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415A -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415A
KR20130075415A KR1020110143774A KR20110143774A KR20130075415A KR 20130075415 A KR20130075415 A KR 20130075415A KR 1020110143774 A KR1020110143774 A KR 1020110143774A KR 20110143774 A KR20110143774 A KR 20110143774A KR 20130075415 A KR20130075415 A KR 20130075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ow path
passage
integrated body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598B1 (ko
Inventor
김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Priority to KR102011014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5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27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08Fluid driving means, e.g. pumps,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양단으로 개방되어 연통되는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 일체형 몸체와, 유로 일체형 몸체의 양단 각각에 결합되며 복수의 냉각유로가 서로 연통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유로를 가지는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냉각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냉각장치{A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등에 설치되는 전동기 제어기, 충전기, DC/DC Converter 등 각종 전력 변환 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 등에는 차축을 구동하는 전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축전지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 수십 내지 수백 볼트(volt)의 전압을 가진 축전지 팩(pack)의 전기를 이용하여 각종 조명, 경음기 등 각종 보조 장치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12볼트 대의 전기로 만들어 주는 DC/DC Converter 등의 전력 변환 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전력 변환 장치의 내부에는 많은 전류를 취급하는 전력 반도체(power electronics) 소자나 모듈(module)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전력 반도체가 작동하면서 발생시키는 열을 효과적으로 전력 반도체 외부로 배출하지 못할 경우 전력 반도체의 기능의 저하 뿐 아니라 영구 손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력 반도체가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전력 변환 장치의 구조에 대한 고안이 필요한데 전력 변환 장치의 외함의 바닥벽에 열전도율이 좋으면서 비중이 낮고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히트싱크(heat sink)를 구성하는데 그 윗면은 상당히 평평하게 만든 후 여기에 전력 반도체의 발열부가 밀착하여 고정되게 설치하고 히트싱크의 내부로 냉각수가 흐르게 하거나 히트싱크의 아랫면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여 히트싱크가 전력 반도체로부터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위와 같은 원리를 구현하는 여러 가지의 고안이 사용되어 왔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법을 이용하여 하우징 본체(1)의 바닥면에 해당되는 히트싱크(2)와 히트싱크(2)에 수직한 4면을 하우징 본체(1)에 일체로 형성시키고, 하우징 본체(1)의 아랫면과 윗면에 각각 판상의 뚜껑(미도시)을 덮어서 설치하는 구조가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냉각유체가 히트싱크(2)를 경유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수 유입구(3)와 냉각수 배출구(4)가 하우징 본체(1)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히트싱크(2) 내의 유로(5)는 하우징 본체(1)와 하부 뚜껑에 의하여 형성이 되는데, 하부 뚜껑이 볼트에 의하여 하우징 본체(1)에 결합되므로 하부 뚜껑을 하우징 본체(1)에 조립하거나 하우징 본체(1)로부터 분해하는 작업이 용이하기는 하나 하우징 본체(1)와 하부 뚜껑이 서로 만나는 경계면을 통하여 냉각수가 누설될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문제는 경계면이 넓다는 점이다. 또한 하부 뚜껑과 하우징 본체(1)를 용접이나 접착제 등으로 영구 결합을 할 경우에도 겹합선이 길게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구조에 있어서는, 하우징 본체(1)의 바닥면에 수직한 4개의 면(측벽)에 의하여 하우징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이 차량의 충돌 사고 시에 안전하게 보호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하우징 본체(1)의 윗면을 통하지 않고는 하우징 본체(1) 내부에 부품을 설치할 수 없다. 또한 하우징 본체(1) 내부에 설치된 부품을 점검하거나 수리할 경우에도 반드시 윗면을 통하여 손이나 점검 장치의 프로브(probe) 등이 하우징 본체(1) 내부로 진입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점검이나 수리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만일 하우징 본체(1)의 윗면 외에 앞면을 통해서도 하우징 본체(1) 내부의 부품을 설치, 점검, 분리할 수 있다면 수리 작업이 쉬워질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주조법을 이용한 종래의 기술로 제작된 전력 변환 장치 외함의 본체(1) 내부 바닥면은 전력반도체의 방열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매우 작은 편차의 편평도를 요구하므로 외함의 내부 바닥면은 밀링(milling) 등의 기계 가공을 거쳐야 하는데 이 바닥면은 이에 수직한 4면의 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관계로 이 바닥면을 기계 가공하는 작업은 난해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무엇보다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단점은 전력 변환 장치 외함의 하우징 본체(1)의 바닥에 형성된 방열 핀(fin)은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므로 이와 같이 높은 정밀도를 구현할 고도의 주조 공법을 적용하여 하우징 본체(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금형 제작에 많은 투자를 하여야 하고 금형의 제작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주조 불량률을 낮추기 힘들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양단으로 개방되어 연통되는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 일체형 몸체와;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양단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냉각유로가 