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407A - 건축물 내벽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407A
KR20130074407A KR1020110142464A KR20110142464A KR20130074407A KR 20130074407 A KR20130074407 A KR 20130074407A KR 1020110142464 A KR1020110142464 A KR 1020110142464A KR 20110142464 A KR20110142464 A KR 20110142464A KR 20130074407 A KR20130074407 A KR 20130074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building
wall
cool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524B1 (ko
Inventor
정진안
전배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5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지진 부재로 골격을 이루어 내지진성이 향상된 건축물 내벽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벽은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를 포함하며 골격을 이루는 골격부(200); 및 상기 골격부(200)가 내부에 포함되도록 타설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내지진 부재로 건축물 내벽의 골격을 이루어 내지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내지진 부재의 내부에 냉난방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여 냉난방성이 향상될 수 있고, 차음판이 구비되도록 하여 방음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내벽{BUILDING INTERIOR WALL}
본 발명은 건축물 내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지진 부재로 골격을 이루어 내지진성이 향상된 건축물 내벽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내벽은 건축물의 내벽을 이루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건축물 내벽은 건물의 기둥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축물 내벽에는 철근 등이 포함되어 인장력이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 이러한 건축물 내벽은 내지진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 예컨대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된 내지진 강판을 내부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내지진 강판을 내부에 포함되도록 한다고 하더라도, 요구되는 내진성을 얻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물 내벽은 독립적으로 냉난방을 이룰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건축물의 바닥 또는 천장에만 냉난방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건축물의 내벽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냉난방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내지진 부재로 건축물 내벽의 골격을 이루어 내지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내지진 부재의 내부에 냉난방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여 냉난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차음판이 구비되도록 하여 방음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건축물 내벽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내지진 부재로 골격을 이루어 내지진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건축물 내벽은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를 포함하며 골격을 이루는 골격부; 및 골격부가 내부에 포함되도록 타설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지진 부재는 내지진 각형 강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의 일부는 가로로 위치되며, 나머지는 가로로 위치된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 사이에 연결되도록 세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의 내부에는 냉난방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의 내부에는 냉난방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개의 냉난방관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로 위치된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 사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차음판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지진 부재로 건축물 내벽의 골격을 이루어 내지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지진 부재의 내부에 냉난방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여 냉난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음판이 구비되도록 하여 방음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건축물 내벽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내지진 부재로 골격을 이루어 내지진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벽(100)은 골격부(200)와 콘크리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골격부(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골격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의 일부는 가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내지진 부재(210)는 가로로 위치된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 사이에 연결되도록 세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건축물 내벽(100)의 골격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로 골격을 이루기 때문에, 건축물 내벽(100)의 내지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내지진 부재(21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지진 각형 강관일 수 있다. 그러나, 내지진 부재(2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 내벽(100)의 골격을 이루며 내지진성이 향상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내지진 부재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지진 부재(210)의 내부에는 냉난방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의 내부에는 냉난방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개의 냉난방관(220)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냉난방관(220)의 일측에는 냉난방 유체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냉난방 유체공급원의 냉난방 유체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난방관(220)을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냉난방관(220)을 유동한 냉난방 유체는 냉난방 유체공급원으로 다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냉난방 유체는 유체공급원과 냉난방관(220) 사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냉난방관(220)을 유동하는 냉난방 유체는, 예컨대 물일 수 있다. 그러나, 냉난방 유체는 물에 한정되지 않고, 냉난방이 가능한 유체라면 주지의 어떠한 유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내지진 부재(210)의 내부에 냉난방 유체가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로로 위치된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 사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차음판(2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로로 위치된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 사이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차음판(2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음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차음판(230)은 방음 뿐만 아니라 단열의 기능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음성 뿐만 아니라 단열성도 향상될 수 있다.
콘크리트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골격부(200)가 내부에 포함되도록 타설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콘크리트부(300)는 건축물 내벽(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콘크리트부(300)가 타설되는 방법과 콘크리트(300)의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골격부(200)가 내부에 포함되도록 타설되어 건축물 내벽(100)의 외관을 이루는 방법과 성분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방법과 성분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벽(100)을 사용하면, 내지진 부재로 건축물 내벽의 골격을 이루어 내지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내지진 부재의 내부에 냉난방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여 냉난방성이 향상될 수 있고, 차음판이 구비되도록 하여 방음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건축물 내벽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건축물 내벽 200 : 골격부
210 : 내지진 부재 220 : 냉난방관
230 : 차음판 300 : 콘크리트부

