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536B1 - 서빙 섹터 전력 제어 - Google Patents

서빙 섹터 전력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536B1
KR101140536B1 KR1020087019218A KR20087019218A KR101140536B1 KR 101140536 B1 KR101140536 B1 KR 101140536B1 KR 1020087019218 A KR1020087019218 A KR 1020087019218A KR 20087019218 A KR20087019218 A KR 20087019218A KR 101140536 B1 KR101140536 B1 KR 10114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061A (ko
Inventor
모함메드 제이. 보르란
아모드 크한데칼
아비니쉬 아그라왈
팅팡 지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8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calculated in said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sent by anoth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송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기술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개별 단말보다 적정 전력 레벨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더 양호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는 통상의 전력 결정 절차들보다 우선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에 할당된 자원들(예컨대, 주파수, 시간)을 지정하는 할당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SNR, 서비스 품질 요건, 간섭 정보, 임의의 다른 관련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빙 섹터 전력 제어{POWER CONTROL FOR SERVING SECTOR}
본 출원은 "서빙 섹터 통제 전력 제어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2006년 1월 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0/756.960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 가출원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특히 전송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킹 시스템들은 전세계 다수의 사람들이 통신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되었다. 무선 통신 장치들은 수요자의 요구들을 충족시키고 휴대성 및 편리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보다 소형화되고 보다 강력해지고 있다. 수요자들은 셀룰러 전화기, 개인 휴대 단말기(PDA)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들에 의존하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 보다 넓은 커버리지 영역 및 증가한 기능성을 요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 또는 사용자 장치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 전송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무선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면, 대역폭 및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각 액세스 포인트는 섹터로 지칭되는 특정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들을 지원한다. 특정 단말을 지원하는 섹터는 서빙(serving) 섹터로 지칭된다. 특정 단말을 지원하지 않는 다른 섹터들은 비-서빙(non-serving) 섹터들로 지칭된다. 섹터 내의 단말들에는 다수의 단말의 동시 지원을 위해 특정 자원들이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이웃 섹터들 내의 단말들에 의한 전송들은 조화(coordinate)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섹터들 가장자리에 있는 단말들에 의한 전송들은 간섭 및 단말 성능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다음 설명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상에 대한 간략화된 개요를 제공한다. 본 설명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제공하지는 않고, 모든 양상들의 핵심 엘리먼트들을 지정하고,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커버하려고 의도하지 않는다. 단지,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개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르면, 다양한 양상들은 무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되어 기술된다. 특히,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빙되는 단말들에 대한 전송 전력을 통제하거나 또는 무효화(override)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는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섹터 내에 배치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양상들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자원 할당 메시지 내에 전력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간섭을 완화하기 위하여 전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은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과 연관된 전력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에 전력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전력 제어 정보의 함수이며,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에 우선(override)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블록 자원 할당 블록으로 단말에 전송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은 단말의 서빙 섹터로부터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제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에 우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방법은 전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에 대한 제한치를 기술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들의 전송 전력을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에 전력 제어 지시(power control direction)를 전송하는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전력 제어 지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된다. 상기 전력 제어 지시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을 대신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또한 전력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제어 지시는 상기 전력 관련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더욱이, 상기 전력 제어 지시는 자원 할당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단말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는 단말의 전송 전력과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단말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에 우선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프로세서는 다른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로서 상기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명령들을 더 실행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송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서빙 섹터에 대한 전력 관련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 상기 평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단말에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통제하며,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전송 전력 계산에 우선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또한 비-서빙 섹터에 대한 간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관련 데이터는 상기 간섭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단말을 지원하는 서빙 섹터로부터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전력 제어 정보의 함수로서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 레벨을 세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레벨 계산에 우선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또한 상기 전력 제어 정보가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의 독립적인 결정을 지정할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다른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로서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세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과 연관된 데이터의 함수로서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들; 및 상기 단말에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통제하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에 우선할 수 있다. 더욱이, 명령들은 상기 단말에 의해 독립 전력 계산의 무시를 보증하는 조건들을 식별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단말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력 명령을 획득하는 명령들; 및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력 명령은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에 우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은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의 지속 기간을 지정하는 지속 기간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은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에 관한 데이터를 평가하는 명령들; 및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의 단말 전력 추정에 우선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전력 제어 정보는 전송 전력에 대한 제한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은 단말을 지원하는 서빙 섹터로부터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들;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에 우선한다. 더욱이,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전송 전력의 독립적인 결정이 지정될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분석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관련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청구항에서 지정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양상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양상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여기서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여기서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기술한다.