서로 연통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유로를 가지는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냉각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는, 상기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직벽; 및 상기 바닥벽의 양단 각각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가 각각 장착되어 결합되는 제1 및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의 내부에는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방열 핀이 상기 냉각유로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양측면 각각에 결합되는 측면벽들과; 상기 측면벽과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와 상기 측면벽들 및 상기 커버에 의해 전기 부품들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혹은 탄소 섬유 복합재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는 압출성형기에 의해 압출 성형되어 제조되며, 상기 냉각유로와 상기 방열 핀은 압출성형시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각장치는, 양단으로 개방되어 연통되는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 일체형 몸체와; 상기 냉각유로의 어느 한쪽 입구에 설치되며, 구동시 상기 냉각유로 내부로 바람을 공급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유로 내부벽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된 다수의 방열 핀이 설치되고,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는, 상기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직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팬은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축류팬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냉각팬은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에 설치되는 시로코(sirocco)팬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측면을 막도록 결합되는 측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와 상기 커버 및 측면벽에 의해 전기 부품들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하우징에 해당되는 유로 일체형 몸체에 냉각유로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 일체형 몸체는 압출 성형기에 의해 제조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주조법에 비하여 다양한 형상과 두께의 방열 핀을 고정밀로 제작할 수 있고 히트싱크는 우수한 냉각 성능을 가질 수 있고 전력 변환 장치의 외함의 무게와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나타내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나타내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냉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a에 도시된 냉각장치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냉각장치의 유로 일체형 몸체에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a에 도시된 냉각장치의 유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2a에 도시된 냉각장치의 유로 일체형 몸체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가공하기 전의 유로 일체형 몸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유로 일체형 몸체에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를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는, 냉각 유로(21,22,23)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일체형 몸체(20)와, 상기 유로일체형 몸체(2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벽들(30)과, 상기 측면벽들(30)과 유로일체형 몸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40)와, 상기 유로일체형 몸체(20)의 냉각유로(21,22,23,24)의 양측 개방단부 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를 구비한다.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20)는 바닥벽(25)과, 바닥벽(25)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 수직벽(26)을 가진다. 그리고 바닥벽(25)의 양측면으로 각각 개방되도록 냉각유로(21,22,23,24)가 일체로 형성된다. 냉각유로(21,22,23,24)는 복수가 나란하게 형성되며, 그 냉각유로(21,22,23,24)의 내부벽에는 효과적인 열교환을 위한 방열 핀(L)들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유로 일체형 몸체(20)의 양측 단부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가 장착되어 결합되는 제1 및 제2장착부(20a,20b)가 각각 단차지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장착부(20a,20b)의 단부를 통해 냉각유로(21,22,23,24)가 외부로 노출되며, 그 외부로 노출된 냉각유로(21,22,23,24)는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에 의해 막히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밀폐되며, 각각의 냉각유로(21,22,23,24)가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연결유로(51,61)에 의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벽(25)과 수직벽(26)에는 측면벽들(30)을 끼워서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유로 일체형 몸체(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성형기에 의해 냉각유로(21,22,23,2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즉, 압출 성형된 성형물을 원하는 길이단위로 절단하면, 절단된 양단 각각으로 냉각유로(21,22,23,24)가 개방된 구조가 되며, 이러한 구조에서 양단 각각을 단차지게 절단하여 제1 및 제2장착부(20a,20b)를 형성함으로써 유로 일체형 몸체(20)를 대량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장착부(20a,20b)를 형성한 뒤에는,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를 제1 및 제2장착부(20a,20b)에 각각 장착하여 결합한다. 