviolet light and infrared light.
그리고, 상기 빛의 조도의 세기는 2,000 내지 18,000룩스,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8,000룩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8,000룩스이다. 빛의 조도가 2,000룩스 미만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이 항균 효과를 가지나, 조사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사용되는 에너지 대비 효과가 미비하여 비경제적이며, 빛의 조사량이 18,000룩스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도가 그 이하인 것에 비하여 사용되는 에너지 대비 비경제적이다.The intensity of illuminance of the light is 2,000 to 18,000 lux, preferably 5,000 to 18,000 lux, and more preferably 10,000 to 18,000 lux. Even when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is less than 2,000 lux, the light irradiated to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timicrobial effect, but because the irradiation time is long, it is uneconomical because it is inefficient compared to the energy used, and the amount of light is 18,000 If the lux is exceeded, it is uneconomical compared to the energy used compared to the lower than the illuminance.
한편, 상기 빛의 조사 시간은 1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4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시간이다. 상기 빛의 조사 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효과가 빛을 조사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증진하지 않아 비효율적이며, 24시간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사 시간 대비 항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여 효과대비 비경제적이다. 다만, 상기 빛의 조사 시간은 상기 빛의 조사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irradiation time is 1 hour or more, preferably 1 to 24 hours, more preferably 2 to 20 hours. When the irradiation time of the light is less than 1 hour,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he light irradiation on the plant extracts or fractions is not effective compared to the non-irradiation, and when exceeding 24 hours, the antimicrobial effect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irradiation time. It is insignificant and uneconomical for the effect. However, the irradiation time of the l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light.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각각에 0 내지 18,000룩스의 빛을 조사하여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관찰한 결과, 애기땅빈대 전초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빛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0룩스)에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대부분에서 미미한 항균 활성을 보였으나, 빛을 조사하는 경우 항균 활성이 증진되었다. 반면, 애기땅빈대 전초 에탄올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 분획물은 빛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0룩스)에도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빛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항균 활성이 더욱 증가하였다. 또한, 애기땅빈대 전초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모두에서 조사한 빛의 조도가 높을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조도에서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며, 애기땅빈대 전초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농도에 의존적인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In one specific embodiment, the ethanol extract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or each of its fractions was irradiated with light of 0 to 18,000 lux to observ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case of non-irradiated light (0 lux), the ethanol extracts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terrestrial bed bugs showed in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in most of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timicrobial activity was enhanced. On the other hand, the normal hexane fraction of Arabidopsis ethanol extract showed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in both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even when light was not irradiated (0 lux). In the case,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as the light intensity of both Arabidopsis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increased, but the antimicrobial activity tended to decrease at a certain level of illumination. It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the fraction.
다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오동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노르말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노르말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 각각에 0 내지 18,000룩스의 빛을 조사하여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관찰한 결과, 빛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서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거나 미미하게 항균 활성이 관찰되었으나, 빛을 조사하는 경우 항균 활성이 증진되었다. 그리고, 조사한 빛의 조도가 높을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조도에서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며, 오동나무 잎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농도에 의존적인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ethanol extract of Paulownia leaf or its normal hexane fraction, its ethyl acetate fraction, its normal butanol fraction and its water fraction are irradiated with light of 0 to 18,000 lux, thereby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 resistance.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when the light was not irradiated,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no or in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enhanc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irradiance of light, the high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but at a certain level of illuminanc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lso tended to decrease, and show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paulownia leaf extract or fraction.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와사초 줄기, 무화과나무 잎, 칡 잎, 인디언감자 뿌리, 노나무 가지, 고본 뿌리, 팔각회향, 자리공 잎, 고사리 줄기, 고사리 뿌리, 부처꽃 꽃, 부처꽃 줄기, 호두 열매 껍질, 회화나무 가지, 엄나무 잎 및 와송 꽃 각각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에 4,000 내지 18,000룩스의 빛을 조사하여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관찰한 결과, 빛을 조사하는 경우 항균 활성이 증진되었다. 그리고, 조사한 빛의 조도가 높을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조도에서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wasabi stems, fig tree leaves, beech leaves, Indian potato roots, elder branches, botanical roots, octagonal, pericula leaves, fern stems, fern roots, buddha flowers, buddha stems, walnut bark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as investigated by irradiating light of 4,000 to 18,000 lux to the ethanol extracts on each of the locust tree branches, the oak leaves, and the hawthorn flowers.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enhanced. In addition,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as the illuminance of the irradiated light increased, but the antimicrobial activity tended to decrease rather than a certain level of illuminance.
따라서,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농도,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조사한 빛의 세기 및 조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기존보다 적은 양의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사용하면서도 동등 이상의 항균 활성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부작용이 최소화되어 안전한 항균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 the intensity of light and the irradiation time irradiated to the extract or frac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light irradiation for a lesser amount of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 than the conventional one, but can exhibit the same or more antibacterial activity Because of the economical and minimized side effects can use a safe antimicrobial com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에 항균 활성을 보이는 균은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을 모두 포함하며 간균, 구균, 나선균 등 그 종류가 이로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구균이다. 상기 구균은 쌍구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을 포함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균 중 포도상구균이며, 상기 포도상구균은 황색포도상구균, 표피 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 매개 황색포도상구균 등을 포함하는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황색포도상구균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terium exhibiting antimicrobial activity to the light irradiated to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 includes both Gram-positive bacteria and Gram-negative bacteria, but the types of bacillus, cocci, helix, etc. are not limited thereto. to be. The aureus may include diarrhea, staphylococci, streptococci, and the like, more preferably staphylococcus, and staphylococci include Staphylococcus aureus, epidermal staphylococcus, vancomycin-mediated Staphylococcus aureus, and more preferably. Is Staphylococcus aureus, most preferably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항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이로 제한되지 않으나 페니실린 계열 항균제, 퀴놀론(quinolone) 계열 항균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계열 항균제, 설파(sulfonamide) 계열 항균제, 마크로라이드(macrolide) 계열 항균제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페니실린 계열 항균제이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isting antimicrobial agent, the kind is not limited thereto, but penicillin-based antibacterial agent, quinolone (quinolone) -based antimicrobial agent, tetracycline (tetracycline) antibacterial agent, sulfa (sulfonamide) antibacterial agent , Macrolide-based antimicrobial agents, and the like, and preferably penicillin-based antimicrobial agents.
상기 페니실린 계열 항균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에 영향을 미쳐 세균의 생장을 억제시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의 예로는 페니실린 G, 페니실린 V, 메티실린, 옥사실린, 클록사실린(cloxacillin), 디크록사실린(dicloxacillin), 나프실린(nafcillin), 암피실린(ampicillin), 아목시실린(amoxicillin), 카베니실린(carbenicillin), 티카실린(ticarcillin), 메즐로실린(mezlocillin), 피페라실린(piperacillin)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enicillin-based antimicrobial agent has an antimicrobial effect by affecting bacterial cell wall synthesis and inhibiting bacterial growth. Examples of the penicillin-based antimicrobial agent include penicillin G, penicillin V, methicillin, oxacillin, cloxacillin, and dicloxacillin. (dicloxacillin), nafcillin (nafcillin), ampicillin (ampicillin), amoxicillin, carbenicillin, carbenicillin, tickarcillin, mezlocillin, piperacillin, and piperacillin.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이 함유된 항균용 조성물에 항균제를 추가로 포함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기전을 가진 항균 작용으로 인하여 항균 활성이 더욱 증진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종류의 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By further including an antimicrobial agent in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light irradiation for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can be further enhanced due to the antimicrobial action having different mechanism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kinds of bacteria. Can be represented.
