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115A -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7115A KR20130077115A KR1020110145656A KR20110145656A KR20130077115A KR 20130077115 A KR20130077115 A KR 20130077115A KR 1020110145656 A KR1020110145656 A KR 1020110145656A KR 20110145656 A KR20110145656 A KR 20110145656A KR 20130077115 A KR20130077115 A KR 201300771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man body
- air conditioner
- unit
- installation space
- power sa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다가 운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와; 상기 인체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의 인체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인체 존재 판단부와;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에서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다가 운전 정지시키는 운전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의 사용자 부재 시, 사용자의 작동 스위치 조작 없이도 공기조화기 운전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의 인체 존재 유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팽창기구 등으로 이루어진 냉동사이클을 통해 실내의 공기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냉난방하고, 부가적으로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냉난방 장비이다. 일 예로, 특허문헌 1에는 공기조화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작동 스위치 온/오프에 의해서만 운전을 개시하거나 운전 정지하게 된다.
즉,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를 온 시킨 상태에서 외출하여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정상 모드로 운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을 벗어나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방지를 위해 반드시 공기조화기의 작동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함에 따라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다가 운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와; 상기 인체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의 인체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인체 존재 판단부와;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에서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다가 운전 정지시키는 운전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체 감지부는,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Microwave Motion Sens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는, 공기조화기가 정상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감지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1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1시간을 경과하면,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로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는,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감지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2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2시간을 경과하면,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로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는,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감지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면,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로 사용자의 존재를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운전 제어부는, 공기조화기가 정상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로부터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받으면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는 한편,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로부터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받으면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되,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존재를 통보받으면, 공기조화기를 정상 모드로 운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는, 절전 기능의 개시/정지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절전 기능이 개시됨에 따라 상기 인체 감지부,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 및 상기 운전 제어부로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다가 운전 정지시킴으로써,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의 사용자 부재 시, 사용자의 작동 스위치 조작 없이도 공기조화기 운전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10)와, 인체 감지부(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의 인체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인체 존재 판단부(20)와, 인체 존재 판단부(20)에서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다가 운전 정지시키는 운전 제어부(30)와, 절전 기능 온/오프(On/Off)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절전 기능의 개시/정지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40)와, 사용자 입력부(40)를 통해 절전 기능이 개시됨에 따라 인체 감지부(10), 인체 존재 판단부(20) 및 운전 제어부(30)로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제어부(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체 감지부(10)는 예컨대,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Microwave Motion Sensor)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 또는 상부에 장착되되, 구체적으로는 실내기 전면 판넬(Front Panel), 실내기 전면 판넬의 배면 또는 실내기 상부 토출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공기조화기가 정상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 있어서, 인체 감지부(10)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1시간(예를 들어, 30 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1시간을 경과하면,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 제어부(30)로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한다.
또한,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 있어서, 인체 감지부(10)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2시간(예를 들어, 90 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2시간을 경과하면,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 제어부(30)로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한다.
또한,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 있어서, 인체 감지부(10)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면,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 제어부(30)로 사용자의 존재를 통보한다.
한편, 운전 제어부(30)는 공기조화기가 정상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 있어서, 인체 존재 판단부(20)로부터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받으면,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게 된다.
또한, 운전 제어부(30)는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 있어서, 인체 존재 판단부(20)로부터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받으면,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운전 제어부(30)는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 있어서, 인체 존재 판단부(20)로부터 사용자의 존재를 통보받으면, 공기조화기를 정상 모드로 운전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는 작동 스위치가 온 됨에 따라, 정상 모드로 운전한다(S100).
상기한 단계 S100을 통해 정상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의 공기조화기의 사용자 입력부(4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절전 기능이 개시되면(S110),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인체 감지부(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의 인체 존재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인체 감지부(10)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1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상기한 단계 S120을 통한 확인 결과,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1시간을 경과하지 않는 경우, 즉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아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카운팅하다가 제1시간 이내에 인체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 제어부(30)로 사용자의 존재를 통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 제어부(30)가 공기조화기의 정상 모드 운전을 지속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120을 통한 확인 결과,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1시간을 경과하면,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 제어부(30)로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 제어부(30)가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게 된다(S130).
