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878A -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878A
KR20130069878A KR1020137013926A KR20137013926A KR20130069878A KR 20130069878 A KR20130069878 A KR 20130069878A KR 1020137013926 A KR1020137013926 A KR 1020137013926A KR 20137013926 A KR20137013926 A KR 20137013926A KR 20130069878 A KR20130069878 A KR 20130069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aluminum alloy
ingot
allo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노리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3006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87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 조면화면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전해 조면화면의 이면이 백색화하지 않는 인쇄판임과 아울러, 강도 특성도 우수한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공한다.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은, Si: 0.03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Fe: 0.2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Cu: 0.0005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Mg: 0.05질량% 이상 0.40질량% 미만, Ti: 0.005질량% 이상 0.04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Zn: 0.05질량% 이하, Mn: 0.01질량% 이하로 규제하며,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작성하고, 상기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고, 상기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300℃ 이상 370℃ 이하로 열간 압연하고, 상기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중간 소둔을 행하지 않고서 냉간 압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Description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HIGH-STRENGTH ALUMINUM ALLOY PLATE FOR LITHOGRAPHIC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인쇄, 특히 평판 인쇄(offset printing)의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인쇄판(lithographic plate)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옵셋(offset)의 지지체로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이 사용되고 있다. 인쇄판에의 감광막의 밀착성 및 비화상부의 보수성(保水性)을 높이기 위해서, 합금판 표면의 한 면에 조면화 처리(graining treatment)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 조면화 처리 방법으로서는, 볼 연마법 또는 브러시 연마법 등의 기계적 처리 방법, 가성 소다 등의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탈지한 후에 염산, 또는 이를 주체로 하는 전해액, 또는 질산을 주체로 하는 전해액을 사용하여 합금판 표면을 전기화학적으로 조면화하는 전해 조면화 처리 방법, 또는 이들 기계적 처리 방법과 전해 조면화 처리 방법을 조합한 처리 방법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면화된 표면에 두께 1μm 정도의 알루마이트 피막을 형성시켜, 봉공(封孔; sealing), 건조한 후, 감광막을 도장하여, 소정 치수로 재단함으로써 인쇄판을 얻는다. 한편, 전해 조면화 처리에 의해 수득된 조면판은 높은 제판 적성(plate-making adequacy) 및 인쇄 성능을 나타내어, 코일재로의 연속 처리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 합금판을 지지체로서 사용한 인쇄판에 의해 인쇄 부수가 10만장 정도 이상의 신문 등을 인쇄하는 경우, 인쇄판을 인쇄 롤(인쇄기)에 장착할 때, 인쇄판의 단부의 절곡 고정부의 알루미늄 합금판 자체에 크랙이 생기기 쉽다. 그리고, 이 크랙을 기점으로 하여, 인쇄판의 판 절단(cutting)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그 때문에, 보다 강도가 우수한 인쇄판용 알루미늄 합금판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상기 대량 인쇄에 있어서의 내쇄성(耐刷性; printing-sustain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판을 지지체로 하는 인쇄판을 통상의 방법으로 노광, 현상 처리한 후, 고온으로 가열 처리(버닝 처리)하여 화상부의 감제(感劑)를 열경화시키고 있다. 버닝 처리는, 통상 200∼290℃×3∼10분의 조건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이 처리에 의해, 지지체인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을 내열성(버닝성)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강도 특성을 가져, 전해 조면화 처리에 적합한 알루미늄 합금판으로서,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는, Mg, Zn, Mn, Fe, Si, Cu 및 Ti를 소정량 첨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알루미늄 합금판에 있어서는, 이들 원소를 소정량 첨가함으로써, 염산 또는 질산 전해 조면화 처리된 전해 조면화면의 균일성과 강도특성을 향상시켰다.
