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258A -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 Google Patents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258A
KR20130073258A KR1020110141012A KR20110141012A KR20130073258A KR 20130073258 A KR20130073258 A KR 20130073258A KR 1020110141012 A KR1020110141012 A KR 1020110141012A KR 20110141012 A KR20110141012 A KR 20110141012A KR 20130073258 A KR20130073258 A KR 20130073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ell
vehicle
support member
locking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경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3258A/ko
Publication of KR2013007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센서 셀이 장착된 브라켓과 범퍼간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범퍼에 브라켓을 착탈 결합하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SENSOR CELL MOUNTING BRACKE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센서 셀을 범퍼에 장착시키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보조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고, 센서 셀에서 송수신 가능한 소자는 물체(피검출체)에 초음파를 발신한다. 물체는 초음파를 반사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송수신 가능한 소자에서 수신한다. 따라서, 차량 주위의 장애물의 위치 또는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의 2차원 형상 또는 3차원 형상도 측정될 수 있다. 즉, 센서 셀은 차량 주위를 모니터링하여 안전한 주행을 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후진 주차시의 운전자 편의를 위해 차량과 외부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각종 안내를 수행하는 주차보조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인체 또는 장애물과 차량의 후방측의 충돌가능성을 저하된다.
한편, 이러한 센서 셀은 리어 범퍼(REAR BUMPER) 또는 프론트 범퍼(FRONT BUMPER)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구조로 외관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의 센서 셀은 브라켓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을 범퍼에 융착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범퍼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범퍼와 브라켓을 융착하는 구조는, 센서 셀 또는 범퍼의 파손시, 센서 셀이 접착된 범퍼 전체를 교환해야 하고, 범퍼에 브라켓을 융착하기 위한 융착 장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은, 차량용 센서 셀을 차량 판넬에 장착시키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용 센서 셀을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양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어 단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양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홈에 걸쳐지고, 압력이 해제 시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를 상기 걸림 홈에 삽입시키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상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와 마주하는 몸체 표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를 상기 차량 판넬에 장착시키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셀의 브라켓이 차량 판넬에서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차량용 센서 셀의 브라켓과 차량 판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셀의 브라켓과 차량 판넬의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셀의 브라켓이 차량 판넬로부터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셀(10)의 브라켓(100)은 차량용 센서 셀(10)을 차량 판넬에 장착시키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100)에 있어서, 차량 용 센서 셀(10)을 수용하는 몸체(110) 및 몸체(110) 양측면 상에 형성되며, 범퍼(200)에 형성된 걸림 홈(211)에 삽입되어, 범퍼(200)와 탈부착 결합하는 걸림부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범퍼(200)는 브라켓(100)의 장착 위치에 따라 리어 범퍼(REAR BUMPER) 또는 프론트 범퍼(FRONT BUMPER)일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00)의 장착위치에 따라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센서 셀(10)은 초음파 센서일 수 있으며, 브라켓(100)의 몸체(110)내부에 수용된다.
아래에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차량 판넬을 범퍼(200)라 표기한다.
몸체(110)는 센세 셀(10)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범퍼(200)와 마주하는 일측면은 소정위치에 돌출구(111)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돌출구(111)는 걸림부재(120)를 통해 몸체(110)가 범퍼(200)에 탈부착 결합될 때, 센서 셀(10)의 일부가 몸체(110)외부로 돌출되는 구멍이다. 그리고, 돌출구(111)는 돌출구(111)에서 돌출되는 센서 셀(10)의 형상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부재(120)는 걸림 홈(211)에 밀착 삽입시키는 지지부재(122)와 지지부재(122)를 지지하는 리브(12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22)는 몸체(110)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어, 끝단부에 걸림 돌기(1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2)는 양측에서 가해지는 가압에 따라 걸림 돌기(112A)가 걸림 홈(211)에 걸쳐질 때, 상기 가압의 해제시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걸림 돌기(112A)가 걸림 홈(211)에 밀착삽입된다.
리브(124)는 몸체(110)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재(122)와 몸체(110)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리브(124)는 지지부재(122) 상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112A)와 마주하는 몸체(110) 표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지지 부재(122)를 지지한다.
또한, 범퍼(200)에 몸체(110)를 탈부착 결합하는 과정에서, 지지부재(122)는 양측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인해 리브(124)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리브(124)는 지지부재(122)와 맞닿아 지지부재(122)의 가압력을 지지한다. 즉, 리브(124)는 지지부재(122)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소성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리브(124)는 지지부재(12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어 지지부재(122)의 걸림돌기(112A)가 걸림 홈(211)에 밀착삽입될 때, 걸림 돌기(112A)가 걸림 홈(211)에 밀착삽입이 용이하도록 지지부재(122)의 탄성력를 보강한다.
범퍼(200)는 브라켓(100)과 마주하는 방향, 즉, 범퍼(200)의 후면에 센서 셀(10)이 노출되는 노출구(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범퍼(200)는 노출구(230)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및 걸림부재(120)와 대응되는 좌우 양측면 상에 돌기부재(21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돌기부재(210)는 걸림홈(21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걸림홈(211)에는 상기 걸림돌기(112A)가 밀착삽입된다.
