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023A - 입구손상방지 병따개 - Google Patents

입구손상방지 병따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023A
KR20130077023A KR1020110145507A KR20110145507A KR20130077023A KR 20130077023 A KR20130077023 A KR 20130077023A KR 1020110145507 A KR1020110145507 A KR 1020110145507A KR 20110145507 A KR20110145507 A KR 20110145507A KR 20130077023 A KR20130077023 A KR 2013007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opening
cap
bottle open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11014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7023A/ko
Publication of KR2013007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병따개의 사용자가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어느 마개 개봉 방법을 사용해도 병 입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테이퍼진 형상의 걸어맞춤 발톱을 개구의 선단측 및 후단측의 내주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이 걸어맞춤 발톱의 둘레방향 양끝부의 외측에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어깨부를 설치하면, 마개 개봉시,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하므로,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병 입구의 손상을 막는다. 걸어맞춤 발톱의 둘레방향 양끝부의 외측의 내주면에 요철부를 형성해도, 마개 개봉시, 병뚜껑 최상면 및/또는 둘레벽부가 요철부에 접촉하여,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병 입구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입구손상방지 병따개{Prevent damage to the entrance of a bottle opener}
본 발명은 입구의 손상 없이 병의 뚜껑을 따는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병따개로 뚜껑을 따는 경우, 병 입구를 손상시켜, 손상부에 손가락을 다치거나, 유리조각이 병 안으로 들어갈 우려가 있어 위험하며, 또, 손상된 병은 이후 재활용 병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병 입구를 손상시키기 어려운 병따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실개 평4-13549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개 소56-3809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마개 개봉시에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 맞춤 발톱을, 개구의 중심부를 벗어난 양측에 설치하여, 마개 개봉 동작 시에 중심부가 병 입구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3: 일본 실개 소58-14339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마개 개봉시에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걸어 맞추어지는 이빨(걸어 맞춤 발톱)을 개구의 중심부에 설치하고, 그 이빨 밑동에 단차 형상의 어깨부를 형성하고, 어깨부를 병뚜껑 둘레벽부에 접촉하도록 하고, 마개 개봉 동작시에 병따개가 병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이빨이 병 입구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2의 병따개는, 걸어 맞춤 발톱을, 개구의 중심부를 제외한 양측에 설치했으므로, 마개 개봉시, 걸어 맞춤 발톱과 병뚜껑 둘레벽부의 접촉 부분이 작아지고, 병뚜껑 둘레벽부의 주름이 펴지게 되어 마개 개봉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그 때, 걸어 맞춤 발톱을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더욱 깊게 집어넣어 마개 개봉 동작을 하게 되므로, 결국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여, 병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의 병따개는 이빨(걸어 맞춤 발톱)이 개구의 중심부에만 설치되어 있고, 게다가, 어깨부가 병뚜껑 둘레벽부에 접촉하므로, 이빨과 병뚜껑 둘레벽부의 접촉부분이 대단히 작아져, 병뚜껑 둘레벽부의 주름이 변형되어 마개를 개봉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그 때, 주름의 변형에 의해 어깨부가 병뚜껑 둘레벽부에 접촉하지 않게 되고, 이빨을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더욱 깊게 집어넣어 마개 개봉 동작을 행함으로써 결국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여, 병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 어깨부는 평면으로 보아 직선상이므로, 어깨부와 병뚜껑 둘레벽부의 접촉부분이 적어, 마개 개봉시에 어깨부를 병뚜껑 둘레벽부의 주름으로 밀어붙이면, 주름이 변형되어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고, 병을 손상시킬 우려도 있다.
이 종류의 병따개는, 일반적으로 개구 내주 가장자리의 후단측의 걸어 맞춤 발톱을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걸어 맞추고 이것을 작용점으로 하여, 개구 내주 가장자리의 선단측을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시키고 이것을 지지점으로 하여, 자루를 상방으로 회동하여 마개 개봉한다(이 마개 개봉 방법을 편의상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이라고 부름).