Claims (6)

  1.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를 포함하며 골격을 이루는 골격부(200); 및
    상기 골격부(200)가 내부에 포함되도록 타설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내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지진 부재(210)는 내지진 각형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의 일부는 가로로 위치되며, 나머지는 가로로 위치된 상기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 사이에 연결되도록 세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의 내부에는 냉난방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의 내부에는 냉난방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개의 냉난방관(220)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위치된 복수개의 내지진 부재(210) 사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차음판(2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벽.
KR1020110142464A 2011-12-26 2011-12-26 건축물 내벽 KR10190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464A KR101907524B1 (ko) 2011-12-26 2011-12-26 건축물 내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464A KR101907524B1 (ko) 2011-12-26 2011-12-26 건축물 내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07A true KR20130074407A (ko) 2013-07-04
KR101907524B1 KR101907524B1 (ko) 2018-10-16

Family

ID=4898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464A KR101907524B1 (ko) 2011-12-26 2011-12-26 건축물 내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881A (zh) * 2020-12-30 2021-04-30 湖北正浩建设集团有限公司 钢混结构建筑的填充墙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210A (ja) * 2000-06-13 2001-12-26 Yoneyama Tekkosho:Kk 防音パネル及び防音壁の構築方法
KR20030029831A (ko) * 2001-07-17 2003-04-16 모듈 호갈 인모빌리아리아 에스.에이. 공간금속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패널 건축시스템
KR20090130519A (ko) * 2008-06-16 2009-12-24 강종근 한국형 스틸하우스 골조
JP4502484B2 (ja) * 2000-09-05 2010-07-14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耐震補強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210A (ja) * 2000-06-13 2001-12-26 Yoneyama Tekkosho:Kk 防音パネル及び防音壁の構築方法
JP4502484B2 (ja) * 2000-09-05 2010-07-14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耐震補強壁
KR20030029831A (ko) * 2001-07-17 2003-04-16 모듈 호갈 인모빌리아리아 에스.에이. 공간금속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패널 건축시스템
KR20090130519A (ko) * 2008-06-16 2009-12-24 강종근 한국형 스틸하우스 골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881A (zh) * 2020-12-30 2021-04-30 湖北正浩建设集团有限公司 钢混结构建筑的填充墙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524B1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6199A (ko) 건축물 외장패널 커튼 월 시공용 방수·단열 복합 트러스 프레임 조립체 유닛 및 그 제조방법
JP2007016547A (ja) 補強壁
KR20130074407A (ko) 건축물 내벽
JP2008138438A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防音パネルの取付方法
CN204850128U (zh) 一种用于快速搭建钢构房的墙体
JP2014118777A (ja) 乾式壁構造
JP6445183B2 (ja) 吸音パネル及び防音壁設備
JP2008240250A (ja) 空気層を設けた木造建物の断熱工法
JP2007009621A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JP2014240583A (ja) ランナー保持部材およびランナー固定構造
KR102093162B1 (ko) 커튼월 프레임
JP5752478B2 (ja) 集合住宅
JP2006169735A (ja) 遮音パネル
CN214884555U (zh) 一种建筑用保温墙体结构
JP4713172B2 (ja) 遮音パネル
JP5598007B2 (ja) 間仕切壁
JP5277335B2 (ja) 建築物における床支持構造
JP2011006987A (ja) ユニット建物
CN208981569U (zh) 一种装配式eps模块墙板
CN109680815A (zh) 一种高保温墙面
KR20170013617A (ko) 벽체 조립체 및 조립방법
JP2010065397A (ja) カーテンウォール用耐火ボード、及び耐火ボードの支持構造
KR200484083Y1 (ko) 다단 구획형 샌드위치 판넬
CN109680889A (zh) 一种高隔音墙面
JP5209410B2 (ja) 耐火区画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