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017A -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017A
KR20130077017A KR1020110145499A KR20110145499A KR20130077017A KR 20130077017 A KR20130077017 A KR 20130077017A KR 1020110145499 A KR1020110145499 A KR 1020110145499A KR 20110145499 A KR20110145499 A KR 20110145499A KR 20130077017 A KR20130077017 A KR 2013007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exchange resin
starch
liquid compositio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409B1 (ko
Inventor
조경희
김태용
전영승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4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glycosyl transferase, e.g. alpha-, beta- or gamma-cyclodextr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B01D15/362Cat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B01D15/363An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2Cyclodextrin [CD], e.g. cycle with 6 units (alpha), with 7 units (beta) and with 8 units (gamma), large-ring cyclodextrin or cycloamylose with 9 units or mor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4/00Glycosyltransferases (2.4)
    • C12Y204/01Hexosyltransferases (2.4.1)
    • C12Y204/01019Cyclomaltodextrin glucanotransferase (2.4.1.1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효소전환 반응에 의해 전분으로부터 얻은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가수분해하고, 이후 이온정제 전에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조절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이 통과시킬 때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백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당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15 중량% 이상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밀로펙틴 함량이 90% 미만인 전분으로부터 얻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당화액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이온정제 공정만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백탁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of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cyclodextrin with improved turbidity}
본 발명은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효소전환 반응에 의해 전분으로부터 얻은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이온정제시 pH 조절 및 온도 조절을 통해 백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은 1891년 빌리어(Villier)에 의해 처음 발견된 포도당의 중합체로서 6개 이상의 포도당이 알파-1,4-글루코사이드결합(α-1,4-glucoside linkage)을 이룬 환상의 올리고당이다. 특히 6, 7, 및 8개의 글루코오스 단위를 갖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업적으로 중요하게 사용되는데, 이들은 각각 α-사이클로덱스트린(α-Cyclodextrin), β-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γ-사이클로덱스트린(γ-Cyclodextrin)으로 불린다. 한편, 9, 10, 및 11의 글루코오스 단위를 갖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업적으로 덜 중요한데, 이들은 각각 δ-사이클로덱스트린, ε-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ζ-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불린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모두 환상의 구조이고 그 중앙에 여러 가지 유기화합물과 금속 화합물질을 포접할 수 있는 분자 동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식품, 의약, 농약, 향료 등과 같은 산업 분야에서 휘발성물질의 안정화, 고미의 제거, 불용성 물질의 가용화, 색깔의 안정화 등의 목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신기능 물질의 하나이다.
한편,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통상적으로 전분에 사이클로덱스트린 생성효소인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 EC 2.4.1.19)나 그 효소의 생성 미생물을 반응시켜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전분 현탁액을 고온에서 액화효소로 처리하여 액화시키고, 전분 액화액을 사이클로덱스트린 생성효소인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로 처리하여 생산된다. 이때, 최종 생성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소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이고, 다른 당류로 글루코오스, 말토스, 올리고당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은 백탁이 발생하여 다양한 용도로의 이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불투명한 음료, 및 농약 등에 있어서는 시럽의 백탁 여부가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다른 분야, 예를 들면, 식품 및 의약의 분야에 있어서 투명도가 중요하고 백탁을 가진 시럽의 경우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가져다줄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백탁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살펴보면,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2634951호에는 적어도 90%의 아밀로펙틴(Amylopectin) 함유률을 가지는 전분(Starch)을 산 또는 효소에 의하여 약 10 이하의 덱스트로스 당량(DE) 값을 가지도록 가수분해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이용하여 상기 전분 가수분해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아밀로펙틴 함유율이 매우 높은 전분에만 적용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055565호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결정화 공정 사이에 비사이클로덱스트린 물질의 침전을 저지하는 수소결합 저지제(hydrogen bond inhibitor)를 첨가하고 시클로덱스트린 수용액의 pH를 약 9와 11사이로 조정한 후 백탁이 발생하지 않는 시클로덱스트린 결정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시클로덱스트린 수용액 자체의 백탁을 개선하는 것이 아닌 결정화에 의해 개선하는 방법으로 추가적인 설비 투자 및 화학물질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밀로펙틴 함량이 90% 미만인 전분으로부터 얻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당화액에 적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수소결합 저지제 첨가 및 결정화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이클로덱스트린 당화액 자체를 특정 조건으로 정제하여 백탁이 발생하지 않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이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전분 현탁액 또는 전분 액화액을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로 처리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전분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주입하고 통과시켜 이온정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은 당류 전체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이 15~35이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나타난 당류 전체의 피크 면적을 기준으로 적어도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는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주입되기 전에 4.5~11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수지 칼럼은 양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된 칼럼과 음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된 칼럼으로 구성되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통과시 