일본 특허공개 2004-250794호 공보(청구항 1, 단락 0009) 일본 특허공개 2007-70674호 공보(청구항 3, 단락 00011)
그러나 종래의 알루미늄 합금판에 있어서는, 제조 과정에서, 합금판의 표면에 Al-Fe-Si계, Al-Fe계, Al-Fe-Mn계 등의 금속간 화합물이 생성된다. 최대 길이가 큰 금속간 화합물이 존재하면, 전해 조면화면의 균일성이 저하되기 쉽다. 그리고, 종래의 알루미늄 합금판은,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이 다른 금속 화합물과 비교하여 최대 길이가 크기 때문에, 전해 조면화면의 균일성에 있어서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더욱이 최근에는, CTP(Computer To Plate)판의 보급에 의해 플레이트 세터(offset printing platesetter) 등이 등장하여, 인쇄판의 제조 등에 있어서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 변화로부터, 곤포(梱包)된 인쇄판의 취출에 관해서도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결과, 곤포물로부터 인쇄판을 취출할 때에, 외부로부터의 진입광(적외선이나 자외선 센서의 진입광)에 의한 감광막 도장면의 오노광(誤露光)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판의 곤포를 개곤(開梱)했을 때에, 인쇄판의 이면(비도장면이나 비조면화 처리면에 상당)이 겉이 되는 곤포 형태의 것도 보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는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지 않던 이면의 표면 상태도 적정으로 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즉, 탈지 처리나 전해 조면화 처리에 의해, 조면화 처리되는 면의 이면(무통전 처리면)이 백색화하는 문제가 있다. 이 이면 외관의 상태로부터, 자동 제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인쇄판 위치의 센서에 의한 검지를 하지 못하여 반송 곤란(trouble)이 일어나는 문제도 생기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전해 조면화면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전해 조면화면의 이면이 백색화하지 않는 인쇄판임과 아울러, 강도 특성도 우수한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알루미늄 합금의 성분, 제조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전해 조면화 처리 특성, 전해 조면화면의 이면 특성 및 강도 특성을 적정으로 할 수 있는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의 하나의 태양은,
Si: 0.03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Fe: 0.2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Cu: 0.0005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Mg: 0.05질량% 이상 0.40질량% 미만,
Ti: 0.005질량% 이상 0.04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Zn: 0.05질량% 이하, Mn: 0.01질량% 이하로 규제하며,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작성하고,
상기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고,
상기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300℃ 이상 370℃ 이하로 열간 압연하고,
상기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중간 소둔을 행하지 않고서 냉간 압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의 다른 태양은,
Si: 0.03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Fe: 0.2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Cu: 0.0005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Mg: 0.05질량% 이상 0.40질량% 미만,
Ti: 0.005질량% 이상 0.04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Zn: 0.05질량% 이하, Mn: 0.01질량% 이하로 규제하며,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작성하고,
상기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고,
상기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300℃ 이상 370℃ 이하로 열간 압연하고,
상기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냉간 압연하고, 또한 추가로 소둔, 냉간 압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이하, 적절히, 알루미늄 합금판이라 함)이 소정량의 Si, Fe, Cu, Mg 및 Ti를 함유함과 아울러, Zn 및 Mn 함유량을 소정량 이하로 규제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을 전해 조면화 처리했을 때, 전해 조면화면을 불균일하게 하는 최대 길이가 큰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를 적게 할 수 있어, 미세한 금속간 화합물의 수를 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초기 피트(initial pit)의 형성이 촉진된다. 또한, Fe, Cu, Mg의 작용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판의 강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Zn 함유량을 소정량 이하로 규제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판을 탈지 처리나 전해액에 침지하더라도, 전해 조면화면의 이면이 백색화하는 일이 없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알루미늄 합금판을 사용한 지지체는, 그 전해 조면화면 및 그 이면이 인쇄판으로서 적정한 표면 특성을 갖는다.
상기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은 추가로 Ni: 0.20질량% 이하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Ni의 함유량이 0.005질량% 이상 0.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Al-Fe계의 화합물보다 더욱 전위가 귀(貴)한 Al-Fe-Ni계 금속간 화합물이 생성되어, 전해 조면화 처리시에,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의 초기 피트의 형성이 촉진된다. 그 때문에, 이렇게 하여 수득된 알루미늄 합금판을 사용한 지지체는, 그 전해 조면화면 및 그 이면이 인쇄판으로서 더욱 적정한 표면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의 하나의 태양은,
상기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제작하는 제 1 공정,
상기 제 1 공정에서 제작된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 공정에서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300℃ 이상 370℃ 이하로 열간 압연하는 제 3 공정, 및
상기 제 3 공정에서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중간 소둔을 행하지 않고서 냉간 압연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작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순서에 의하면, 소정의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소정온도의 균질화 열처리 및 열간 압연, 그리고 냉간 압연을 행하는 것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소정 범위가 되어,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을 전해 조면화 처리했을 때, 초기 피트의 형성이 촉진된다. 또한, 전해 조면화면을 불균일하게 하는 최대 길이가 큰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도 적어진다. 또한, 균질화 처리 온도를 적정화함으로써 Fe, Cu, Mg의 고용도가 높아져, 버닝 처리후의 강도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열간 압연의 종료 온도를 적정화함으로써 중간 소둔 공정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의 다른 태양은,
상기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제작하는 제 1 공정,
상기 제 1 공정에서 제작된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 공정에서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250℃ 이상 300℃ 이하로 열간 압연하는 제 3공정, 및
상기 제 3 공정에서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냉간 압연하고, 추가로 중간 소둔, 냉간 압연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작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순서에 의하면, 소정의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소정 온도의 균질화 열처리 및 열간 압연, 그리고 냉간 압연을 행하는 것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소정 범위가 되어,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을 전해 조면화 처리했을 때, 초기 피트의 형성이 촉진된다. 또한, 전해 조면화면을 불균일하게 하는 최대 길이가 큰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밀도도 적어진다. 또한, 균질화 처리 온도를 적정화하는 것에 의해, 및 중간 소둔을 행하는 것에 의해, Fe, Cu, Mg의 고용도가 높아져, 버닝 처리후의 강도 저하가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에 따르면, 전해 조면화면의 균일성이 우수하여, 전해 조면화면의 이면(무통전 처리면)이 백색화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판의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되어, 인장 강도, 굽힘 피로 강도가 향상하여, 인쇄판이 물림 절단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버닝 처리에 의한 강도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전해 조면화면의 균일성이 우수하여, 무통전 처리면이 백색화하지 않고, 강도 특성도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판이 제조된다.
