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791A - 기지국의 전력 소비의 최적화 - Google Patents

기지국의 전력 소비의 최적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791A
KR20130069791A KR1020137008630A KR20137008630A KR20130069791A KR 20130069791 A KR20130069791 A KR 20130069791A KR 1020137008630 A KR1020137008630 A KR 1020137008630A KR 20137008630 A KR20137008630 A KR 20137008630A KR 20130069791 A KR20130069791 A KR 2013006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oad
amplifier
base station
resource blocks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7489B1 (ko
Inventor
올리버 블루메
디트리히 첼러
안톤 암브로시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3006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means for improving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단계들; -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S1);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은지를 결정하는 단계(S2);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기지국의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S3);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는 단계(S4);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는 단계(S2);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계(S5); 및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지국의 전력 소비의 최적화{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BASE ST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원격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신식의 기지국은 각각의 셀에서 최대 트래픽 부하에 대해 최대 전력을 소비한다. 이러한 기지국은 각각의 셀에서 최대 트래픽 부하에 대해 최적화되고, 심지어 어떠한 데이터도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되지 않을 때, 최대 전력의 50% 이상을 소비한다. 기지국은 각각의 셀에서 낮은 트래픽 부하들의 경우들에 비효율적으로 동작하는데, 이는 더 낮은 트래픽 부하가 기지국의 훨씬 더 낮은 전력 소비에 이르지 않기 때문이다. 즉, 송신된 데이터 비트 당 소비된 전력의 비는 상대적으로 낮은 트래픽 부하들에 대해 상당하게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 개선된 기지국 장치, 및 개선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서의 통신의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주어진다.
본 발명은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신 매체의 리소스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리소스 블록은 시간-주파수 연속체 내의 시간 기간 및 주파수 간격에 의해 규정된다. 리소스 블록들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scheduling)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데이터 송신들이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 스케줄링될 때, 데이터 송신들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간격은 리소스 블록들에 의해 결정된다.
증폭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들을 증폭한다. 시간 기간에서 증폭기의 부하는 주로 시간 기간에 대해 스케줄링되는 리소스 블록들의 수에 의존한다. 리소스 블록들의 단지 일부가 그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됨을 유의해야 한다. 몇몇 리소스 블록들은 단지 파일럿(pilot)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 부하는 또한 리소스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블록들은 단지 파일럿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는다.
트래픽 부하는 셀에서 측정되고 후속적으로,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은지가 결정된다.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기지국의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가 감소된다.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는 데이터 송신들이 스케줄링되는 리소스 블록들의 수에 의해 제한된다.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는 스케줄링된 리소스 블록들 몇몇 또는 모두에서 단지 한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고/스케줄링하거나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이용자 데이터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셀의 기지국의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가 조절된다.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는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신호들의 신호 전력 레벨 및 증폭기의 출력부에서의 신호 출력 레벨에 의해 규정된다.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은 전력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입력 전압의 감소 및 증폭기의 출력부에서의 최대 출력 전압의 감소를 야기한다. 즉,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는 자동적으로 더 낮은 입력 및 출력 신호 레벨들로 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동작 포인트가 더 높은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에 대한 것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에 대한 포화 값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됨을 의미한다.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은 여기서 또한 증폭기의 포화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즉,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전력 증폭기의 포화 포인트가 감소된다. 포화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것은 예를 들면,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키고/감소시키거나 증폭기가 복수의 증폭기 구성요소들 또는 스테이지들을 포함할 때, 한 서브세트의 증폭기 구성요소들 또는 스테이지들을 스위칭 오프(switching off)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은 또한 증폭기의 포화 값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은지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기지국의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가 증가되고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는 결과적으로 조절된다.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은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을 때, 상기 설명된 조절에 대응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는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을 때,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키고/증가시키거나 증폭기의 증폭기 구성요소들 또는 스테이지들을 스위칭 온함으로써 더 높은 값으로 설정된다.
제 1 및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임계값들은 시간에 따라 일정할 필요가 없다. 제 1 및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은 또한 동일한 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더 높은 값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은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은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증폭기는 복수의 증폭기 구성요소들 또는 스테이지들을 포함한다.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은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한 서브세트의 증폭기 구성요소들 또는 스테이지들을 스위칭 오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 구성요소들 또는 스테이지들을 스위칭 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증폭기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은 제 1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을 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제 1 서브세트의 모든 리소스 블록들은 또한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에 의해 구성된다. 즉,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은 최대 수의 리소스 블록들이고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은 최대의 리소스 블록들 미만이거나 동일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들은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제 1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서만 스케줄링된다. 즉, 모든 리소스 블록들이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제 1 서브세트가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된다. 리소스 블록들이 또한 파일럿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들 리소스 블록들은 제 1 서브세트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은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제 1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의 수가, 트래픽 부하가 변동하지 않을 때 또한 시간에 따라 변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은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을 지나가지 않을지라도,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스케줄러가 각각의 시간 기간에 대해, 양호한 송신 성능을 갖는 한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을 선택하게 하고 불량한 송신 성능을 갖는 리소스 블록들의 이용을 회피하게 한다.