45~70℃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백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당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15 중량% 이상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밀로펙틴 함량이 90% 미만인 전분으로부터 얻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당화액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이온정제 공정만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백탁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2에서 수득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사진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이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의미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CGTase"란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크게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는 단계,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이온정제 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는 단계는 전분 현탁액 또는 전분 액화액을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로 처리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전분은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경제성을 고려할 때 아밀로펙틴 함량이 7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분으로는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전분 액화액이란 전분 현탁액에 아밀라아제, 바람직하게는 α-아밀라제(α-amylase)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등과 같은 전분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고 가수분해하여 약 2~10, 바람직하게는 약 3~6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을 가지도록 액화시킨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은 바람직하게는 당류 전체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이 2~10, 더 바람직하게는 3~7이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나타난 당류 전체의 피크 면적을 기준으로 적어도 15% 이상(예를 들어 15~30%), 더 바람직하게는 18% 이상(예를 들어 18~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얻기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의 첨가량은 전분 현탁액에 포함된 전분 또는 전분 액화액을 얻기 위해 사용된 전분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0.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0.1~0.2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당화 반응 온도는 약 80~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85~9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당화 반응 시간은 약 10~2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12~18시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는 단계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전분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에 포함된 당류 전체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당류 전체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이 2~10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은 여과력이 부족하여 후술하는 이온정제 전에 여과지 등으로 전처리 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고, 설령 강제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킬 때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통액 속도가 현저히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크게 희석하여 이온교환수지 칼럼을 통과시키는 경제성 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본 발명의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조성 측면에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과 매우 유사하고, 단당인 글루코오스 조성이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보다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은 바람직하게는 당류 전체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이 15~35, 더 바람직하게는 18~30이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나타난 당류 전체의 피크 면적을 기준으로 적어도 15% 이상(예를 들어 15~30%), 더 바람직하게는 17% 이상(예를 들어 17~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전분 가수분해 효소는 아밀라아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α-아밀라아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α-아밀라아제의 첨가량은 전분 현탁액에 포함된 전분 또는 전분 액화액을 얻기 위해 사용된 전분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0.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0.02~0.05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가수분해 반응 온도는 약 80~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85~9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가수분해 반응 시간은 약 15~3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18~28시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전분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활성탄으로 처리하여 탈색하고 여과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과정에 의해 후술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이온정제시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이온정제 하는 단계
본 발명의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이온정제 하는 단계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주입하고 통과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온정제 처리를 거쳐 수득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은 백탁이 거의 발생되지 않고, 당류 조성은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이온정제 하는 단계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은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주입되기 전에 그 pH가 4.5~11, 바람직하게는 4.7~10, 더 바람직하게는 5~7로 조정된다. 또한, 이온교환수지 칼럼은 양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된 칼럼과 음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된 칼럼으로 구성되고, 이때 양이온 교환수지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음이온 교환수지는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및 음이온 교환수지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또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통과시 이온교환수지 칼럼은 45~70℃의 온도로 유지되고, 바람직하게는 50~60℃의 온도로 유지된다. 또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이 이온교환수지 칼럼을 통과하는 속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정제 효율 및 생산성 등을 고려할 때 공간 속도(space velocity, SV) 기준으로 약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정제 공정에서 공간 속도(space velocity, SV)란 1시간당 통액량(㎥/hr)을 이온교환수지의 체적(㎥)으로 나눈 수치로 무차원의 단위를 갖는다.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주입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 및 이온정제 과정에서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은 이후 농축 과정을 거쳐 농축액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결정화 과정을 거쳐 입자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제조
제조예 1.