(1) 알루미늄 합금판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판은, 소정량의 Si, Fe, Cu, Mg 및 Ti를 함유하고, Zn과 Mn을 소정량 이하로 규제하며,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한편, 필요에 따라, 소정량의 Ni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하에, 각 화학 성분의 수치 범위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Si: 0.03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Si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Al-Fe-Si계 금속간 화합물을 석출시켜, 전해 조면화 처리시에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의 초기 피트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그 결과, 알루미늄 합금판의 전해 조면화면(이하, 적절히, 조면이라 함)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Si 함유량이 0.03질량% 미만이면,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에서의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적기 때문에, 초기 피트의 형성이 부족하여,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한편, Si 함유량이 0.15질량%를 초과하면,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에서의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지나치게 많아져,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0.03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로 한다.
(Fe: 0.2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Fe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강도 향상을 위해 중요한 원소이다. 또한, Fe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Al-Fe-Si계 금속간 화합물 등을 석출시켜, 전해 조면화처리시에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의 초기 피트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그 결과, 알루미늄 합금판의 조면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Fe 함유량이 0.25질량% 미만이면, 알루미늄 합금판의 강도가 낮게 되어, 인장 강도, 굽힘 피로 강도가 저하되어, 인쇄판의 지지체로서 사용했을 때에 물림 절단이 발생한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에서의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적기 때문에, 초기 피트의 형성이 부족하여,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0.25질량% 이상 0.40질량% 이하이면, 염산에 의한 전해 조면화 처리에서는 조면의 균일성은 양호하지만, 질산에 의한 전해 조면화 처리에서는 약간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그러나, 0.40질량%를 초과하고 0.70질량% 이하이면, 질산에 의한 조면화 처리라도 조면의 균일성은 양호한 것이 된다. 한편, Fe 함유량이 0.70질량%를 초과하면,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에서의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많아지고, 또한,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에 조대(粗大)한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어,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따라서, Fe 함유량은, 0.2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Fe의 함유량은, 더욱 강도, 조면의 균일성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 0.40질량%를 초과하고 0.7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Cu: 0.0005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Cu는, 알루미늄에 고용 상태로 존재하여, 알루미늄 매트릭스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알루미늄 매트릭스와 금속간 화합물의 전위를 조정하는 작용을 갖는다. Cu 함유량이 0.0005질량% 미만이면, 알루미늄 합금판의 전해 조면화시에 초기 피트의 형성이 부족하여,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한편, Cu 함유량이 0.050질량%를 초과하면, 조대한 피트가 많아져,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따라서, Cu 함유량은 0.0005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로 한다.
(Mg: 0.05질량% 이상 0.40질량% 미만)
Mg는 알루미늄에 고용 상태로 존재하여, 알루미늄 매트릭스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원소이다. Mg 함유량이 0.05질량% 미만이면, 알루미늄 합금판의 강도가 낮게 되어, 인장 강도, 굽힘 피로 강도 및 버닝 처리후의 강도가 저하되어, 인쇄판의 지지체로서 사용했을 때에 물림 절단이 발생한다. 한편, Mg 함유량이 0.40질량% 이상이면, 조대한 피트가 많아져,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에 조대한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어,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따라서, Mg 함유량은 0.05질량% 이상 0.40질량% 미만으로 한다.
(Ti: 0.005질량% 이상 0.040질량% 이하)
Ti는 전해 조면화 특성 및 알루미늄 합금 주괴의 조직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친다. Ti 함유량이 0.005질량% 미만이면, 전해 조면화 피트가 불균일하게 되고, 또한 주괴의 결정립이 미세화되지 않고서 조대한 결정립 조직이 되기 때문에, 판제품의 매크로(macro)조직에, 압연 방향에 따른 띠 모양의 줄무늬[筋]가 발생하여, 이 띠 모양의 줄무늬가 전해 조면화 처리 후에도 잔존한다. 한편, Ti 함유량이 0.040질량%를 초과하면, 알루미늄 합금 주괴의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효과가 포화하여, 조대한 Al3Ti 화합물이 증가하여 전해 조면의 균일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Ti 함유량은 0.005질량% 이상 0.040질량% 이하로 한다.
