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229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229A
KR20130076229A KR1020110144738A KR20110144738A KR20130076229A KR 20130076229 A KR20130076229 A KR 20130076229A KR 1020110144738 A KR1020110144738 A KR 1020110144738A KR 20110144738 A KR20110144738 A KR 20110144738A KR 20130076229 A KR20130076229 A KR 20130076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dicator
pointer
area
scen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1929B1 (ko
Inventor
이건우
이은주
정관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929B1/ko
Priority to US13/615,535 priority patent/US9779165B2/en
Priority to EP12007274.9A priority patent/EP2610760B1/en
Priority to CN201210572766.8A priority patent/CN103220406B/zh
Publication of KR2013007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745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ingle video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동영상 컨텐트에 관한 프로그레싱 바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그레싱 바 상에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1 시점의 제1 장면 및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2 시점의 제2 장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동영상 컨텐트를 편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될 수 있는 동영상 컨텐트 편집 툴에 대한 수요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조류속에 출시된 다양한 동영상 컨텐트 편집 툴에서는 복수의 동영상 컨텐트를 이어붙이거나, 동영상 내 일정 부분을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만, 동영상 내 일정 부분을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삭제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사용자가 한눈에 파악할 수 없어, 사용자 편의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과는 달리, 효과적으로 동영상 컨텐트를 편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편집되는 동영상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동영상 컨텐트에 관한 프로그레싱 바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그레싱 바 상에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1 시점의 제1 장면 및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2 시점의 제2 장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 컨텐트가 효과적으로 편집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편집되는 동영상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동영상 편집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동영상 컨텐트 재생 중 동영상 편집 모드로 전환되는 화면의 예시도들.
도 5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
도 6은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
도 7은 제1 포인터의 터치 드래그 위치에 따라,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8은 제1 포인터의 터치 드래그 위치에 따라,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9는 터치 드래그 궤적에 따라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0은 터치 드래그 궤적에 따라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1은 제3 영역에서 제1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된 경우,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동시에 움직이는 화면의 예시도들.
도 12는 제1 시점의 수치를 조절하여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화면의 예시도들.
도 13은 제2 시점의 수치를 조절하여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화면의 예시도들.
도 14는 터치스크린의 동작 모드에 따라, 프로그레싱 바와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표시 위치가 변화하는 화면의 예시도들.
도 15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16은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이 소망 위치에 삽입되는 화면의 예시도들.
도 17은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 중 어느 하나가 떼어지면 동영상 편집 모드가 종료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1 타임 인디케이터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Tablet PC),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 뿐만 아니라,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은 동영상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포인터를 통해 동영상 컨텐트의 재생, 동영상 컨텐트의 편집을 위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 동영상 컨텐트에 관한 프로그레싱 바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프로그레싱 바 상에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타임 인디케이터에 대항하는 제1 시점의 제1 장면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2 시점의 제2 장면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트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것이거나, 원격지 단말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를 기초로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동영상 컨텐트의 재생 단계는(S301), 제어부(180)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동영상 컨텐트를 재생하고, 재생 화면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트를 재생하거나, 원격지 단말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스트리밍 재생할 수도 있다.
동영상 컨텐트의 재생 중, 터치스크린 상에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가 동시에 터치되면(S302), 제어부(180)는 동영상 컨텐트의 재생을 멈추고 동영상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동영상 편집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컨텐트에 관한 프로그레싱 바와 함 프로그레싱 바 위를 움직이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1 시점의 제1 장면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2 시점의 제2 장면이 터치스크린에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동영상 컨텐트 재생 중 동영상 편집 모드로 전환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a와 같이, 동영상 컨텐트가 재생되는 화면에서, 제1 포인터(402) 및 제2 포인터(404)가 동시에 터치스크린 상에서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컨텐트 재생을 멈추고 도 4b와 같은 동영상 편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영상 편집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부(180)는 프로그레싱 바(410)를 표시하고, 프로그레싱 바 위에 제1 타임 인디케이터(412)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414)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최초 동영상 편집 모드 화면에서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412)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414)는 프로그레싱 바(410) 위의 동일한 위치에서 중첩 표시될 수 있다. 제1 타임 인디케이터(412)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414)가 프로그레싱 바(410) 위에서 동일한 위치에 중첩 표시되는 경우, 제1 타임 인디케이터(412)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414) 중 어느 하나는 다른 것에 가려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타임 인디케이터(412)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414)가 중첩 표시된 상태에서, 제1 포인터(402) 및 제2 포인터(404)를 동시에 터치스크린에서 떼면, 제어부(180)는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도 4a의 동영상 재생 화면으로 복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임 인디케이터(412)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414)가 이격된 이후에는, 제1 포인터(402) 및 제2 포인터(404)가 동시에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지더라도, 편집 모드가 종료되지 않고, 지속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편집 모드에서(도 4b 및 도 4c 참조), 제1 타임 인디케이터(412)에 해당하는 제1 시점의 제1 장면(422)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414)에 해당하는 제2 시점의 제2 장면(424)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8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을 수치화한 것(432,434)이 터치스크린 상에 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재생 버튼(442)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제1 시점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저장 버튼(444)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제1 시점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a 에서는 제1 포인터(402) 및 제2 포인터(404)가 동영상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임의의 두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동영상 편집 모드에 진입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가 각각 기 설정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터치한 경우에 한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는 프로그레싱 바 위를 움직일 수 있다. 제1 타임 인디케이터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움직이면 제어부(180)는 이와 연쇄하여, 제1 장면 및 제2 장면도 변경되도록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포인터 또는 제2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 되면(S304),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5 내지 S307).
