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355A -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355A
KR20130071355A KR1020120131380A KR20120131380A KR20130071355A KR 20130071355 A KR20130071355 A KR 20130071355A KR 1020120131380 A KR1020120131380 A KR 1020120131380A KR 20120131380 A KR20120131380 A KR 20120131380A KR 20130071355 A KR20130071355 A KR 20130071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dishwasher
washing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705B1 (ko
Inventor
성수진
이보경
이종호
임애리
임정수
최정민
이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718,26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06552B2/en
Priority to EP12198261.5A priority patent/EP2606808B1/en
Priority to CN201210559931.6A priority patent/CN103169438B/zh
Publication of KR2013007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6Steam or steriliz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6Sterilis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부와 유로전환밸브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전기분해부가 마련된 저장조를 마련하고,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저장조의 전기분해부를 통해 저장조 내의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함과 함께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시킴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살균제 또는 고온의 물을 사용하여 식기세척기 내부에 잔류하는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고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 내 균체량을 감소시켜 부패로 인한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의 살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살균 행정 전후로 살균제가 식기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부의 환경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냉수 또는 온수의 세척수를 고압으로 식기에 분사하여 식기에 묻어 있는 오염물(음식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와, 이 세척조 내부에 다단으로 마련되어 식기를 수납하는 복수의 바스켓과, 복수의 바스켓의 상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가 바스켓에 수납되면 세척조 내로 세척수를 급수하고, 펌프를 동작시켜 집수부 내부의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이동시킨 후 이 세척수를 식기에 고압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세척수의 분사압을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한다.
즉 식기세척기는 세척기내에 적정량의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수를 세척기 하부에서 상부로 순환시키면서 분사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시키는 세척행정과 헹굼행정 및 세척된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 등의 일련의 세척 과정이 종료된 후, 밀폐 구조와 다습한 환경으로 인해 세척조 내의 필터, 집수부 및 유로 등에 남은 음식물 찌꺼기 및 잔수에서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식기세척기는 사용하는 짧은 시간 동안에는 고온의 헹굼수 및 건조 행정을 통해 일시적으로 균체량이 감소되지만, 사용되지 않는 긴 시간 동안에 미생물이 증식하게 되어 내부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식기세척기 내부를 살균하지 못한 상태로 오랜 시간 방치하였을 때 식기 세척기 내에서 균체량이 급속도로 증가한다.
최근의 식기세척기는 집수부 측에 설치되어 살균을 수행하는 전기분해부를 더 포함하고, 집수부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전기분해부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식기 세척기는 집수부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었을 때에만 집수부 내를 살균할 수 있을 뿐 식기 세척기 내부 전체를 살균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살균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살균수를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시켜 식기세척기를 살균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세제 용해도를 증가시킴과 함께 세척수를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식기 세척기 작동 중 행정 미 수행 시에 세척수를 전기 분해하여 예비 세척수로 사용하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가열부 및 살균제 보관부 중 어느 하나를 살균부로 가지는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의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부; 세척수의 일부가 저장된 저장조; 저장조 내에 마련된 전기분해부; 집수부와 저장조 간의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전환밸브; 집수부 및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세척실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저장조 내의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전기분해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생성된 살균수가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하도록 유로전환밸브 및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은, 세척실의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부와, 세척수의 일부가 저장된 저장조와, 저장조 내에 마련된 전기분해부와, 집수부와 저장조 간의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전환밸브와, 집수부 및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전기분해부를 통해 저장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살균수를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시켜 식기세척기 내부를 살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 세척조 내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이 유동되는 세척 어셈블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부; 살균 모드 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살균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살균수가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세척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은, 세척조와, 식기 세척을 위한 세척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세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세척조와 세척 어셈블리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 모드가 수신되면 세척조 내에 수납된 식기 유무를 검출하고, 세척조 내에 식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급수부를 제어하여 물을 공급받고,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세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 내부로 순환 및 분사시키고, 순환 및 분사가 완료되면 배수부를 제어하여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은, 세척조와, 식기 세척을 위한 세척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세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세척조와 세척 어셈블리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 모드가 수신되면 세척조 내에 수납된 식기 유무를 검출하고, 세척조 내에 식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급수부를 제어하여 물을 공급받고, 공급된 물에 살균제를 토출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세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 내부로 순환시키고, 순환 및 분사가 완료되면 배수부를 제어하여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분해부를 가지고, 집수부와 유로전환밸브에 의해 연결된 저장조를 마련하고,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저장조의 전기분해부를 통해 저장조 내의 세척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함과 함께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시킴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식기세척기의 작동 시 저장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전기분해부를 이용하여 살균하여 예비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세제 용해도를 증가시킴과 함께 세척수를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살균제 또는 고온의 물을 사용하여 식기세척기 내부에 잔류하는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고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 내 균체량을 감소시켜 부패로 인한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의 살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살균 행정 전후로 살균제가 식기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의 살균 모드 시 본 살균 행정 전에 예비 살균 행정을 먼저 수행함으로써 세척조 내면과 결합력이 약한 유기물 및 미생물을 세척조 내면에서 1차적으로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살균 행정 시 세척 및 살균이 어려운 유기물 및 미생물의 세척 및 살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살균 모드 수행 과정 예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살균 모드의 예비 살균 행정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살균 모드의 본 살균 행정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살균 모드의 헹굼 행정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살균 모드 수행 전후의 균체량, 유기물량 및 가스발생량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7은 식기 세척기의 살균 모드 전후의 집수부 내의 균체량 및 가스량 그래프이다.
도 18은 살균 모드 전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균체량의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의 본체(110)와, 도어(120), 세척조(130), 세척제 보관부(140), 기계실(150), 수납부(160), 가이드부(170), 사용자 인터페이스(180), 구동모듈(190), 세척 어셈블리(200) 및 살균부(3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고 일면에 개구를 갖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개구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20)와, 본체(110)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고 도어(120)에 의해 개폐되는 세척조(130)와, 도어(12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식기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제를 보관하는 세척제 보관부(140)와,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세척조(130)에 의해 세척실과 공간적으로 분리 형성되고 세척 어셈블리 중 일부가 배치되는 기계실(150)을 포함한다.
또한 식기 세척기(1)는 식기를 수납하는 수납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부(160)는 세척조(130) 내에 서로 이격 설치되어 세척실을 복수의 수납 공간으로 분리하고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식기 인입 및 식기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수납부(160)는 세척실 내부에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식기 등을 수납하는 복수의 바스켓(161, 162)을 포함한다.
또한 식기 세척기(1)는 복수의 바스켓을 세척실의 내부 또는 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70)와, 본체(110)에 마련되어 있고 식기 세척기의 운전 정보를 조작 및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와, 식기 세척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각종 부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듈(190)과, 기계실(150) 및 세척조(130)에 마련되어 식기의 세척, 헹굼, 건조 행정 등을 수행하는 세척 어셈블리(200)를 더 포함한다.
세척 어셈블리(200)는 급수부(210), 집수부(220), 가열부(230), 필터부(240), 순환부(250), 분사부(260) 및 배수부(270)를 포함한다.
급수부(210)는 외부의 물 공급원과 집수부(220) 사이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집수부(220)로 안내하는 급수관(211)과, 외부로부터의 물 유입을 차단시키는 급수밸브(212)를 포함한다.
집수부(220)는 세척실 하부에 세척수와 오물이 고이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고, 급수관(211)을 통해 유입된 물 또는 세척이 진행된 세척수를 저장한다. 또한 집수부(220)는 세척 모드 시 세척제 보관부(140)에서 토출된 세척제를 저장한다.
즉 세척 모드 시 집수부(220)의 물은 세척제가 용해되어 세척수가 되고 이 세척수는 세척조(130), 집수부(220), 순환부(250), 분사부(260)를 순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집수부(220)는 순환부(250)에 연결되어 있고, 세척 행정 시 순환부(250)에 물을 공급하고, 또한 분사부(260)를 통해 세척조(130)에 분사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을 다시 저장하고 순환부(250)에 다시 공급한다.
또한 집수부(220)의 주변에는 물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 물의 열 방출을 방지하는 단열재(미도시) 등이 마련된다.
가열부(230)는 집수부(220)의 주변에 위치하고, 제어부(191a)의 명령에 따라 구동하여 집수부(220) 내 물을를 가열시킨다.
필터부(240)는 집수부(2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된 오물을 걸러 준다.
즉 필터부(240)는 식기에서 분리된 오염물이 섞인 세척수에서 세척수만을 집수부(220)로 배출시키고 식기에서 분리된 오염물을 저장한다.
순환부(250)는 집수부(220)와 분사부(260)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필터부(240)에서 걸러진 집수부(220) 내의 물을 펌핑하여 각 분사 노즐(261, 262, 263)로 물을 가압하는 순환펌프(251)와, 펌핑된 물을 분사부(260)로 안내하는 순환관(252)을 포함한다.
이러한 순환부(250)는 집수부(220) 내 물을 펌핑하여 순환관(252)을 통해 분사부(260)에 공급함으로써 집수부(220) 내의 물을 순환시킨다.