(Zn: 0.05질량% 이하)
Zn은 알루미늄에 고용 상태로 존재하여, 알루미늄 매트릭스와 금속간 화합물의 전위를 조정하는 작용을 갖는다. 그러나, Zn 함유량이 0.05질량%를 초과하면, Al-Fe계, Al-Fe-Mn계의 금속간 화합물에 대하여, 알루미늄 매트릭스의 전위를 비(卑)하게 하기 때문에, 탈지액이나 무통전 상태의 전해액에의 침지에 의해, 알루미늄 매트릭스로부터의 Al 용출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전해 조면화면의 이면이 백색화한다. 그 때문에, 인쇄판을 자동 제판 처리 장치에 자동 반송할 때에, 인쇄판 위치의 센서에 의한 검지를 할 수 없어 반송 곤란을 일으킨다. 이 이면 백색화 현상은, 특히 염산에 의한 전해 조면화 처리시에 생기기 쉽다. 따라서, Zn 함유량은 0.05질량% 이하로 한다. 한편, Zn의 함유량은, 보다 전해 조면화면의 이면의 백색화를 막기 위해, 0.02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더욱 전해 조면화면의 이면의 백색화를 막기 위해, Zn 함유량은 될 수 있는 한 적은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0.003질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Mn: 0.01질량% 이하)
Mn은,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 과정에서, 주괴 제조시에 형성되는 이른바 정출물(晶出物)에 더하여, 균질화 열처리시에 이른바 석출물(析出物)의 형태로 많이 형성된다. Mn을 소정량을 초과하여 함유하면, Al-Fe-Mn계의 조대한 금속간 화합물을 생성한다. 그 결과, 알루미늄 합금판의 조면이 불균일하게 된다. Al-Fe-Mn계 금속간 화합물은, Mn 함유량이 0.01질량% 이하이면, 알루미늄 합금 중에 고용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에서의 조대한 금속간 화합물을 적게 할 수 있어, 균일한 조면이 얻어진다. 한편, Mn 함유량이 0.01질량%를 초과하면,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에 조대한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어,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0.01질량% 이하로 한다.
(Ni: 0.20질량% 이하)
Ni는 재료의 화학 용해성을 향상시켜, 전해 조면화시의 에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Ni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Al-Fe-Ni계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시킨다. 이 화합물은 Al-Fe계의 화합물보다 더욱 전위가 귀(貴)하기 때문에, 전해 조면화 처리시에 알루미늄 합금판 표면의 초기 피트의 형성을 촉진시켜, 단시간에 균일하고 또한 미세한 조면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Ni 함유량이 0.20질량%를 초과하면, 조대한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어,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Ni는 첨가하지 않더라도 좋지만, 0.005질량% 이상 첨가하면, 조면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보다 발휘되기 쉽게 되기 때문에, 0.005질량%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Ni도 Zn과 같이 화학 용해성을 높이게 되지만, 알루미늄 매트릭스 자체가 용출하는 일은 없고, 전해 조면화면의 이면이 백색화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Ni를 첨가하는 경우는, Ni 함유량은 0.2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 이상 0.20질량%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알루미늄 합금판에 Ni를 첨가함으로써, 조면의 균일성이 더욱 향상되어,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잔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
불가피적 불순물은, 통상 시판되고 있는 알루미늄 지금(地金)에 포함되는 불가피적 불순물이면,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알루미늄 순도가 9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순도가 99.0질량% 이상이면, 조대한 금속간 화합물의 형성이 보다 억제되어, 조면이 균일해지기 쉽다.
(2)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제 1 제조방법 및 제 2 제조방법이 있다. 제 1 제조방법에서는, 냉간 압연 도중에 중간 소둔을 행하지 않지 않는 것과 대조적으로, 제 2 제조방법에서는, 냉간 압연 도중에 중간 소둔을 행한다. 제 2 제조방법에서는, 중간 소둔을 행하기 때문에, 열간 압연에서의 종료 온도를 제 1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종료 온도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제 1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 1 제조방법은, 주괴를 제작하는 제 1 공정과, 주괴를 균질화 열처리하는 제 2 공정과,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열간 압연하는 제 3 공정과,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냉간 압연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공정)
제 1 공정은, 화학 성분(Si, Fe, Cu, Mg, Ti, Zn 및 Mn, 추가로, Ni를 함유하는 경우는 Ni)의 함유량을 상기 소정 범위로 한정한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제작하는 공정이다. 용해, 주조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한다.
(제 2 공정)
제 2 공정은, 상기 제 1 공정에서 제작된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는 공정이다. 이 균질화 열처리, 및 후기하는 열간 압연, 냉간 압연에 의해서,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를 소정 범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균질화 열처리 방법에 관해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한다. 이하, 균질화 열처리 온도의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균질화 열처리 온도: 380℃ 이상 600℃ 이하)
균질화 열처리 온도가 380℃ 미만이면, 균질화 열처리가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량이 적어,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크기가 작게 된다. 그 때문에, 조면화 처리에 있어서 초기 피트의 형성이 촉진되지 않아, 조면화 부족이 되어,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한편, 균질화 열처리 온도가 600℃를 초과하면, 금속간 화합물이 고용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적어지기 때문에, 피트 한 개 한 개의 직경이 커져,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따라서, 균질화 열처리 온도는 380℃ 이상 600℃ 이하로 한다.
한편, 적정한 온도 범위보다도 고온측·저온측인 편이, 버닝 처리후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이 경우, 온도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균질화 열처리 온도를 적정화함으로써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지는 일 없이, Fe, Cu, Mg의 고용도가 높아짐으로써 버닝 처리후의 강도 저하도 억제된다.
