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311A -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311A
KR20130073311A KR1020110141089A KR20110141089A KR20130073311A KR 20130073311 A KR20130073311 A KR 20130073311A KR 1020110141089 A KR1020110141089 A KR 1020110141089A KR 20110141089 A KR20110141089 A KR 20110141089A KR 20130073311 A KR20130073311 A KR 2013007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over
cover
electric vehicle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220B1 (ko
Inventor
임성도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2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는, 전기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이며, 절연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일체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고, 장착 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을 통전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체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A battery cover and battery moun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장치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보다 긴 주행거리 및 구동력 확보를 위해서는 보다 큰 용량의 배터리가 요구된다.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아주 단순하면서도 일반적인 방법이 여러 개의 단위 배터리(또는 배터리 셀)들을 직렬 연결시킴으로써 하나의 대용량 배터리 모듈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위와 같은 방법은 직렬 연결 시 전체적인 배터리 모듈의 용량이 이를 구성하는 단위 배터리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는 전체적인 배터리 모듈의 용량을 아주 단순하면서도 간단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해당되며, 따라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외 전기장비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기술에 해당된다.
여러 개의 단위 배터리로서 하나의 대용량 배터리 모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배터리 탑재공간에 탑재되는 여러 개의 단위 배터리들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직렬 배터리를 형성하도록 연결해야 한다. 하지만 배터리 수납공간이 제한되어 있는 차량의 경우, 제한된 공간에서 여러 개의 단위 배터리가 전기적으로 직렬을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작업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에 해당된다.
특히, 보다 큰 전압이 요구되는 고사양의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요구 전압에 비례하여 단위 배터리의 탑재 수량 또한 증가되므로, 결선 및 배선작업이 더욱 복잡해지고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결선 및 배선과정에서 오결선 또는 전기적 단락과 같은 접속불량의 발생확률이 높다. 이처럼 불량이 발생하면 별도의 리웍(rework)이 요구되며, 따라서 배터리 모듈을 구현함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다수의 단위 배터리로 이루어진 배터리 모듈을 배터리 탑재공간에 탑재함에 있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한 차량 진동에도 배터리 모듈이 안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배터리 모듈을 탑재 대상부에 마운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이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 등으로 이루어진 마운팅 부재가 별도로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로서, 장착과 함께 다수의 단위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고, 따라서 단위 배터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선 및 배선작업을 생략시킬 수 있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장착 시 복수의 단위 배터리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탑재 대상부에 복수의 단위 배터리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운팅 부재 역할도 함께 병행할 수 있는 구성의 전기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이며, 절연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일체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고, 장착 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을 통전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체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구성의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체는 배터리 커버 조립 시 복수의 단위 배터리의 단자위치에 대응하여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를 갖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체는 배터리 커버 조립과 함께 배터리 수납공간에서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를 직렬 연결시킬 수 있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단위 배터리의 단자 극성은 폭과 길이 방향으로 교번(交番)되는 패턴의 매트릭스 형 배열을 갖고, 상기 전도체는 단자 극성이 교번(交番)되는 패턴으로 배열된 각 단위 배터리 간 서로 다른 극성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체는, 이웃하는 단위 배터리에 형성된 단자 중 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단자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1 전도체와,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 중 최외곽에 배치된 두 개의 단위 배터리에 형성된 단자 중 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체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전도체의 상기 단자 접속부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커버에는, 배터리 단자가 윙-너트 타입인 경우에 커버 조립 시 상기 단자 선단부가 커버 밖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단자 인출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에서 상기한 전도체는, 배터리 커버 제작 시 배터리 커버 내에 인서트 된 상태로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한 전도체는 배터리 커버 안쪽 면에 한 쌍의 리브에 의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전도체 경로에 끼워져 조립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배터리 트레이로부터 연장되는 홀딩부재와 결합을 위한 두 개 이상의 결합구멍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구멍 주변에는 결합구멍 주변의 커버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정되면서 보다 견고한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리브는 결합구멍을 기준으로 방사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트레이; 배터리 모듈을 덮는 상기한 배터리 커버; 및 배터리 커버에 의해 배터리 모듈이 배터리 트레이 상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를 구속하는 홀딩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관통하는 체결부를 선단에 형성한 빔부재; 및 배터리 커버를 관통한 빔부재 선단의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홀딩부재는, 배터리 트레이로부터 연장된 트레이 측벽에 힌지 결합되고 배터리 커버 가장자리를 구속하는'ㄱ'자형 록부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에 