분사부(260)는 복수의 바스켓(161, 162)에 수납되는 식기로 물을 분사하기 위해 세척실(12)의 내측 하부, 중부, 상부에 각각 설치된 제1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및 제3분사노즐(26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2분사 노즐(261, 262)은 세척조(130)의 하부 및 중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3분사노즐은 세척조(1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배수부(270)는 집수부(220) 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배수부(270)는 집수부(220) 내 물을 펌핑하는 배수펌프(271)와, 배수펌프(271)에서 외부로 연장 설치되고 배수펌프(271)에서 펌핑된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272)을 포함한다. 아울러 배수부(270)는 집수부(220) 내 물의 외부 배출을 조절하는 배수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기 세척기는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부(300)를 더 포함한다.
살균부(300)는 급수관(211)에서 분기된 분기관(310)과, 분기관(310)에 연결된 저장조(320)와, 저장조(320) 내부에 설치되고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기분해부(330)를 포함한다.
아울러, 분기관(310)은 급수밸브(212)를 통해 급수관(212)에서 분기된 배관이고, 여기서 급수밸브(212)는 집수부(220)와 저장조(320) 내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 전환 밸브이다.
급수밸브(212)는 집수부(220)와 저장조(320)를 연결하는 제1유로와, 외부의 수도관과 집수부(220)를 연결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제1유로를 개방하거나 또는 제2유로를 개방한다.
즉 급수밸브(212)는 제1유로를 개방시키고 제2유로를 폐쇄시켜 집수부(220)에 저장된 세척수가 저장조(320)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저장조(320) 내의 살균수가 집수부(220)에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급수밸브(212)는 제1유로를 폐쇄시키고 제2유로를 개방시켜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의 수돗물이 집수부(220)로 유입되도록 한다.
아울러 급수밸브(212)는 집수부(200)와 저장조(320) 사이에 연결된 제1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와, 집수부와 수도관 사이에 연결된 제2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기분해부(330)는 저장조(320)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한다.
전기분해부(330)에서 전기분해를 거친 물은 살균효과를 나타내는데, 이 전기분해에 의한 살균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사이로 물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물 속에 잔류된 미생물을 살균 또는 소멸시키는 기술로서, 처리된 물에는 염소(Cl2), 차아염소산이온(OCl-) 및 다른 살균이온과 자유 라디칼 등 살균 작용을 하는 산화성 혼합물질이 생성된다.
여기서 차아염소산, 염소, 이산화염소 및 다른 염소계 산화제 등의 다양한 산화제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제품에서 위생 목적으로 이용되는 가장 효과적인 살균 작용제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세척기 미작동시 식기세척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장조(320) 내의 전기분해부(330)를 작동시켜 저장조(320)의 살균수를 생성함과 함께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시켜 세척실, 집수부(220), 순환부(250), 분사부(260) 및 배수부(270) 등을 살균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식기세척기의 작동 시 세제 용해도를 증가시킴과 함께 세척수를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저장조(320)에 저장된 세척수를 전기분해부(330)을 통해 살균한 후 예비 세척수로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 구동모듈(190), 세척 어셈블리(200) 및 살균부(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 및 운전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세척코스(예를 들어, 표준코스, 수동코스 등)와 헹굼 추가 등의 운전정보, 살균 모드 및 살균 모드 실행 주기 등을 입력받는 입력부(181)와, 식기세척기의 세척 모드와 관련된 정보 및 살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82)를 포함한다.
구동 모듈(190)은 제어부(191a), 구동부(192a), 저장부(193a)를 포함한다.
제어부(191a)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모드 또는 세척조 내부 및 세척 어셈블리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 모드의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구동부(192a)는 제어부(191a)의 명령에 따라 세척 어셈블리(200)의 순환펌프(251), 배수펌프(271) 및 급수 밸브(212)를 구동시키고, 또한 살균부(300)의 전기분해부(330) 및 검출부(340)를 구동시킨다.
저장부(193a)는 살균 모드와 관련된 정보인 전기 분해를 위한 저장조 내 수위의 기준량, 기준 시간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검출부(280)는 저장조(320) 내부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로, 저장조(3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91a)는 식기세척기가 미동작시, 집수부(220) 내에 잔수의 양에 관계없이 저장조(320) 내에 마련된 전기분해부(330)를 작동시킴으로써 살균수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91a)는 저장조(320) 내의 수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저장조(320) 내의 잔수량이 기준량 이상이면 전기분해부(33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기준량은 전기분해부(330)가 수량 부족으로 인해 오작동에 의한 과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량을 의미한다.
제어부(191a)는 살균수를 생성한 후 급수밸브(212)를 개방시키고 순환펌프(251)를 구동시켜 저장조(320) 내의 살균수를 급수관(211), 집수부(220), 순환관(252), 분사부(260) 등을 순환하며 식기세척기 내부 전체가 살균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 미동작시의 살균 동작은 예를 들면, 한 번 동작에 전기분해부(330)를 12V 내지 24V의 인가전압을 이용하여 10분 내지 30분을 동작시키며 1일 내지 3일 주기로 한 번 씩 동작시킴에 따라 식기세척기 내부의 미생물의 오염농도를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항상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전기분해부(330)를 작동시켜 생성한 살균수의 살균 성능은 발생 시간에 따라 증가하며 10분 이상의 발생에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여 30분 이상의 동작에서 확연히 증가된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식기세척기의 특징상 잔수나 저장수에 식기세척 후 잔류한 유기물이 남아있어 전기분해부(330)의 동작과 살균수 생성에 지장을 줄 수 있지만, 10분 이상의 동작에서 살균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살균 효과에는 변함이 없다.
뿐만 아니라 살균처리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박테리아의 경우 개체증식을 다시 시작하여 1일 이후에는 살균전의 균체 량을 회복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80℃이상의 고온을 이용한 살균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며 고온 처리의 경우 식기세척기 내에서 고온의 열에 내성이 강한 특징을 갖는 병원성균의 경우 고온의 열에 쉽게 적응(Adaptation)이 될 수 있어 치명적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전기분해부(330)를 이용하게 될 경우 고온처리에 비해 더욱 전력소비가 적고 효과적인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
지속적 살균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단위 간격의 지속적 라디칼 발생 및 살균처리를 필요로 하는데, 1일 내지 3일 주기로 1회 이상의 전기분해 장치를 구동할 경우 식기세척기 내 총 균수는 1log 미만으로 조절되어 살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분해부(330)의 살균수 생성 과정에서 함께 발생하는 양이온(H+)은 파우더(powder) 상태인 세제가 물에 용해될 때 용해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함으로 세척 행정 시작 시 세제 투입 과정에서 전기분해 발생장치의 동작을 통한 라디칼 발생 수가 적용되면 세제 용해도를 높여 세제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분해 과정에서 수소 및 산소가 결합되어 발생되는 기체에 의해 미세한 버블이 발생되는데, 세제의 다양한 성분 중에 물에 용해되지 않는 탄산염 등의 물질들은 미세 버블에 의해 이산(dispersion) 되며 라디칼 성분과 세제성분과 반응하여 더욱 활성을 높여 세척력을 높일 수 있다. 증가된 세제 활성은 세척성능 향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전기분해 살균 수의 적용을 통해 살균 및 세척성능을 모두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1a)는 식기세척기가 동작 시 전기분해부(330)를 작동시킴으로써 저장조(320)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전기분해하고, 급수밸브(212)를 개방함과 함께 순환펌프(251)를 구동시킴으로써 저장조(320) 내의 살균수와 유입된 수돗물을 순환시킨다.
이때, 전기분해부(33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들인 세척수 내의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는 성분(예를 들면, 차아염소산, HClO)과 세제활성 촉진 성분(예를 들면, 양이온, H+)은 유입된 수돗물 내에 포함된다.
그런 후 제어부(191a)는 예비 세척, 본 세척, 헹굼의 일련의 정규 세척행정을 수행하고 그 일련의 정규 세척행정이 종료된 후에는 급수밸브(212)를 개방시켜 마지막 헹굼수가 폐수로 배출되지 않고 저장조(320)에 다시 저장되게 한 후 급수밸브(212)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저장조(320)에 저장된 세척수는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살균 동작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조(320)에 저장된 세척수는 다음 식기세척기의 작동시 세제 용해 및 살균 동작에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살펴보면, 먼저, 식기세척기는 식기세척기가 미 작동 중인지를 판단(401)한다.
작동모드 401에서 식기세척기가 미동작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식기세척기는 저장조(320)의 수위를 검출(402)하고,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저장조(320)의 잔수량이 기준량 이상인지를 판단(403)한다.
만약, 작동모드 403의 판단결과 잔수량이 기준량 이상이면, 전기분해부(330)를 온(404) 시킨다. 이에 따라, 저장조(320) 내의 세척수가 살균되어 살균수가 생성된다.
이와 함께, 식기세척기는 급수밸브(212)를 개방(405)하고, 순환펌프(251)을 온(406) 시킨다. 이에 따라, 저장조(320) 내의 살균수가 식기세척기 내부를 순환하면서 살균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살균 작업을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는 전기분해부(330)를 오프시킴과 함께 순환펌프를 오프(407)시킨다.
그리고, 식기세척기는 식기세척기 작동시 예비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급수밸브(212)를 폐쇄(408)시킨다. 이에 따라, 살균수가 저장조(320) 내부에 저장된다.
한편, 작동모드 403의 판단결과 잔수량이 기준량 미만이면, 식기세척기는 전기분해부(330)가 수량 부족으로 인해 오작동에 의한 과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전기분해부(330)를 오프(409)시킨다.