그러나, 마개 개봉시에 병 입구가 손상되는 상황을 조사한 바, 개구 내주 가장자리의 선단측을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걸어맞추고 이것을 작용점으로 하여, 개구 내주 가장자리의 후단측을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시키고 이것을 지지점으로 하여, 자루를 하방으로 회동하여 마개 개봉하는 마개 개봉 방법(이 마개 개봉 방법을 편의상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이라고 부름)을 취했을 때, 병 입구가 손상되기 쉬운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루를 하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병따개(선단측 개구 내주 가장자리)를 병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분력이 발생하고,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단측 개구 내주 가장자리가 병 입구에 접촉하기 쉬워지는 것, 자루를 손바닥으로 치는 등 하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작은 힘이 들어가기 쉬워, 개구 내주 가장자리가 병 입구에 접촉했을 때의 충격이 커지는 것 등이 그 원인이다.
이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은 정규의 마개 개봉 방법으로서 상정되어 있지 않은 병따개가 많다. 그러나, 음식점 등에서 맥주병 등을 마개 개봉하는 경우에 「펑」하는 가슴 시원한 소리가 나서 흥미롭고, 케이스 내의 병을 마개 개봉하는 경우에 편리함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이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드물지 않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어느 마개 개봉 방법을 사용해도 병 입구가 손상되지 않고, 마개 개봉 작업도 용이한 병따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발명 1]
본 발명은 자루의 앞부분에 개구를 구비한 병뚜껑따기부를 갖는 병따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앞부분 및 뒷부분의 내주 가장자리에 걸어 맞춤 발톱을 구비하고,
이 걸어 맞춤 발톱은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곡선 형상이고, 단면 형상이 앞뒤 모두 삼각 형상으로 절결 된 것과 같은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둘레방향 양끝부의 외측의 내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마개 개봉시, 병뚜껑 최상면 및/또는 둘레벽부가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이다.
또한, 요철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만이어도 되고, 오목부와 볼록부의 쌍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어느 경우도, 마개 개봉시, 병뚜껑 최상면 및/또는 둘레벽부가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병뚜껑이 변형되어 요철부가 병뚜껑 표면 및/또는 둘레벽부로 파고들어가므로,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발명 2]
또 본 발명은 자루의 앞부분에 개구를 구비한 병뚜껑따기부를 갖는 병따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앞부분 및 뒷부분의 내주 가장자리에 걸어 맞춤 발톱을 구비하고,
이 걸어 맞춤 발톱은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곡선 형상이고, 단면 형상이 앞뒷면 모두 삼각 형상으로 절결된 것과 같은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둘레방향 양끝부의 외측은 상기 절결이 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걸어 맞춤 발톱의 표면 및 이면보다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어깨부로 되어 있고,
마개 개봉시,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한 부분을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걸어 맞추어지게 했을 때에, 반대쪽의 걸어 맞춤 발톱의 외측의 상기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이다.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어느 경우도, 마개 개봉시에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하므로,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으로 파고들어가,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걸어 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 곡선 형상이므로, 걸어 맞춤 발톱과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의 접촉부분이 많아지고, 마개 개봉시에 병뚜껑 둘레벽부의 주름의 변형이 적어, 마개 개봉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발명 3]
또 본 발명은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둘레방향 양끝부의 외측의 내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마개 개봉시, 병뚜껑 최상면 및/또는 둘레벽부가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는 본발명 1의 병따개이다.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어느 경우도, 마개 개봉시에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하고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병뚜껑 최상면으로 파고들고, 또한, 병뚜껑 최상면 및/또는 둘레벽부가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므로,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발명 4]
또 본 발명은 자루의 앞부분에 개구를 구비한 병뚜껑따기부를 갖는 병따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앞부분 및 뒷부분의 내주 가장자리에 걸어 맞춤 발톱을 구비하고,
이 걸어 맞춤 발톱은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곡선 형상이고, 단면 형상이 앞뒤 모두 삼각 형상으로 절결 된 것과 같은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표리면이 거친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이다.