증폭기의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는 것은 제 2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을 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제 2 서브세트의 모든 리소스 블록들은 또한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에 의해 구성된다. 제 2 서브세트는 제 1 서브세트보다 더 많은 리소스 블록들을 포함한다.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더 높으면, 데이터 송신들은 제 2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서만 스케줄링된다. 즉,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를 초과할 때,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더 낮을 때의 경우에서보다 더 많은 리소스 블록들이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 2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은 또한, 트래픽 부하가 항상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더 높을 수 있을지라도 시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증폭기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은 스케줄링된 리소스 블록들 몇몇 또는 모두에서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이용자 데이터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리소스 블록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변조 인코딩 방식은 변경될 수 있다. 즉,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이용자 데이터의 전력 레벨이 감소될 때, 더 낮은 변조 인코딩 방식이 상기 리소스 블록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더 낮은 변조 인코딩 방식은 데이터 송신들이 간섭들 및 잡음에 대해 더 로버스트(robust)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더 낮은 변조 인코딩 방식은 감소된 전력 레벨을 보상할 수 있다. 증폭기의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는 것은 스케줄링된 리소스 블록들 몇몇 또는 모두에서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이용자 데이터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 경우에, 변조 인코딩 방식이 또한 변경된다. 바람직하게 그 다음, 더 높은 변조 인코딩 방식은 상기 리소스 블록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더 높은 변조 인코딩 방식은 데이터 송신에 대해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은 타이머를 포함한다. 타이머는 시간을 규정한다. 타이머는 증폭기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시작된다. 출력 부하의 또 다른 증가 또는 감소는 타이머에 의해 규정된 시간 동안 디스에이블링(disabling)된다. 즉, 타이머는 증폭기의 상이한 출력 부하들 사이의 너무 빠른 스위칭을 회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시간 스케줄은 트래픽 부하의 발전(development)을 미리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트래픽 부하의 발전은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 및/또는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가 조절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오전 5시와 오전 8시 사이의 월요일 아침에, 제 2 트래픽 부하 이상의 트래픽 부하가 기대되고 이것은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의 증가를 설정한다. 시간 스케줄은 예를 들면, 더 높고/더 높거나 더 낮은 트래픽 부하들을 갖는 시간들 및/또는 날들을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래픽 부하의 발전을 미리 결정하기 위해 시간 스케줄을 이용하는 것은 트래픽 부하가 시간 스케줄을 이용함으로써 미래의 시간 기간에 대해 결정됨을 의미한다.
시간 스케줄은 고정될 수 있거나 시간 스케줄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시간 스케줄을 동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측정된 트래픽 부하들의 결과들은 기지국에 저장된다. 그 다음, 시간 스케줄은 이들 결과들을 이용함으로써 생성되거나 변경된다. 예를 들면, 결과들은 오후 5시와 오후 6시 사이의 금요일 오후에 트래픽 부하가 항상 20% 감소함을 나타낸다. 시간 스케줄이 단지 10% 정도 감소한다고 예측하면, 시간 스케줄은 측정 결과들을 이용함으로써 변경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더 낮거나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더 높은지에 대한 결정은 트래픽 부하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즉, 트래픽 부하가 제 1 또는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을 지나갈 때, 결정이 트리거링된다. 또 다른 방식은 트래픽 부하를 규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결정을 위한 시간 간격들은 주기적일 수 있거나 시간 스케줄에 의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은 또한 증폭기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킨 후에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부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부분은 신호들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신호들을 처리한다. 신호 처리 부분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의 디지털 신호 컨디셔닝 부분(digital signal conditioning part)의 실행 클리핑 알고리즘(executing clipping algorithm), 기저대역 처리를 위한 처리 하드웨어, 및/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의 신호 처리 하드웨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송신될 때 셀의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데이터가 나중 시점에서 송신될 때 셀의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트래픽 부하를 측정한 후에 나중 시점에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즉, 스케줄러는 데이터 송신들을 지연시킴으로써 트래픽 부하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의 증가를 회피하기 위해 이로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증폭기는 어떠한 데이터 송신들도 스케줄링되지 않을 때, 스위칭 오프된다. 