상기한 단계 S130을 통해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 있어서,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인체 감지부(10)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2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40).
상기한 단계 S140을 통한 확인 결과,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2시간을 경과하면,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 제어부(30)로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 제어부(30)가 공기조화기를 운전 정지시키게 된다(S150).
한편, 상기한 단계 S140을 통한 확인 결과,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2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즉 인체 감지부(10)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아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을 카운팅하다가 제2시간 이내에 인체 동작이 감지되면, 인체 존재 판단부(20)는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 제어부(30)로 사용자의 존재를 통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 제어부(30)가 공기조화기를 정상 모드로 운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인체 감지부 20: 인체 존재 판단부
30: 운전 제어부 40: 사용자 입력부
50: 전원 제어부
30: 운전 제어부 40: 사용자 입력부
50: 전원 제어부
Claims (7)
-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와;
상기 인체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의 인체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인체 존재 판단부와;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에서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다가 운전 정지시키는 운전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부는,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Microwave Motion Sens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는,
공기조화기가 정상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감지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1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1시간을 경과하면,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로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는,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감지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체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제2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2시간을 경과하면,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로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는,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감지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설치 공간 내에서 인체의 동작이 감지되면, 설치 공간 내에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로 사용자의 존재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부는,
공기조화기가 정상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로부터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받으면 공기조화기를 절전 모드로 운전시키는 한편,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로부터 사용자의 부재를 통보받으면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되, 공기조화기가 절전 모드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존재를 통보받으면, 공기조화기를 정상 모드로 운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절전 기능의 개시/정지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절전 기능이 개시됨에 따라 상기 인체 감지부, 상기 인체 존재 판단부 및 상기 운전 제어부로 작동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5656A KR20130077115A (ko) | 2011-12-29 | 2011-12-29 |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5656A KR20130077115A (ko) | 2011-12-29 | 2011-12-29 |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7115A true KR20130077115A (ko) | 2013-07-09 |
Family
ID=4899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5656A KR20130077115A (ko) | 2011-12-29 | 2011-12-29 |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711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5550A (ko) * | 2017-07-07 | 2019-01-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2011
- 2011-12-29 KR KR1020110145656A patent/KR2013007711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5550A (ko) * | 2017-07-07 | 2019-01-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542438B (zh) | 油烟机及其控制方法 | |
CN103453617B (zh) | 空调及空调显示屏的显示方法 | |
CN105972751B (zh) | 空调器及其显示板亮度控制方法 | |
JP5636324B2 (ja) | 空気調和機 | |
JP2009092252A (ja) | 空気調和機 | |
JP4432467B2 (ja) | 換気制御装置 | |
CN102012138A (zh) | 一种空调器及控制其进行除霜运行的方法 | |
JP2010139099A (ja) | 警報装置、警報システムおよび警報方法 | |
JP5182043B2 (ja) | 電力監視装置 | |
JP2009192132A (ja) | 空気調和機 | |
KR20130077115A (ko) | 공기조화기 제어 장치 | |
US20220135090A1 (en) | Pressure regulating apparatus in vehicle and regulating method | |
JP2009063251A (ja) | 換気システム | |
JP2008311202A (ja) | 人体検知機能付負荷制御装置 | |
JP2010112620A (ja) |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 |
CN211426411U (zh) | 一种室内空气中甲醛的检测装置 | |
JP2006290245A (ja) | 車両用空調装置 | |
JP2006118732A (ja) | 空気調和機 | |
JP6727541B2 (ja) | 2室暖房システム | |
JP2009074742A (ja) | 室内空調システム | |
CN204883413U (zh) | 一种监控电路及包含该监控电路的监控装置 | |
KR20120072850A (ko) | 냉방 동결 방지 방법 | |
JP2008075980A (ja) |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 |
JP2009168262A (ja) | 空気調和機 | |
JP2011185535A (ja) | 空気調和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