한편, 작동모드 401의 판단결과, 식기세척기의 동작이 개시된 경우, 식기세척기는 저장조(320)의 수위를 검출(410)하고,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저장조(320)의 잔수량이 기준량 이상인지를 판단(411)한다.
만약, 작동모드 411의 판단결과 잔수량이 기준량 이상이면, 식기세척기는 급수밸브(212)를 폐쇄(412)시키고, 전기분해부(330)를 온(413) 시킨다. 이에 따라, 저장조(320) 내의 세척수가 살균되어 살균수가 생성된다.
소정 시간 동안 살균수를 생성한 후 식기세척기는 급수밸브(212)를 개방(414)하고, 순환펌프(251)을 온(415) 시킨다. 이에 따라, 저장조(320) 내의 살균수가 식기세척기 내부를 식기세척기 내부를 순환하면서 살균한다.
이와 같이, 저장조(320) 내의 살균수는 예비 세척수로 사용된다. 이때, 급수밸브(212)는 저장조(320) 측 유로 뿐만 아니라, 수도관과 연결된 급수측 유로로 함께 개방하여 수돗물을 공급받는다.
이때, 전기분해부(330)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들인 세척수 내의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는 성분(예를 들면, 차아염소산, HClO)과 세제활성 촉진 성분(예를 들면, 양이온, H+)은 유입된 수돗물 내에 포함된다.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식기세척기는 전기분해부(330)를 오프시키고, 급수밸브(212)를 폐쇄(416)한다. 이때, 급수밸브(212)는 저장조(320)측 유로는 폐쇄시키고, 급수측 유로는 개방한다.
그런 후 식기세척기는 예비세척행정, 본 세척행정, 헹굼 행정으로 이루어진 식기세척행정을 진행(417)한다.
이와 함께 식기세척기는 식기세척행정을 진행하면서 마지막 헹굼 행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418)하고, 마지막 헹굼 행정이 완료되면 저장조(320)의 수위를 검출(419)하고,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저장조(320)의 잔수량이 기준량 이상인지를 판단(420)하고, 잔수량이 기준량 이상이면 급수밸브(212)를 폐쇄(421)시키고, 순환펌프(251)를 오프(422)시킨다.
이에 따라, 예비 세척, 본 세척, 헹굼의 일련의 정규 세척행정이 종료된 후에 마지막 헹굼수가 배수되지 않고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예비 세척수로 사용되어 세제 용해 및 살균 동작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저장조(320) 내에 저장되게 한다.
한편, 작동모드 411의 판단결과 잔수량이 기준량 미만이면, 식기세척기는 전기분해부(330)가 수량 부족으로 인해 오작동에 의한 과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전기분해부(330)를 오프(423)시킨다.
이상과 같이,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집수부(220) 내의 잔수량에 관계없이 저장조(320) 내에서 주기적인 전기분해부(330)의 작동을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고 식기세척기 내부를 순환시키는 살균 작업을 통해 식기세척기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식기세척기 내부에서는 일반적으로 유해수준인 7Log(CFU/mL) 이상의 미생물 농도를 나타내는데, 주기적으로 살균 작업을 통해 잔류 미생물 농도를 1Log(CFU/mL)이하로 확연히 낮춰줌으로써 식기세척기 행정 시작 후 초기 미생물 농도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미생물의 생존 특성상 초기농도를 낮춰 주는 것은 장기적인 식기세척기 오염 측면에서 오염 제거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열에 의한 살균에 비해 내열성 미생물까지 살균할 수 있으므로, 최근 발생하고 있는 내열성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 생성 과정에서 함께 생성되는 마이크로 버블과 양이온(H+)은 세척 초기 단계에 적용하여 세제용해 및 활성을 극대화 시켜줄 수 있는 성분으로써 세척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도로, 식기 세척기(2)는 본체(110), 도어(120), 세척조(130), 세척제 보관부(140), 기계실(150), 수납부(160), 가이드부(170), 사용자 인터페이스(180), 구동 모듈(190), 세척 어셈블리(200) 및 살균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2)의 본체(110), 도어(120), 세척조(130), 세척제 보관부(140), 기계실(150), 가이드부(17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식기 세척기(2)는 식기를 수납하는 수납부(160)를 포함한다.
수납부(160)는 세척조(130) 내에 마련되고 복수의 분사 노즐(261, 262, 263)에서 분사된 물이 통과되는 다양한 크기의 홀을 가진 제1, 2바스켓(161, 162) 및 커트러리(163)를 포함한다.
제1바스켓(161)은 세척조(130)의 바닥 면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제2바스켓(162)은 세척조(130)의 중앙에 위치하며, 커트러리(170)는 세척조(130)의 바닥 면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1바스켓(161)은 세척 대상인 그릇, 접시, 조리기구 등의 다양한 식기를 수용하고, 제2바스켓(162)은 컵 등을 수용하며, 커트러리(163)는 포크, 테이블 나이프, 숟가락 또는 젓가락, 식도, 국자 등을 수용한다.
또한, 세척조(130)의 내부에는 제2바스켓(162)을 지지하고 제2바스켓(162)를 인출 방향에 따라 세척조(130)의 내부/외부로 각각 인출 및 인입하는 제1가이드부(17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커트러리(163)를 지지하고 커트러리(163)를 인출 방향에 따라 세척조(130)의 내부/외부로 인출 및 인입하는 제2가이드부(172)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식기 세척기(2)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바스켓(161)을 지지하고 제1바스켓(161)를 인출 방향에 따라 세척조(130)의 내부/외부로 각각 인출 및 인입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세척 모드와 관련된 운전 정보를 입력받고 진행 중인 운전 정보 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세척 모드는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시켜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 행정, 헹굼수를 식기에 분사시켜 식기를 헹구는 헹굼 행정, 헹굼이 완료된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는 살균 모드 및 살균 모드의 실행 주기를 입력받고, 살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살균 모드는 살균수를 세척 어셈블리(200) 내에서 순환시키고, 순환된 살균수를 세척조 내에 분사시켜 세척조(130) 및 세척 어셈블리(200)를 살균하는 예비 살균 행정 및 본 살균 행정과,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200) 내의 살균수를 제거하는 헹굼 행정을 포함한다.
세척 행정, 예비 살균 행정, 본 살균 행정과 헹굼 행정은, 세척, 살균 또는 헹굼을 위해 물을 공급받는 급수모드, 세척수, 살균수 또는 헹굼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모드, 세척수, 살균수 또는 헹굼수를 가열하는 가열모드, 세척수, 살균수 또는 헹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드 등을 포함한다.
구동 모듈(19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에 입력된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모드 또는 세척조 내부 및 세척 어셈블리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 모드의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세척 어셈블리(200)는 식기 세척을 위한 구성부들로,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세척 어셈블리(200)는 급수부(210), 집수부(220), 필터부(240), 순환부(250), 분사부(260) 및 배수부(270)를 포함한다. 이 중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급수부(210)는 외부의 물 공급원과 집수부(220) 사이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집수부(220)로 안내하는 급수관(211)과, 외부로부터의 물 유입을 차단시키는 급수밸브(212)를 포함한다.
집수부(220)는 급수관(211)을 통해 유입된 물을 저장한다.
집수부의 물은 세척 모드 시에 세척제가 용해되어 세척수로 이용되고, 세척 모드 및 살균 모드 시에 헹굼수로 이용된다. 아울러 집수부의 물은 살균 모드의 예비 살균 행정 및 본 살균 행정 시에 살균수로 이용된다.
이러한 세척수, 헹굼수 또는 살균수는 세척조(130), 집수부(220), 순환부(250), 분사부(260)를 순환한다.
필터부(240)는 식기에서 분리된 오염물이 섞인 세척수에서 세척수만을 집수부(220)로 배출시킨다.
순환부(250)는 집수부(220)와 분사부(260)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집수부(220) 내 물을 펌핑하여 순환관(252 내지 255)을 통해 분사부(260)에 공급한다.
이러한 순환부(250)는 집수부(220) 내 물을 펌핑하는 순환펌프(251)와, 펌핑된 물을 분사부(260)로 안내하는 순환관(252 내지 255)과, 순환관(253 내지 255)에 각각 마련되어 펌핑된 물의 순환을 조절하는 밸브(256, 257, 258)를 포함한다.
여기서 순환펌프(251)는 급수 모드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펌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순환관(252 내지 255)은 순환펌프(251)에서 배출된 물을 안내하는 메인관(252)과, 이 메인관(252)에서 분기되고 각 노즐(261 내지 263)에 물을 안내하는 제1 내지 제3분기관(253, 254, 255)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메인관(252)에서 분기된 제1분기관(253)은 물을 제1분사노즐(261)로 안내하고, 메인관(252)에서 분기된 제2분기관(254)은 물을 제2분사노즐(262)로 안내하며, 메인관(252)에서 분기된 제3분기관은 물을 제3분사노즐(262)로 안내한다.
제1밸브(256)은 제1분기관(253)에 위치하고, 제2밸브(257)는 제2분기관(254)에 위치하며, 제3밸브(258)는 제3분기관(255)에 위치한다.
제1밸브(256)는 제어부(283)의 명령에 따라 제1분사노즐(261)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고, 제2밸브(257)는 제어부(283)의 명령에 따라 제2분사노즐(262)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며, 제3밸브(258)는 제어부(283)의 명령에 따라 제3분사노즐(263)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조절한다.