먼저, 제1 포인터 및/또는 제2 포인터가, 제1 영역 및/또는 제2 영역 위를 터치 드래그 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또는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5,S306).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a의 예시도에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1 장면이 표시되는 부분을 제1 영역(512)이라 가정한다. 이때, 도 5b 및 도 5c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512) 위에서 제1 포인터(502)가 좌에서 우로 터치 드래그되면,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522)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522)의 이동에 맞추어, 제1 시점(532) 및 제1 장면도 갱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도 5c 및 도 5b의 순서로 제1 영역(512) 위에서 제1 포인터(502)가 우에서 좌로 터치 드래그되면,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522)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a의 예시도에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2 장면이 표시되는 부분을 제2 영역(612)이라 가정한다. 도 5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영역(612) 위에서 제1 포인터(602)(또는 제2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되면, 제어부(180)는 제2 타임 인디케이터(624)가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이와 함께 제2 시점(632) 및 제2 장면도 갱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제1 포인터 또는 제2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지만,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각각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위에서 각각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모두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1 포인터의 터치 드래그 입력을 기반으로 제1 타임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고, 제2 포인터의 터치 드래그 입력을 기반으로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위에서 제1 포인터 또는 제2 포인터가 동일 거리를 터치 드래그하더라도, 터치 드래그 위치 또는 궤적에 따라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또는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라지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1 포인터의 터치 드래그 위치에 따라,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인터(702)가 제1 영역의 상단부 위에서 좌에서 우로 a 만큼 터치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712)가 좌에서 우로 d1 만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포인터(702)가 제1 영역의 중단부에서 a 만큼 터치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임 인디케이터(712)가 좌에서 우로 d2 만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포인터(702)가 제1 영역의 하단부에서 a 만큼 터치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임 인디케이터(712)가 좌에서 우로 d3 만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포인터의 터치 드래그 위치에 따라,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제1 포인터(802)가 동일 거리(a)를 터치 드래그된 경우에도, 터치 드래그 위치에 따라, 제2 타임 인디케이터(814)의 이동 거리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포인터가 제1 영역 위 어떤 위치에서 움직였는가에 따라,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제1 포인터(또는 제2 포인터)의 터치 드래그 궤적에 따라,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터치 드래그 궤적에 따라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인터(902)가 a' 길이의 직선 경로를 따라 터치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912)가 좌에서 우로 d1' 만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포인터(902)가 a' 길이의 곡선 경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터치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임 인디케이터가 좌에서 우로 d2' 만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터치 드래그 궤적에 따라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포인터(1002)(또는 제2 포인터)가 동일 거리(a')을 터치 드래그한 경우라 하더라도, 그 이동 궤적이 따라 제2 타임 인디케이터(1014)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인터(또는 제2 포인터)가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위에서 동일한 거리를 터치 드래그한다 하더라도, 제어부(180)는 터치 드래그 궤적에 따라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또는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리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포인터 또는 제2 포인터의 터치 드래그 위치 또는 궤적에 따라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또는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달라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좀 더 세밀하게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다른 제3 영역에서 제1 포인터 또는 제2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7).