이 경우에, 데이터 송신들은 이용자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파일럿들, 동기화 정보, 및/또는 제어 채널은 단지 현재 이용된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서만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다. 예를 들면, 단지 제 1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만이 이용되면, 어떠한 파일럿들도 제 1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속하지 않는 리소스 블록들의 나머지에 대해 송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신호를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이웃 기지국 또는 중앙 네트워크 엔티티로 송신한다. 이웃 기지국은 이웃 셀에 의해 구성된다. 신호는 기지국에 의해 현재 이용되는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웃 기지국 또는 중앙 네트워크 엔티티는 이웃 셀에서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또 다른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을 결정하기 위해 이 정보를 이용한다. 즉, 상기 신호들을 송신함으로써,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들은 집중되거나 분산된 방식으로, 셀이 가장 이로운 서브세트들의 리소스 블록들의 이용을 결정한다. 분산된 방식으로, 중앙 네트워크 엔티티는 신호들의 교환을 관리하고 각각의 셀에 대한 서브세트들을 결정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고, 기지국 장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 위치된다. 기지국 장치는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및 증폭된 신호들을 송신하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수단을 포함한다. 기지국 장치는 또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지시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은지를 결정하기 위해 적응된다. 기지국의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은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킨다. 증폭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들을 증폭한다.
기지국 장치는 또한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기지국의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또한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은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기지국 장치로 하여금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로 분할된다. 리소스 블록들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된다. 방법은 셀에서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은지를 결정하는 단계,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기지국의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증폭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들을 증폭한다.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는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조절된다. 또한,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은지가 결정된다.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기지국의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는 증가된다.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다음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기지국 증폭기의 특성 커브들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리소스 블록들의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10개의 연속적인 리소스 블록들의 시간에 걸쳐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되는 한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의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리소스 블록들을 갖는 한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이들 도면들에서의 유사한 넘버링된 요소들은 동일한 요소들이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전에 논의된 요소들은 기능이 동일하다면, 이후의 도면들에서 반드시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기지국 증폭기의 특성 커브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각각의 다이어그램은 특성 커브 및 각각의 셀의 트래픽 부하의 대응하는 트래픽 부하 다이어그램으로 구성된다. 도 1a는 상대적으로 높은 트래픽 부하를 갖는 셀에서 최신식의 증폭기에 대한 특성 커브를 나타낸다. 도 1b는 상대적으로 낮은 트래픽 부하를 갖는 셀에서 최신식의 증폭기의 특성 커브를 도시한다. 트래픽 부하가 높을 수록,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가 더 높다. 즉, 더 높은 트래픽 부하들에 대해, 동작 포인트는 증폭기의 포화 포인트(100)에 더 가까이 위치된다. 도 1a는 증폭기의 특성 커브 및 상대적으로 높은 트래픽 부하를 갖는 셀의 동작 포인트(102)를 도시한다.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동작 포인트(112)는 포화 값(100) 가까이의 높은 트래픽 부하에 대해 위치해 있다. 도 1b에 도시된 상대적으로 낮은 트래픽 부하에 대해,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104)는 포화 포인트로부터 더 먼, 특성 커브의 더 낮은 포인트에서 위치된다. 이것은 증폭기가 신호들을 충분하게 증폭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함을 의미한다.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화 전력 레벨의 조절로 동작된 전력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들(106 및 108)을 도시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트래픽 부하에 대해, 어떠한 차이도 도 1a에서 보여질 수 없다. 그러나, 도 1d에서, 증폭기는 더 낮은 포화 전력 레벨로 동작되고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동작 포인트(118)는 낮은 트래픽 부하의 경우에, 조절된 포화 포인트(101) 가까이에 위치해 있다. 이것은 증폭기의 전력 소비가 감소되고, 이는 도 1c에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임을 의미한다.