따르면, 그 배터리 커버에 단위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패턴으로 전도체가 배선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를 장착하는 작업만으로 복수의 단위 배터리를 간단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배터리 커버를 장착하는 것으로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간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복수의 단위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선 및 배선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배터리 모듈 구현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줄어 들게 되므로, 생산효율의 향상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커버를 장착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단위 배터리 간 전기적 결선이 구현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단위 배터리들을 상호 직렬 연결시킴에 있어서의 결선 또는 배선작업 상의 오류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선 또는 배선 과정에서 불량에 의한 리웍(rework)을 이 요구되지 않으며, 결선 또는 배선에 따른 제품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품질 및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 커버를 마운팅 부재로 활용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을 탑재 대상부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케이스 및 이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 등의 별도 마운팅 부재 없이도 배터리를 탑재 대상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운팅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커버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배터리 커버의 평면 개략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배터리 커버가 배터리 단자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난 배터리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6은 배터리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난 배터리 커버의 B-B선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9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의 실차 장착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배터리 커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아래 첨부도면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단위 배터리(6 개의 단위 배터리)가 일렬로 정렬된 구성인 경우 이를 덮을 수 있는 커버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배터리의 배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커버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배터리 커버의 평면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난 배터리 커버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에 해당된다. 이들 참조하여 먼저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1)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20)로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2)을 일체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도면에서는 6개의 단위 배터리)가 일렬로 배치된 경우에 이를 커버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예시하고 있음)를 갖고, 배터리 모듈(2)에 장착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2)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20)들을 통전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체(10)를 포함한다.
전도체(10)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20) 구체적으로는, 가로, 세로 NㅧM 매트릭스(matrix)형 배열을 갖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20)를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는 패턴을 형성한다면, 특정한 패턴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커버(1) 조립과 함께 복수의 단위 배터리(20)로부터 뻗은 각 단자와의 접속을 위해, 복수의 단위 배터리(20) 단자위치와 하나씩 대응하는 위치에 단자 접속부(10c)가 형성된다.
가로, 세로 NㅧM 매트릭스(matrix)형태로 복수의 단위 배터리(20)가 배열되는 경우 상기 단위 배터리(20)는, 각 단위 배터리(20)에 형성된 (+)(-) 두 개의 단자가 폭과 길이 방향으로 교번(交番)되도록, 즉, (+)(-) 단자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하는 것이 좋다(도 2참조). 이와 같이 배열하면, 상호 연결될 이웃하는 각 단위 배터리(20)의 (+)(-) 단자 간 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웃하는 각 단위 배터리(20)의 (+)(-) 단자 간 거리가 최소화 되도록 단위 배터리(20)를 배열하면, 이웃하는 각 단위 배터리(20)에 형성된 (+)(-)를 하나씩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체적으로 직렬의 배터리 모듈(2)을 형성함에 있어, (+)(-) 단자 간 거리 최소화에 비례하여 배터리 커버(1)에 형성되는 전도체(10)의 길이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배터리 커버(1)의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다.
(+)(-) 단자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된 단위 배터리(20)의 배열에서 상기 전도체(10)는 바람직하게, 이웃하는 단위 배터리(20)에 형성된 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 단자를 연결하는 다수의 제1 전도체(10a)와, 배터리 모듈(2)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20) 중 최외곽에 배치된 두 개의 단위 배터리(20)에 형성된 네 개의 단자 중 극성이 다른 두 개의 (+)(-)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체(10b)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도체(100)는 이웃하는 단위 배터리(20)에 각각에 형성된 (+)(-) 단자를 최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는 패턴,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단위 배터리(20)가 일렬로 배치된 경우, 제1 전도체(100)가 좌, 우측으로 교번되게 형성되어 단위 배터리(20)를 직렬 연결시킬 수 있는 패턴일 수 있으며, 제2 전도체(10) 역시 최외곽에 배치된 두 개의 단위 배터리(20)를 최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면 그 경로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단위 배터리(20) 간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전도체(10)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질을 소재로 배터리 커버(1)를 사출 성형할 경우 인서트(insert)시켜 커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미도시). 이와는 다르게, 배터리 커버(1) 제작 시 커버 안쪽 면에 한 쌍의 리브(14a, 도 3참조)에 의해 일정한 패턴으로 전도체 경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여기에 전도체(10)를 끼워 조립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2는 윙-너트 타입 단자를 형성한 단위 배터리(20)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1)를 적용함에 있어, 상기 윙-너트 타입 단자와의 체결을 위해 형성되는 단자 인출구멍을 가리킨다. 상기 단자 인출구멍(12)은 단위 배터리(20)의 단자 형성위치에 대응하여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며, 스탠다드 타입 단자인 경우에는 상기 단자 인출구멍(12)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삭제될 수 있다(도시 생략).