도 11a 내지 도 11c는 제3 영역에서 제1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된 경우,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동시에 움직이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a 에서 제1 타임 인디케이터(1114)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1116) 사이를 제3 영역(1112)이라 가정한다. 제3 영역(1112)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1 포인터(1102)를 좌에서 우로 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포인터(1102)의 이동 방향으로 제1 타임 인디케이터(1114)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1116)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1114)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1116)가 등간격을 유지한 채로 프로그레싱바 위를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타임 인디케이터(1116)가 프로그레싱 바의 종료점에 도달한 이후에도 제1 포인터(1102)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임 인디케이터(1116)를 프로그레싱 바의 종료점에 고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타임 인디케이터(1114)만이 좌에서 우로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타임 인디케이터(1114)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1116) 사이의 간격은 점점 더 좁아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1 포인터(1102)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1114)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1116)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임 인디케이터(1114)가 프로그레싱 바의 시작점에 도달한 이후에도 제1 포인터(1102)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1114)를 프로그레싱 바의 시작점에 고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타임 인디케이터(1116)만이 우에서 좌로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에서는 제1 포인터가 터치스크린 상의 특정 영역(예컨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을 터치 드래그함으로써,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제1 시점 또는 제2 시점의 수치를 조절하여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또는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제1 시점의 수치를 조절하여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a의 예시 화면에서, 제1 포인터를 이용하여 제1 시점의 수치가 표시되는 영역(1212)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의 수치를 조절할 수 있는 팝업 창(1222)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시점의 수치가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수치의 제1 시점으로 제1 타임 인디케이터(1202)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2 시점의 수치를 조절하여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포인터(또는 제2 포인터)를 이용하여 제2 시점의 수치가 표시되는 영역(1312)를 터치한 후, 제공되는 팝업 창(1322)을 통해 제2 시점의 수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80)는 변경된 제2 시점으로 제2 타임 인디케이터(1304)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시점의 수치가 제2 시점 이후로 조절되지 않고, 제2 시점의 수치가 제1 시점 이전으로 조절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제1 시점의 수치를 조절하는 화면에서, 제2 시점 이후의 값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제2 시점의 수치값 또는 제2 시점 이전의 수치값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시점의 수치가 잘못 입력 되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내지 도 13에서는 프로그레싱 바와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화면 상단에 배치되고, 그 하단에 제1 장면 및 제2 장면에 표시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레싱 바와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는 최초 표시된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되는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그 위치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터치스크린의 동작 모드에 따라, 프로그레싱 바와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표시 위치가 변화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a는 터치스크린이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화면 구성도이다. 터치스크린이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의 상단(또는 하단)에 프로그레싱 바(1402)와 제1 타임 인디케이터(1404)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1406)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 하단으로 제1 장면(1412) 및 제2 장면(1414)이 좌우 대칭 구조로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b는 터치스크린이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화면 구성도이다. 터치스크린이 포트레이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 중단에 프로그레싱 바(1402)와 제1 타임 인디케이터(1404)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1404)가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장면(1412) 및 제2 장면(1404)은 프로그레싱 바(1402)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로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의 제1 시점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S308).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으로 원본 동영상 컨텐트를 갈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으로 원본 동영상 컨텐트와 구분되는 신규 컨텐트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신규 컨텐트는 동영상, 움직이는 그래픽 이미지(.gif), 벡터 그래픽 이미지(.swf) 등일 수 있다.