동작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은 예를 들면,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고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된 리소스 블록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된 리소스 블록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가 감소된다. 그리고,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증폭기의 포화 포인트가 감소되고, 이는 도 1d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작 포인트(108) 및 최대 이용된 동작 포인트(118)을 향한 포화 값(101)의 접근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최대 셀 출력 전력은 증폭기의 재구성을 허용하는 트래픽 부하에 적응되어야 한다. 동기부여는 기지국의 스케줄러가 리소스 요소들의 단지 일부분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전력 증폭기 출력이 최대 출력보다 상당히 낮음이 보장된다. 이 경우에, 증폭기는 그것이 훨씬 더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재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구성은 예를 들면, 더 적은 DC 입력 전력이 소비되도록, 더 낮은 바이어스 전압을 이용할 수 있는 전력 증폭기의 전원 및 트랜시버의 디지털 신호 컨디셔닝 부분의 클리핑 임계값의 적응을 포함할 수 있다. 추정들은 전형적인 일 부하 프로파일들에 대해, 최대 30%의 전력 절약이 일 평균 기대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스케줄러는 가까운 미래에 대해 예를 들면, 전형적인 일 트래픽 패턴들로부터 및/또는 가장 최근의 초 및 분에 서빙되었던 트래픽으로부터의 요구된 최대 용량을 예측한다. 또한, 모바일 전화들, PDA들, 및/또는 모바일 컴퓨터들과 같은 접속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수 또는 접속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의한 요청된 수의 서비스들이 추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측된 용량 범위 내에서, 스케줄러는 여전히 전(full) 셀 대역폭으로부터 최상의 리소스 요소들을 선택하는데 자유롭다. 이후 시간에서, 가까운 미래에 대한 예측이 변경되면,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가 적응된다. 증폭기 동작 포인트의 전이는 디지털 신호 처리 알고리즘들이 최소 신호 왜곡으로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몇 초에 걸쳐 평활(smooth out)될 수 있다.
각각의 리소스 요소는 여전히 동일한 스펙트럼 전력 밀도로 송신되고 따라서, 커버리지 영역 및 셀의 링크 품질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정들을 요구하지 않는다.
도 2는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202)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각각의 리소스 블록들은 복수의 리소스 요소들(200)을 포함한다. 리소스 요소들은 시간 기간(204) 및 주파수 간격(206)에 의해 규정된다. 결과적으로, 물리 리소스 블록들은 또한 장기간의 시간 및 넓은 주파수 간격에 의해 규정된다. 예를 들면, 리소스 블록(202)이 168개의 리소스 요소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리소스 요소가 0.07ms의 시간 기간(204) 및 15kHz의 주파수 간격(206)에 의해 규정되면, 리소스 블록(200)은 1ms의 시간 및 180kHz의 주파수 간격에 의해 규정된다.
도 3은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202)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단지 하나의 서브세트(300)의 리소스 블록들 만이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됨을 유의해야 한다. 2개의 다른 서브세트들(302 및 304)은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는다. 도 3에서, 단지 주파수 간격의 3분의 1만이 이용된다. 이것은 전력 증폭기가 단지 최대 송신 전력의 3분의 1로 동작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야기한다. 또한,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은 서브세트들(302 및 304)의 파일럿들(306)은 억제된다(suppressed). 이것은 더 많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한 서브세트(400)의 리소스 블록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전체 시간에 따라, 단지 리소스 블록들의 3분의 1만이 스케줄링을 위해 이용된다. 이것은 서브세트(400)의 리소스 블록들이 항상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 중 3분의 1을 포함하지만, 항상 동일한 주파수 간격이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이것은 기회주의적인 리소스 할당에 대해 이로울 수 있는데, 이는 스케줄러가 여전히 전 스케줄링 다양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모든 파일럿들은 전송될 필요가 있다. 이웃 셀들과의 간섭들은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이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마지막 15분의 평균 트래픽 부하를 측정할 수 있고 다음 15분 동안 요구된 용량을 추정한다. 예를 들면, 용량의 50%가 진행중인 트래픽을 서빙하기 위해 충분할 때, 스케줄러는 최대 50%에 대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는 리소스 블록들의 수를 제한한다. 이는 최대 증폭기 출력을 제한하고 따라서, 다음 15분 동안 전력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 및 잠재적으로 또한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를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증폭기 특성의 3dB 압축 포인트를 감소시킬 것이지만, 출력 전력의 공지된 한계 때문에, 바이어스 전압이 안전하게 선택될 수 있어서, 어떠한 출력 신호의 포화도 발생하지 않는다. 매크로 셀에 대한 일 예시적인 시나리오는 표준화된 대역폭을 갖는 LTE 매크로 셀들에 대한 전형적인 출력 전력을 이용하여, 다음 [표 1]에 주어진다. 이들 출력 전력들은 또한 전 대역폭 내에서 제한된 스케줄링으로 20MHz 셀에 적용되는데, 이는 전력 증폭기의 성능이 대역폭 내에서 스케줄링된 리소스 블록들의 분포에 상당히 의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역폭 서브프레임 당 리소스 블록들의 수 20MHz 대역폭에 대한 상대적 용량 셀 출력 전력
1.4MHz 6 6% 37dBm
3MHz 15 15% 40dBm
5MHz 25 25% 43dBm
10MHz 50 50% 46dBm
15MHz 75 75% 48dBm
20MHz 100 100% 49dBm