그리고, 상기 추가되는 기존의 항균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30중량%이 바람직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항균제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 항균제에 의한 항균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0중량% 초과하는 경우 항균제가 석출되거나 효과 대비 비경제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existing antimicrobial agent added is preferably 0.00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content of the antimicrobial agen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the antimicrobial effect by the antimicrobial agent may be insignificant, and when the antimicrobial agent exceeds 30% by weight, the antimicrobial agent may be precipitated or may be uneconomical compared to the effect.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항균을 목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의 예로는 의약품, 세정제,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the purpose of antibacterial, examples thereof include pharmaceuticals, detergents, cosmetics and the like.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항균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된다. In one specific embodiment,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is used as an antimicrob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항균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이다.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01 to 30% by weight, preferably 0.0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치료 목적에 따라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 현탁제, 유제, 시럽제, 유탁제, 경고제, 연고제, 스프레이제, 오일제, 겔제, 주정제, 틴크제, 욕제, 리니먼트제, 로션제, 패취제, 패드제, 크림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환부에 직접 도포하는 국소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젤 등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들 피부외용제는 또한 치료 부위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지지 기재(support base) 또는 매트릭스 등에 포함될 수 있으며, 지지기재의 예는 거즈 또는 붕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형화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은 콜로이드 형태 또는 건조된 분말 형태 등일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s a conventional agent in the pharmaceutical field according to the therapeutic purpose, for example,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emulsions, warnings, ointments, sprays , Oils, gels, spirits, tinctures, baths, linings, lotions, patches, pads, creams and the like. In addition, it can be preferably used as a topical skin for the purpose of topical application directly applied to the affected area, in this case, the form of an ointment, lotion, spray, gel or the like is preferable. These dermal external preparations may also be included in support bases or matrices that may be applied directly to the treatment site, and examples of the support bases include gauze or bandages.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used in the formulation may be in colloidal form or dried powder form or the like.
연고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피부 표면 온도, 피부의 pH, 경피수분손실(transdermal water loss) 값, 표피의 총지질값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바세린, 유동파라핀, 파라핀, 플라스티베이스, 실리콘, 돈지(lard), 식물유, 왁스, 정제 라놀린(purified lanolin) 등의 유지성 기재, 수용성 기재, 유제성 기재, 현탁성 기재 등과 배합하여 제형화한다. 이러한 연고제는 산화방지제(예, 토코페롤, BHA, BHT, NDGA 등), 방부제(예, 페놀성 물질,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파라벤류, 안식향산 등), 보습제(예, 글리세린, 프로필렌클리콘, 소르비톨), 용해보조제(예,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연화보조제(예, 유동파라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계면활면성제 등) 등의 첨가제와 함께 배합될 수 있다. When formulated as an ointment, skin surface temperature, skin pH, transdermal water loss value, epidermal total lipid value, etc.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Vaseline, liquid paraffin, paraffin, plastibase, silicone, pork (lard), vegetable oils, waxes, formulated in combination with oil-soluble substrates, such as water-soluble substrates, emulsion bases, suspension bases, such as purified lanolin. These ointments include antioxidants (e.g. tocopherol, BHA, BHT, NDGA, etc.), preservatives (e.g., phenolic substances, chlorobutanol, benzyl alcohol, parabens, benzoic acid, etc.), moisturizers (e.g. glycerin, propylene glycol, sorbitol). ), Dissolution aids (e.g., ethanol, propylene glycol), softening aids (e.g., liquid paraffin, glycerin, propylene glycol, surfactants, etc.) and the like.
로션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용액형, 현탁형 또는 유제형 등의 로션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피부에 바르는 로션의 경우 예를 들어 200cps 내지 500cps의 점성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도포시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위하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같은 습윤제를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formulated into a lotion, it may be prepared in a lotion such as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type, and in the case of a lotion applied to the skin, for example, it may be prepared to have a viscosity of 200 cps to 500 cps.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compound by combining a humectant such as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스프레이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될 수 있다. When formulated with a spray, a propellant or the like may be combined with the additives to disperse the dispersed dispersion or wet powder.
패취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피부를 통한 화합물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흡수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When formulated as a patch, absorption accelerator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absorption of the compound through the skin.
본 발명의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국소 투여, 직장 투여, 비내 투여 등 다양한 투여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하는 경우, 예를 들어 경구용 고형제는 활성물과 함께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자당, 셀룰로즈,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활탁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결합제(예, 전분, 아라빅 검,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 붕해제(예, 전분, 알긴산, 알기네이트,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등), 포르말 혼합물, 염료, 감미제, 습윤제(예, 레시틴, 폴리솔베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등), 기타 일반적으로 약제에 사용되는 약물학적 불활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투여하는 경우, 부형제(예,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당,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윤활제(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베헤네이트(behenate), 활석 등), 보존제(예,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various dosage forms such as oral, parenteral, topical administration, rect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for example, oral solids, together with the actives, can be diluted (e.g., lactose, dextrose, sucrose, cellulose, corn starch, potato starch, etc.), lubricants (e.g. silica, talc, stearic acid). , Magnesium or calcium stearate, polyethylene glycol, etc.), binders (e.g. starch, arabic gum, gelatin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etc.), disintegrants (e.g. starch, alginic acid, alginate, Sodium starch glycolate, etc.), formal mixtures, dyes, sweeteners, wetting agents (eg, lecithin, polysorbates, laurylsulfate, etc.), and other generally pharmacologically inert substances used in pharmaceuticals. When administered topically, excipients (e.g. lactose, starch, cellulose, lactose, polyethylene glycol, etc.), lubricants (e.g. magnesium stearate, stearic acid, glyceryl behenate, talc, etc.), preservatives (e.g. benzyl) Alconium chloride, etc.), and the like.
비경구 투여는 전신 효과를 가져오는 주사 또는 고통받는 영역에 직접 투여되는 주사를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의 예로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진피내, 경막내, 안내 및 일반적인 주입 기법이 있다.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s injections that produce a systemic effect or injections that are administered directly to the suffering area. Examples of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ubcutaneous,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dermal, intradural, intraocular and general infusion techniques.
국소 투여는, 예를 들어 눈, 외이 및 중이 감염을 비롯한 귀, 질, 열리고 봉합된 상처 또는 닫힌 상처 및 피부와 같은 국소 적용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감염 영역 또는 기관의 치료를 포함한다. 또한, 전신 효과를 가져오는 경피 전달을 포함한다.Topical administration includes the treatment of areas or organs of infection that are easily accessible by topical application such as, for example, ear, vagina, open and closed wounds or closed wounds and skin, including eye, outer and middle ear infections. It also includes transdermal delivery resulting in systemic effects.
직장 투여는 좌약의 형태를 포함한다.Rectal administration includes the form of suppositories.