분사부(260)는 순환부(250)를 통해 공급된 물을 제1, 2바스켓(150, 160) 및 커트러리(170)에 수용된 다양한 식기를 향해 분사한다.
이러한 분사부(260)는 제1바스켓(150)의 하부에 마련된 제1분사노즐(261)과, 제1바스켓(150)과 제2바스켓(160) 사이에 마련된 제2분사노즐(262)과, 커트러리(170)의 상부에 마련된 제3분사노즐(263)을 포함한다.
분사부(260)는 제1분사노즐(261)에 마련되고 순환부(25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제1로터(264)와, 제2분사노즐(262)에 마련되고 순환부(25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제2로터(265)와, 제3분사노즐(263)에 마련되고 순환부(250)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제3로터(266)를 포함한다.
즉, 세척수 분사 시 제1로터(264)의 회전에 의해 제1노즐(261)이 회전되고, 제2로터(265)의 회전에 의해 제2분사노즐(262)이 회전되며, 제3로터(266)의 회전에 의해 제3분사노즐(263)이 회전된다.
여기서 제1분사노즐(261)은 상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물을 상측 방향으로 분사하고, 제2분사노즐(262)은 상하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물을 상하 방향으로 분사하고, 제3분사노즐(263)은 하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물을 하측 방향으로 분사한다.
즉, 제1분사노즐(261)은 제1분기관(253)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제2분사노즐(262)은 제2분기관(254)을 통해 물을 공급받으며, 제3분사노즐(263)은 제3분기관(255)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
배수부(270)는 집수부(220) 내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배수부(270)는 집수부(220) 내 물을 펌핑하는 배수펌프(271)와, 펌핑된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272)을 포함한다.
살균부(500)는 살균 모드 시 세척조(130) 및 세척 어셈블리(200)의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수를 생성한다. 이러한 살균부(500)는 검출부(510: 511, 512) 및 가열부(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살균부(500)는 살균 모드의 본 살균 행정 시에 사용될 살균수를 생성하나, 예비 살균 행정 시에 사용될 살균수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예비 살균 행정 시에 사용되는 살균수의 온도는 본 살균 행정 시에 사용되는 살균수보다 낮은 온도의 살균수이다.
검출부(510)는 살균 모드 수행을 위한 세척조(130) 내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510)는 세척조(130) 내부의 식기 유무를 검출하는 식기 검출부(511)와,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어 세척조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512) 및 집수부(220)에 마련되어 집수부(220) 내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5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식기 검출부(511)는 살균 모드 수행 시 살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척조 내부의 살균 수행에 저항 요소가 되는 식기가 세척조(13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식기 검출부(511)는 세척조의 상부 및 하부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고, 제1바스켓, 제2바스켓 및 커트러리 내에 수납된 식기를 검출하는 음파 센서, 전자파 센서, 광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식기 검출부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와, 출력된 광의 양을 검출하는 수광부를 갖는 광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검출된 광량이 기준 광량 이하이면 식기가 있다고 판단하고 검출된 광량이 기준 광량을 초과하면 식기가 없다고 판단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검출부(511)는 제1 바스켓(161), 제2바스켓(162), 커트러리(163)에 각각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식기 검출부(511)는 제2바스켓(162), 커트러리(163)가 장착되는 가이드부(170: 171, 172)에 각각 위치하고, 제2바스켓(162), 커트러리(163)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 센서(511a)를 포함한다.
식기 검출부(511)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바스켓(161)이 장착되는 가이드부에 위치하여 제1바스켓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부는 검출된 무게가 기준 무게 이상이면 세척조 내에 식기가 있다고 판단하고 검출된 무게가 기준 무게 미만이면 세척조 내에 식기가 없다고 판단한다.
가열부(520)는 집수부(220)의 주변에 위치하고, 제어부(191b)의 명령에 따라 구동하여 집수부(220) 내 물을 살균 가능한 온도로 가열시킨다.
여기서 가열부(520)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를 가열하는 일 실시예의 가열부(230)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별도의 가열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식기 세척을 위한 가열부와 살균수 생성을 위한 가열부를 이용하는 경우, 두 가열부는 서로 용량이 상이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제어 구성도로서, 식기 세척기(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 구동모듈(190), 세척 어셈블리(200) 및 살균부(5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는 사용자로부터 식기 세척과 관련된 운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81)와, 식기 세척 수행 중인 운전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82)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의 입력부(181)는 살균 모드 및 살균 모드의 실행 주기를 입력받고, 표시부(182)는 살균 모드 수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182)는 살균 모드 진입 전에 세척조 내에 수납된 식기의 존재 유무를 표시한다.
여기서 살균 모드 수행에 대한 정보는 살균 모드 진행 경과 시간, 남은 시간 등의 정보, 남은 행정 정보, 다음 살균 모드의 수행 일정 정보 등을 포함하고, 남은 행정 정보는, 세척조 내부에 남아 있는 살균제를 제거하기 위한 헹굼 행정의 시간이나 횟수를 포함한다.
세척 어셈블리(200)는 세척 모드 시 제어부(191b)의 제어 명령에 따라 급수부(210), 순환부(250), 배수부(270)를 구동시켜 세척을 위한 물이 집수, 순환, 분사 및 배수되도록 한다.
세척 어셈블리(200)는 살균 모드 시 살균수 및 헹굼수를 순환시킨다. 이때 세척 어셈블리(200)를 순환하는 살균수에 의해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200)의 내부가 세척 및 살균되고 또한 세척 어셈블리(200)를 순환하는 헹굼수에 의해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200)의 내부의 세균수가 제거된다.
살균부(500)는 살균 모드 시 제어부(191b)의 제어 명령에 따라 검출부(510) 및 가열부(520)를 구동시켜 살균을 위한 물이 생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검출부(510)는 살균 모드 수행을 위한 세척조 내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한다.
식기 검출부(511)는 세척조 내의 수납부에 수납된 식기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91b)에 전송한다. 이러한 식기 검출부(511)는 무게 센서, 음파 센서, 전자파 센서, 광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수위 검출부(512)는 세척조(130) 또는 집수부(220) 내의 물의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91b)에 전송한다.
온도 검출부(513)는 집수부(220) 내에 집수된 물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91b)에 전송한다.
여기서 수위 검출부(512) 및 온도 검출부(513)는, 식기 세척을 위해 기존에 마련된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살균 수행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검출부(510)는 세척조 내의 가스 등으로 인한 냄새의 양을 검출하는 냄새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냄새 검출부(미도시)는 살균 모드의 수행 시점 판단 시에 이용되는 검출부이다.
구동모듈(190)은 세척 모드 및 살균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부하를 제어 및 구동시키는 것으로, 제어부(191b), 구동부(192b) 및 저장부(193b)를 포함한다.
제어부(191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를 통해 식기 세척을 위한 운전 정보 및 세척조 내부 살균을 위한 운전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운전 정보 및 진행 중인 운전 정보의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191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에 입력된 운전 정보가 세척 모드이면 세척제가 토출되도록 세척제 보관부(140)의 개방을 제어하고,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건조 행정이 수행되도록 세척 어셈블리(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91b)는 세척 모드 시 급수부(210)의 구동을 제어하되 수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수위에 기초하여 급수밸브(212)의 폐쇄를 제어하고, 급수가 완료되면 집수부(220)의 물이 순환되도록 순환부(250)의 순환펌프(251) 및 복수의 밸브(256, 257, 258)의 구동을 제어하며, 세척 모드가 완료되면 세척에 이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부(270)의 배수펌프(271)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91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에 입력된 운전 정보가 살균 모드이거나 현재 시점이 살균 모드 수행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세척조 내부의 식기 수납 유무를 판단하고 세척조 내에 식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세척 모드의 진입을 제어한다.
제어부(191b)는 살균 모드로 진입 후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살균 행정과 헹굼 행정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91b)는 살균 행정을 위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검출부(510)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급수부(210)의 급수밸브(212) 및 가열부(520)의 구동을 제어하고, 살균수 생성이 완료되면 생성된 살균수가 분사되도록 순환부(250)의 구동을 제어하며, 살균 행정이 완료되면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부(2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91b)는 살균수 순환 시 순환 펌프(251)를 온 제어하고 복수의 밸브(256, 257, 258)를 개방 제어하며, 살균수 배출 시 배수펌프(271)를 온 제어한다.
여기서 살균수는 세척조 내부에 기준 수위만큼 수용되어 있고, 또한 살규수는 살균에 적절한 기준 온도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191b)는 살균 모드 중 헹굼 행정 수행 시 헹굼수를 제공받기 위해 급수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헹굼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순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헹굼수의 배출을 위해 배수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살균 모드의 헹굼 행정은, 살균 행정 전 및 살균 행정 후에 수행 가능하다.
구동부(192b)는 세척 모드 시 제어부(191b)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식기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순환되도록 급수부의 급수 밸브(211), 순환부의 순환펌프(251),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구동시키고, 식기 세척에 사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부의 배수펌프(271)를 구동시킨다.
구동부(192b)는 살균 모드 시 제어부(191b)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가열부(520)를 구동시키고, 살균수가 순환되도록 급수부의 급수 밸브(211), 순환부의 순환펌프(251),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구동 시키며,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부의 배수펌프(271)를 구동시킨다.
저장부(193b)는 미리 정해진 살균 주기와, 본 살균 행정 시 살균이 가능한 물의 기준 온도를 저장한다.