또한, 범퍼(200)는 노출구(23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세로 방향 및 돌기부재(120) 사이의 상하 양측면 상에 고정부재(220)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20)는 브라켓(100)의 상하 움직임을 고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위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차량용 센서 셀의 브라켓과 차량 판넬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셀(10)은 몸체(110)에 수용된다. 그리고, 센서 셀(10)의 일부는 몸체(110)에 형성된 돌출구(111)를 통해 돌출된다. 이어서, 센서 셀(10)의 일부는 범퍼(200)의 노출구(230)에 노출된다. 이때, 센서 셀(10)의 상기 일부는 범퍼(20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평면상 범퍼(200)의 정면 같은 라인까지만 노출된다. 즉, 센서 셀(10)은 범퍼(200)의 외부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100)과 범퍼(200)의 결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셀의 브라켓과 차량 판넬의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셀(10)은 몸체(110)에 수용된다. 그리고, 몸체(110)는 몸체(110)에 형성된 지지부재(122)와 범퍼(200)에 형성된 돌기부재(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부재(122)는 양측에서 가해지는 가압에 따라 리브(124)방향으로 가압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2)에 가해지는 가압 해제시, 지지부재(122)의 걸림 돌기(112A)가 걸림 홈(21)에 걸쳐져 상기 몸체(110)를 지지한다. 아울러, 돌기부재(210) 사이의 세로방향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재(220)는 몸체(110)의 상하 움직임을 고정한다.
리브(124)는 몸체(110)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재(122)와 몸체(110) 사이에 형성된다.
리브는 지지부재(122)에 가해지는 반복된 가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성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부재(122)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여 지지부재(122)의 걸림돌기(112A)가 걸림 홈(211)에 밀착삽입될 때, 걸림 돌기(112A)가 걸림 홈(211)에 밀착삽입이 용이하도록 지지부재(122)의 탄성력를 보강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센서 셀(10)의 장착 브라켓(100)은, 센서 셀(10)이 장착된 브라켓(100)과 범퍼(200)의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한다.
즉, 종래의 융착 작업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융착작업을 위해 필요한 장비의 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서 셀(10) 또는 범퍼(200)의 파손시, 범퍼(200) 전체를 교환하는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센서 셀(10)이 장착된 브라켓(100)를 범퍼(200)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수리 또는 파손된 제품만 교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센서 셀(10) 및 범퍼(200)의 수리 또는 파손의 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차량용 센서 셀을 차량 판넬에 장착시키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용 센서 셀을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양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어 단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양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홈에 걸쳐지고, 압력이 해제 시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를 상기 걸림 홈에 삽입시키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상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와 마주하는 몸체 표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를 상기 차량 판넬에 장착시키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몸체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어 단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양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홈에 걸쳐지고, 압력이 해제 시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를 상기 걸림 홈에 삽입시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상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와 마주하는 몸체 표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리브
    를 포함하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판넬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부재와 대응되는 좌우 양 측면 상에, 상기 결합 홈을 갖는 돌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판넬의 후면에는,
    상기 돌기부재 사이의 상하 양 측면 상에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판넬은
    범퍼인 것인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셀은,
    초음파 센서 셀인 것인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KR1020110141012A 2011-12-23 2011-12-23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KR20130073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12A KR20130073258A (ko) 2011-12-23 2011-12-23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12A KR20130073258A (ko) 2011-12-23 2011-12-23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258A true KR20130073258A (ko) 2013-07-03

Family

ID=4898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012A KR20130073258A (ko) 2011-12-23 2011-12-23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32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20695A (ja) カメラユニット
KR102557313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JP2004253912A (ja) 超音波センサ
JP5278961B2 (ja) スポイラー
JP2012026805A (ja) 車両用障害物検知センサおよび、これが取り付けられるバンパー
WO2018190116A1 (ja) 撮像装置
KR20130073258A (ko) 차량용 센서 셀의 장착 브라켓
KR20070047082A (ko) 자동차의 비돌출형 후방 경보센서 유닛의 장착구조
CN110271515B (zh) 车辆用清洁器
KR101890616B1 (ko) 차량용 센서 장착 구조체
JP4831182B2 (ja) 塗装方法並びに塗装用冶具
JP2013124981A (ja) 車両用障害物検知装置
KR200452237Y1 (ko) 차량 범퍼용 비노출형 브라켓
KR101943640B1 (ko) 차량 범퍼장착용 센서장치
KR101953903B1 (ko) 차량용 센서 장착 구조체
KR101013908B1 (ko) 차량 범퍼의 센서 홀더 기구
KR20120059908A (ko) 경보센서장치
KR20230105763A (ko) 센서홀더 고정용 지그
KR102256872B1 (ko) 자동차의 범퍼 마운팅구조
KR101464971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2091430B1 (ko) 센서 홀더
KR101603143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1067916B1 (ko) 차량용 리어패키지트레이와 차일드 테더 앵커용 베젤의 조립장치
JP2000095046A (ja) バンパと外板部材の接合構造
JP2014104838A (ja) 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