마개 개봉시, 걸어 맞춤 발톱의 거친면이 마개의 둘레벽부 하단 및 최상면에 접촉하므로,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걸어 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곡선 형상이므로, 걸어 맞춤 발톱과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의 접촉부분이 많아지고, 마개 개봉시에 병뚜껑 둘레벽부의 주름의 변형이 적어, 마개 개봉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발명 5]
또 본 발명은,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앞뒷면이 거친면으로 되어 있는 본발명 1, 2, 3의 병따개이다.
걸어 맞춤 발톱의 거친면과, 어깨부 및/또는 요철부가 서로 어울려서,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 역동작 마개 개봉방법의 어느 경우도,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발명 6]
또 본 발명은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곡률반경 23∼28mm의 오목곡선인 본발명 1∼5중 어느 하나의 병따개이다.
걸어 맞춤 발톱의 곡률반경을 23∼28mm로 함으로써, 걸어 맞춤 발톱을 병뚜껑 둘레벽부의 3개 내지 4개의 주름 볼록부 하단에 접촉시킬 수 있어, 마개 개봉 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본발명 7]
또 본 발명은 자루의 선단부에 개구를 구비한 병뚜껑따기부를 갖는 병따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앞부분 및 뒷부분의 내주 가장자리에 주위보다 얇은 두께의 걸어 맞춤 발톱을 구비하고, 이 걸어 맞춤 발톱은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곡선 형상이고 이 걸어 맞춤 발톱의 기단측에 평면으로 보아 오목곡선 형상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마개 개봉시,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을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걸어 맞추었을 때에 상기 단차부가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이다.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어느 경우도, 마개 개봉시에 단차부가 병뚜껑 둘레벽부에 접촉하므로,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걸어 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곡선 형상이므로, 걸어 맞춤 발톱과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의 접촉부분이 많아져서, 마개 개봉시에 병뚜껑 둘레벽부의 주름의 변형이 적어, 마개 개봉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단차부가 평면으로 보아 오목곡선 형상이므로, 마개 개봉시에 단차부와 병뚜껑 주름의 접촉부분이 많아져, 단차부를 주름으로 강하게 밀어붙여도, 주름이 변형되기 어렵고,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쪽으로 이동하기 어려우므로,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여 병 입구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발명 8]
또 본 발명은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외주 영역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하강 경사가 되는 경사면을 형성한 본발명7의 병따개이다.
[본발명 9]
또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이 거친면인 본발명 8의 병따개이다.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경사면이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하고,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경사면을 거친면으로 하면,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본발명 10]
또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의 둘레방향 양끝부의 외측에, 상기 경사면의 표면 및 이면보다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어깨부가 형성되고, 마개 개봉시,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한 쪽을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걸어 맞추었을 때, 타방의 상기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발명 8 또는 9의 병따개이다.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어느 경우도, 마개 개봉시에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하므로,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에 파고들어,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발명 11]
또 본 발명은,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둘레방향 외측의 내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마개 개봉시, 병뚜껑 최상면 및/또는 둘레벽부가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는 본발명 7∼10 중 어느 하나의 병따개이다.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어느 경우도, 병뚜껑 최상면 및/또는 둘레벽부가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므로,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발명 12]
또 본 발명은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곡률반경 23∼28mm의 오목곡선인 본발명 7∼11중 어느 하나의 병따개이다.
걸어 맞춤 발톱의 곡률반경을 23∼28mm로 함으로써 걸어 맞춤 발톱을 병뚜껑 둘레벽부의 3개 내지 4개의 주름 볼록부 하단에 접촉시킬 수 있어, 마개 개봉 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본발명 13]
또 본 발명은 상기 단차부가 곡률반경 13.5∼14.5mm의 평면으로 보아 오목곡선으로 되어 있는 본발명 7∼12 중어느 하나의 병따개이다.
단차부의 곡률반경을 13.5∼14.5mm로 함으로써, 마개 개봉시에 단차부를 3∼4개의 병뚜껑 주름과 접촉시킬 수 있어, 마개 개봉시에 주름이 변형되어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병따개는 걸어 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곡선 형상이므로, 걸어 맞춤 발톱과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의 접촉부분이 많아져서, 마개 개봉시에 병뚜껑 둘레벽부의 주름의 변형이 적어, 마개 개봉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 어느 경우도,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걸어 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병 입구가 깨지는 등의 손상우려가 극히 적다.