저장부(193b)는 예비 살균 행정에 적절한 제1기준 수위 및 제1기준 시간, 본 예비 살균에 적절한 제2기준 수위 및 제2기준 시간, 헹굼 행정에 적절한 제3기준 수위 및 제3기준 시간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1기준수위, 제2기준수위 및 제3 기준수위는 동일한 수위일 수도 있고 상이한 수위일 수도 있으며, 제1기준시간 및 제3기준 시간은 동일한 시간일 수도 있고 상이한 시간일 수도 있다.
저장부(193b)는 살균 모드에서의 본 살균 행정의 시간 및 횟수, 예비 살균 행정의 횟수, 살균 모드에서의 헹굼 행정의 횟수를 저장한다.
아울러, 예비 살균 행정의 횟수가 복수 번일 때, 각 예비 살균 행정의 수행 시간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한 헹굼 행정의 횟수가 복수 번일 때에도 각 헹굼 행정의 수행 시간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93b)는 예비 살균 행정의 횟수 및 헹굼 행정의 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오염도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순서도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2)는 살균 모드를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531)한다.
여기서 살균 모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에 살균 모드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현재 시점이 미리 정해진 살균 주기의 시점인지 판단하거나, 또는 냄새 검출부(미도시)에 검출된 냄새량이 기준량 이상일 때를 살균 모드 진행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식기 검출부(511)를 이용하여 세척실의 식기를 검출(532)하고,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실에 수납된 식기가 있는지 판단(533)하고, 이때 세척실에 수납된 식기가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식기를 인출할 것을 알리고(534), 또한 식기 인출 후에 살균 모드를 다시 명령할 것을 알린다.
반면 식기 세척기(2)는 세척실에 수납된 식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의 살균을 위해 살균 모드로 진입(535)한다.
식기 세척기(2)는 예비 살균 행정(536), 본 살균 행정(537) 및 헹굼 행정(538)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예비 살균 행정은 선택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식기 세척기(2)는 상온의 물을 급수받고, 급수된 물을 순환 및 분사시켜 예비 살균 행정을 수행한 후 예비 살균 행정에 사용된 물을 배수한다. 이러한 예비 살균 행정을 두 번 수행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상온의 물을 급수받고, 급수된 물을 고온 살균에 가능한 온도까지 가열하고, 고온 살균에 가능한 온도까지 가열된 물을 순환 및 분사시켜 본 살균 행정을 수행한 후 본 살균 행정에 사용된 물을 배수한다. 이러한 본 살균 행정을 한 번 수행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상온의 물을 급수받고, 급수된 물을 순환 및 분사시켜 헹굼 행정을 수행한 후 헹굼 행정에 사용된 물을 배수한다. 이러한 헹굼 행정을 세 번 수행한다.
예비 살균 행정은 미리 정해진 횟수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행하고, 헹굼 행정은 미리 정해진 횟수의 헹굼 행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의 헹굼 행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거나, 또는 오염도 검출부(미도시)에서 검출된 헹굼수 내의 오염도 정보에 기초하여 헹굼 횟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예비 살균 행정, 본 살균 행정 및 헹굼 행정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비 살균 행정의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2)는 급수부의 급수 밸브(212)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예비 살균을 위한 물을 공급(541)받아 집수부(220) 및 세척조(130)에 저장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에 공급된 물의 수위를 검출(542)하고, 검출된 수위와 제1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검출 수위가 제1 기준 수위인지 판단(543)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의 검출 수위가 제1기준 수위라고 판단되면 급수 밸브를 폐쇄시켜 급수가 정지되도록 한다(544).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순환펌프(251)를 온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개방시켜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 내의 살균수가 메인관(252), 제1분기관(253), 제2분기관(254), 제3분기관(255) 통해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 후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을 통해 세척실로 분사되도록 한다(545).
즉,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 내부의 살균수가 순환펌프(251), 메인관(252), 제1분기관(253), 제2분기관(254), 제3분기관(255),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을 거쳐 세척조 내부의 세척실로 분사되고, 분사된 살균수가 다시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에 집수되도록 하는 살균수의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세척조(130) 및 세척 어셈블리(200) 내부의 살균을 수행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예비 살균 행정이 수행된 예비 살균 시간과 미리 정해진 제1기준 시간을 비교하고 이때 예비 살균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546)되면 순환펌프(251)를 오프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폐쇄시킴으로써 살균수의 순환 및 분사가 정지되도록 한다(547).
다음 식기 세척기(2)는 배수펌프(271)를 온 구동시켜 세척조(130) 내의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548)되도록 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의 살균수가 모두 배출되었다고 판단(549)되면 배수 펌프(271)를 오프 구동시켜 배수가 정지(550)되도록 한 후 예비 살균 행정을 종료시킨다.
이와 같이 예비 살균 행정을 수행함으로써, 본 살균 행정 전에 세척조와의 결합력이 낮은 유기물과 미생물을 1차적으로 먼저 분리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살균 행정 전에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 내의 유기물의 농도를 낮추어 줄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살균 행정에서의 살균 행정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살균 행정의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2)는 살균 모드로 진입되면 급수부의 급수 밸브(212)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살균을 위한 물을 공급(551)받아 집수부(220) 및 세척조(130)에 저장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에 공급된 물의 수위를 검출(552)하고, 검출된 수위와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검출 수위가 제2기준 수위인지 판단(553)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의 검출 수위가 제2 기준 수위라고 판단되면 급수 밸브를 폐쇄시켜 급수가 정지되도록 하고(554), 가열부를 온 구동시켜 세척조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한다(555).
이때 식기 세척기(2)는 온도 검출부를 이용하여 가열 중인 물의 온도를 검출(556)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의 물의 온도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를 비교(557)하고 이때 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이면 살균수 생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가열부(520)를 오프 구동시킴으로써 가열이 정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살균수는 대략 50℃ 내지 90℃ 의 온도를 갖는 물이다.
아울러, 살균수의 생성 완료는, 물의 온도 검출 과정 없이 미리 설정된 가열 시간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순환펌프(251)를 온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개방시켜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 내의 살균수가 메인관(252), 제1분기관(253), 제2분기관(254), 제3분기관(255) 통해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 후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을 통해 세척실로 분사되도록 한다(558).
즉,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 내부의 살균수가 순환펌프(251), 메인관(252), 제1분기관(253), 제2분기관(254), 제3분기관(255),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을 거쳐 세척조 내부의 세척실로 분사되고, 분사된 살균수가 다시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에 집수되도록 하는 살균수의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세척조(130) 및 세척 어셈블리(200) 내부의 살균을 수행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살균 모드가 수행된 살균 시간과 미리 정해진 제2기준 시간을 비교하고 이때 살균 시간이 제2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559)되면 순환펌프(251)를 오프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폐쇄시킴으로써 살균수의 순환 및 분사가 정지되도록 한다(560).
여기서 기준 시간은 대략 15분 이상의 시간이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배수펌프(271)를 온 구동시켜 세척조(130) 내의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561)되도록 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의 살균수가 모두 배출되었다고 판단(562)되면 배수 펌프(271)를 오프 구동시켜 배수가 정지(563)되도록 한 후 살균 행정을 종료시킨다.
여기서의 살균 행정은 적어도 한 번 이상 수행 가능하다.
아울러 배출 완료를 판단하는 것은, 수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위에 기초하여 판단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배출 시간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헹굼 행정의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2)는 급수부의 급수 밸브(212)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헹굼을 위한 물을 공급(571)받아 집수부(220) 및 세척조(130)에 저장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에 공급된 물의 수위를 검출(572)하고, 검출된 수위와 제3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검출 수위가 제3 기준 수위인지 판단(573)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의 검출 수위가 제3기준 수위라고 판단되면 급수 밸브를 폐쇄시켜 급수가 정지되도록 한다(574).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순환펌프(251)를 온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개방시켜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 내의 헹굼수가 메인관(252), 제1분기관(253), 제2분기관(254), 제3분기관(255) 통해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 후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을 통해 세척실로 분사되도록 한다(575).
이와 같이 헹굼수가 세척 어셈블리에서 세척조 내부의 세척실로 분사되고, 분사된 헹굼수가 다시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에 집수되도록 하는 헹굼수의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세척조(130) 및 세척 어셈블리(200) 내부의 살균을 수행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헹굼 행정이 수행된 헹굼 시간과 미리 정해진 제3기준 시간을 비교하고 이때 헹굼 시간이 제3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576)되면 순환펌프(251)를 오프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폐쇄시킴으로써 헹굼수의 순환 및 분사가 정지되도록 한다(577).
다음 식기 세척기(2)는 배수펌프(271)를 온 구동시켜 세척조(130) 내의 헹굼수가 외부로 배출(578)되도록 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의 헹굼수가 모두 배출되었다고 판단(579)되면 배수 펌프(271)를 오프 구동시켜 배수가 정지(550)되도록 한 후 살균 행정을 종료시킨다. 여기서 헹굼수는 상온의 물이다.