(제 3 공정)
제 3 공정은, 상기 제 2 공정에서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300℃ 이상 370℃ 이하로 열간 압연하는 공정이다. 한편, 열간 압연 방법에 관해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간 압연을 복수회 반복 행하더라도 좋다. 이하, 열간 압연의 압연 종료 온도의 수치 한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간 압연 종료 온도 : 300℃ 이상 370℃ 이하)
열간 압연 종료 온도가 300℃ 미만이면, 압연판 중의 동적 재결정이 불충분하며, 압연판의 결정 조직이 불균일하게 되어,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그것에 더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초기 피트의 형성이 촉진되지 않아,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한편, 열간 압연 종료 온도가 370℃를 초과하면, 열간 압연의 각 패스 사이에서 결정립이 지나치게 성장해버려,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그것에 더하여, 금속간 화합물이 고용되어,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적어지기 때문에, 초기 피트의 형성이 촉진되지 않아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한편, 열간 압연 종료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열간 압연 직후의 황(荒)소둔을 행할 필요가 없고, 또한, 냉간 압연 도중의 중간 소둔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열간 압연 공정 후의 냉간 압연 공정 도중의 중간 소둔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열간 압연 종료 온도는 300℃ 이상 370℃ 이하로 한다.
(제 4 공정)
제 4 공정은 상기 제 3 공정에서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중간 소둔을 행하지 않고서 냉간 압연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작하는 공정이다. 한편, 냉간 압연 방법에 관해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냉간 압연율은 60∼95%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냉간 압연을 복수회 반복 행하더라도 좋다.
[제 2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 2 제조방법은, 주괴를 제작하는 제 1 공정과, 주괴를 균질화 열처리하는 제 2 공정과,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열간 압연하는 제 3 공정과, 열간 압연된 열간 압연판을 냉간 압연하고, 추가로 중간 소둔, 냉간 압연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공정, 제 2 공정에 관해서는, 상기 제 1 제조방법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에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공정)
제 3 공정은, 상기 제 2 공정에서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250℃ 이상 300℃ 이하로 열간 압연하는 공정이다. 제 2 제조방법에서는, 냉간 압연 도중에서 중간 소둔을 행하기 때문에, 압연 종료 온도를, 제 1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종료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압연 종료 온도 이외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제조방법의 제 3 공정과 마찬가지이다. 이하, 열간 압연의 압연 종료 온도의 수치 한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간 압연 종료 온도: 250℃ 이상 300℃ 이하)
열간 압연 종료 온도가 250℃ 미만이면, 압연판 중의 동적 재결정이 불충분하며, 압연판의 결정 조직이 불균일하게 되어,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그것에 더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개수 밀도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초기 피트의 형성이 촉진되지 않아,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한편, 열간 압연 종료 온도가 300℃를 초과하면, 수득된 열간 압연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에 중간 소둔을 행하면, 변형 에너지의 축적이 부족해져, 중간 소둔에 의해서 생기는 재결정립을 미세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진다.
따라서, 열간 압연 공정 후의 냉간 압연 공정 도중에서 중간 소둔을 행하는 경우에는, 열간 압연 종료 온도는 250℃ 이상 300℃ 이하로 한다.
(제 4 공정)
제 4 공정은, 상기 제 3 공정에서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냉간 압연하고, 추가로 중간 소둔, 냉간 압연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작하는 공정이다. 중간 소둔에 관해서는, 종래 공지된 조건으로 행하면 된다. 예컨대, 배치식 소둔에서는 400∼500℃×1∼10시간, 연속 소둔에서는 400∼550℃×0∼30초간의 조건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간 압연 도중에서 중간 소둔을 행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제 1 제조방법의 제 4 공정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지만, 제 1 제조방법 및 제 2 제조방법을 행함에 있어서, 상기 각 공정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각 공정의 사이 또는 전후에, 예컨대 주괴를 면삭(面削)하는 면삭 공정이나, 먼지 등의 불요물을 제거하는 불요물 제거 공정이나, 판의 변형을 교정하는 변형 교정 처리 공정 등, 다른 공정을 포함하여도 좋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판의 실시예(실시예 1 내지 13)에 대하여, 그 비교예(비교예 1 내지 14)와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13, 비교예 1 내지 14>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제조방법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작했다.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500mm 두께의 주괴를 제작하고, 면삭하여 580mm 두께로 했다. 이 주괴를 480℃×4h에서 균질화 열처리하고, 압연 종료 온도 330℃로 열간 압연하여 두께 3mm로 코일 형상으로 권취(卷取)했다. 이 열간 압연판에, 중간 소둔을 실시하지 않고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제품 두께 0.3mm의 압연판으로 한 후에, 텐션 레벨러(tension leveler)에 의한 교정을 실시하여, 평가용 코일 제품을 제작했다. 이 코일 제품 외주로부터 시트상의 알루미늄 합금판을 잘라냈다. 한편, 표 1에 있어서,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으로 나타내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만족시키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수치에 밑줄을 그어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알루미늄 합금판의 표면을, 이하의 조건으로 전해 조면화 처리했다.