이때, 제1 및 제2장착부(20a,20b)와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 사이에는 실링구조를 위한 가스켓 등의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장착부(20a,20b)에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를 결합시,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고 이들을 제1 및 제2장착부(20a,20b)에 용접이나 브레이징(brazing)의 공법을 이용하여 영구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 각각은 제1 및 제2장착부(20a,20b)에 마주하여 장착하는 장착면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냉각유로들(21,22,23,24)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유로(51,61)가 장착면으로부터 인입되게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유로형 막음부재(50)에는 외부로부터 냉각매체를 냉각유로(21)로 진입시키기 위한 유입구(52)와, 진입된 냉각매체가 냉각유로들(21,22,23,24)을 순환하여 경유한 뒤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53)가 마지막 냉각유로(24)에 연결되게 각각 구비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는 연결유로(51)(61)가 복잡한 구성을 가지므로 금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로의 수를 도 6에서와 같이 짝수로 하지 않고 홀수로 만들고 제1 및 제2 유로형 막음부재(50,60)가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하여 한 개의 금형으로부터 이들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로 일체형 몸체(20)에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50,60)를 결합하게 되면, 유로 일체형 몸체(20)에 일체로 형성된 냉각유로들(21,22,23,24)은 제1 및 제1유로형 막음부재(50,60)에 의해 유입구(51)에서부터 배출구(61)까지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냉각유로(21,22,23,24)의 내부면에는 압출성형기를 통해 제작하는 과정에서 방열 핀들(L ; 히트싱크 구조물)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이므로, 종래와 같이 히트싱크 구조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조 원가를 줄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벽들(30)은 유로 일체형 몸체(20)의 상부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조립됨으로써, 유로 일체형 몸체(20)의 상부에 각종 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40)는 측면벽들(30)과 유로 일체형 몸체(20)에 의해 형성된 상부 공간을 덮도록 측면벽들(30) 및 유로 일체형 몸체(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커버(40)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측면벽들(30) 및 유로 일체형 몸체(2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40)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혹은 탄소섬유 복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재료 들은 무게에 비하여 강도가 높고 전자파 차폐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또한 알루미늄은 주조 공법 외에도 초소성 성형(super plastic forming) 공법 등으로, 탄소섬유 복합재는 핸드 레이업(hand layup), 레진 트랜스퍼 몰딩(resin transfer molding) 공법 등으로 적은 금형 제작비를 지출하고 복잡한 형상의 커버(40)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도 2a와 같이 커버(40)의 단면 형상이 일정하도록 설계하면,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고가의 금형 없이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조와 제작 공법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과 같이 전력 변환 장치의 외함의 앞부분의 높이와 뒷부분의 높이를 다르게 만들되 자동차의 보닛(bonnet)으로부터 커버와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만들 경우 보행자가 차량에 친 후 보닛에 머리를 부딪치는 사고가 일어날 경우 보행자의 상해치를 최소화 할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자동차 보닛의 형상은 차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전력변환 장치의 커버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은 공용으로 사용하고 본 고안에 의한 방법으로 큰 투자를 하지 않고도 차종에 따라 커버(40'; 도 2b 참조) 만을 다른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는 종래의 하우징에 해당되는 유로 일체형 몸체(20)에 냉각유로(21,22,23,24)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줄이고 성능과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 일체형 몸체(20)는 압출 성형기에 의해 제조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의 경우, 유로 일체형 몸체(20')에 냉각유로(21')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냉각유로(21') 내부에 방열 핀(L)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냉각유로(21')의 어느 일측 입구에는 냉각팬(70)이 설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냉각팬(70)은 축류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냉각유로(21')의 입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냉각유로(21')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분될 경우에는 각각의 냉각유로(21')마다 냉각팬(70)이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10")는 유로 일체형 몸체(20")의 일측에 냉각팬(70')이 설치되되, 냉각팬(70')은 시로코(sirocco)팬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유로 일체형 몸체(20")에는 내부벽에 방열핀(L)이 일체로 형성된 냉각유로(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냉각유로(21")의 입구에 하나의 시로코 팬이 설치되어, 냉각유로(21") 전체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20',20") 각각은 앞서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유로 일체형 몸체(20)와 마찬가지로 바닥벽과 수직벽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의 유로 일체형 몸체(20)에 측면벽과 커버가 설치됨으로써, 내부에 각종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측면벽 및 커버가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20',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0',10"..냉각장치 20,20',20"..유로 일체형 몸체
21,21',21",22,23,23..냉각유로 30..측면벽
40..커버 50,60..제1, 제2유로형 막음부재
51.유입구 61..배출구
70,70'..냉각팬

Claims (10)

