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502A -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502A
KR20130076502A KR1020110145116A KR20110145116A KR20130076502A KR 20130076502 A KR20130076502 A KR 20130076502A KR 1020110145116 A KR1020110145116 A KR 1020110145116A KR 20110145116 A KR20110145116 A KR 20110145116A KR 20130076502 A KR20130076502 A KR 20130076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ok
battery module
lower housing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613B1 (ko
Inventor
류재연
전두성
강순선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6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적층 셀들을 상하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하우징하기 위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후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의 체결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종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에 이용되는 스크류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하우징 자체에 형성된 후크 및 걸림부에 의해 결합을 수행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조립시 발생하는 공정 상의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을 하우징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결합을 통해 셀을 하우징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중 하나는 2개로 대응하여 마련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을 통해 셀을 하우징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래 배터리모듈의 하우징은 셀을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에 의해 조립하고 조립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을 스크류 볼트를 통해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스크류 볼트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하우징을 체결하는 방식은 배터리모듈의 공정단계 및 공정시간을 증가시킨다. 또한, 결합에 이용되는 스크류 볼트의 사이즈가 작아 작업과정에서 제품 안쪽으로 떨어뜨리거나 체결작업 자체가 누락되는 등 작업 상의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배터리모듈의 제조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KR 10-2010-0097685 A, 2010. 09. 03, 도면 1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에 이용되는 스크류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하우징 자체에서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춤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적층 셀들을 상하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하우징하기 위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후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의 체결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는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후크와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방측 및 후방측 내부에서 위를 향해 돌기형태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후크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측 내부에서 아래를 향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의 양측면의 일부분으로부터 각각 외각으로 돌출되어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후크에 걸려서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의 양측면의 일부분에 각각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상기 결합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각각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결합시 서로 포개지는 전면 걸림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결합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전면 걸림부에 체결되는 전면 후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은 전면 하측에 형성된 걸림고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결합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전면에 결합 시 상기 걸림고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전면 커버의 하측에 형성된 돌출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종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에 이용되는 스크류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하우징 자체에 구조적으로 형성된 후크 및 걸림부에 의해 결합을 수행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조립시 발생하는 공정 상의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후크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의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커버의 조립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적층 셀들을 양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하우징하기 위한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20)과 결합된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30)를 구비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은, 하부하우징(20)에 후크(22, 24)가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0)에 이에 대응하는 걸림부(12, 14)가 형성되어, 후크(22, 24)와 걸림부(12, 14)의 체결에 의해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20)이 결합된다.
결합을 위한 후크(22, 24) 및 이에 대응하는 걸림부(12, 14)는, 각각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후크(22)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걸림부(12)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후크(24) 및 이에 대응하는 제2 걸림부(14)를 구비한다.
제1 후크(22)는 하부하우징(20)의 전방측 및 후방측 내부에서 위를 향해 돌기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후크(22)는 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1 걸림부(12)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단부의 전방측이 완만하게 경사져 형성되며 제1 걸림부(12)와의 결합 후 분리되지 않도록 단부의 후방측이 걸림턱으로 단차져 형성된다.
제1 걸림부(12)는 제1 후크(22)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제1 걸림부(12)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부하우징(10)의 전방 및 후방측 내부에서 아래를 향해 각각 형성된다.
제1 걸림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크(22)와 결합된 경우 제1 후크(22)의 단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개구부의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후크(22)가 하부하우징(20)에 제1 걸림부(12)가 상부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제1 후크가 상부하우징에 제1 걸림부가 하부하우징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후크(22) 및 제1 걸림부(12)가 각각 전방에 2개 후방에 2개로 마련되어 있으나, 설계상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하우징의 측면에서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의 결합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후크(24) 및 제2 걸림부(14)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후크(24)는 하부하우징(20)의 전방 및 후방의 양측면의 일부분으로부터 각각 외각으로 돌출되어 걸림턱 형태로 형성된다.
제2 걸림부(14)는 제2 후크(24)의 걸림턱에 걸려서 체결되도록 상부하우징(10)의 전방 및 후방의 양측면의 일부분에 각각 홀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후크(24)가 하부하우징(20)에 제2 걸림부(14)가 상부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제1 후크(22)가 상부하우징(10)의 제1 걸림부(12)가 하부하우징(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후크(24) 및 제2 걸림부(14)가 각각 전방에 2개 후방에 2개로 마련되어 있으나 설계상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종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에 이용되는 스크류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하우징 자체에 구조적으로 형성된 후크(22, 24) 및 걸림부(12, 14)에 의해 결합을 수행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조립시 발생하는 공정 상의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참고하여, 결합된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2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30)에 대해 설명한다. 전면 커버(30)는 적층 셀들에 적용된 버스바의 노출을 막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20)에 결합하기 위한 전면 후크(34)와 돌출편(32)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20)은 각각의 전면에 형성되어,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20)의 결합시 서로 포개지는 전면 걸림부(18, 28)를 구비한다.
전면 후크(34)는 결합된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경우,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전면 걸림부(18, 28)에 체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20)은 전면 하측에 형성된 걸림고리부(26)를 구비하며, 돌출편(32)은 전면 커버(30)의 하측에 형성되어, 결합된 상부하우징(10) 및 하부하우징(2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경우,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걸림 걸림부(18, 28)에 체결된다.
일반적으로, 전면 커버(30)는, 돌출편(32)이 먼저 걸림고리부(26)에 체결된 후 이를 힌지축으로 하여 전면 후크(34)가 전면 걸림부(18, 28)에 체결되는 순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커버(30)의 결합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10: 상부하우징
12: 제1 후크
14: 제2 후크
18, 28: 전면 걸림부
20: 하부하우징
22: 제1 걸림부
24: 제2 걸림부
26: 걸림고리부
30: 전면 커버
32: 돌출편
34: 전면 후크