(전해 조면화 처리 조건)
알루미늄 합금판을, 5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온도 50℃에서 30초간 탈지한 후, 1질량% 질산으로 실온에서 30초간 중화 세정했다. 중화 세정된 알루미늄 합금판을 2질량% 염산 중에서, 전류 밀도 120A/dm2, 주파수 50Hz, 온도 25℃의 전해 조건으로 10초간 전해 처리하는 방법과, 2질량% 질산 중에서, 전류 밀도 50A/dm2, 주파수 50Hz, 온도 25℃의 전해 조건으로 30초간 전해 처리하는 방법으로 교류 전해 조면화 처리했다. 전해 조면화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판을, 5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온도 50℃에서 10초간 데스머트 처리(desmutting)한 후, 30질량% 질산으로 실온에서 30초간 중화 세정하고, 수세, 건조시켜, 이것을 평가 시료로 했다.
이 평가 시료에 대하여 조면의 균일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균일성의 평가 방법)
평가 시료의 조면을 SEM을 이용하여 2000배로 표면 관찰하고, 이것을 사진 촬영했다. 이 사진을 나란히 놓고 전체 길이 100cm의 선을 평행하게 3개 긋고, 이 선 밑에 있는 최대 피트와 최소 피트의 크기(최대 길이)의 차이를 구하는 것에 의해 균일성을 평가했다. 여기서, 피트 크기의 차이가 1μm 이하인 것을 ◎(매우 양호)로 하고, 피트 크기의 차이가 1μm를 초과하고 1.5μm 이하인 것을 ○(양호)로 하고, 1.5μm를 초과하고 2μm 이하인 것을 △(약간 양호)로 하고, 2μm를 초과하는 것을 ×(불량)로 했다. 그리고, ◎, ○, △의 판정을 합격으로 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하여 이면 백색화 특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면 백색화 특성의 평가 방법)
알루미늄 합금판을, 5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온도 50℃에서 30초간 탈지한 후, 1질량% 질산으로 실온에서 30초간 중화 세정했다. 중화 세정된 알루미늄 합금판을, 2질량% 염산 중(온도 25℃)에 30초간 침지한 후, 5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온도 50℃에서 10초간 데스머트 처리했다. 그 표면 성상에 대하여 색차계로 명도 L값을 측정하여, 이면 백색화 특성(이면은 통전되지 않음)을 평가했다. L값이 86.5 미만인 것을 거의 백색화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매우 양호)로 하고, 86.5 이상 87.0 미만인 것을 ○(양호)로 하고, 87.0 이상인 것을 백색화했다는 것으로 ×(불량)로 했다.
다음으로 상기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인장 강도, 및 굽힘 피로 강도를 측정 또는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인장 강도의 평가 방법)
알루미늄 합금판으로부터 JIS 5호 시험편(JIS Z2201) 각 4장을 잘라내기에 의해 제작했다. 이 시험편(시험편 A)을 각 2장, 및, 이 시험편을 분위기 온도 240℃로 설정한 공기로에 삽입하고, 노 뚜껑을 닫은 후에 다시 분위기 온도가 240℃에 도달하고 나서 10분간 경과후에 노 내로부터 집어낸 시험편(시험편 B) 각 2장(버닝 처리후의 인장 강도의 평가용)을 이용하여, JIS Z2241에 준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여기서, 각 2장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시험편 A에서는 인장 강도가 180MPa 이상인 것을 ○(양호)로 하고, 인장 강도가 180MPa 미만인 것을 ×(불량)로 하고, 시험편 B에서는 인장 강도가 135MPa 이상인 것을 ○(양호)로 하고, 인장 강도가 135MPa 미만인 것을 ×(불량)로 했다.
(굽힘 피로 강도의 평가 방법)
알루미늄 합금판으로부터 시험편(길이 10mm×폭 80mm)을 잘라내기에 의해 제작했다.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JIS Z2273에 준한 평면 굽힘 피로 시험을, 시험편의 두께 방향에 주는 편진폭 5mm에서 실시했다. 그리고, 반복 굽힘 104회에서의 파단 응력을 산출하여, 이 파단 응력을 굽힘 피로 강도로 했다. 여기서, 파단 응력 350MPa 이상의 것을 ○(양호)로 하고, 350MPa 미만인 것을 ×(불량)로 했다. 이 굽힘 피로 강도가 양호한 알루미늄 합금판을 이용한 인쇄판은, 물림 절단성이 양호하다.
다음으로 상기 알루미늄 합금판을 지지체로서 사용한 인쇄판에 대하여, 인쇄판으로서의 표면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인쇄판의 표면성 평가 방법)
인쇄판을 범용 인쇄기에 장착하고, 롤상으로 권취, 인쇄를 행함으로써 표면성을 평가했다. 망점 면적의 면내 편차 등이 생기지 않은 것, 및, 잉크 불요부에 잉크가 남아 버리는 것 같은 인쇄 품질 저하가 생기지 않은 것을 ○(매우 양호)로 하고, 망점 면적의 면내 편차 등이 약간 생겼지만, 인쇄 품질은 저하되지 않고, 제품으로서 문제가 없던 것을 △(양호)로 하고, 망점 면적의 면내 편차 등이 생긴 것, 잉크 불요부에 잉크가 남아 버려 인쇄 품질이 저하된 것을 ×(불량)로 했다. 그리고, ○, △의 판정을 합격으로 했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3은, 화학 조성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이하, 청구범위라 칭함)를 만족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 이면 백색화 특성, 알루미늄 합금판의 강도(인장 강도, 버닝 처리 후의 인장 강도, 굽힘 피로 강도), 인쇄판의 표면성이 우수했다. 한편, 실시예 11 내지 13은, Ni가 바람직한 양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특히 우수했다.