식기 세척기(2)는 살균 모드의 종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식기 세척기(2)는 다음 번의 살균 모드 일정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살균 모드를 수행함에 따라 식기 세척기 내 균체량과 유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부패로 인한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모드의 수행 전후로 균체랑, 유기물(ATP) 검출량, 악취 발생량을 비교해본 결과, 살균 모드 수행 전에 균체량이 7log/cm2이나 살균 모드 수행 후에 6log/cm2 이상의 살균력을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살균 모드 수행 후에 유기물량이 200RLU 미만으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기물 및 균체량이 감소됨에 따라 가스량도 살균 모드 수행 전에 비해 살균 모드 수행 후에 90%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14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도로, 식기 세척기(3)는 본체(110), 도어(120), 세척조(130), 세척제 보관부(140), 기계실(150), 수납부(160), 가이드부(170), 사용자 인터페이스(180), 구동 모듈(190), 세척 어셈블리(200) 및 살균부(60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3)의 본체(110), 도어(120), 세척조(130), 세척제 보관부(140), 기계실(150), 수납부(160), 가이드부(17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80), 세척 어셈블리(200)는 다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2)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세척 어셈블리(200)는 일 실시예와 같이 식기 세척을 위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230)와, 식기 세척을 위한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3)의 살균부(600)는, 검출부(610) 및 살균제 보관부(620)를 포함한다.
검출부(610)는 살균 모드 수행을 위한 세척조(130) 내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부(610)는 세척조(130) 내부의 식기 유무를 검출하는 식기 검출부(611)와,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어 세척조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612)와, 집수부(220) 내의 물에 희석된 살균제의 양을 검출하는 살균제 검출부(6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살균제 검출부(613)는 세척조 내부 중 헹굼수의 제3 기준 수위 보다 낮은 세척조 내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살균제 검출부(613)는 헹굼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 센서, 헹굼수의 전기 전도도를 검출하는 전기 전도도 센서 또는 헹굼수의 pH를 검출하는 pH 센서이다.
살균제 보관부(620)는 도어(120)의 내면에 위치하고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의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제를 보관한다. 이러한 세척제 보관부(140)의 주변에 위치한다.
살균제 보관부(620)는 살균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갖는 몸체(621)와, 사용자가 몸체(621)의 수용 공간에 살균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몸체(621)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622)와, 살균 모드 수행 전에는 몸체(621)를 밀폐시키고 살균 모드가 수행되면 몸체(621)에 수용된 살균제가 토출될 수 있도록 몸체(621)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개폐부재(623)를 포함한다.
또한 세척제 보관부(620)는 몸체(621) 내의 살균제를 집수부(220)로 안내하는 안내관(624)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살균제 보관부(620)에 보관되는 살균제는, 염소계 살균제 및 산소계 살균제를 포함하며,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염소계 살균제에는 무기 염소 화합물인 차아염소산(락스), 이산화염소 및 유기 염소 화합물인 이염화 이소시아닐산 나트륨(SDIC)이 있고, 산소계 살균제에는 과산화 수소, 오존수 등이 있다.
또한 살균제는 오존수, 전해 살균수, 라디칼 수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살균제는 살균제 보관부(620)에서 토출된 후 집수부(220) 내의 물에 용해된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3)의 제어 구성도로, 식기 세척기(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 구동모듈(190), 세척 어셈블리(200) 및 살균부(6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81)와, 진행 중인 운전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82)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의 입력부(181)는 살균 모드 및 살균 모드의 실행 주기를 입력받고, 표시부(182)는 살균 모드 수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살균 모드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세척조를 예비 살균하기 위한 예비 살균 행정과, 살균제가 희석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세척조를 본격적으로 살균하기 위한 본 살균 행정과,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 내부에 잔류하는 살균제를 제거하기 위한 헹굼 행정을 포함한다.
살균 모드 수행에 대한 정보는 살균 모드 진행 경과 시간, 남은 시간 등의 정보, 남은 행정 정보, 다음 살균 모드의 수행 일정 정보 등을 포함하고, 남은 행정 정보는 세척조 내부에 남아 있는 살균제를 제거하기 위한 헹굼 행정의 시간이나 횟수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는 살균 모드 수행 시 살균제 보관부(620) 내의 살균제의 유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척 어셈블리(200)는 세척 모드 시 제어부(191c)의 제어 명령에 따라 급수부(210), 순환부(250), 배수부(270)를 구동시켜 세척을 위한 물이 집수, 순환, 분사 및 배수되도록 한다.
세척 어셈블리(200)는 살균 모드 시 살균수 및 헹굼수를 순환시킨다. 이때 세척 어셈블리(200)를 순환하는 살균수에 의해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200)의 내부가 세척 및 살균되고 세척 어셈블리(200)를 순환하는 헹굼수에 의해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200)의 내부의 살균수가 제거되도록 한다.
살균부(600)는 살균 모드의 본 살균 행정 시 제어부(191c)의 제어 명령에 따라 검출부(610) 및 살균제 보관부(620)의 개폐부재(623)를 구동시켜 살균을 위한 물이 생성되도록 한다.
검출부(610)는 살균 모드 수행을 위한 세척조 내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한다.
식기 검출부(611)는 세척조 내의 수납부에 수납된 식기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91c)에 전송한다. 이러한 식기 검출부(611)는 무게 센서, 음파 센서, 전자파 센서, 광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수위 검출부(612)는 세척조(130) 또는 집수부(220) 내의 물의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91c)에 전송한다.
살균제 검출부(613)는 세척조 내부의 물에 잔류된 살균제의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91c)에 전송한다.
여기서 수위 검출부(612)는 식기 세척을 위해 기존에 마련된 수위 검출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세척조 내부의 살균 수행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수위 검출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모듈(190)은 세척 모드 및 살균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부하를 제어 및 구동시키는 것으로, 제어부(191c), 구동부(192c) 및 저장부(193c)를 포함한다.
제어부(191c)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를 통해 식기 세척을 위한 운전 정보 및 세척조 내부 살균을 위한 운전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운전 정보 및 진행 중인 운전 정보의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191c)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에 입력된 운전 정보가 세척 모드이면 세척제가 토출되도록 세척제 보관부(140)의 개방을 제어하고,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건조 행정이 수행되도록 세척 어셈블리(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91c)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에 입력된 운전 정보가 살균 모드이거나 현재 시점이 살균 모드 수행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세척조(130) 내부의 수납된 식기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세척조 내에 수납된 식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살균 수행을 위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수위 검출부(612)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급수부(210)의 급수밸브(212) 및 살균제 보관부(620)의 개폐부재(623)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91c)는 본 살균 행정 시 살균제 투입을 통해 살균수 생성이 완료되면 생성된 살균수가 분사되도록 순환부(250)의 순환 펌프(251)를 온 제어하고 복수의 밸브(256, 257, 258)를 개방 제어하며, 살균 모드가 완료되면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부(270)의 배수펌프(271)를 온 제어한다.
제어부(191c)는 살균 모드 수행 시 세척조 내의 살균제 배출을 위해 적어도 한 번의 헹굼 행정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91)는 기준 살균제량 이하가 될 때까지 헹굼 행정을 반복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91c)는 헹굼 행정 제어를 위해 급수부(210) 및 순환부(250)의 구동을 미리 정해진 헹굼 행정의 횟수 만큼 반복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192c)는 세척 모드 시 제어부(191c)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식기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순환되도록 급수부의 급수 밸브(211), 순환부의 순환펌프(251),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구동시키고, 식기 세척에 사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부의 배수펌프(271)를 구동시킨다.
구동부(192c)는 살균 모드의 본 살균 행정 시 제어부(191b)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급수부(210) 및 살균제 보관부(620)를 구동시킨다.
구동부(192c)는 살균 모드 시 살균수 및 헹굼수가 순환되도록 급수부의 급수 밸브(211), 순환부의 순환펌프(251),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구동시키며, 살균수 및 헹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부의 배수펌프(271)를 구동시킨다.
저장부(193c)는 미리 정해진 살균 주기와,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를 살균하기 위한 예비 살균 행정에 적절한 제1기준 수위 및 제1기준 시간을 저장하고, 본 살균 행정에 적절한 제2기준 수위 및 제2기준 시간을 저장하며, 또한 살균이 이루어진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를 헹구기 위한 헹굼 행정에 적절한 제3기준 수위 및 제3기준 시간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93c)는 헹굼 행정을 정지 제어하기 위한 기준 살균제량을 저장하고, 예비 살균 행정을 정지 제어하기 위한 물의 기준 탁도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a 및 도 1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식기 세척기(3)는 살균 모드를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631)한다.
여기서 살균 모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80)에 살균 모드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현재 시점이 미리 정해진 살균 주기의 시점인지 판단하거나, 또는 냄새 검출부(미도시)에 검출된 냄새량이 기준량 이상일 때를 살균 모드 진행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냄새 검출부는 세척조 내부의 가스 량을 검출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식기 검출부(611)를 이용하여 세척실의 식기를 검출(632)하고,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실에 수납된 식기가 있는지 판단(633)하고, 이때 세척실에 수납된 식기가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식기를 인출할 것을 알리고(634), 또한 식기 인출 후에 살균 모드를 다시 명령할 것을 알린다.
여기서 식기 수납 여부를 검출하는 이유는, 세척조 내부의 살균 수행에 저항 요소가 되는 식기가 없는 상태에서 살균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살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체에 해로운 살균제가 식기에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이를 통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식기 세척기(3)는 세척실에 수납된 식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의 살균을 위해 살균 모드로 진입(635)하고, 예비 살균 행정을 수행(636)한다. 여기서 예비 살균 행정은 미리 정해진 횟수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행한다.