도 15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제1 포인터를 통해 도 4의 저장 버튼(444)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15의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본으로 저장' 버튼(1502)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원본 컨텐트에 갈음하여,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새 이름으로 저장' 버튼(1504)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원본 컨텐트와 별도로,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신규 동영상 컨텐트로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움직이는 그림 파일로 저장' 버튼(1506)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움직이는 그래픽 이미지(.gif), 벡터 그래픽 이미지(.swf) 로 변환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그레싱 바 위의 제1 타임 인디케이터 위치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즉,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이 동일한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시점의 스틸컷(stillcut)이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제외한 잔여 부분의 동영상으로 원본 동영상 컨텐트를 갈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제외한 잔여부분의 동영상으로 원본 동영상 컨텐트와 구분되는 신규 동영상 컨텐트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이 저장되면, 제어부(180)는 편집 모드를 종료하고, 동영상 재생 화면으로 복원되도록 터치스크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을 제1 장면 위, 제2 영역을 제2 장면 위, 제3 영역을 제1 타임 인디케이터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 사이로 정의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상술된 위치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위치 각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매칭 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제1 타임 인디케이터를 터치 드래그하거나, 제2 타임 인디케이터를 터치 드래그함으로써, 제1 타임 인디케이터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 제3 영역이 반드시 구현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어서, S307 단계가 생력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만을 통해 제1 타임 인디케이터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임시로 저장한 뒤, 원하는 위치에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이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이 소망 위치에 삽입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제1 포인터로 제1 타임 인디케이터(1604)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1606) 사이(1602)를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도 16a에 도시된 팝업 창(1612)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팝업 창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어부(18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잘라내거나(crop) 복사(copy)하여 메모리(160)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1 포인터로 프로그레싱 바 위의 소망 위치(1610)를 소정 시간동안 누르면, 제어부(180)는 도 16b에 도시된 팝업 창(1614)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팝업 창(1614)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임시 저장된 제1 시점 및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이 소망 위치(1610)에 해당하는 제3 시점에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편집 모드는 터치스크린 상에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 중 어느 하나가 떼어지면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 중 어느 하나가 떼어지면, 동영상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동영상 재생 화면으로 복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 중 어느 하나가 떼어지면, 제어부(180)는 도 15에 도시된 메뉴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 중 어느 하나가 떼어지면 동영상 편집 모드가 종료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1 타임 인디케이터와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포인터(1702)를 제1 영역 위에 고정하고, 제2 영역 위에서 제2 포인터(1704)를 터치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제2 타임 인디케이터(1714)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포인터(1704)를 제2 영역 위에 고정하고, 제1 영역 위에서 제1 포인터(1702)를 터치 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1712)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위에서 각각 제1 포인터(1702) 및 제2 포인터(1704)를 동시에 터치 드래그하면, 제1 타임 인디케이터(1712)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1714)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들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15)

  1. 동영상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동영상 컨텐트에 관한 프로그레싱 바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그레싱 바 상에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1 시점의 제1 장면 및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2 시점의 제2 장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1 포인터 및 제2 포인터가 동시에 터치될 때,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 상기 제1 장면 및 상기 제2 장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포인터 및 상기 제2 포인터가 각각 기 설정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동시에 터치할 때,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 상기 제1 장면 및 상기 제2 장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 위에서 제1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상기 제2 영역 위에서 제1 포인터 또는 제2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다른 상기 제3 영역 위에서 상기 제1 포인터 또는 상기 제2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서 상기 제1 포인터 또는 상기 제2 포인터가 동일 거리를 터치 드래그하더라도, 상기 터치 드래그의 위치 또는 궤적에 따라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이 각각 수치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의 수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수치의 제 1 시점으로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시점의 수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수치의 제 2 시점으로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 재생 화면이 제공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으로 상기 동영상 컨텐트를 갈음하거나, 상기 동영상 컨텐트와 구분되는 신규 컨텐트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컨텐트 중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동영상을 제외한 잔여 부분으로 상기 동영상 컨텐트를 갈음하거나, 상기 동영상 컨텐트와 구분되는 신규 컨텐트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이 포트레이트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장면 및 상기 제2 장면은 상기 프로그레싱 바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이 랜드스케이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장면 및 상기 제2 장면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프로그레싱 바와 상기 프로그레싱 바 위를 움직이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1 시점의 제1 장면 및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2 시점의 제2 장면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위에서 포인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위에서 상기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영역 위에서 상기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프로그레싱 바와 상기 프로그레싱 바 위를 움직이는 제1 타임 인디케이터 및 제2 타임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시점의 제1 장면 및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시점의 제2 장면을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위에서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제1 영역 위에서 상기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제1 타임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영역 위에서 상기 포인터가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제2 타임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어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144738A 2011-12-28 2011-12-28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90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38A KR101901929B1 (ko) 2011-12-28 2011-12-28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13/615,535 US9779165B2 (en) 2011-12-28 2012-09-13 Mobile terminal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EP12007274.9A EP2610760B1 (en) 2011-12-28 2012-10-22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210572766.8A CN103220406B (zh) 2011-12-28 2012-12-26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38A KR101901929B1 (ko) 2011-12-28 2011-12-28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29A true KR20130076229A (ko) 2013-07-08