도 1은 실시예 1의 병따개(1)의 평면도 및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5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7은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9는 거친면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거친면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병따개(12)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C-C선, D-D선 절단 단면도이다.
도 13은 병따개(12)를 사용한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병따개의 평면도 및 중앙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주요부 평면도 설명도, 도 5는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설명도, 도 6은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주요부 설명도, 도 7은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설명도, 도 8은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주요부 평면도, 도 9·도 10은 거친면의 예의 설명도이다.
도면 중, 부호 1은 병따개, 2는 병뚜껑따기부, 3은 개구, 4는 걸어맞춤 발톱, 5는 거친면, 6은 어깨부, 7은 요철부, 8은 돌기, 9는 자루, 10은 유리병, 11은 마개, 11a는 최상면, 11b는 둘레벽부이다.
병따개(1)는 두께 2.4mm의 스테인리스 판제로, 자루(9)의 선단부에 병뚜껑따기부(2)를 갖고, 병뚜껑따기부에는 개구(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의 종방향의 폭(W1)은 18mm, 횡방향의 폭(W2)은 27mm이다. 개구의 형상은 종횡의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개구(3)의 선단측 및 후단측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걸어맞춤 발톱(4)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4)은,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개구측에서 보아 오목곡선 형상을 이루고, 단면 형상이 표리 모두 삼각 형상으로 절결된 것과 같은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걸어맞춤 발톱의 길이(L)는 22.6mm, 폭(깊이)은 2.2mm, 선단부의 두께(t)는 1.2mm이다. 후단측 및 선단측 걸어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오목곡선)의 곡률반경(R1, R2)은 모두 25mm이다.
걸어맞춤 발톱(4)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경사면이 축선과 이루는 각도(θ1, θ2)는 모두 약 17°이고, 표면측 및 이면측의 경사면은 모두 거친면(5)으로 되어 있다(도 3). 걸어맞춤 발톱(4)의 형상은 개구(3)의 종횡의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4)의 둘레방향 양끝부의 외측은 절결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걸어맞춤 발톱(4)의 표면 및 이면(경사면)보다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어깨부(6)로 되어 있다. 마개 개봉시에 일방의 걸어맞춤 발톱(4)을 마개(11)의 둘레벽부(11b) 하단에 걸어맞추어지게 했을 때에, 타방측의 걸어맞춤 발톱의 외측의 어깨부(6)가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한다(도 4, 8). 어깨부(6)의 형상은 개구(3)의 종횡의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되어있다.
걸어맞춤 발톱(4)의 둘레방향 양끝부의 외측의 내주면에는 요철부(7)가 형성되어 [0085] 있다. 본 실시예는, 요철부(7)는 2개의 볼록부(7a)로 되어 있다(도 2). 요철부(7)는, 마개 개봉시에, 마개(11)의 최상면(11a) 내지 둘레벽부(11b)에 접촉한다(도 4, 8). 요철부(7)의 형상은 개구(3)의 종횡의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되어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병뚜껑의 최상면은 천정부의 수평면 부분뿐만 아니라 그 외주의 라운드 부분을 포함하고, 둘레벽부는 라운드 부분 하방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도 4∼6은 병따개(1)를 사용한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에 의한 마개 개봉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5, 및 도 6상단은 병따개(1)의 후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을 병뚜껑 둘레벽부(11b)의 하단에 집어넣어 작용점으로 하고, 선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을 병뚜껑 최상면(11a)에 접촉시켜 지지점으로 한 상태이다. 