예를 들면, 20MHz에서 동작하는 셀은 전 평균 부하(예를 들면, 바쁜 시간에서) 49dBm의 라디오 주파수 출력 전력을 요구할 것이다. 단지 5%의 부하를 갖는 밤 시간 동안에, 스케줄러는 서브프레임 당 최대 6개의 리소스 블록들로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최대 평균 출력 파워는 단지 37dBm이고 따라서, 포화 전력 레벨은 12dB 만큼 감소될 수 있다. 포화 전력은 주로 전력 증폭기의 DC 전원 전압에 의해 주어지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바이어스 전류를 구동한다. 따라서, 포화 전력 레벨을 낮추는 것은 전력 증폭기의 DC 전력 소비를 낮춘다. 부가적으로, 낮은 용량 이용에 대해, PAPR는 낮아질 수 있어서, 새로운 포화 레벨이 더 낮은 백오프(backoff)로 선택될 수 있고, 즉 상기 [표 1]에 주어진 평균 전력 레벨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이것은 [표 1]이 제안한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전력 절약들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수초 내지 수시간의 범위에서 적응을 위해 다른 시간 스케일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스케줄러의 제한된 용량 이용을 이용하는 부가적인 전력 절약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 낮은 데이터 스케줄링은 기저 대역 처리의 계산 노력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기저 대역 처리 하드웨어는 전력 절약 모드로 예를 들면, 클록 레이트를 감소시키거나 병렬 처리 회로들의 일부 부분들을 스위칭 오프함으로써 동작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다른 부분들은 감소된 리소스 이용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제어 인터페이스는 에너지 절약 모드들의 그들의 스위칭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스케줄러와 그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셀들의 트래픽 행동(traffic behavior)의 시간 스케줄을 이용하고, 그에 따라서 스케줄러의 규정된 용량 제한들로 기간들을 구성한다. 다음의 [표 2]는 각각이 5 단계들로 평일 및 주말에 대한 용량 제한 및 출력 전력 제한의 일례를 나타낸다.
시간 평일 주말
0h - 5h 15% 및 40dBm 6% 및 37dBm
5h - 8h 15% 및 43dBm 15% 및 40dBm
8h - 12h 50% 및 46dBm 25% 및 43dBm
12h - 18h 100% 및 49dBm 50% 및 46dBm
18h - 24h 50% 및 46dBm 50% 및 46dBm
운영 및 관리 네트워크(O&M)가 관련 셀 뿐만 아니라, 그들의 이웃 셀들을 향한 용량 제한들 및 출력 전력에 관하여 새로운 구성을 시그널링하는 집중된 방식, 또는 기지국이 적당한 자기-최적화 알고리즘들을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설정들을 책임지는 분산화된 방식에 의한 이러한 수정의 개시를 위한 2가지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후자의 경우에, 구성된 값들은 3GPP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련 이웃 셀들로 교환될 것이고, 상기 관련 이웃 셀들은 3GPP TS 36.331에 명기된 AllowedMeasBandwidth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용량의 적응은 실제로 어떠한 리소스 요소도 스케줄링되지 않을 때, 수분의 일 밀리초 동안 전력 증폭기를 스위칭 오프하는 것과 조합된다. 이 경우에, 스케줄러는 어떠한 데이터나 기준 신호들도 송신되지 않을 가능한 한 많은 시간 간격들을 생성하기 위해 용량 제한 내에서 되도록 많은 스케줄링된 리소스 요소들을 모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스케줄러는 리소스 스케줄링의 제한을 하나 또는 몇몇 이웃 셀들로 전달한다. 이들 셀들은 어떤 요소들이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케줄링되는지를 조정(coordinating)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0%의 상황에서, 부하 셀(1)은 모든 짝수 리소스 블록들을 이용할 수 있고 셀(2)는 모든 홀수 블록들을 이용할 수 있다. 셀들 둘 모두는 본 발명에 따라 에너지를 절약한다. 동시에, 셀들 사이의 간섭은 대폭 감소된다. 더 낮은 간섭 레벨은 더 높은 변조 방식으로 송신하기 위해 레버리징(leveraging)될 수 있고, 상기 더 높은 변조 방식은 또한 스케줄러의 또 다른 용량 제한에 의해 부하 레벨을 감소시키고 더 많은 절약 효과를 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케줄러는 전력 증폭기(바이어스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의 DC 전원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 처리에 대해서 이용된 용량의 변경들을 트리거링한다. 이것은 신호 품질에서의 천이 효과들을 감소시키고 디지털 신호 처리의 적응을 빠르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클리핑 알고리즘의 임계값들은 전력 증폭기 동작 포인트의 앞으로의 변경을 위해 동기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기지국 하드웨어의 제어 인터페이스들에서의 구현 특정 변경들을 요구하고 표준화된 장비 또는 인터페이스들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중앙 대역에 속하지 않고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도록 예견된 서브캐리어들에 속하지 않는 서브캐리어들의 또 다른 파일럿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의한 이동성 측정들을 위해 이용된 셀 각각의 오프셋들의 몇몇 적응과 함께 억제될 수 있다. 일 대안으로서, 특정 오프셋 파라미터가 도입될 수 있다. 이것은 셀들이 비어있거나 거의 비어있는 경우들에 대해, 파일럿 송신 전력 오버헤드를 절약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5는 기지국 장치(500)의 블록도이다. 기지국 장치는 디지털 저장장치(502), 증폭기(506), 안테나(508), 및 프로세서(510)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지시들(504)은 디지털 저장장치(502)에 저장된다.
동작 시에, 증폭기(506)는 신호들을 증폭하고, 상기 신호들은 후속적으로 안테나(508)를 통해 송신된다. 프로세서(510)는 프로그램 지시들(504)을 실행하기 위해 적응된다. 프로세서(510)는 또한 리소스 블록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적응된다.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 지시들(504)은 기지국 장치(500)로 하여금 상기 기지국 장치(500)에 의해 서빙된 셀(도시되지 않음)의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거나 계산하도록 한다.
프로세서(510)는 또한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거나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은지를 결정하기 위해 적응된다.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증폭기(506)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가 감소된다.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증폭기(506)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가 증가된다. 둘 모두의 경우들에서, 증폭기(506)의 동작 포인트는 기지국 장치(500)의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기 위해 후속적으로 조절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 1 단계(S1)에서, 셀의 트래픽 부하가 측정되거나 계산된다. 그 다음, 단계(S2)에서,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거나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은지가 결정된다.