타피오카 전분(아밀로오스 함량이 약 20%이고 아밀로펙틴 함량이 약 80%임)과 물을 혼합하여 전분 건조중량 기준으로 타피오카 전분 함량(전분 건조중량 기준)이 30%인 전분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전분 현탁액의 pH를 약 5.3~5.8로 조정하고, 여기에 내열성 알파-아밀라아제(제품명 : Liquozyme supra;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03 중량%로 첨가한 후, 전분 현탁액의 온도를 약 95℃로 승온하여 전호화(pregelatinization)시키고, 약 105℃에서 10분간 액화 반응시켰다. 전분의 액화 반응이 완료된 후 액화 반응 생성물을 약 125℃로 승온하고 약 20분간 유지하여 내열성 알파-아밀라아제를 실활시키고 전분 액화액을 수득하였다. 이후 전분 액화액을 약 85~90℃로 냉각시키고 pH를 약 5.0~5.5로 조정한 후, 여기에 CGTase(제품명 : Tourzyme 3.0;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12 중량%로 첨가하고 약 15시간 동안 반응시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고형분 농도는 약 18 브릭스(Brix)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4.71이었다.
제조예 2.
타피오카 전분(아밀로오스 함량이 약 20%이고 아밀로펙틴 함량이 약 80%임)과 물을 혼합하여 전분 건조중량 기준으로 타피오카 전분 함량(전분 건조중량 기준)이 30%인 전분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전분 현탁액의 pH를 약 5.3~5.8로 조정하고, 여기에 CGTase(제품명 : Tourzyme 3.0;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12 중량%로 첨가한 후, 전분 현탁액의 온도를 약 95℃로 승온하여 전호화(pregelatinization)시키고, 약 105℃에서 10분간 액화 반응시켜 전분 액화액을 수득하였다. 이후 전분 액화액을 약 85~90℃로 냉각시키고 pH를 약 5.0~5.5로 조정한 후, 여기에 CGTase(제품명 : Tourzyme 3.0;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12 중량%로 첨가하고 약 15시간 동안 반응시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고형분 농도는 약 18 브릭스(Brix)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03이었다.
제조예 3.
타피오카 전분(아밀로오스 함량이 약 20%이고 아밀로펙틴 함량이 약 80%임)과 물을 혼합하여 전분 건조중량 기준으로 타피오카 전분 함량(전분 건조중량 기준)이 30%인 전분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전분 현탁액의 온도를 약 85~90℃로 승온하고 pH를 약 5.0~5.5로 조정한 후, 여기에 CGTase(제품명 : Tourzyme 3.0;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12 중량%로 첨가하고 약 16시간 동안 반응시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고형분 농도는 약 18 브릭스(Brix)이었다.
제조예 4.
전분 액화액에 CGTase(제품명 : Tourzyme 3.0;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1 중량%로 첨가하고 약 13시간 동안 반응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고형분 농도는 약 18 브릭스(Brix)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4.87이었다.
제조예 5.
전분 액화액에 CGTase(제품명 : Tourzyme 3.0;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1 중량%로 첨가하고 약 13.5시간 동안 반응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고형분 농도는 약 18 브릭스(Brix)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4.97이었다.
2.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당류 조성 분석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5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당류 조성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1200 series, Agilent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고형분 농도가 2 브릭스(Brix)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희석 당화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희석 당화액 10㎖에 글루코아밀라아제 용액(Toyobo사의 GLA-111 효소 제품을 증류수로 1000배 희석한 것) 2.5㎖를 첨가하고, 4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끓는 물로 효소를 실활시키고, 0.45㎛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용 샘플을 준비하였다. 이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수행하였고, 대한민국 식품첨가물 공전상의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 분석법에 의거하여 당류의 조성을 계산하였다. 하기 표 1에 당류 조성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고, 하기 표 2에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건을 나타내었다.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Glucose 75.74 66.85 80.71 69.95 70.29
α-CD 6.43 8.82 7.22 7.86 7.86
β-CD 8.45 8.66 7.45 7.24 7.32
γ-CD 3.18 3.77 1.51 3.41 3.21
Total CD 18.06 21.25 16.2 18.51 18.28
상기 표 1에서 당 함량은 당화액 전체가 아닌 당화액에 포함된 당류 전체, 즉 고형분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피크 전체 면적 대비 각 당의 피크 면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고, 단위는 %이며, 통상적으로 중량%와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진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글루코오스의 대부분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용 샘플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CD"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의미한다.