이 때, 선단측의 어깨부(6)는 병뚜껑 최상면(11a)에 접촉해 있으므로, 이후의 마개 개봉 동작 중에 선단측의 어깨부(6)가 병뚜껑 최상면(11a)에 파고들어, 병따개(1)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후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의 거친면(5)이 병뚜껑 둘레벽부(11b)의 하단에 접촉해 있으므로, 마찰에 의해, 마개 개봉 동작 중에 병따개(1)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의 하단은 마개 개봉 동작의 도중을 나타내고 있다. 마개 개봉 동작에 들어가면, 마개(11)가 변형되므로, 선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의 거친면(5)이 병뚜껑 최상면(11a)에 접촉하고, 또한 선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의 양측에 있는 요철부가 병뚜껑의 최상면 내지 둘레벽부에 파고들어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병따개(1)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 8은 병따개(1)를 사용한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에 의한 마개 개봉으로, 병따개(1)의 선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을 병뚜껑 둘레벽부(11b)의 하단에 집어넣어 작용점으로 하고, 후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을 병뚜껑 최상면(11a)에 접촉시켜 지지점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후단측의 어깨부(6)는 병뚜껑 최상면(11a)에 접촉해 있으므로, 이후의 마개 개봉 동작 중에 병따개(1)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선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의 거친면(5)이 병뚜껑 둘레벽부(11b)의 하단에 접촉해 있으므로, 마찰에 의해, 마개 개봉 동작 중에 병따개(1)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마개 개봉 동작에 들어가면, 마개(11)가 변형되므로, 후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의 거친면(5)이 병뚜껑 최상면(11a)에 접촉하고, 또한 후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의 양측에 있는 요철부가 병뚜껑의 최상면 내지 둘레벽부에 파고들어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병따개(1)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요철부(7)는, 반드시, 도 4, 7에 도시하는 병따개를 병뚜껑에 댄 상태로 병뚜껑에 접촉해 있을 필요는 없고, 마개 개봉 동작에 들어가고 나서 병뚜껑에 접촉하고,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이면 된다.
개구(3)의 종방향의 폭(W1)은 15∼20mm, 횡방향의 폭(W2)은 26∼28mm가 적합하다.
걸어맞춤 발톱(4)의 경사면의 경사각(θ1, θ2)은 10°∼20°가 적합하다. 또, θ1=θ2로 하여, 표리에서의 사용이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맞춤 발톱의 선단부의 두께(t)는 0.9∼1.3mm가 적합하다. 걸어맞춤 발톱의 길이(L)는 15∼23mm, 걸어맞춤 발톱의 폭(깊이)은 2∼3mm가 적합하다. 마찬가지로, 후단측과 선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의 길이 및 폭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단측 및 선단측의 걸어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오목곡선)의 곡률반경(R1, R2)을 동일하게 하고,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과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을 동일한 조건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10은 걸어맞춤 발톱의 거친면(5)의 예로, 각각 좌측에 평면도, 우측에 좌측의 화살표 부분의 절단 끝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서는, 걸어맞춤 발톱(4)의 경사면에 다수의 원형 돌기(8)를 설치하여 거친면(5)으로 하고 있다. 도 10에서는, 걸어맞춤 발톱(4)의 경사면에 다수의 피라미드 형상 돌기(8)를 설치하여 거친면(5)으로 하고 있다. 거친면의 바람직한 표면 거칠기는 최대높이(Rmax)에서 0.2∼0.6mm 정도이다.
[실시예 2]
도 11은 실시예 2의 병따개(12)의 개략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C-C선, D-D선 절단 단면도, 도 13은 병따개(12)를 사용한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설명도,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이다.
도면 중, 부호 2는 병뚜껑따기부, 3은 개구, 4는 걸어맞춤 발톱, 6은 어깨부, 7은 요철부, 10은 유리병, 11은 마개, 11a는 최상면, 11b는 둘레벽부, 12는 병따개, 13은 걸어맞춤 발톱, 14는 단차부, 15는 경사면이다.