비내 투여는 코 에어로졸 또는 흡입 적용을 포함한다.Intranasal administration includes nasal aerosol or inhalation applications.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종류 및 이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및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특정 추출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사용된 특정 추출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0.1 내지 1000mg/kg의 양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mg/kg의 용량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or preven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or prevention. The effective dose level will depend on the type of disease and its severity, Including the age, weight, health and sex of the patient, sensitivity of the patient to the drug, time of administration of the particular extract used,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release, duration of treatmen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factors well known in the art. In general, an adult may be administered an amount of 0.1 to 1000 mg / kg per day, preferably a dose of 10 to 100 mg / kg, once to several times dai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간균, 구균 또는 나선균성 감염증,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bacterium, aureus or spiral infection, particularly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y administering the antimicrob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상기 치료는 치료학적 처치 및 예방 또는 방지 수단을 말한다. 그러므로, 치료가 필요한 자들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된 자뿐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하는 자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체는 상기 균에 감염되어 치료가 필요한 모든 동물을 말하여, 구체적으로 사람, 소, 개, 말, 돼지 등의 포유류, 기니피그, 햄스터, 다람쥐, 랫드 등의 설치류, 닭, 꿩, 참새 등의 조류, 뱀, 도마뱀, 거북, 악어 등의 파충류, 개구리, 도룡뇽 등의 양서류 등을 말하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Such treatment refers to therapeutic treatment and preventive or preventive means. Therefore, those in need of treatment include those infected with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s well as those who wish to prevent infection with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addition, the subject refers to all animals that are infected with the fungus and need treatment, specifically, mammals such as humans, cattle, dogs, horses, pigs, guinea pigs, hamsters, squirrels, rodents such as rats, chickens, pheasants, and sparrows. Birds, such as snakes, lizards, turtles, reptiles such as crocodiles, amphibians such as frogs, salamander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로 사용된다.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is used as an antimicrobial detergent composition.
상기 세정제는 세척되고 있는 표면으로부터 고체와 액체 오물을 구축, 제거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물질 및 제품을 말하고, 상기 세척은 표면으로부터 원하지 않는 물질이나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The cleaners refer to materials and products that can build up, remove or disperse solid and liquid dirt from the surface being cleaned, and the cleaning refers to the removal of unwanted materials or microorganisms from the surface.
본 발명의 세정제에 포함되는 항균용 조성물은 세정제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중량%이다.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included in the clean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01 to 30% by weight, preferably 0.0001 to 20% by weight, most preferably 0.0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leaning agent.
본 발명의 세정제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의 항균용 조성물 이외에 세정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향료, 염료, 용매, 불투명화제, 공중합체계 분산액, 농후화제, 셀룰로즈 유도체, 첨연 검, 알부민 유도체, 지방, 오일, 각질용해제, 각화제, 점증제, 안정화제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한다.Components included in the clean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cludes components commonly used in the cleaning agent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for antibacterial. Conventional auxiliaries such as, for example, perfumes, dyes, solvents, opacifiers, copolymer dispersions, thickening agents, cellulose derivatives, pointed gums, albumin derivatives, fats, oils, keratinizers, keratinizers, thickeners, stabilizers, and Carrier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세정제는 샴푸, 린스, 비누, 핸드워시, 폼클렌징 등 인체를 세척하기 위한 용도의 세정제, 식기용, 욕실용, 싱크대용, 벽지용 등 생활 환경을 세척하기 위한 용도의 세정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deter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detergent for washing the living environment, such as a detergent for washing the human body such as shampoo, rinse, soap, hand wash, foam cleansing, dishware, bathroom, sink, wallpaper, etc.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세정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고체, 크림, 스프레이제가 있다.
The deterg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s conventionally made in the art. Examples are liquids, solids, creams and sprays.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된다. As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is used as an antimicrobial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의 화장료에 포함되는 항균용 조성물은 화장료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3.0 중량%이다.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included in the cosmet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01 to 20% by weight, preferably 0.0001 to 10% by weight, most preferably 0.000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본 발명의 화장료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의 항균용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한다.Ingredi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ntimicrobial composition includes th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s.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for example, thickener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s, and carriers and the like.
본 발명의 화장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Cosme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they may be formulated a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and sprays,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oft lotion, a nutritional lotion, a nutritional cream, a massage cream, an essence, an eye cream, a cleansing cream,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water, a pack, a spray or a powder.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smetic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the carrier component is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or the like can be used,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a spray, it can additionally comprise propellants such as chlorofluorohydrocarbons, propane / butane or dimethyl ether.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When the cosmetic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s of 1,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cosmetic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as a carrier component,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 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hen the cosmetic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the carrier component is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어느 하나 이상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s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preparing any one or more of the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and irradiating light to any one or more of the extracts or fractions. do.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첫번째 단계는 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is a step of producing a plant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For the contents of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s, refer to the above description.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식물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노르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 부탄올 및 물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한다. In one specific implementation, plants are prepared using ethanol to extract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using normal hexane, ethyl acetate, normal butanol and water.
다음 단계는,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이다.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 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의 항균 활성이 증진되어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높은 항균활성을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이면서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빛, 빛의 조도 및 빛의 조사 시간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The next step is to irradiate the plant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with light. When the plant extract or their fractions are irradiated with ligh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lant extracts or their fractions is enhanced, so that high antimicrobial activity can be obtained even using a small amount, which is economical and safe. For the ligh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and the irradiation time of the light, refer to the above description.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다음 단계로 기존의 항균제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 및 이의 함량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further mixing the existing antimicrobial agent to the next step. For the antimicrobial agent and its content, refer to the above description.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이 함유된 항균용 조성물에 항균제를 추가로 포함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기전을 가진 항균 작용으로 인하여 항균 활성이 더욱 증진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종류의 균에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By further including an antimicrobial agent in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plant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may be further enhanced due to the antimicrobial action having different mechanisms, and may exhibi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types of bacteria.
그리고, 상기 식물들은 민간 요법으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천연물로서 자체의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의약품, 세정제 및 화장료 등에 독성 및 부작용에 대한 염려 없이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nts are a natural product tha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folk remedy, so there is almost no toxicity and side effects thereof, and thus can be used without concern for toxicity and side effects in medicines, detergents and cosmetics.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천연물인 다양한 식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의 우려가 적고 안전하며, 항균 활성이 우수하여 의약품, 세정제 또는 화장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메티실린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갖기 때문에 그 효용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항균용 조성물에 조사하는 빛의 세기 및 조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항균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 적은 양의 항균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존의 항균제에 비하여 동등 이상의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어 부작용 발생의 위험이 낮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다. 이외에도 우리나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식물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자원화 및 고부가가치 제품화를 모색할 수 있다.