도 4는 윙-너트 타입의 단자를 형성한 단위 배터리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와 같이 단위 배터리(20)에 형성된 단자가 윙-너트 타입 단자인 경우, 각각의 단위 배터리(20)에 형성된 단자(22)가 상기 단자 인출구멍(12)을 관통해 커버 밖으로 튀어 나오도록 커버(1)를 가조립 한 상태에서, 합성수지 절연소재로 피복된 체결부재(24)를 단자 선단에 체결시키는 방법으로, 단위 배터리(20) 간 전기적인 연결과 함께 배터리 커버(1)와 단위 배터리(20) 사이의 체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면 상 미설명 부호 13은 배터리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활용함에 있어, 배터리 모듈(2)의 전압이 최종 인출되는 두 개의 (+)(-) 단자를 배터리 커버(1)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단자 노출부를 가리킨다. 이 단자 노출부(13)는 도면과 같이, 두 개의 최종 (+)(-) 단자가 인출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멍이거나 도 5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두 개의 최종 (+)(-) 단자 위치하는 배터리 커버(1)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배터리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1)는 배터리 트레이(3)로부터 연장되는 홀딩부재(4)와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구멍(16)은 배터리 커버(1) 길이방향 중앙부를 따라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구멍(16) 주변에는 홀딩부재(4)와 결합 시 결합구멍(16) 주변의 커버 강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리브(1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14b)는 보다 견고한 강성 보강을 위해, 결합구멍(16)을 기준으로 그 주변에 방사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결합구멍(16)이 형성되면, 도 7의 단면도의 도시와 같이 배터리 모듈(2) 상에 배터리 커버(1)를 고정시킴에 있어, 홀딩부재(4)가 배터리 커버(1)를 구속하는 힘을 이용하여 그 아래에 위치한 배터리 모듈(2)을 배터리 트레이(3)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패턴으로 전도체가 배선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의 실차 장착 예시와 같이, 시트부(5) 하방에 배터리 모듈(2)이 측방 슬라이딩 인출방식으로 탑재된 경우, 이 배터리 모듈(2)을 슬라이딩 인출 시킨 후 배터리 커버(1)를 탈거하거나 장착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간 전기적 연결을 해제시키거나 전기적으로 연결을 구현시킬 수 있다.
즉, 배터리 커버를 장착하는 것으로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간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복수의 단위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선 및 배선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배터리 모듈 구현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줄어 즐게 되므로, 생산효율의 향상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를 장착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단위 배터리 간 전기적 결선이 구현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단위 배터리들을 상호 직렬 연결시킴에 있어서의 결선 또는 배선작업 상의 오류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선 또는 배선 과정에서 불량에 의한 리웍(rework)을 이 요구되지 않으며, 결선 또는 배선에 따른 제품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품질 및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마운팅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장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마운팅 장치는, 배터리 모듈(2)을 덮는 배터리 커버(1) 및 이 배터리 커버(1)를 배터리 모듈(2) 상에 견고히 고정시켜주는 홀딩부재(4)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배터리 커버(1)이며, 홀딩부재(4)는 배터리 커버(1)로서 배터리 모듈(2)이 배터리 트레이(3) 상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1)를 구속한다.
상기 홀딩부재(4)는 배터리 모듈(2)이 탑재되는 배터리 트레이(3)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배터리 커버(1)와 결합 시 배터리 모듈(2)에 압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1)를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딩부재의 바람직한 예로서, 도면의 도시와 같이, 배터리 트레이(3)에서 연장되고 배터리 커버(1)를 관통하는 체결부(부호 생략)를 선단에 형성한 빔부재(40a)와, 빔부재(40a) 선단의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40b)로 이루어진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운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홀딩부재(4)는 배터리 트레이(3)로부터 연장된 트레이(3) 측벽에 힌지 결합되며 배터리 커버(1)의 가장자리를 구속하는 좌, 우 한 쌍의 'ㄱ'자형 록부재(42)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록부재(42)가 접하게 되는 배터리 커버(1) 상면 가장자리에 미세한 요철패턴의 접촉면을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커버(1)와의 보다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는, 전술한 배터리 커버를 마운팅 부재로 활용한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을 탑재 대상부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케이스 및 이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 등의 별도 마운팅 부재 없이도 배터리를 탑재 대상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운팅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배터리 커버 2 : 배터리 모듈
3 : 배터리 트레이 4 : 홀딩부재
10 : 전도체 10a : 제1 전도체
10b : 제2 전도체 12 : 단자 인출구멍
13 : 단자 노출부 14a, 14b : 리브
16 : 결합구멍 20 : 단위 배터리
22 : 단자(배터리 단자) 24 : 체결부재
40a : 빔부재 40b : 너트부재
42 : 록부재

Claims (14)

  1. 전기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이며, 절연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일체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고, 장착 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을 통전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체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구성의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배터리 커버 조립 시 복수의 단위 배터리의 단자위치에 대응하여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배터리 커버 조립과 함께 가로, 세로 NㅧM 매트릭스(matrix)형 배열을 갖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폭과 길이 방향으로 각 단위 배터리의 단자 극성이 교번(交番)되는 패턴의 매트릭스 형 배열을 갖고,