아울러 예비 살균 행정은 선택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예비 살균 행정(636)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예비 살균 행정과 동일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3)는 급수부의 급수 밸브(212)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예비 살균을 위한 물을 공급받아 집수부(220) 및 세척조(130)에 저장하고, 급수 중 세척조 내에 공급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위와 제1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검출 수위가 제1 기준 수위인지 판단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세척조 내의 검출 수위가 제1기준 수위라고 판단되면 급수 밸브를 폐쇄시켜 급수가 정지되도록 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순환펌프(251)를 온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온 구동시켜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 내의 살균수가 메인관(252), 제1분기관(253), 제2분기관(254), 제3분기관(255) 통해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 후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을 통해 세척실로 분사되도록 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예비 살균 행정이 수행된 예비 살균 시간과 미리 정해진 제1기준 시간을 비교하고 이때 예비 살균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순환펌프(251)를 오프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오프 구동시킴으로써 살균수의 순환 및 분사가 정지되도록 하고, 배수펌프(271)를 온 구동시켜 세척조(130) 내의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세척조 내의 살균수가 모두 배출되었다고 판단(549)되면 배수 펌프(271)를 오프 구동시켜 배수가 정지(550)되도록 한 후 예비 살균 행정을 종료시킨다.
다음 본 살균 행정을 수행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3)는 살균 모드로 진입되면 급수부의 급수 밸브(212)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살균을 위한 물을 공급(637)받아 집수부(220) 및 세척조(130)에 저장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에 공급된 물의 수위를 검출(638)하고, 검출된 수위와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검출 수위가 제2기준 수위인지 판단(639)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2)는 세척조 내의 검출 수위가 제2 기준 수위라고 판단되면 급수 밸브를 온 구동시켜 급수 밸브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급수가 정지되도록 하고, 살균제 보관부(620)의 개폐부재(623)를 온 구동(640)시켜 개폐부재(623)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살균제 보관부(620)의 몸체(621) 내에 수용된 살균제가 세척조(140) 내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살균제 보관부에서 토출된 살균제는 집수부(220)의 물에 희석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살균제 토출이 완료되면 살균제 보관부(620)의 개폐부재(623)를 폐쇄시킨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순환펌프(251)를 온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온 구동시켜 개방되도록 한다(641).
이를 통해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 내의 살균수가 메인관(252), 제1분기관(253), 제2분기관(254), 제3분기관(255) 통해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 후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을 통해 세척실로 분사되도록 한다.
즉, 식기 세척기(3)는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 내부의 살균수가 순환펌프(251), 메인관(252), 제1분기관(253), 제2분기관(254), 제3분기관(255),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을 거쳐 세척조 내부의 세척실로 분사되고, 분사된 살균수가 다시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에 집수되도록 하는 살균수의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세척조(130) 및 세척 어셈블리(200) 내부의 세척 및 살균을 수행한다.
염소계 또는 산소계 살균제가 투입되어 순환펌프를 통하여 식기내부 전체를 살균하게 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살균 행정이 수행된 본 살균 시간과 미리 정해진 제2기준 시간을 비교(642)하고 이때 본 살균 행정 시간이 제2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순환펌프(251)를 오프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오프 구동시켜 순환 경로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살균수의 순환 및 분사가 정지되도록 한다(643).
여기서 제2 기준 시간은 대략 15분 이상의 시간이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배수펌프(271)를 온 구동시켜 세척조(130) 내의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644)되도록 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세척조 내의 살균수가 모두 배출되었다고 판단(645)되면 배수 펌프(271)를 오프 구동시켜 배수가 정지(646)되도록 한 후 본 살균 행정을 종료한다.
여기서의 본 살균 행정은 적어도 한 번 이상 수행 가능하다.
아울러 배수 완료를 판단하는 것은, 수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위에 기초하여 판단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배출 시간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헹굼 행정을 수행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3)는 급수부의 급수 밸브(212)를 개방시켜 외부로부터 헹굼을 위한 물을 공급(647)받아 집수부(220) 및 세척조(130)에 저장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세척조 내에 공급된 물의 수위를 검출(648)하고, 검출된 수위와 제3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검출 수위가 제3 기준 수위인지 판단(649)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세척조 내의 검출 수위가 제3기준 수위라고 판단되면 급수 밸브를 폐쇄시켜 급수가 정지되도록 한다(649).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순환펌프(251)를 온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온 구동시켜 순환 라인이 개방되도록 하여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 내의 헹굼수가 메인관(252), 제1분기관(253), 제2분기관(254), 제3분기관(255) 통해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 후 제1 분사노즐(261), 제2분사노즐(262), 제3분사노즐(263)을 통해 세척실로 분사되도록 한다(650). 여기서 헹굼수는 상온의 물이다.
이와 같이 헹굼수가 세척 어셈블리에서 세척조 내부의 세척실로 분사되고, 분사된 헹굼수가 다시 세척조(130) 및 집수부(220)에 집수되도록 하는 헹굼수의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세척조(130) 및 세척 어셈블리(200) 내부의 헹굼을 수행한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헹굼 행정이 수행된 헹굼 시간과 미리 정해진 제3기준 시간을 비교하고 이때 헹굼 시간이 제3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651)되면 순환펌프(251)를 오프 구동시키고 제1밸브(256), 제2밸브(257), 제3밸브(258)를 폐쇄시킴으로써 헹굼수의 순환 및 분사가 정지되도록 한다(652).
다음 식기 세척기(3)는 헹굼수 내에 잔류하는 살균제의 양을 검출(653)하고, 검출된 검출량과 기준량을 비교(654)하며 이때 검출량이 기준량 이상이면 헹굼 행정을 수행하고 반면 검출량이 기준량 미만이면 배수펌프(271)를 온 구동시켜 세척조(130) 내의 헹굼수가 외부로 배출(655)되도록 한다.
여기서 살균 모드 수행 시 세척조 내에 잔류하는 살균제를 검출하는 이유는, 추후에 세척 모드가 수행될 때 인체에 해로운 살균제가 식기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세척조 내의 헹굼수가 모두 배출되었다고 판단(656)되면 배수 펌프(271)를 오프 구동시켜 배수가 정지(657)되도록 한 후 헹굼 행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헹굼 행정은 미리 정해진 횟수의 헹굼 행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의 헹굼 행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식기 세척기(3)는 살균 모드의 종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식기 세척기(2)는 다음 번의 살균 모드 일정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살균제를 이용하여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를 세척 및 살균함으로써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식기 세척기의 살균 모드 전후의 집수부 내의 균체량 및 가스량 그래프이고, 도 18은 살균 모드 전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균체량의 그래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의 세척 모드 완료 후 집수부 내의 잔수에는 보통 4 log 정도의 균이 존재하지만, 48시간 경과한 후에 8 log 이상으로 증가하고 이때 집수부 내의 균체량이 포화상태가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 내에서 단백질과 채소류 등이 분해되면서 아민(Amine)류, 아닐린(Aniline)류, 유기산류, 싸이올(Thiol)류 등 성분의 가스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균체량 증가와 악취발생 정도를 비교해보기 위해 악취의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진 싸이올류의 가스량을 일별로 분석한 결과, 균체량이 증가하는 만큼 싸이올류의 가스 생성량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식기 세척기의 살균 모드 완료 후 집수부 내의 잔수에는 제로에 가까운 균체량 및 가스량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는 살균 모드 완료 후 균체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고, 이 균체량은 살균 모드 후 24시간 동안 0 log 로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제 보관부와 살균제 보관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나, 살균제 보관부 없이 세척제 보관부만를 이용하여 살균 모드 시 살균제를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식기 세척기는 살균 모드 수행 시점이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살균제 투입을 알리고, 사용자로부터 살균제 투입 이행 및 살균 모드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세척제 보관부에 수용된 살균제가 세척조로 토출되도록 한 후 급수, 순환, 분사, 배수 등을 통해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가 살균되도록 한다.