Since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various plants that are natural products, there is little concern of side effects and is safe.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is excellent in antimicrobial activity and can be usefully used in medicines, detergents or cosmetics. In particular, since it has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resistant to methicillin, its utility value is very large. 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can be enhanced by adjusting the light intensity and irradiation time irradiated to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the use of a small amount of the antimicrobial composition can exhibit an antimicrobial activity equivalent to or high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antimicrobial agent. Low risk, economical and efficient In addition, because the plants are easily found in Korea, they can seek their resources and high value-added product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n accordance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 식물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Plant Extracts and Fractions
1-1. 식물의 수집1-1. Collection of plants
애기땅빈대 전초, 오동나무 잎, 와사초 줄기, 무화과나무 잎, 칡 잎, 인디언감자 뿌리, 노나무 가지, 고본 뿌리, 팔각회향, 자리공 잎, 고사리 줄기 및 뿌리, 부처꽃 줄기 및 꽃, 호두 열매 껍질, 회화나무 가지, 엄나무 잎 및 와송 꽃은 2010년 06월 순천에서 수집하였다. 샘플은 순천대학교 한약자원학과의 신동원 교수가 확인하였으며 대조표본은 본초및방제 실험실에 보관해 놓았다.
Baby Bedbug Outpost, Paulownia Leaf, Wasabi Stem, Fig Tree Leaf, Sesame Leaf, Indian Potato Root, Fir Tree Branch, Root Root, Octagonal Fennel, Lilium Leaf, Fern Stem and Root, Buddha Blossom Stem and Flower, Walnut Fruit Peel, Painting tree branches, oak leaves, and hawthorn flowers were collected in June 2010 in Suncheon. The samples were confirmed by Professor Shin Dong-won of the Department of Herbal Resour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1-2. 식물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1-2. Plant Extracts and Fractions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집한 식물을 건조한 다음, 1L의 에탄올에서 3시간 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10% 농도로 증류수에 녹인 후 극성 정도가 다른 유기 용매인 노르말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OAc), 노르말 부탄올(n-BuOH) 및 물의 순서로 분획한 다음 4℃에 보관하였다.
The plants collected in Example 1-1 were dried and then boiled in 1 L of ethanol for 3 hours and extracted. Next, the ethanol extract i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10%, and then fractionated in the order of normal hexane (n-hexane), ethyl acetate (EtOAc), normal butanol (n-BuOH) and water having different polarities. Store at 4 ° C.
실시예 2 : 균주의 수집 및 배양방법 Example 2 Collection and Culture of Strains
2-1. 균주의 수집 2-1. Collection of strain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대한 임상 분리균(DPS1 내지 5)은 원광대학교 병원의 환자 5명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메티실린 내성 균주(methicillin-resistant strain)인 S. aureus ATCC 33591 및 메티실린 감수성 균주(methicillin-susceptible strain)인 S. aureus ATCC 25923은 미국의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사에서 구입하였다.
Clinical isolates (DPS1-5) for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were isolated from five patients at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The methicillin-resistant strains (methicillin-resistant strain) of S. aureus ATCC 33591 and methicillin-susceptible strains (methicillin-susceptible strain) S. aureus ATCC 25923 was purchased from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2-2. 균주의 저장 및 배양방법2-2. Strain storage and culture method
상기 실시예 2-1의 균들은 30% 글리세롤에 저장한 후 -70℃에서 얼려 보관하였다. 상기 균들은 뮬러-힌톤 배지(Mueller-Hinton broth; MHB) 및 뮬러-힌톤 한천배지(Mueller-Hinton agar; MHA)를 사용하여 배양하였으며, 뮬러-힌톤 배지에서 배양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 2-1의 균들을 뮬러-힌톤 배지에 현탁한 후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사용하였다.
The bacteria of Example 2-1 were stored in 30% glycerol and then frozen at -70 ° C. The bacteria were cultured using Mueller-Hinton broth (MHB) and Mueller-Hinton agar (MHA), and in Example 2-1 when incubated in Muller-Hinton agar (MHA) The microorganisms were suspended in Muller-Hinton's medium and incubated at 37 ° C. for 24 hours before use.
실시예Example
3 : 3:
애기땅빈대Baby bedbug
전초outpost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Light for Ethanol Extract
조사물의Investigation
항균 활성 측정 Antimicrobial activity measurement
3-1. 최소 저해 농도의 결정
3-1.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1) 샘플의 제조(1) Preparation of Sample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탄올 추출물은 최초 농도가 2000㎍/㎖이 되도록 샘플을 제조하였다.
The ethanol extract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was prepared so that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2000 µg / ml.
(2) 최소 저해 농도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결정 (2)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최소 저해 농도는 CLSI의 액체배지 미량희석법(microdilution broth method)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메티실린 감수성 균주인 S.aureus ATCC 25923, 메티실린 내성 균주인 S.aureus ATCC 33591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임상 분리균인 DPS1 내지 DPS5를 1.5×108 CFU/㎖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2000㎍/㎖의 농도로 제조한 상기 실험예 3-1의 (1) 샘플을 50% DMSO에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시켜 샘플의 농도가 2000㎍/㎖부터 0.975㎍/㎖까지의 농도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액체배지 100㎕, 균액 10㎕ 및 각 농도별 샘플 10㎕를 처리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빛을 조사하지 않는 조건 및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및 18,000룩스의 빛을 조사하는 조건으로 나누어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빛을 조사하는 조건은 상기 플레이트를 형광램프(Shinkwang Electric L-40D compact fluorescent lamp)가 구비된 식물배양챔버(Vision, Korea)에 놓아둠으로서 수행되었다. 최소 저해 농도는 메티실린 감수성 균주인 S.aureus ATCC 25923, 메티실린 내성 균주인 S.aureus ATCC 33591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임상 분리균인 DPS1 내지 DPS5의 성장이 완전히 억제된 농도로 결정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CLSI microdilution broth method. S.aureus ATCC 25923, methicillin susceptible strains of syringe was produced clinically isolated strain of DPS1 to DPS5 for the cylinder of methicillin-resistant strain ATCC 33591 and S.aureus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t a concentration of 1.5 × 10 8 CFU / ㎖ . Sample (1) of Experimental Example 3-1,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2000 µg / ml, was diluted twice in 50% DMSO sequentially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was from 2000 µg / ml to 0.975 µg / ml. . Then, each well of a 96-well plate was treated with 100 μl of liquid medium, 10 μl of bacterial solution and 10 μl of sample for each concentration, and the plate was not irradiated with light and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Incubated for 18 hours at 37 ℃ divided by the conditions of irradiation of light of 14,000, 16,000 and 18,000 lux.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were performed by placing the plate in a plant culture chamber (Vision, Korea) equipped with a Shinkwang Electric L-40D compact fluorescent lamp.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is determined by the clinical isolated strain to the DPS1 DPS5 growth on cylindrical methicillin-susceptible strains of S.aureus ATCC 25923, a methicillin-resistant strain ATCC 33591 and S.aureus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ompletely inhibitory concentra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험 결과, 빛을 조사하지 않은 조건에서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빛이 조사되는 조건하에서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빛의 세기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은 시료에 따라 다르지만 10,000 내지 16,000룩스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the ethanol extract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y under the light irradiated condition. However, under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both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However, when the light intensity is more than a certain degree,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ion on the ethanol extracts of A. edodes outpost varies depending on the sample, but was shown to be maximum when irradiated with light of 10,000 to 16,000 lux.