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방법은 도 6의 단계(S3)로 진행한다. 단계(S3)는 기지국의 증폭기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스케줄링된 리소스 블록들 몇몇 또는 모두에서 단지 한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고/스케줄링하거나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이용자 데이터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방법은 단계(S2)로부터 단계(S5)로 이동한다. 단계(S5)는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더 많은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고/스케줄링하거나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이용자 데이터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단계(S3)에 대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S5)의 수행은 단계(S3)의 수행의 반대 효과를 갖는다.
둘 모두의 경우들에서, 증폭기의 동작 포인트는 단계(S4)에서 조절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단계(S3)가 이전에 수행되면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단계(S5)가 이전에 수행되면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100: 포화 값
102, 104, 106, 108: 동작 포인트
112, 114, 116, 118: 최대 이용된 동작 포인트 200: 리소스 요소
202: 리소스 블록들 204: 시간
206: 주파수 간격
300, 302, 304, 400: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 306: 파일럿들
500: 기지국 502: 디저털 저장장치
504: 프로그램 지시들 506: 증폭기
508: 안테나 510: 프로세서

Claims (14)

  1.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리소스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202)로 분할되고, 각각의 리소스 블록은 시간 기간(204) 및 주파수 간격(206)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리소스 블록들(202)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scheduling)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통신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셀에서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S1);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은지를 결정하는 단계(S2);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기지국의 증폭기(506)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S3)로서, 상기 증폭기(506)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들을 증폭하는, 상기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S3);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증폭기(506)의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는 단계(S4);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는 단계(S2);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기지국의 증폭기(506)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계(S5);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증폭기(506)의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는 단계(S4); 및
    - 타이머에 의한 시간을 규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증폭기(506)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시작되고, 상기 출력 부하의 또 다른 증가 또는 감소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규정된 상기 시간 동안 디스에이블링(disabling)되는, 상기 타이머에 의한 시간 규정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증폭기(506)의 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증폭기(506)의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행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506)는 복수의 증폭기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한 서브세트의 증폭기 구성요소들을 스위칭 오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증폭기 구성요소들을 스위칭 온함으로써 수행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506)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은,
    - 제 1 서브세트(300; 400)의 리소스 블록들을 결정하고;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 1 서브세트(300; 400)의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서만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제 1 서브세트(300; 400)의 모든 리소스 블록들은 또한 상기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202)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증폭기(506)의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는 것은,
    - 제 2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을 결정하고;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 2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서만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제 2 서브세트의 모든 리소스 블록들은 또한 상기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202)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2 서브세트는 상기 제 1 서브세트보다 더 많은 리소스 블록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506)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은,
    - 상기 스케줄링된 리소스 블록들 몇몇 또는 모두에서 상기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이용자 데이터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고 상기 리소스 블록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증폭기(506)의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는 것은,