110: 본체 120: 도어
130: 세척조 140: 세척제 보관부
150: 기계실 160: 수납부
170: 가이드부 180: 사용자 인터페이스
190: 구동 모듈 200: 세척 어셈블리

Claims (56)

  1. 세척실의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부;
    상기 세척수의 일부가 저장된 저장조;
    상기 저장조 내에 마련된 전기분해부;
    상기 집수부와 저장조 간의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전환밸브;
    상기 집수부 및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세척실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상기 저장조 내의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전기분해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살균수가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일측에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수위검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검출부를 통해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전기분해부를 온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시,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전기분해부를 온 시키고 상기 생성된 살균수가 순환 살균을 위해 상기 집수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일측에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수위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전기분해부를 온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예비 세척시 상기 전기분해부를 온 시킨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시 마지막 헹굼이 완료되면, 마지막 헹굼수가 상기 저장조에 저장되도록 상기 순환펌프 및 유로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헹굼이 완료되면,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폐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세척실의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부와, 상기 세척수의 일부가 저장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 내에 마련된 전기분해부와, 상기 집수부와 저장조 간의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전환밸브와, 상기 집수부 및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미작동시, 상기 전기분해부를 통해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시켜 상기 식기세척기 내부를 살균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은, 상기 저장조의 일측에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수위검출부를 통해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전기분해부를 온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시, 상기 전기분해부를 통해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생성된 살균수를 순환 살균을 위해 상기 집수부로 공급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은, 상기 저장조의 일측에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수위검출부를 통해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전기분해부를 온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예비 세척시 상기 전기분해부를 온 시킨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시 마지막 헹굼이 완료되면, 마지막 헹굼수를 상기 저장조에 저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헹굼수 저장은, 상기 마지막 헹굼이 완료되면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폐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6.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이 유동되는 세척 어셈블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부;
    살균 모드 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살균수가 상기 세척조 및 상기 세척 어셈블리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상기 세척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부에 수납된 식기의 유무를 검출하는 식기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조에 식기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 모드의 진입을 정지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검출부는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무게가 기준 무게 이상이면 상기 식기가 있다고 판단하는 식기 세척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검출부는 광을 출력하고 출력된 광의 양을 검출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광량이 기준 광량 이하이면 상기 식기가 있다고 판단하는 식기 세척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세척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세척조 내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정지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는,
    약 50℃ 내지 90℃의 물인 식기 세척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드는, 예비 살균 행정, 본 살균 행정 및 헹굼 행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살균 행정 및 헹굼 행정 시에 급수, 순환, 분사 및 배수를 제어하고, 상기 본 살균 행정 시에 급수, 가열, 순환, 분사 및 배수를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본 살균 행정은,
    대략 15분 이상의 시간 동안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물의 양을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조의 수위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를 정지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 주기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살균 모드의 수행 주기에 기초하여 현재 시점이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 시점인지 판단하고, 현재 시점이 살균 모드의 수행 시점이면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 주기는,
    대략 30일 간격인 식기 세척기.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 주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드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3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살균제를 보관하고 상기 살균 모드 시에 상기 살균제를 상기 세척조로 토출하는 살균제 보관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보관부는,
    상기 살균제 토출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살균제를 상기 세척조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드 시에 상기 살균제 보관부에 마련된 개폐 부재를 개방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드는, 예비 살균 행정, 본 살균 행정 및 헹굼 행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살균 행정 및 헹굼 행정 시에 급수, 물의 순환, 분사 및 배수를 제어하고, 상기 본 살균 행정 시에 급수, 살균제 토출, 살균수의 순환, 분사 및 배수를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에 남아 있는 살균제의 양을 검출하는 살균제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살균제의 양이 기준량 이상이면 헹굼 행정을 반복 제어하고, 상기 검출된 살균제의 양이 기준량 미만이면 행굼 행정을 정지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검출부는,
    상기 헹굼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 센서, 상기 헹굼수의 전기 전도도를 검출하는 전기 전도도 센서 또는 상기 헹굼수의 pH를 검출하는 pH 센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물의 양을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조의 수위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를 정지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3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와,
    상기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의 물을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상기 순환되는 물을 상기 세척조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 검출부와,
    상기 세척 모드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보 제공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39. 세척조와, 식기 세척을 위한 세척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세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와 상기 세척 어셈블리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 모드가 수신되면 상기 세척조 내에 수납된 식기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세척조 내에 식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급수부를 제어하여 물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상기 세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 내부로 순환 및 분사시키고,
    상기 순환 및 분사가 완료되면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에 식기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 모드의 진입을 정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여 물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가 제1기준 수위이면 급수부를 정지 제어하고,
    상기 공급된 물을 순환 및 분사시켜 제1 기준 시간 동안 예비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을 가열하여 순환 및 분사시키는 것은,
    상기 예비 살균 행정의 완료 후에 수행되는 본 살균 행정인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본 살균 행정은,
    제2기준 수위의 물로 제2기준 시간 동안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본 살균 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여 물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가 제3기준 수위이면 급수부를 정지 제어하고,
    상기 공급된 물을 순환 및 분사시켜 제3 기준 시간 동안 헹굼 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5. 제 39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드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현재 시점이 살균 모드의 수행 시점인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시점이 살균 모드의 수행 시점이면 살균 모드의 수행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6.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드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상기 세척조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염도에 기초하여 살균 모드의 수행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7.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세척조에 살균제를 토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8.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드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살균 모드의 수행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49. 세척조와, 식기 세척을 위한 세척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세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와 상기 세척 어셈블리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 모드가 수신되면 상기 세척조 내에 수납된 식기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세척조 내에 식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급수부를 제어하여 물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물에 살균제를 토출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상기 세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세척조 및 세척 어셈블리 내부로 순환시키고,
    상기 순환 및 분사가 완료되면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에 식기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 모드의 진입을 정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여 물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가 제1기준 수위이면 급수부를 정지 제어하고,
    상기 공급된 물을 순환 및 분사시켜 제1 기준 시간 동안 예비 살균 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를 순환 및 분사시키는 것은,
    상기 예비 살균 행정의 완료 후에 수행되는 본 살균 행정인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본 살균 행정은,
    제2기준 수위의 물로 제2기준 시간 동안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본 살균 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여 헹굼수를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헹굼수의 수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위가 제3기준 수위이면 급수부를 정지 제어하고,
    상기 공급된 헹굼수를 순환 및 분사시켜 제3 기준 시간 동안 헹굼 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헹굼수에 잔류된 살균제의 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살균제의 양이 기준량 미만이면 상기 헹굼 행정을 재수행하고,
    상기 검출된 살균제의 양이 기준량 이상이면 상기 헹굼 행정을 정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56.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에 식기가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식기 인출 요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KR1020120131380A 2011-12-20 2012-11-20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18,266 US10206552B2 (en) 2011-12-20 2012-12-18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2198261.5A EP2606808B1 (en) 2011-12-20 2012-12-19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210559931.6A CN103169438B (zh) 2011-12-20 2012-12-20 洗碗机以及控制洗碗机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8626 2011-12-20
KR1020110138626 2011-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355A true KR20130071355A (ko) 2013-06-28
KR101938705B1 KR101938705B1 (ko) 2019-01-16

Family

ID=4886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380A KR101938705B1 (ko) 2011-12-20 2012-11-20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70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031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180076103A (ko) 2016-12-27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8139812A1 (en) * 2017-01-26 2018-08-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WO2018139813A1 (en) * 2017-01-26 2018-08-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WO2018169322A1 (en) * 2017-03-17 2018-09-20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160320A1 (ko)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00093305A (ko) 2019-01-28 2020-08-05 김준호 애벌세척 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기
KR20210031008A (ko) * 2019-09-09 2021-03-19 주식회사 오케이맘 하이브리드 분사노즐을 구비한 다용도 세척기
CN114098572A (zh) * 2020-08-31 2022-03-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载水家用电器的控制方法、载水家用电器及存储介质
CN114468904A (zh) * 2020-10-23 2022-05-13 佛山市百斯特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洗涤设备的消毒方法及装置
CN114468905A (zh) * 2020-10-23 2022-05-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洗碗机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143A (ko) * 2019-11-19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04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자가 세척방법
JP2008043392A (ja) * 2006-08-11 2008-02-28 Sharp Corp 台所用品殺菌装置
KR20090030989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04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자가 세척방법
JP2008043392A (ja) * 2006-08-11 2008-02-28 Sharp Corp 台所用品殺菌装置
KR20090030989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031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180076103A (ko) 2016-12-27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8124717A1 (ko) 2016-12-27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8139812A1 (en) * 2017-01-26 2018-08-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WO2018139813A1 (en) * 2017-01-26 2018-08-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CN110191666A (zh) * 2017-01-26 2019-08-30 Lg 电子株式会社 洗碟机
US10912440B2 (en) 2017-01-26 2021-02-09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10925461B2 (en) 2017-01-26 2021-02-23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11330957B2 (en) 2017-03-17 2022-05-17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169322A1 (en) * 2017-03-17 2018-09-20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160320A1 (ko)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00093305A (ko) 2019-01-28 2020-08-05 김준호 애벌세척 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기
KR20210031008A (ko) * 2019-09-09 2021-03-19 주식회사 오케이맘 하이브리드 분사노즐을 구비한 다용도 세척기
CN114098572A (zh) * 2020-08-31 2022-03-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载水家用电器的控制方法、载水家用电器及存储介质
CN114468904A (zh) * 2020-10-23 2022-05-13 佛山市百斯特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洗涤设备的消毒方法及装置
CN114468905A (zh) * 2020-10-23 2022-05-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洗碗机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4468904B (zh) * 2020-10-23 2024-04-16 佛山市百斯特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洗涤设备的消毒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705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705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206552B2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131826B2 (en) Method for disinfecting conduit systems of a water-conducting appliance and such a household appliance
KR100934696B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3906297B1 (ja) 内視鏡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CN112274083A (zh) 一种洗碗机、洗碗机的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Z2012682A3 (cs) Dezinfekční a/nebo sterilizační zařízení a způsob mytí, dezinfekce a/nebo sterilizace
KR20070098292A (ko) 전해 살균수와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KR20020077993A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JPH08323307A (ja) 器具洗浄装置
JP2009172079A (ja) 浴槽洗浄装置
CN114468906B (zh) 一种洗碗机、洗碗机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213287796U (zh) 一种医疗设施清洗消毒设备
JP2004129772A (ja) 食器洗い機
JP3469802B2 (ja) 洗浄機
CN112391796B (zh) 衣物处理装置的除菌方法和装置
KR20070098293A (ko) 전해 살균수를 이용한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JP4467354B2 (ja) 洗浄装置及び除菌装置
KR101551978B1 (ko) 전해수 살균 식기 세척기
JPH05137689A (ja) 食器洗浄機
KR20090070858A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90070853A (ko) 잔수 살균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1353206A (ja) 調理器具殺菌装置
JPH09234238A (ja) 電解消毒装置
KR101394212B1 (ko) 살균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