3-2. 성장 저해 정도의 결정
3-2. Determination of Growth Inhibition
(1) 균주 현탁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Strain Suspension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method)으로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메티실린 감수성 균주인 S.aureus ATCC 25923, 메티실린 내성 균주인 S.aureus ATCC 33591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임상 분리균인 DPS1 내지 DPS5를 37℃에서 24 시간동안 뮬러-힌톤 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균주들을 뮬러-힌톤 배지에 접종하여 탁도가 약 1.5 X 108 CFU/㎖이 되도록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ion against ethanol extracts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by disc diffusion method, methicillin-sensitive strains S.aureus ATCC 25923, methicillin-resistant strains S.aureus ATCC 33591 and methicillin Clinical isolates DPS1 to DPS5 against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ere incubated at 37 ° C. for 24 hours in Muller-Hinton agar medium. The strains were then inoculated in Muller-Hinton medium to prepare a suspension with a turbidity of about 1.5 × 10 8 CFU / mL.
(2) 샘플의 제조 (2) preparation of samples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탄올 추출물은 최초 농도가 2000㎍/㎖이 되도록 샘플을 제조하였다.
The ethanol extract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was prepared so that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2000 µg / ml.
(3) 샘플의 접종 및 배양(3) inoculation and incubation of samples
뮬러-힌톤 한천배지를 페트리디쉬에 부은 후 상기 실험예 3-2의 (1)에서 제조한 현탁액을 각각의 페트리디쉬에 100㎕씩 넣고 도말하였다. 그 후 지름이 6mm인 무균 상태의 종이 디스크를 페트리디쉬의 가운데에 올려놓았다. 다음으로 상기 실험예 3-2의 (2)에서 제조한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탄올 추출물을 페트리디쉬의 종이 디스크에 각각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시킨 샘플을 각각 10㎕씩 로딩하여 약량이 250㎍ 및 500㎍이 되도록 하였다. 그 후 페트리디쉬를 빛을 조사하지 않는 조건 및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및 18,000 룩스의 빛을 조사하는 조건으로 나누어 37℃의 식물 성장 챔버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빛을 조사하는 조건은 상기 페트리디쉬를 형광램프(Shinkwang Electric L-40D compact fluorescent lamp)가 구비된 식물배양챔버(Vision, Korea)에 놓아둠으로서 수행되었다.
After pouring Muller-Hinton agar medium into Petri dishes, the suspension prepared in (1) of Experimental Example 3-2 was added to each Petri dish and plated. A 6 mm diameter sterile paper disk was then placed in the center of the petri dish. Next, 10 μl each of the samples obtained by diluting the ethanol extract of the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prepared in (2) of Experimental Example 3-2 on the paper disk of Petri dish sequentially was loaded by 10 μl, respectively, to about 250 μg and 500 Μg. Petri dishes were then incubated in a plant growth chamber at 37 ° C. for 18 hours under conditions of no light and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and 18,000 lux. .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were performed by placing the Petri dishes in a plant culture chamber (Vision, Korea) equipped with a Shinkwang Electric L-40D compact fluorescent lamp.
(4) 항균 활성의 측정(4) measur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항균 활성은 상기 실시예 3-2의 (3)의 배양 시간이 지난 후 각각의 디스크 주위에서 균주의 성장이 저해된 지름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ntimicrobial activity was shown by measuring the diameter of the strain inhibited growth around each disk after the incubation time of (3) of Example 3-2.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실험 결과, 애기땅빈대 전초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DPS2 군을 제외하고는 빛을 조사하지 않을 때는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빛을 조사하는 때에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빛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은 시료에 따라 다르지만 10,000 내지 16,000 룩스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the ethanol extract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y when the light was not irradiated except for the DPS2 group, bu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when irradiated with light.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as the light intensity increased, but when the light intensity reached a certain level, the antimicrobial activity decreas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ion on the ethanol extracts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varies depending on the sample, but was shown to be maximum when irradiated with light of 10,000 to 16,000 lux.
그리고, 실험한 모든 군에서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탄올 추출물을 250ug 로딩한 경우에 비하여 500ug 로딩한 경우 균주의 성장이 저해된 지름이 넓게 관찰되어 농도 의존적인 항균 활성을 보였다.
In addition, all groups tested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antimicrobial activity that was observed when the diameter of the strain inhibited growth was wide when 500ug loading compared to the 250ug loading of the ethanol extract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실시예 4 :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 측정 Example 4: Determin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ed on paulownia leaf ethanol extract
4-1. 최소 저해 농도의 결정
4-1.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1) 샘플의 제조(1) Preparation of Sample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최초 농도가 2000㎍/㎖이 되도록 샘플을 제조하였다.
The paulownia leaf ethanol extract was prepared so that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2000 μg / ml.
(2) 최소 저해 농도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결정 (2)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최소 저해 농도를 구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To obtai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light irradiated to the paulownia ethanol extract, the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in the method of Example 3-1 are shown in Table 3 below.
실험 결과, 빛을 조사하지 않은 조건에서 오동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임상 분리균인 DPS3을 제외하고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DPS3의 항균 활성도 매우 미약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빛이 조사되는 조건하에서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빛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은 시료에 따라 다르지만 12,000 내지 18,000룩스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thanol extract of paulownia leaves showed no antimicrobial activity except DPS3, a clinical isolate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DPS3 was very weak. However, under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both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However, when the light intensity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ed on the paulownia ethanol extrac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ample, but it was shown to be maximum when 12,000 to 18,000 lux of light was irradiated.
4-2. 성장 저해 정도의 결정
4-2. Determination of Growth Inhibition
(1) 균주 현탁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Strain Suspension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method)으로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메티실린 감수성 균주인 S.aureus ATCC 25923, 메티실린 내성 균주인 S.aureus ATCC 33591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임상 분리균인 DPS1 내지 DPS5를 37℃에서 18 시간동안 뮬러-힌톤 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균주들을 뮬러-힌톤 배지에 접종하여 탁도가 약 1.5 X 108 CFU/㎖이 되도록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Methicillin-sensitive strains, S.aureus ATCC 25923, Methicillin-resistant strains, S.aureus ATCC 33591 and Methicillin-resistant yellow,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ed on paulownia ethanol extracts by the disc diffusion method. Clinical isolates DPS1 to DPS5 against Staphylococcus were cultured in Muller-Hinton agar medium for 18 hours at 37 ° C. The strains were then inoculated in Muller-Hinton medium to prepare a suspension with a turbidity of about 1.5 × 10 8 CFU / mL.
(2) 샘플의 제조 (2) preparation of samples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최초 농도가 2000㎍/㎖이 되도록 샘플을 제조하였다.
The paulownia leaf ethanol extract was prepared so that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2000 μg / ml.
(3) 샘플의 접종, 배양 및 항균 활성의 측정(3) inoculation, incubation of samples and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2의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ed against the paulownia ethanol extract, the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by the method of Example 3-2 are shown in Table 4 below.
실험 결과,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빛을 조사하지 않을 때는 모든 군에서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빛을 조사하는 때에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빛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동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은 시료에 따라 다르지만 12,000 내지 18,000 룩스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paulownia leaf ethanol extract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y in all groups when it was not irradiated with light, but it was confirmed that antimicrobial activity appeared when irradiated with light.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as the light intensity increased, but when the light intensity reached a certain level, the antimicrobial activity decreas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ion on the ethanol extract of paulownia leaves was shown to be maximum when irradiated with light of 12,000 to 18,000 lux, depending on the sample.