    - 상기 스케줄링된 리소스 블록들 몇몇 또는 모두에서 상기 증폭기의 입력부에서의 이용자 데이터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고 상기 리소스 블록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변조 및 인코딩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간 스케줄은 상기 트래픽 부하의 발전(development)을 미리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트래픽 부하의 발전은 상기 증폭기(506)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 및/또는 상기 증폭기(506)의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가 조절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더 낮거나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더 높은지에 대한 결정은 상기 트래픽 부하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506)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킨 후에 상기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부분을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부분은 신호들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상기 신호들을 처리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송신될 때 상기 셀의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데이터가 나중 시점에서 송신될 때 상기 셀의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트래픽 부하를 측정한 후에 나중 시점에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506)는 어떠한 데이터 송신들도 스케줄링되지 않을 때, 스위칭 오프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일럿들(pilots), 동기화 정보, 및/또는 제어 채널은 단지 현재 이용된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대해서만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신호를 상기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이웃 기지국 또는 중앙 네트워크 엔티티로 송신하고, 상기 이웃 기지국은 이웃 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신호는 현재 상기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상기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중앙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이웃 셀에서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또 다른 서브세트의 리소스 블록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이용하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
  13. 기지국 장치(500)로서,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 위치되는, 상기 기지국 장치(500)에 있어서:
    -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506);
    - 상기 증폭된 신호들을 송신하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수단(508);
    -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은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510);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기지국의 증폭기(506)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510);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증폭기(506)의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510);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은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510);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증폭기(506)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510);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증폭기(506)의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510); 및
    - 시간을 규정하는 타이머로서, 상기 증폭기(506)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시작되고, 상기 출력 부하의 또 다른 증가 또는 감소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규정된 상기 시간 동안 디스에이블링되는, 상기 타이머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500).
  14. 기지국 장치(50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기지국 장치로 하여금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통신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504)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50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들(202)로 분할되고, 상기 리소스 블록들(202)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셀에서 트래픽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은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기지국의 증폭기(506)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증폭기(506)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들을 증폭하는, 상기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1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증폭기(506)의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는 단계;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기지국의 증폭기(506)의 최대 이용된 출력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계;
    - 상기 트래픽 부하가 상기 제 2 트래픽 부하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증폭기(506)의 동작 포인트(102; 104; 106; 108; 112; 114; 116; 118; 124)를 조절하는 단계; 및
    - 타이머에 의한 시간을 규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증폭기(506)의 출력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킨 후에 직접적으로 시작되고, 상기 출력 부하의 또 다른 증가 또는 감소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규정된 상기 시간 동안 디스에이블링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502).