비교예 1은, Si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하한치 미만이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2는, Si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3은, Fe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하한치 미만이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또한, 강도가 부족하여, 인장 강도, 굽힘 피로 강도가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4는, Fe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5는, Cu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하한치 미만이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6은, Cu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7은, Mg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하한치 미만이기 때문에, 강도가 부족하여, 인장 강도, 굽힘 피로 강도가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8은, Mg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9, 10은, Mn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11은, Zn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이면 백색화 특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12는, Ni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13은, Ti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하한치 미만이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지고, 또한, 표면에 띠 모양 줄무늬가 잔존했기 때문에,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14는, Ti 함유량이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판의 실시예(실시예 14 내지 20)에 대하여, 그 비교예(비교예 15 내지 24)와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4 내지 20, 비교예 15 내지 24>
표 1에 나타내는 합금 기호(A 또는 K)의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500mm 두께의 주괴를 제작하고, 면삭하여 470mm 두께로 했다. 이 주괴를 표 2에 나타내는 제조 조건으로 처리함과 아울러,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제품 두께 0.3mm의 압연판으로 한 후에, 텐션 레벨러에 의한 교정을 실시하여, 평가용 코일 제품을 제작했다. 이 코일 제품 외주로부터 시트상의 알루미늄 합금판을 잘라내어, 제 1 실시예와 같은 항목의 시험 및 평가를 행했다. 이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표 2에 있어서, 중간 소둔을 행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으로 나타내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만족시키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수치에 밑줄을 그어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4 내지 20은, 화학 조성 및 제조 조건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만족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 이면 백색화 특성, 알루미늄 합금판의 강도(인장 강도, 버닝 처리후의 인장 강도, 굽힘 피로 강도), 인쇄판의 표면성이 우수했다. 한편, 실시예 15, 20은, Ni가 바람직한 양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특히 우수했다.
비교예 15는, 균질화 열처리의 온도가 청구범위의 하한치 미만이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16은, 균질화 열처리의 온도가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17은, 균질화 열처리의 온도가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18, 19는, 중간 소둔을 실시하지 않은 것이다. 비교예 18은, 열간 압연 종료 온도가 청구범위의 하한치 미만이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19는, 열간 압연 종료 온도가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20은, 균질화 열처리의 온도가 청구범위의 하한치 미만이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21은, 균질화 열처리의 온도가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22, 23은, 중간 소둔을 실시한 것이다. 비교예 22는, 열간 압연 종료 온도가 청구범위의 하한치 미만이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23은, 열간 압연 종료 온도가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비교예 24는, 균질화 열처리의 온도가 청구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조면의 균일성이 뒤떨어져, 인쇄판의 표면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Claims (6)

  1. Si: 0.03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Fe: 0.2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Cu: 0.0005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Mg: 0.05질량% 이상 0.40질량% 미만,
    Ti: 0.005질량% 이상 0.04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Zn: 0.05질량% 이하, Mn: 0.01질량% 이하로 규제하며,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작성하고,
    상기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고,
    상기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300℃ 이상 370℃ 이하로 열간 압연하고,
    상기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중간 소둔을 행하지 않고서 냉간 압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판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2. Si: 0.03질량% 이상 0.15질량% 이하,
    Fe: 0.2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Cu: 0.0005질량% 이상 0.050질량% 이하,
    Mg: 0.05질량% 이상 0.40질량% 미만,
    Ti: 0.005질량% 이상 0.04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Zn: 0.05질량% 이하, Mn: 0.01질량% 이하로 규제하며,
    잔부가 Al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작성하고,
    상기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고,
    상기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300℃ 이상 370℃ 이하로 열간 압연하고,
    상기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냉간 압연하고, 추가로 중간 소둔, 냉간 압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판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Ni: 0.20질량% 이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판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i의 함유량이 0.005질량% 이상 0.2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판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제작하는 제 1 공정,
    상기 제 1 공정에서 제작된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 공정에서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300℃ 이상 370℃ 이하로 열간 압연하는 제 3 공정, 및
    상기 제 3 공정에서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중간 소둔을 행하지 않고서 냉간 압연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작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판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해, 주조하여 주괴를 제작하는 제 1 공정,
    상기 제 1 공정에서 제작된 주괴를 380℃ 이상 600℃ 이하로 균질화 열처리하는 제 2 공정,
    상기 제 2 공정에서 균질화 열처리된 주괴를, 압연 종료 온도 250℃ 이상 300℃ 이하로 열간 압연하는 제 3 공정, 및
    상기 제 3 공정에서 열간 압연된 압연판을 냉간 압연하고, 추가로 중간 소둔, 냉간 압연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작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판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방법.