    상기 전도체는 단자 극성이 교번(交番)되는 패턴으로 배열된 각 단위 배터리 간 서로 다른 극성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이웃하는 단위 배터리에 형성된 단자 중 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단자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1 전도체와;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 중 최외곽에 배치된 두 개의 단위 배터리에 형성된 단자 중 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전도체의 상기 단자 접속부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커버에는, 커버 조립 시 배터리 단자의 선단부가 커버 밖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단자 인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배터리 커버 내에 인서트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배터리 커버 안쪽 면에는 한 쌍의 리브에 의해 전도체 경로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전도체 경로에 상기 전도체가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배터리 트레이로부터 연장되는 홀딩부재와 결합을 위한 두 개 이상의 결합구멍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 주변에는 결합구멍 주변의 커버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결합구멍을 기준으로 방사형 패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12. 배터리 트레이;
    배터리 모듈을 덮는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터리 커버; 및
    배터리 커버에 의해 배터리 모듈이 배터리 트레이 상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를 구속하는 홀딩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관통하는 체결부를 선단에 형성한 빔부재; 및
    배터리 커버를 관통한 빔부재 선단의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배터리 트레이로부터 연장된 트레이 측벽에 힌지 결합되고 배터리 커버 가장자리를 구속하는'ㄱ'자형 록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장치.
KR1020110141089A 2011-12-23 2011-12-23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 KR10130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89A KR101304220B1 (ko) 2011-12-23 2011-12-23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89A KR101304220B1 (ko) 2011-12-23 2011-12-23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311A true KR20130073311A (ko) 2013-07-03
KR101304220B1 KR101304220B1 (ko) 2013-09-05

Family

ID=4898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089A KR101304220B1 (ko) 2011-12-23 2011-12-23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469A1 (ko)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강성 빔을 통합하고 역방향 조립 방식을 채용한 배터리 팩
CN114041230A (zh) * 2019-08-07 2022-02-11 株式会社Lg新能源 顶部冷却型电池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879B1 (ko) 2018-03-12 2021-07-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 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수납장치
KR20220049625A (ko) 2020-10-14 2022-04-22 주식회사 코엔시스 용량 가변 적응형 배터리 모듈의 결합 구조
KR20220132357A (ko) 2021-03-23 2022-09-30 (주)대한솔루션 전기차용 배터리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5465A (ja) * 1995-01-13 1996-07-30 Hitachi Cable Ltd バッテリーパック用リードフレームインサート基板
JP2002329490A (ja) 2001-05-01 2002-11-15 Nippon Mektron Ltd 電源配線用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4455B1 (ko) * 2007-03-08 2008-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5227994B2 (ja) 2010-04-01 2013-07-03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469A1 (ko) * 2019-08-07 2021-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강성 빔을 통합하고 역방향 조립 방식을 채용한 배터리 팩
CN114041230A (zh) * 2019-08-07 2022-02-11 株式会社Lg新能源 顶部冷却型电池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220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3917B2 (en) Conductor module
US10879515B2 (en) Bus bar module
KR101304220B1 (ko) 전기차량용 배터리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마운팅 장치
US9780351B2 (en) Wiring module
KR101136310B1 (ko) 배터리 팩
JP6163361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JP5613332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このバスバ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源装置
CN102709502B (zh) 电池组及单电池
US20140295225A1 (en) Battery module and wiring module
CN109075302B (zh) 连接模块
EP3136470B1 (en) Wiring module, wiring-module intermediary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module
TWI733682B (zh) 蓄電裝置
US10122005B2 (en) Wiring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wiring module
JP6780288B2 (ja) 接続モジュール
JP2015015091A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US20190044120A1 (en) Conductor module
US10840496B2 (en)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JP6286141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JP6579406B2 (ja) 電池モジュールと電子機器の接続装置及び絶縁カバーの製造方法
KR102317501B1 (ko) 배터리 팩
US20180212224A1 (en) Wiring module
JP2016143584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監視モジュール
EP3136472A1 (en) Wiring module
JP2014093217A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JP7256079B2 (ja) 電線保持構造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