KR1020137008630A 2010-10-08 2011-08-22 기지국의 전력 소비의 최적화 KR101477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290540.3A EP2439988B1 (en) 2010-10-08 2010-10-08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base station
EP10290540.3 2010-10-08
PCT/EP2011/064355 WO2012045517A1 (en) 2010-10-08 2011-08-22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bas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791A true KR20130069791A (ko) 2013-06-26
KR101477489B1 KR101477489B1 (ko) 2014-12-31

Family

ID=4355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630A KR101477489B1 (ko) 2010-10-08 2011-08-22 기지국의 전력 소비의 최적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72043B2 (ko)
EP (1) EP2439988B1 (ko)
JP (1) JP5745071B2 (ko)
KR (1) KR101477489B1 (ko)
CN (1) CN103098525B (ko)
BR (1) BR112013007258A2 (ko)
TW (1) TWI503040B (ko)
WO (1) WO2012045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8444B2 (en) * 2012-07-20 2014-08-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base station radio with non-disruptive service power class switching
CN103281792B (zh) * 2013-05-10 2015-1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协作波束赋形方法及装置
WO2015050482A1 (en) 2013-10-01 2015-04-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justing ran capability based on data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a backhaul network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JP5827987B2 (ja) * 2013-11-28 2015-12-02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体端末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CN104735786B (zh) * 2013-12-18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的方法和装置
CN105611620B (zh) * 2014-11-20 2020-03-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功放电压调节方法及装置
EP3131347A1 (en) * 2015-08-13 2017-02-15 Alcatel Lucent Energy-efficient scheduling
CN111031593B (zh) * 2018-10-09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功耗的方法、bbu、ru、系统及存储介质
US11026223B2 (en) * 2019-01-24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part (BWP) selection
CN112954707B (zh) * 2019-12-11 2022-09-16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站的节能方法、装置、基站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050176A1 (en) * 2021-09-29 2023-04-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rameter of power amplifier
US20230345288A1 (en) * 2022-04-22 2023-10-26 Dell Products L.P. Modifying radio unit operational parameter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762A (en) 1994-10-27 1998-07-21 Wake Forest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renderings of selected body organs having hollow lumens to enable simulated movement through the lumen
US6223056B1 (en) * 1997-12-31 2001-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 variable power amplifier
DE69826898T2 (de) * 1998-12-18 2005-10-13 Nokia Corp. Verfahren zur verkehrsbelastungssteuerung in einem telekommunikationsnetzwerk
US6327462B1 (en) * 1998-12-29 2001-12-04 Conexan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varying operational parameters of an amplifier
US6272336B1 (en) * 1998-12-30 2001-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ffic-weighted closed loop power detection system for use with an RF power amplifier and method of operation
US6721368B1 (en) 2000-03-04 2004-04-1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architectures for communications systems
US7193966B2 (en) * 2001-06-25 2007-03-20 Telefonakitebolaget Lm Ericsson (Publ) Triggered packet data rate change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733579B1 (en) * 2003-12-19 2008-03-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power management for a nod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733835B2 (en) * 2005-07-20 2010-06-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US7221223B2 (en) * 2005-07-28 2007-05-22 Motorola,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managing a power amplifier
CN100442884C (zh) * 2005-12-16 2008-12-10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节省基站功耗的方法及其系统
JP4985650B2 (ja) * 2006-10-26 2012-07-2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パイロット送信方法並びに端末装置
JP2008301404A (ja) * 2007-06-04 2008-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
EP2107847A1 (en) * 2008-04-01 2009-10-07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CN101420790A (zh) * 2008-11-24 2009-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功率消耗的方法、基站
JP5188371B2 (ja) * 2008-11-26 2013-04-2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218143B1 (ko) * 2008-12-16 2013-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의 저전력 운용 방법
CN101784065A (zh) 2009-01-21 2010-07-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小区优化的方法、系统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03040B (zh) 2015-10-01
CN103098525A (zh) 2013-05-08
KR101477489B1 (ko) 2014-12-31
JP5745071B2 (ja) 2015-07-08
US9072043B2 (en) 2015-06-30
JP2013544458A (ja) 2013-12-12
BR112013007258A2 (pt) 2016-06-14
CN103098525B (zh) 2017-02-22
EP2439988A1 (en) 2012-04-11
EP2439988B1 (en) 2014-06-25
WO2012045517A1 (en) 2012-04-12
US20130203434A1 (en) 2013-08-08
TW201225724A (en) 201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489B1 (ko) 기지국의 전력 소비의 최적화
EP29898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organizing networks using cooperative sensing
KR101140536B1 (ko) 서빙 섹터 전력 제어
JP589617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管理サーバ及び無線通信方法
US8913575B2 (en) Releasing a radio resource (e.g. primary component carrier) based on capacities of base stations
US99802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terminal-aware cell switch-off
US8942714B2 (en) Method of controlling interference from femtocells in consideration of macrocell
KR20140118150A (ko) 동적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5357682B (zh) 一种功率余量报告的配置方法、装置及基站
US201803102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varying reference signals' power in a mobile radio network
KR20150018760A (ko) 셀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스몰셀의 커버리지 조절 방법
KR2011008552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381571B (zh) 一种lte基站的功率动态调整方法及系统
CN105900494B (zh) 无线网络中移动终端的节能方法
CN107925961B (zh) 无线通信中调整功率的方法和无线接入点
JP200426653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4249108B2 (ja) 無線システム
JP6560753B2 (ja) モバイル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送信電力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
WO2023098786A1 (zh) 能耗控制方法、基站、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83790A (zh) 一种调度控制方法和装置
KR20120071101A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초소형 기지국 시스템
Altay et al. Dynamic adjustment of idle mode sleep time by received power outage probability
CN102857923A (zh) 一种结合上行干扰协调的小区间功率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