그리고, 실험한 모든 군에서 오동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250㎍ 로딩한 경우에 비하여 500㎍ 로딩한 경우 균주의 성장이 저해된 지름이 넓게 관찰되어 농도 의존적인 항균 활성을 보였다.
In addition, all groups tested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antimicrobial activity that was broadly observed in which the growth of the strain was inhibited in the case of 500 ㎍ loading of ethanol extract of paulownia leaves.
실시예 5 : 애기땅빈대 전초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 측정 Example 5 Determin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ion on Aloe Versus Outpost Fractions
5-1. 최소 저해 농도의 결정
5-1.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1) 샘플의 제조(1) Preparation of Sample
애기땅빈대 전초 에탄올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을 최초 농도가 2000㎍/㎖이 되도록 샘플을 제조하였다.
Samples were prepared with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and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of Arabidopsis ethanol extract ethanol extract to an initial concentration of 2000 μg / ml.
(2) 최소 저해 농도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결정 (2)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애기땅빈대 전초 에탄올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최소 저해 농도를 구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 표5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obtai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light irradiated to the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and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of Arabidopsis ethanol extract ethanol extract, the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by the method of Example 3-1 Table 5 shows.
실험 결과, 애기땅빈대 전초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의 경우 빛을 조사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시료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항균 활성이 미약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빛이 조사되는 조건하에서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항균 효과가 증진되었으며,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빛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was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nder light-free conditions. Appeared. However, under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antimicrobial activity was enhanced in both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However, when the light intensity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그러나, 애기땅빈대 전초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은 빛을 조사하지 않은 조건에서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빛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항균 활성이 더욱 증가하였다. 또한,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빛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owever, the normal n-hexane fraction of A. elata was excellent in both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nder light-irradiated conditions.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further. 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as the light intensity increased, but when the light intensity was above a certain level,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애기땅빈대 전초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은 시료에 따라 다르지만 10,000 내지 18,000 룩스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ion on the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and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of the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varied depending on the sample, but was shown to be maximum when irradiated with light of 10,000 to 18,000 lux.
5-2. 성장 저해 정도의 결정
5-2. Determination of Growth Inhibition
(1) 균주 현탁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Strain Suspension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method)으로 애기땅빈대 전초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메티실린 감수성 균주인 S. aureus ATCC 25923, 메티실린 내성 균주인 S. aureus ATCC 33591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임상 분리균인 DPS1 내지 DPS5를 37℃에서 24 시간동안 뮬러-힌톤 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균주들을 뮬러-힌톤 배지에 접종하여 탁도가 약 1.5 X 108 CFU/㎖이 되도록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S. aureus , a methicillin susceptible strain, was us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ed on A. elata fraction by the disc diffusion method. ATCC 25923, the methicillin resistant strain S. aureus ATCC 33591 and the clinical isolates DPS1 to DPS5 against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ere cultured in Muller-Hinton agar medium for 24 hours at 37 ℃. The strains were then inoculated in Muller-Hinton medium to prepare a suspension with a turbidity of about 1.5 × 10 8 CFU / mL.
(2) 샘플의 제조 (2) preparation of samples
애기땅빈대 전초 에탄올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을 최초 농도가 2000㎍/㎖이 되도록 실험할 샘플을 준비하였다.
Samples were prepared to test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and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of Arabidopsis ethanol ethanol extract to an initial concentration of 2000 μg / ml.
(3) 샘플의 접종, 배양 및 항균 활성의 측정(3) inoculation, incubation of samples and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애기땅빈대 전초 에탄올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2의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ion to the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and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of Arabidopsis ethanol extract ethanol extract, the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by the method of Example 3-2 are as follows. Table 6 shows.
실험 결과, 애기땅빈대 전초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은 빛을 조사하지 않은 조건에서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은 군에 따라 다르지만 빛을 조사하지 않은 조건에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보였다. 또한,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빛의 세기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the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of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in both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nder the light irradiation, and ethyl acetate (EtOAc). The fractions differed between groups bu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nder conditions that were not irradiated with light. 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creased as the light intensity increased, but when the light intensity became more than a certain degree,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애기땅빈대 전초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은 시료에 따라 다르지만 10,000 내지 18,000 룩스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ion on the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and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of the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varied depending on the sample, but was shown to be maximum when irradiated with light of 10,000 to 18,000 lux.
그리고, 실험한 모든 군에서 애기땅빈대 전초의 분획물을 250㎍ 로딩한 경우에 비하여 500㎍ 로딩한 경우 균주의 성장이 저해된 지름이 넓게 관찰되어 농도 의존적인 항균 활성을 보였다.
In addition, all groups tested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antimicrobial activity that was observed when the diameter of the strain inhibited the growth of 500 μg when compared to the 250 μg loading of the Arabidopsis vulgaris outpost.
실시예 6 : 오동나무 잎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 측정 Example 6: Determin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ed on paulownia leaf fraction
6-1. 최소 저해 농도의 결정
6-1.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1) 샘플의 제조(1) Preparation of Sample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노르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물 분획물, 암피실린(ampicillin), 및 옥사실린(oxacillin)을 최초 농도가 2000㎍/㎖이 되도록 샘플을 제조하였다. 양성 대조구로는 암피실린 및 옥사실린을 사용하였다.
Normal concentrations of n-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normal butanol (n-BuOH) fraction, water fraction, ampicillin, and oxacillin of paulownia ethanol extracts at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2000 Samples were prepared to be μg / ml. Ampicillin and oxacillin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2) 최소 저해 농도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결정 (2)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노르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물 분획물, 암피실린(ampicillin) 및 옥사실린(oxacillin)에 대한 빛 조사물의 최소 저해 농도를 구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Minimum hexane (n-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normal butanol (n-BuOH) fraction, water fraction, paulownia leaf ethanol extract, light irradiation for ampicillin and oxacillin The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by the method of Example 3-1 to obtain the inhibitory concentration are shown in Table 7 below.
실험 결과, 오동나무 잎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노르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및 옥사실린의 경우 빛을 조사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시료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항균 활성이 미약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암피실린의 경우 빛을 조사하지 않은 조건에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서는 대체적으로 미약한 항균 활성을 보였으나,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에서는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빛이 조사되는 조건하에서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항균 효과가 증진되었으며,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빛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As a result, the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normal butanol (n-BuOH) fraction and oxacillin of paulownia leaves were methicillin 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and All of th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amples differed from sample to sample, but showed generally poor antimicrobial activity. Ampicillin showed mild antimicrobial activity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nder conditions that were not irradiated with light, but showed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in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However, under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antimicrobial activity was enhanced in both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However, when the light intensity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오동나무 잎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노르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및 물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은 시료에 따라 다르지만 12,000 내지 18,000 룩스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ed on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normal butanol (n-BuOH) fraction, and water fraction of paulownia leaves differs from sample to sample, but light of 12,000 to 18,000 lux Investigations have been shown to be maximum.