칼럼(Column) Aminex HPX-42A Carbohydrate 7.8×300㎜, BIO-RAD사
유속(Flow rate; ㎖/min) 0.6
칼럼 온도(℃) 80
이동상 용리액(Eluent) 탈이온수(DW)
검출기(Detector) Refractive Index Detector
3.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제조
제조예 6.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온도를 약 85~90℃로 유지하고, pH를 약 5.3~5.8로 조정한 후, 여기에 알파-아밀라아제(제품명 : Liquozyme supra;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02 중량%로 첨가하고 약 22시간 동안 가수분해 반응시켰다. 이후, 가수분해 반응 생성물을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 2)로 여과하고, 여과액에 활성탄을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5 중량%로 첨가한 후 약 4.5의 pH 및 72℃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동안 반응시켜 탈색하고, 탈색된 여과액을 다시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 6)로 여과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4.07이었다.
제조예 7.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사용하고, 가수분해 반응 시간이 약 24시간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0.92이었다.
제조예 8.
제조예 3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사용하고, 가수분해 반응 시간이 약 21시간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9.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사용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에 알파-아밀라아제(제품명 : Liquozyme supra;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04 중량%로 첨가하고, 가수분해 반응 시간이 약 24시간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5.08이었다.
제조예 10.
제조예 5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사용하고, 가수분해 반응 시간이 약 25.5시간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3.07이었다.
제조예 11.
제조예 5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사용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에 알파-아밀라아제(제품명 : Liquozyme supra;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04 중량%로 첨가하고, 가수분해 반응 시간이 약 19시간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6.66이었다.
제조예 12.
제조예 5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사용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에 알파-아밀라아제(제품명 : Liquozyme supra; 공급사 : Novozyme)를 전분 건조 중량 대비 약 0.04 중량%로 첨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3.98이었다.
4.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당류 조성 분석
제조예 6 내지 제조예 12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당류 조성을 전술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의 당류 조성 분석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Glucose 77.17 74.62 74.99 78.43 78.12 77.80 78.34
α-CD 7.24 8.64 8.87 8.15 7.80 7.92 7.82
β-CD 9.25 8.61 8.85 7.43 7.29 7.49 7.30
γ-CD 3.46 4.68 4.25 2.87 2.48 2.63 2.99
Total CD 19.95 21.92 22.0 18.44 17.57 18.04 18.11
상기 표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조예 6 내지 제조예 12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은 당류 전체를 기준으로 총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약 17.5~22%이었다.
5.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이온정제 및 이의 물성 분석-Ⅰ
(1)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이온정제
실시예 1.
제조예 7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4.7로 조정하고,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켜 이온정제하였다. 이때 이온교환수지 칼럼으로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제품명 : Lewatit S2568; 공급사 : LANXESS)가 충전된 칼럼과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제품명 : Lewatit S4428; 공급사 : LANXESS)가 충전된 칼럼이 교대로 2번 연결된 것을 사용하였고,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를 60℃로 유지하였으며, 통액 속도는 공간 속도(space velocity, SV) 기준으로 약 2이었다. 이온교환수지 칼럼을 통과한 액을 수집하여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5 브릭스(Brix) 이었다.
실시예 2.
제조예 7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5.0으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5 브릭스(Brix) 이었다.
실시예 3.
제조예 7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6.0으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5 브릭스(Brix) 이었다.
실시예 4.
제조예 7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7.0으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5 브릭스(Brix) 이었다.
실시예 5.
제조예 7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8.0으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5 브릭스(Brix) 이었다.