KR1020137013926A 2008-08-28 2009-07-28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98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0433 2008-08-28
JP2008220433A JP4764459B2 (ja) 2008-08-28 2008-08-28 裏面白化防止性に優れる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
PCT/JP2009/063410 WO2010024079A1 (ja) 2008-08-28 2009-07-28 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637A Division KR20110048539A (ko) 2008-08-28 2009-07-28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552A Division KR20140046089A (ko) 2008-08-28 2009-07-28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878A true KR20130069878A (ko) 2013-06-26

Family

ID=4172125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926A KR20130069878A (ko) 2008-08-28 2009-07-28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117004637A KR20110048539A (ko) 2008-08-28 2009-07-28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147008552A KR20140046089A (ko) 2008-08-28 2009-07-28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637A KR20110048539A (ko) 2008-08-28 2009-07-28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147008552A KR20140046089A (ko) 2008-08-28 2009-07-28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64459B2 (ko)
KR (3) KR20130069878A (ko)
CN (1) CN102119231A (ko)
DE (1) DE112009002076T5 (ko)
WO (1) WO2010024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7185A (ja) * 2010-09-03 2012-03-22 Fujifilm Corp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753389B2 (ja) * 2011-01-28 2015-07-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489971A (zh) * 2011-12-21 2012-06-13 西南铝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铝合金板材生产方法
CN103469031B (zh) * 2013-08-12 2016-04-06 安徽环宇铝业有限公司 一种印刷版基用铝合金及其制备方法
KR101465389B1 (ko) 2013-09-27 2014-1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알루미늄 합금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관통저항성이 향상된 알루미늄 압출 튜브와 핀 재 및 이로 구성된 열교환기
CN103572134A (zh) * 2013-11-05 2014-02-12 吴高峰 一种锰镁铝合金
CN103667819B (zh) * 2013-11-22 2015-09-16 中铝瑞闽股份有限公司 Ctp版基及其制作方法
CN103993206B (zh) * 2014-04-16 2016-05-25 池州市光明塑钢有限公司 一种印刷用铝合金型材及其制备方法
JP6389577B1 (ja) * 2018-02-17 2018-09-12 株式会社Uacj 磁気ディスク用アルミニウム合金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磁気ディスク用アルミニウム合金基板を用いた磁気ディスク
CN111676396A (zh) * 2020-07-15 2020-09-18 江苏鼎胜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蜂窝芯用高强度、高延伸、耐腐蚀铝箔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61A (ja) * 1983-06-22 1985-01-12 Furukawa Alum Co Ltd 平版印刷版用支持体の製造方法
JPS61146598A (ja) * 1984-12-20 1986-07-04 Furukawa Alum Co Ltd 平版印刷版用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230946A (ja) * 1986-04-01 1987-10-09 Furukawa Alum Co Ltd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支持体
JP3915944B2 (ja) * 1997-08-22 2007-05-16 古河スカイ株式会社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支持体の製造方法および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支持体
DE29924474U1 (de) 1999-07-02 2003-08-28 Hydro Aluminium Deutschland Lithoband
JP2003328094A (ja) * 2002-05-17 2003-11-19 Sky Alum Co Ltd 平版印刷版支持体用アルミニウム合金圧延板の製造方法
JP4630968B2 (ja) * 2003-07-25 2011-02-09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と平版印刷版
JP2007070674A (ja) * 2005-09-06 2007-03-22 Fujifilm Holdings Corp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83256A (ja) * 2005-09-20 2007-04-05 Fujifilm Corp 平版印刷版用支持体の製造方法
JP4181596B2 (ja) * 2006-12-05 2008-11-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4181597B2 (ja) * 2006-12-07 2008-11-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
KR101104556B1 (ko) * 2006-12-05 2012-01-1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JP4913008B2 (ja) * 2007-10-12 2012-04-11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平版印刷用アルミニウム合金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079A1 (ja) 2010-03-04
DE112009002076T5 (de) 2011-07-28
JP4764459B2 (ja) 2011-09-07
CN102119231A (zh) 2011-07-06
JP2010053410A (ja) 2010-03-11
KR20140046089A (ko) 2014-04-17
KR20110048539A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9878A (ko)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JP4740896B2 (ja)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3693485B2 (ja)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素板の製造方法
JP5210103B2 (ja)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13008B2 (ja) 平版印刷用アルミニウム合金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81596B2 (ja) 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2005042187A (ja)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と平版印刷版
JP4181597B2 (ja) 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5250068B2 (ja) 裏面白化防止性に優れる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5250067B2 (ja) 裏面白化防止性に優れる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2013174018A (ja) 自動製版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4482483B2 (ja) 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2005002429A (ja)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289731A1 (en) Method of producing aluminum alloy sheet for lithographic printing plate
KR101104556B1 (ko) 인쇄판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
JP4110353B2 (ja)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素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14396B2 (ja)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US8118951B2 (en) Aluminum alloy sheet for lithographic printing plate
JP5116267B2 (ja)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2013177685A (ja) 自動製版印刷版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2010012779A (ja) 平版印刷シートへの加工に適した合金
JP2004035984A (ja) 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593593B2 (ja) 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65344B1 (ko) 인쇄판용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8272941A (ja) 平版印刷版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331

Effective date: 201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