Claims (6)

  1. 적층 셀들을 상하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하우징하기 위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후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의 체결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후크와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방측 및 후방측 내부에서 위를 향해 돌기형태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후크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측 내부에서 아래를 향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의 양측면의 일부분으로부터 각각 외각으로 돌출되어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후크에 걸려서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의 양측면의 일부분에 각각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상기 결합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은, 각각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결합시 서로 포개지는 전면 걸림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결합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전면 걸림부에 체결되는 전면 후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전면 하측에 형성된 걸림고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결합된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전면에 결합 시 상기 걸림고리부에 걸리도록 상기 전면 커버의 하측에 형성된 돌출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KR1020110145116A 2011-12-28 2011-12-28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KR101321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16A KR101321613B1 (ko) 2011-12-28 2011-12-28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16A KR101321613B1 (ko) 2011-12-28 2011-12-28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02A true KR20130076502A (ko) 2013-07-08
KR101321613B1 KR101321613B1 (ko) 2013-10-29

Family

ID=4899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116A KR101321613B1 (ko) 2011-12-28 2011-12-28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6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863A (ko) *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센싱블록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 고정구조
US11114724B2 (en) * 2017-07-31 2021-09-07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1206278A1 (ko) * 2020-04-10 2021-10-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131B1 (ko) * 2006-05-22 2009-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100948002B1 (ko) * 2006-03-06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100948470B1 (ko) * 2007-10-26 2010-03-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863A (ko) *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센싱블록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 고정구조
US11114724B2 (en) * 2017-07-31 2021-09-07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1206278A1 (ko) * 2020-04-10 2021-10-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N114556675A (zh) * 2020-04-10 2022-05-27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613B1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8706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10797280B2 (en) Battery module
JP5834769B2 (ja) 電池用配線モジュール
JP6171314B2 (ja) 蓄電装置
JP5850039B2 (ja) 電池パック
JP2011146340A (ja)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JP2012195215A (ja) 充電用コネクタ
JP5850338B2 (ja) 位置ずれ吸収部材及びバスバーユニット
JP2013016381A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2014060044A (ja) 電池用配線モジュール
KR101321613B1 (ko)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JP2011124085A (ja) 電池パック
US8747137B2 (en) Connector
KR101321639B1 (ko)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및 하우징 방법
JP6287496B2 (ja) 鉛蓄電池及びこれに設けられた着脱部材
JP6125311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EP2750218A1 (en) Electrode constituent for battery module
JP6832220B2 (ja) 化粧カバーおよび蓄電池ユニット
KR102233933B1 (ko) 배터리 팩
JP6966213B2 (ja) 蓄電池ユニット
JP534806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2012003953A (ja) 電池パック
KR101478701B1 (ko) 용접 결합부 및 체결 만입부를 포함하는 결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JP6070395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6451996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