  1. 양단으로 개방되어 연통되는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 일체형 몸체와;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양단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냉각유로가 서로 연통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유로를 가지는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냉각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는,
    상기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직벽; 및
    상기 바닥벽의 양단 각각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유로형 막음부재가 각각 장착되어 결합되는 제1 및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의 내부에는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방열 핀이 상기 냉각유로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양측면 각각에 결합되는 측면벽들과;
    상기 측면벽과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와 상기 측면벽들 및 상기 커버에 의해 전기 부품들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혹은 탄소 섬유 복합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는 압출성형기에 의해 압출 성형되어 제조되며, 상기 냉각유로와 상기 방열 핀은 압출성형시 동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7. 양단으로 개방되어 연통되는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유로 일체형 몸체와;
    상기 냉각유로의 어느 한쪽 입구에 설치되며, 구동시 상기 냉각유로 내부로 바람을 공급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유로 내부벽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된 다수의 방열 핀이 설치되고,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는,
    상기 냉각유로가 일체로 형성된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직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축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에 설치되는 시로코(sirocco)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의 측면을 막도록 결합되는 측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 일체형 몸체와 상기 커버 및 측면벽에 의해 전기 부품들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KR1020110143774A 2011-12-27 2011-12-27 냉각장치 KR10132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774A KR101329598B1 (ko) 2011-12-27 2011-12-27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774A KR101329598B1 (ko) 2011-12-27 2011-12-27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415A true KR20130075415A (ko) 2013-07-05
KR101329598B1 KR101329598B1 (ko) 2013-11-14

Family

ID=4898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774A KR101329598B1 (ko) 2011-12-27 2011-12-27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5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9148A (zh) * 2013-11-06 2014-03-05 广东高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弹片固定的电动车控制器散热装置
CN111133625A (zh) * 2017-04-07 2020-05-08 法雷奥西门子新能源汽车(深圳)有限公司 用于电动车辆或混合动力车辆中的电池充电器
JPWO2021066044A1 (ko) * 2019-10-04 2021-04-08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585A (ja) * 1999-02-12 2000-10-24 Toyota Motor Corp 冷却装置
KR20010027876A (ko) * 1999-09-16 2001-04-06 김형벽 고효율 수냉식 히트싱크 구조
KR100851809B1 (ko) 2006-11-16 2008-08-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연 대류형 수냉식 전자기기 냉각장치용 냉각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9148A (zh) * 2013-11-06 2014-03-05 广东高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弹片固定的电动车控制器散热装置
CN103619148B (zh) * 2013-11-06 2016-04-20 广东高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弹片固定的电动车控制器散热装置
CN111133625A (zh) * 2017-04-07 2020-05-08 法雷奥西门子新能源汽车(深圳)有限公司 用于电动车辆或混合动力车辆中的电池充电器
CN111133625B (zh) * 2017-04-07 2021-07-16 法雷奥西门子新能源汽车(深圳)有限公司 散热器模块以及电池充电器
JPWO2021066044A1 (ko) * 2019-10-04 2021-04-08
WO2021066044A1 (ja) * 2019-10-04 2021-04-08 三井化学株式会社 発熱体収容ケース及び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598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5150B2 (en)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JP4699253B2 (ja) 冷却器
CN206040913U (zh) 电池模组
WO2018040902A1 (zh) 电池模组、动力电池包及汽车
KR100689939B1 (ko) 구동 장치
EP3619491B1 (en) Support structure
KR101475602B1 (ko) 전력 변환 장치
US9279625B2 (en) Heat sink device for power modules of power converter assembly
CN106410319A (zh) 一种电池托盘集成液冷装置
JP5362935B1 (ja) バッテリ式作業機械及びバッテリ式フォークリフト
US9863302B2 (en) Cooling device for under-floor device for vehicle
KR101329598B1 (ko) 냉각장치
KR20120061366A (ko)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용 전기장치의 냉각장치
US10383262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CN110635193A (zh) 一种冷却流道可自由搭建的液冷板结构及其制作方法
WO2020020345A1 (zh) 车辆的集成控制器和车辆
CN219019334U (zh) 一种带散热器的车载控制器
CN114669583B (zh) 一种应用于动力电池的拆解系统及其介质温度的控制方法
JP6034957B2 (ja) 冷却構造体
CN110121813B (zh) 高压存储器和车辆
JP2017199785A (ja) 半導体装置の冷却装置
CN110214393B (zh) 高压蓄能装置以及具有高压蓄能装置的车辆
CN112153854A (zh) 功率模块用冷板及电机控制器
WO2022270013A1 (ja) 電力変換装置
CN213273371U (zh) 固化机照射头专用冷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