KR101901929B1 KR101901929B1 (ko) 2018-09-27

Family

ID=4722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738A KR101901929B1 (ko) 2011-12-28 2011-12-28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79165B2 (ko)
EP (1) EP2610760B1 (ko)
KR (1) KR101901929B1 (ko)
CN (1) CN10322040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373A (ko) * 2013-10-16 2015-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편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60105240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1627A1 (de) * 2012-11-06 2014-05-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Anzeige
USD760725S1 (en) * 2012-11-30 2016-07-05 Caterpillar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4154954A (ja) * 2013-02-06 2014-08-25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判定方法
CN104427404A (zh) * 2013-08-20 2015-03-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片段的提取和播放方法、及装置
US9881645B2 (en) * 2013-08-20 2018-01-30 Google Ll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editing video during playback via gestures
CN104796795A (zh) * 2014-01-17 2015-07-22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内容发布方法及装置
KR20150096956A (ko) * 2014-02-17 201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902337A (zh) * 2014-03-14 2014-07-02 北京金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下载的方法和装置
US20150301708A1 (en) * 2014-04-21 2015-10-22 VMIX Media, Inc. Video Editing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252448B1 (ko) 2014-09-12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KR102334618B1 (ko) * 2015-06-03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4458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229146A1 (en) * 2016-02-10 2017-08-10 Justin Garak Real-time content editing with limited interactivity
CN106303294A (zh) * 2016-08-19 2017-01-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10359930B2 (en) * 2017-01-23 2019-07-23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hysical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election of information
US20190087060A1 (en) * 2017-09-19 2019-03-21 Sling Media Inc. Dynamic adjustment of media thumbnail image size based on touchscreen pressure
US20190087061A1 (en) * 2017-09-19 2019-03-21 Sling Media Inc. Dynamic adjustment of scrolling or movement granularity based on touchscreen pressure
KR102512298B1 (ko) 2018-02-23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의 편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442609B1 (en) * 2020-04-08 2022-09-13 Gopro, Inc. Interface for setting speed and direction of video playback
GB202112276D0 (en) * 2021-08-27 2021-10-13 Blackbird Plc Method and system
CN118075558A (zh) * 2022-11-24 2024-05-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7638A (zh) * 2007-12-28 2008-07-09 深圳市迅雷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文件分段下载的方法、系统及装置
KR20080101414A (ko) * 2007-05-18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음악 재생 방법
US20100281367A1 (en) * 2009-04-30 2010-11-04 Tom Langmacher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attributes of media items in a media editing 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557B1 (ko) 2005-11-01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검색방법
CN101212664B (zh) 2006-12-30 2013-01-23 深圳市龙视传媒有限公司 一种节目剪辑、分发与点播方法
US7956847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JP2009295147A (ja) * 2008-05-07 2009-12-17 Hoya Corp スクロール表示可能な情報処理装置
US8600446B2 (en) * 2008-09-26 2013-12-0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interface with dual windows
US20100107126A1 (en) * 2008-10-28 2010-04-29 Hulu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humbnail selection and editing
US10705701B2 (en) * 2009-03-16 2020-07-0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KR101691938B1 (ko) 2010-01-06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US8717317B2 (en) * 2010-02-22 2014-05-06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n touch panel, and storage medium
JP2012114819A (ja) * 2010-11-26 2012-06-14 Toshiba Corp 電子機器、シークバーの表示方法
US9363579B2 (en) * 2010-12-22 2016-06-07 Google Inc. Video player with assisted seek
US20130290845A1 (en) * 2010-12-22 2013-10-3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video edit information
US9420394B2 (en) * 2011-02-16 2016-08-16 Apple Inc. Panning presets
US9117483B2 (en) * 2011-06-03 2015-08-25 Michael Edward Zaletel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recording, editing and combining multiple live video clips and still photographs into a finished composition
KR101976178B1 (ko) 2012-06-05 201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414A (ko) * 2007-05-18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음악 재생 방법
CN101217638A (zh) * 2007-12-28 2008-07-09 深圳市迅雷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文件分段下载的方法、系统及装置
US20100281367A1 (en) * 2009-04-30 2010-11-04 Tom Langmacher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attributes of media items in a media editing appl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373A (ko) * 2013-10-16 2015-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편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60105240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0406B (zh) 2016-01-27
EP2610760A2 (en) 2013-07-03
KR101901929B1 (ko) 2018-09-27
EP2610760B1 (en) 2019-12-04
US20130174039A1 (en) 2013-07-04
CN103220406A (zh) 2013-07-24
EP2610760A3 (en) 2017-02-08
US9779165B2 (en)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9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859100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521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1979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58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1012334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526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75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143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270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318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8815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KR201401439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894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다중 작업 관리 방법
KR1015922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500281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024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425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81586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418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첨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8070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152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50064523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80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