병따개(12)는 두께 2.4mm의 스테인리스 판제로, 자루(9)의 선단부에 병뚜껑따기부([0096] 2)를 갖고, 병뚜껑따기부에는 개구(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의 종방향의 폭(W1)은 18mm, 횡방향의 폭(W2)은 27mm이다. 개구의 형상은 종횡의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개구(3)의 선단측 및 후단측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주위보다 얇은 두께의 걸어맞춤 발톱(13)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13)은,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개구측에서 보아 오목곡선 형상을 이루고, 단면 형상은 4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의 길이(L2)는 15mm, 최대폭(깊이)은 1.3mm, 선단부의 두께(t)는 1.2mm이다. 걸어맞춤 발톱(13)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은 후단측 및 선단측 모두 곡률반경 25mm의 오목곡선으로 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13)의 기단측에 평면으로 보아 오목곡선 형상의 단차부(14)가 형성되고, 마개 개봉시, 상기 걸어 맞춤 발톱(13)을 병뚜껑 둘레벽부(11b) 하단에 걸어맞추었을 때에 단차부(14)가 병뚜껑 둘레벽부(11b)에 접촉한다(도 13, 14). 단차부(14)의 곡률반경은 13mm로, 걸어맞춤 발톱(13) 선단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13)의 외주영역에는, 병따개의 판을 삼각 형상으로 절결함으로써, 개구(3)을 향하여 하강 경사가 되는 경사면(15)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5)은 상기 실시예 1의 거친면(5)과 동일한 거친면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15)의 둘레방향 양끝부의 외측은 상기 절결이 되지 않으므로 경사면(15)의 표면 및 이면보다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어깨부(6)로 되어 있다. 어깨부(6)는 상기 실시예의 어깨부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즉, 일방의 걸어맞춤 발톱을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걸어맞추어지게 했을 때에, 타방측의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하고, 마개 개봉 동작에 따라 어깨부가 병뚜껑 최상면에 파고들어, 병따개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되어, 걸어맞춤 발톱이 병 입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a)에 도시하는 것은 병따개(12)의 표면 및 이면의 쌍방에 걸어맞춤 발톱(13), 단차부(14) 및 경사면(15)이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동 도면 (b)에 도시하는 것은 표면에 걸어맞춤 발톱(13), 단차부(14) 및 경사면(15)이 형성되고, 이면에는 상기 실시예 1의 걸어맞춤 발톱(4)이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단차부(14)는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병따개(12)의 표면 및 이면의 쌍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맞춤 발톱(13)의 둘레방향 외측이고, 또한, 경사면(15)의 둘레방향 외측의 내주면에는 요철부(7)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7)는, 마개 개봉시에, 병뚜껑 최상면(11a) 및/또는 둘레벽부(11b)에 접촉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요철부는 상기 실시예 1의 요철부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도 13, 14는 병따개(12)를 사용한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에 의한 마개 개봉을 도시하고, 병따개(12)의 후단측의 걸어맞춤 발톱(13)을 병뚜껑 둘레벽부(11b)의 하단에 집어넣어 작용점으로 하고, 선단측의 이면측의 경사면(15) 또는 걸어맞춤 발톱(4)을 병뚜껑 최상면(11a)에 접촉시켜 지지점으로 한 상태이다. 이 때, 후단측의 단차부(14)는 병뚜껑 둘레벽부(11b)의 하단에 접촉해 있으므로, 이후의 마개 개봉 동작 중에 병따개(12)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선단측의 어깨부(6)가 병뚜껑 최상면에 접촉한다. 마개 개봉 동작에 들어가면, 마개(11)가 변형되므로, 선단측의 경사면(15) 또는 걸어맞춤 발톱(4)의 거친면이 병뚜껑 최상면(11a)에 강하게 접촉하고, 이 마찰저항에 의해 병따개(12)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선단측의 걸어맞춤 발톱(13)의 양측에 있는 요철부(7)가 병뚜껑의 최상면 내지 둘레벽부에 파고들어 큰 마찰저항이 발생하고, 병따개(12)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역동작 마개 개봉 방법에서도, 선단측과 후단측이 바뀔 뿐이며, 걸어맞춤 발톱, 단차부, 경사면, 어깨부, 요철부는 정동작 마개 개봉 방법의 경우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병따개(12)가 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의 형상·크기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해도 된다.
걸어맞춤 발톱(13)의 길이(L2)는 14∼16mm, 최대폭(깊이)은 1.2∼1.5mm, 선단부의 두께(t)는 0.9∼1.3mm가 적당하다. 또, 걸어맞춤 발톱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면(15)의 적당한, 길이, 폭(깊이), 선단의 곡률반경, 선단부의 두께, 경사각도, 거친면의 상태는 상기 실시예 1의 걸어맞춤 발톱(4)에 준한다.