실시예 6.
제조예 7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9.0으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5 브릭스(Brix) 이었다.
실시예 7.
제조예 7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10.0으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5 브릭스(Brix) 이었다.
비교예 1.
제조예 7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조정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공급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는 약 4.1~4.2이었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5 브릭스(Brix) 이었다.
비교예 2.
제조예 7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5.0으로 조정하고,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를 약 25℃로 유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5 브릭스(Brix) 이었다.
(2)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물성 분석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수득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최종 pH, 색도, 탁도, 및 백탁 발생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때, 색도 및 탁도는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구체적으로 색도는 420㎚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구하였고, 탁도는 720㎚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또한 백탁 발생 여부는 육안으로 검사하였다. 하기 표 4에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최종 pH 6.2 6.2 7.6 7.2 6.2 6.6 7.0 5.6 6.5
색도 at 420㎚ 0.015 0.002 0.010 0.012 0.031 0.035 0.045 0.083 0.997
탁도 at 720㎚ 0.001 0.012 0.026 0.011 0.000 0.000 0.008 0.079 0.953
백탁 발생 여부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약간 발생 심하게 발생
상기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온정제시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공급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가 4.5 미만이거나,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가 25℃ 전후인 경우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에서 백탁이 발생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2에서 수득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백탁은 이온교환수지 칼럼이 낮은 온도로 유지되었을 때 더 심하였다. 또한, 이온정제시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공급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가 높아질수록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색도가 증가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가 8.0 이상인 경우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색이 육안으로 보았을 때 진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6.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이온정제 및 이의 물성 분석- Ⅱ
(1)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이온정제
실시예 8.
제조예 10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4.7로 조정하고,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켜 이온정제하였다. 이때 이온교환수지 칼럼으로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제품명 : Lewatit S2568; 공급사 : LANXESS)가 충전된 칼럼과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제품명 : Lewatit S4428; 공급사 : LANXESS)가 충전된 칼럼이 교대로 2번 연결된 것을 사용하였고,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를 60℃로 유지하였으며, 통액 속도는 공간 속도(space velocity, SV) 기준으로 약 1.0이었다. 이온교환수지 칼럼을 통과한 액을 수집하여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0.60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실시예 9.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5.0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0.75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실시예 10.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6.0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0.78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실시예 11.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7.0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2.85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실시예 12.
제조예 12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8.0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2.08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실시예 13.
제조예 12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9.0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2.16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실시예 14.
제조예 12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10.0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2.23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실시예 15.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5.0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키고,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를 50℃로 유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9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4.3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고,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은 약 23.27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비교예 4.
제조예 9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4.3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키고,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를 50℃로 유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비교예 5.
제조예 9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4.3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키고,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를 40℃로 유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비교예 6.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를 5.0으로 조정한 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통과시키고,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를 40℃로 유지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약 17 브릭스(Brix) 이었다. 이를 다시 진공 농축기(모델명 : Rotavapor R-210; 공급자 : Buchi)를 사용하여 약 75 브릭스(Brix)로 농축하였다.