6-2. 성장 저해 정도의 결정
6-2. Determination of Growth Inhibition
(1) 균주 현탁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Strain Suspension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method)으로 오동나무 잎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메티실린 감수성 균주인 S. aureus ATCC 25923, 메티실린 내성 균주인 S.aureus ATCC 33591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임상 분리균인 DPS1 및 DPS2를 37℃에서 24 시간동안 뮬러-힌톤 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균주들을 뮬러-힌톤 배지에 접종하여 탁도가 약 1.5 X 108 CFU/㎖이 되도록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S. aureus , a methicillin-sensitive strain, was us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ion on paulownia leaf fractions by the disc diffusion method. ATCC 25923, S.aureus ATCC 33591, a methicillin resistant strain, and DPS1 and DPS2, clinical isolates against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ere incubated in Muller-Hinton agar for 24 hours at 37 ° C. The strains were then inoculated in Muller-Hinton medium to prepare a suspension with a turbidity of about 1.5 × 10 8 CFU / mL.
(2) 샘플의 제조 (2) preparation of samples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노르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물 분획물, 암피실린(ampicillin) 및 옥사실린(oxacillin)을 최초 농도가 2000㎍/㎖이 되도록 실험할 샘플을 준비하였으며, 양성 대조구로 암피실린 및 옥사실린을 사용하였다.
Normal concentrations of n-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normal butanol (n-BuOH) fraction, water fraction, ampicillin and oxacillin of paulownia ethanol extracts were 2000 µg. Samples to be tested were prepared to be / ml, and ampicillin and oxacillin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3) 샘플의 접종, 배양 및 항균 활성의 측정(3) inoculation, incubation of samples and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오동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노르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물 분획물, 암피실린(ampicillin) 및 옥사실린(oxacillin)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2의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ion on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EthOAc Fraction, Normal Butanol (n-BuOH) Fraction, Water Fraction, Ampicillin and Oxacillin from Paulownia ethanol Extract The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by the method of Example 3-2 to measure the activity are shown in Table 8 below.
실험 결과, 오동나무 잎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노르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의 경우 빛을 조사하지 않을 때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빛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항균 활성이 나타났으며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빛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ormal hexane (n-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normal butanol (n-BuOH) fraction and water fraction of paulownia leaves are methicillin 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 without light. All of the strains resistant to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no antimicrobial activity. However, when irradiated with light,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and as light intensity increased, antimicrobial activity also increased. However, when the light intensity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오동나무 잎의 노르말 헥산(n-hexane)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노르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및 물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은 시료에 따라 다르지만 10,000 내지 16,000 룩스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ed on the normal 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normal butanol fraction (n-BuOH) and water fraction of the paulownia leaves varies depending on the sample, but light of 10,000 to 16,000 lux When it is surveyed, it becomes maximum.
그리고, 실험한 모든 군에서 오동나무 잎의 분획물을 250㎍ 로딩한 경우에 비하여 500㎍ 로딩한 경우 균주의 성장이 저해된 지름이 넓게 관찰되어 농도 의존적인 항균 활성을 보였다.In addition, all groups tested had a concentration-dependent antimicrobial activity that was observed to be wider when the growth of the strain was inhibited when 500 μg was loaded compared to 250 μg loading of the paulownia leaf.
양성 대조군인 암피실린의 경우 빛을 조사하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실험한 모든 군에서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빛의 세기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옥사실린의 경우 DPS2군을 제외하고는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Ampicillin, a positive control group,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in all groups,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it was irradiated with light.Increasing light intensity showed an increase in antimicrobial activity, but the difference was not large. When the more than a certain degree,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However, oxacillin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y except for the DPS2 group.
실시예 7 : 그 외 식물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 측정 Example 7: Determin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ight irradiation on other plant extracts
7-1. 샘플의 제조7-1. Preparation of samples
와사초 줄기, 무화과나무 잎, 칡 잎, 인디언감자 뿌리, 노나무 가지, 고본 뿌리, 팔각회향, 자리공 잎, 고사리 줄기, 고사리 뿌리, 부처꽃 꽃, 부처꽃 줄기, 호두 열매 껍질, 회화나무 가지, 엄나무 잎 및 와송 꽃 각각의 에탄올 추출물은 최초 농도가 2000㎍/㎖이 되도록 샘플을 제조하였다.
Wasabi stem, Fig leaf, Beet leaf, Indian Potato root, Alder branch, Root root, Octagonal Fennel, Periwinkle leaf, Fern stem, Fern root, Buddha flower, Buddha stem, Walnut fruit bark, Painting tree branch, Oak leaf and The ethanol extract of each of the pine flowers was prepared so that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2000 µg / ml.
7-2. 최소 저해 농도의 결정 7-2. Determination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와사초 줄기, 무화과나무 잎, 칡 잎, 인디언감자 뿌리, 노나무 가지, 고본 뿌리, 팔각회향, 자리공 잎, 고사리 줄기, 고사리 뿌리, 부처꽃 꽃, 부처꽃 줄기, 호두 열매 껍질, 회화나무 가지, 엄나무 잎 및 와송 꽃 각각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최소 저해 농도를 구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Wasabi stem, Fig leaf, Beet leaf, Indian Potato root, Alder branch, Root root, Octagonal Fennel, Periwinkle leaf, Fern stem, Fern root, Buddha flower, Buddha stem, Walnut fruit bark, Painting tree branch, Oak leaf and In order to obtai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for each ethanol extract of the pine flowers, the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the experiment by the method of Example 3-1 are shown in Table 9 below.
실험 결과, 빛을 조사하지 않은 조건에서 와사초 줄기, 무화과나무 잎, 칡 잎, 인디언감자 뿌리, 노나무 가지, 고본 뿌리, 팔각회향, 자리공 잎, 고사리 줄기, 고사리 뿌리, 부처꽃 꽃, 부처꽃 줄기, 호두 열매 껍질, 회화나무 가지, 엄나무 잎 및 와송 꽃 각각의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항균 활성이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빛이 조사되는 조건하에서는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모두에서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빛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항균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식물들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빛 조사물의 항균 활성은 식물의 종류 및 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12,000 내지 18,000룩스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wasabi stems, ficus leaves, beech leaves, Indian potato roots, elder branches, botanical roots, octagonal fennel, pericardial leaves, fern stems, fern roots, buddha flowers, buddha stems, and walnuts under unlighted conditions No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as observed in the ethanol extracts of the fruit bark, the Prunus branches, the oak leaves, and the hawthorn flowers. However, under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both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However, when the light intensity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decreas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light irradiated with respect to the ethanol extract of the plants was shown to be the maximum when the light of 12,000 to 18,000 lux,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and the type of bacteria.
실시예 8 : 급성 경구 독성 시험Example 8: Acute Oral Toxicity Test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이 독성이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급성 경구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동물로서 5 내지 6주령 된 SPF SD계 랫드 20마리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급성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n-toxic, an acute oral toxicity test was conducted. Twenty five to six week old SPF SD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o perform acute toxicity testing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온도, 습도조건: 온도 22도 +/- 2도, 상대습도 50 +/- 10%Temperature, humidity conditions: temperature 22 degrees +/- 2 degrees, relative humidity 50 +/- 10%
명암 사이클: 형광등 조명(8시에 점등 후 20시에 소등)Contrast cycle: Fluorescent light illumination (lights off at 8:00 after lighting at 8:00)
조도: 200 내지 300룩스Roughness: 200 to 300 lux
자외선 처리된 음용수는 자유섭취 시킴Free treatment of UV-treated drinking water
시험물질을 멸균 증류수에 희석하여 투여시료를 제조하여 대조구로서 멸균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량 투입하였다.A test sample was prepared by diluting the test substance in sterile distilled water and adding the same amount using sterile distilled water as a control.