1 병따개 10 병
2 병뚜껑따기부 11 병뚜껑
3 개구 11a 최상면
4 걸어맞춤 발톱 11b 둘레벽부
5 거친면 12 병따개
6 어깨부 13 걸어맞춤 발톱
7 요철부 14 단차부
8 돌기 15 경사부
9 자루

Claims (8)

  1. 자루의 앞부분에 개구를 구비한 병뚜껑따기부를 갖는 병따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앞부분 및 뒷부분의 내주 가장자리에 걸어 맞춤 발톱을 구비하고,
    이 걸어 맞춤 발톱은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 곡선 형상이고, 단면 형상이 양면 모두 삼각 형상으로 절결된 것과 같은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둘레방향 양단부의 외측의 내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마개 개봉시, 병뚜껑 최상면, 병뚜껑 둘레벽부 또는 병뚜껑 최상면과 병뚜껑 둘레벽부가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양쪽면이 거친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곡률반경 23∼28mm의 오목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4. 자루의 선단부에 개구를 구비한 병뚜껑따기부를 갖는 병따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앞부분 및 뒷부분의 내주 가장자리에 주위보다 얇은 걸어 맞춤 발톱을 구비하고, 이 걸어 맞춤 발톱은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오목 곡선 형상이고, 이 걸어 맞춤 발톱의 기단측에 평면으로 보아 오목 곡선 형상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마개 개봉시, 상기 걸어맞춤 발톱을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걸어 맞추어지게 했을 때에 상기 단차부가 병뚜껑 둘레벽부 하단에 접촉하고,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둘레방향 양단부의 외측의 내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마개 개봉시, 병뚜껑 최상면, 병뚜껑 둘레벽부 또는 병뚜껑 최상면과 병뚜껑 둘레벽부가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외주영역에, 상기 개구를 향하여 하강 경사로 되는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거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 발톱의 평면으로 보아 선단 형상이 곡률반경 23∼28mm의 오목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8.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가 곡률반경 13.5∼14.5mm의 평면으로 보아 오목 곡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KR1020110145507A 2011-12-29 2011-12-29 입구손상방지 병따개 KR20130077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507A KR20130077023A (ko) 2011-12-29 2011-12-29 입구손상방지 병따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507A KR20130077023A (ko) 2011-12-29 2011-12-29 입구손상방지 병따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023A true KR20130077023A (ko) 2013-07-09

Family

ID=4899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507A KR20130077023A (ko) 2011-12-29 2011-12-29 입구손상방지 병따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70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6729A1 (en) * 2020-12-04 2022-06-09 Crayola Llc Marker ope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6729A1 (en) * 2020-12-04 2022-06-09 Crayola Llc Marker opener
US11840113B2 (en) * 2020-12-04 2023-12-12 Crayola Llc Marker ope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7794A (en) Container opening tool
KR101019016B1 (ko) 병따개
KR20130077023A (ko) 입구손상방지 병따개
CN205099314U (zh) 开瓶器
JP4436889B2 (ja) 栓抜き
KR101849441B1 (ko) 캔 오프너
US501050A (en) Alfred l
US2773272A (en) Combination can and bottle opener
JP5004194B2 (ja) キャップ外し具
KR101622903B1 (ko) 캔 오프너
KR101579451B1 (ko) 캔 오프너
JP6086722B2 (ja) ヒンジキャップ
WO2004009459A1 (en) Beverage can
KR20230002186U (ko) 다기능 오프너
CN203727810U (zh) 一种环保易拉罐
JP6004990B2 (ja) 不正開封防止機能を備えた注出栓
US2216110A (en) Can opening device
CN205355705U (zh) 用于缆线类保护导引装置的连结件
KR102608647B1 (ko)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JP3227212U (ja) 容器用オープナー
US1070513A (en) Cork-puller.
US1294367A (en) Bottle-stopper extractor.
KR101461851B1 (ko) 캔 오프너
JP2011201605A (ja) 弾性鉤止片付キャップ
KR102479781B1 (ko) 기존 병마개에 덧씌우는 신 외부캡의 몸체 측면의 내부면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