(2)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물성 분석
실시예 8 내지 15 및 비교예 3 내지 6에서 수득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백탁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백탁 발생 여부
실시예 8 발생하지 않음
실시예 9 발생하지 않음
실시예 10 발생하지 않음
실시예 11 발생하지 않음
실시예 12 발생하지 않음
실시예 13 발생하지 않음
실시예 14 발생하지 않음
실시예 15 발생하지 않음
비교예 3 약간 발생함
비교예 4 약간 발생함
비교예 5 심하게 발생함
비교예 6 약간 발생힘
상기 표 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백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온정제시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공급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가 4.5 이상, 바람직하게는 4.7 이상이어야 하고, 동시에 이온교환수지 칼럼의 온도가 45℃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유지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4 및 비교예 3에서 수득한 정제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에 대해서는 당류 조성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1200 series, Agilent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당류 조성(%)
Glucose α-CD β-CD γ-CD Total CD
실시예 8 75.94 8.29 7.56 1.93 17.78
실시예 9 69.28 8.05 7.64 4.30 19.99
실시예 10 69.55 8.48 7.79 3.03 19.29
실시예 11 62.53 9.80 9.28 3.48 22.57
실시예 12 76.21 8.15 7.26 4.18 19.59
실시예 13 75.20 7.72 7.18 3.38 18.28
실시예 14 60.12 9.84 7.78 3.38 21.00
비교예 3 70.15 8.15 7.18 3.09 18.43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a) 전분 현탁액 또는 전분 액화액을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로 처리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전분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주입하고 통과시켜 이온정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은 당류 전체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이 15~35이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나타난 당류 전체의 피크 면적을 기준으로 적어도 15% 이상이고,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pH는 이온교환수지 칼럼에 주입되기 전에 4.5~11로 조정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 칼럼은 양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된 칼럼과 음이온 교환수지가 충전된 칼럼으로 구성되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의 통과시 45~70℃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은 당류 전체의 덱스트로오스 당량(Dextrose equivalent, DE) 값이 2~10이고,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나타난 당류 전체의 피크 면적을 기준으로 적어도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은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나타난 당류 전체의 피크 면적을 기준으로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 가수분해 효소는 α-아밀라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은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나타난 당류 전체의 피크 면적을 기준으로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수지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이고, 상기 음이온 교환수지는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아밀로펙틴 함량이 70~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당화액을 전분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수득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가수분해액을 활성탄으로 처리하여 탈색하고 여과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145499A 2011-12-29 2011-12-29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67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499A KR101367409B1 (ko) 2011-12-29 2011-12-29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499A KR101367409B1 (ko) 2011-12-29 2011-12-29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017A true KR20130077017A (ko) 2013-07-09
KR101367409B1 KR101367409B1 (ko) 2014-02-25

Family

ID=4899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499A KR101367409B1 (ko) 2011-12-29 2011-12-29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107A1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삼양사 백탁이 개선된 덱스트린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482B2 (ja) 1980-07-31 1985-06-24 日本食品化工株式会社 サイクロデキストリンの製造方法
US5393880A (en) * 1993-06-17 1995-02-28 American Maize-Products Company Cyclodextrin refining process
MY185597A (en) * 2005-09-20 2021-05-24 Avantor Performance Mat Inc Vegetarian protein a preparation and method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107A1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삼양사 백탁이 개선된 덱스트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409B1 (ko)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2711C (fi) Ny enzymprodukt och dess anvaendning vid foersockring av staerkelse.
EP1873254B1 (en) Branched starch,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U2002307701C1 (en) Production method and preparation method of glucans
CN104171793B (zh) 包含异麦芽酮糖的异麦芽低聚糖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用途
KR102381709B1 (ko) 식이섬유의 제조방법
US20220127653A1 (en) Enzymatic production of mannose
US6803459B2 (en) Branched starches and branched starch hydrolyzates
WO2021142863A1 (zh) 一种直链糊精的制备方法
KR101367409B1 (ko)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US11549133B2 (en) Preparation method of amylodextrin
CN1974604A (zh) 一种分支环糊精的制备方法
CN104480160B (zh) 一种利用环糊精葡萄糖基转移酶生产偶合糖的方法
JPH0320122B2 (ko)
WO2019174137A1 (zh) 一种提高淀粉液化产物透明度的方法
Kennedy et al. Oligosaccharide component composition and storage properties of commercial low DE maltodextrins and their further modification by enzymatic treatment
JPS6346201A (ja) 重分岐サイクロデキストリン、及びその製法
KR20140081661A (ko) 맥주맛 알콜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4531808A (zh) 一种环糊精的制备方法
KR101340970B1 (ko) 액상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제조 방법
JP2022024332A (ja) イソマルトースの製造方法
CN110747245A (zh) 一种利用复合酶制备麦芽低聚糖浆的方法
CN105368898B (zh) 一种提高挤压碎米转化糖浆粘度、热稳定性及褐变度的方法
JP2001112496A (ja) セロオリゴ糖の製造法
US11384372B2 (en) Method for producing inositol derivative
EP4086288A1 (en) Method for preparing branched dextrin having improved white turbid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