투여 당일은 4시간까지 매 시간마다 일반상태를 관찰하고, 투여 다음날부터 14일까지는 매일 1회씩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운동성, 외관, 자율신경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주의깊게 관찰하고 여러 가지 병리 해부학적인 검증을 거쳐 독성 유무를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LD50이 3000mg/kg B.W.이었으며, 독성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On the day of administration, the general condition is observed every hour up to 4 hours, and once a day from the day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general condition changes, poisoning symptoms, mobility, appearance, autonomic nerves, and the presence of dead animals are carefully observed. Pathological anatomical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toxicity. As a result, LD 50 was 3000 mg / kg BW and no toxicity was observed.
Claims (11)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andine beetle, paulownia, wasabi, fig tree, 칡, Indian potato, oak, ancient book, octagonal fennel, periwinkle, fern, buddha flower, fern, walnut tree, painting tree, oak tree, and hawthorn An antimicrob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light irradiated with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andine beetle, paulownia, wasabi, fig tree, 칡, Indian potato, oak, ancient book, octagonal fennel, periwinkle, fern, buddha flower, fern, walnut tree, painting tree, oak tree, and hawthorn Antimicrobial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 light irradiated with light to the plant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andine beetle, paulownia, wasabi, fig tree, 칡, Indian potato, oak, ancient book, octagonal fennel, periwinkle, fern, buddha flower, fern, walnut tree, painting tree, oak tree, and hawthorn Antimicrobi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light irradiated with light to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omposition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light has an illuminance of 2000 lux to 18,000 lux.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rradiation time of light is 1 to 24 hour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terium is a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acteria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cilli, cocci and helix.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cci are at least one cocci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plococci, staphylococci and streptococci.
8.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taphylococcus is at least one staphylococcu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phylococcus aureus, Epidermal Staphylococcus and Vancomycin-mediated Staphylococcus aureus.
The composition of claim 8, wherein the Staphylococcus aureus is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 is extracted with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pentanol and hexano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6768A KR101333150B1 (en) | 2011-12-30 | 2011-12-30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6768A KR101333150B1 (en) | 2011-12-30 | 2011-12-30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2653A Division KR101468819B1 (en) | 2013-09-23 | 2013-09-23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Ficus carica L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KR1020130112656A Division KR101392809B1 (en) | 2013-09-23 | 2013-09-23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aulownia coreana Uyeki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KR1020130112652A Division KR20130112840A (en) | 2013-09-23 | 2013-09-23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ueraria thunbergiana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KR1020130112658A Division KR20130109084A (en) | 2013-09-23 | 2013-09-23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sophora japonica l.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KR1020130112654A Division KR101427050B1 (en) | 2013-09-23 | 2013-09-23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Ranunculus sceleratus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8052A true KR20130078052A (en) | 2013-07-10 |
KR101333150B1 KR101333150B1 (en) | 2013-11-27 |
Family
ID=4899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6768A KR101333150B1 (en) | 2011-12-30 | 2011-12-30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315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852B1 (en) * | 2015-11-12 | 2016-11-03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Euphorbia maculata or Euphorbia supina |
KR20170006358A (en) * | 2015-07-08 | 2017-01-18 | 문병광 | Using wasong breeding of livestock and meat quality of cattle gained therefrom |
EP3290044A1 (en) * | 2016-08-30 | 2018-03-07 | SjF Hanse Scientific UG |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 plant extract, method for obtaining the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
KR20210054898A (en) * | 2019-11-06 | 2021-05-14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Composition for Exterminating Scutica in Fishes Containing Illicium anisatum Extrac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3521B1 (en) | 2015-10-30 | 2017-06-15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rombosis comprising an extract or fraction of Euphorbia supina Rafin |
KR101631825B1 (en) | 2016-03-16 | 2016-06-20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ion or fraction of Phytolacca americana L. for controlling stem blight |
KR20230005039A (en) | 2021-06-30 | 2023-01-09 | 청담씨디씨제이앤팜 유한책임회사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Euphorbia supina for allevation of skin irritation from fine dus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314B1 (en) | 2007-06-20 | 2008-09-04 | 스킨큐어 코스메틱(주) |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plant extract |
JP2009091349A (en) | 2007-09-19 | 2009-04-30 | Ogaki Bio Technology Kenkyu Center:Kk |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bath preparation or cosmetics containing chlorella extract,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
-
2011
- 2011-12-30 KR KR1020110146768A patent/KR101333150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6358A (en) * | 2015-07-08 | 2017-01-18 | 문병광 | Using wasong breeding of livestock and meat quality of cattle gained therefrom |
KR101671852B1 (en) * | 2015-11-12 | 2016-11-03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Euphorbia maculata or Euphorbia supina |
EP3290044A1 (en) * | 2016-08-30 | 2018-03-07 | SjF Hanse Scientific UG |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 plant extract, method for obtaining the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
KR20210054898A (en) * | 2019-11-06 | 2021-05-14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Composition for Exterminating Scutica in Fishes Containing Illicium anisatum Extra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3150B1 (en) | 2013-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3150B1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
KR102142930B1 (en) | A composition for promoting melanin synthesis comprising flower extract of milk thistle | |
KR101626437B1 (en) |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inflammation or reducing skin irritation | |
KR102271886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medicinal herbs extract for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WO2011019239A2 (en) |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 |
KR101986186B1 (en) | Cpmposition for care of dermatic disease comprinsing plant extract | |
KR101468819B1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Ficus carica L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
KR101302678B1 (en) | Antifungal compositions containing camellia japonica extracts | |
KR101930264B1 (en) | 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ng secretion of sebum and for improving acne symptoms containing natural complex extract | |
KR20190027178A (en)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ntipeda minima extract | |
KR102049278B1 (en) | A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s of silk tree bark and the feminine cleans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
KR101392808B1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 |
KR20220153866A (en) |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Plant Extracellular vesicle of Rose for Improving Skin | |
KR102033073B1 (en) | Compositions for skin regeneration, skin soothing or wound healing comprising sericin, extracts of erect hedge parsley extract and extracts of mistletoe | |
KR101392809B1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aulownia coreana Uyeki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
KR101427050B1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Ranunculus sceleratus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
KR101594034B1 (en) |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Artemisia rubripes, Tubocapsicum anomalum and Camellia japonica (leaves) Improving Skin Allergy, Inflammation and Geriatric Odor | |
KR20130112840A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ueraria thunbergiana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
KR20130109084A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sophora japonica l.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
JP7041142B2 (en) | Endothel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 |
KR101392810B1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 |
KR101219080B1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Smallanthus sonchifolius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under light intensity | |
KR20140099223A (en) | Antimicrobial Composition Using an Plant Extract | |
KR20160037407A (en) |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phlox subulata extract | |
KR102540960B1 (en) |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fig enzy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