도 3은 여기서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기술한다.
도 4는 여기서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5는 여기서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6은 여기서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7은 여기서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8은 여기서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세팅하기 위하여 전력 제어 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는 여기에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환경을 기술한다.
도 11은 여기서 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을 기술한다.
이제 다양한 양상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도면 번호가 유사한 엘리먼트를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음 설명에서, 예시적인 목적으로, 다양한 특정한 설명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 실행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도 형태로 제시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시스템", 및 유사한 용어들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예로서, 통신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장치는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상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와,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로서 다른 시스템들과 상호작용하는 일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은 단말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단말은 시스템, 사용자 장치,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이동 장치, 원격국,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PDA, 무선 연결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장치, 또는 무선 모델에 연결된 다른 처리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는 제조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장치,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단말들은 자신의 전송 전력을 규제하여 이웃하는, 비-서빙 섹터들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 또는 완화한다. 단말들은 허용가능 레벨들 내에 섹터 간 간섭을 유지하면서 단말이 전력 레벨을 가능한 높게 전송하도록 하는 전력 제어 알고리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들은 섹터 내의 간섭을 모니터링하고, 이웃 섹터들의 단말들에 의해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섹터 간섭(OSI)과 같은 간섭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단말들은 단말에 근접한 비-서빙 섹터들 내의 간섭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은 이웃 섹터들로부터 수신된 간섭 정보, 이전 전송 전력 레벨들 및/또는 단말 및 비-서빙 섹터들 사이의 채널 강도의 측정치에 기반하여 전송 전력을 세팅할 수 있다. 물리적인 채널에 의해 야기된 신호 왜곡들이 직교성 손실을 초래하여 섹터 내 간섭을 초래하는 경우, 단말은 또한 전력 제어를 조정할 때 수신된 신호의 동적 범위에 대한 요건(requirement)들을 고려할 수 있다.
단말의 서빙 섹터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최상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비-서빙 섹터들은 간섭을 최소화하는데만 관심을 가지며, 단말들은 관련 정보가 부족할 수 있다. 서빙 섹터는 특정 전송들을 위해 단말에 필요한 전송 전력 레벨과 관련하여 비-서빙 섹터들보다 양호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서빙 섹터는 비-서빙 섹터들보다 단말의 역방향 링크 채널 품질의 더 정확한 추정치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서빙 섹터는 특정 패킷에 대한 서비스 요건들의 특정 품질에 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서빙 섹터는 단말에 대한 이용가능 자원들에 기초하여 단말의 현재 전력 레벨이 주어진 패킷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에 대하여 불충분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섹터는 또한 최소 할당인 경우에조차 단말의 현재 전력 레벨이 주어진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력보다 더 높은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섹터가 이러한 부가 정보를 가지는 환경들에서, 서빙 섹터는 통상의 단말 전력 분석에 우세할 수 있으며,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들에 대한 전송 전력을 통제할 수 있다.
도면들을 이제 참조하면, 도 1은 서빙 섹터 통제 전력 제어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02) 및 액세스 포인트(102)의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04)을 포함한다. 용어 "섹터"는 문맥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단일 서빙 섹터 및 단말이 기술된다. 그러나 시스템(100)은 다수의 서빙 섹터 및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빙 섹터(102)는 전력 제어 정보 명령을 통해 전송 전력을 명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빙 섹터(102)로부터의 전력 제어 정보는 주어진 패킷에 대하여 단말(104)의 전송 전력 레벨을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어서 이 패킷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거나 또는 단말(104)의 전력을 절약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한다. 전력 제어 정보는 적절한 전송 전력 세팅의 단말 계산에 우선(override)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CDMA 시스템, TDMA 시스템, FDMA 시스템, OFDMA 시스템, 인터리빙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IFDMA) 시스템, 및 로컬화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LFDMA) 시스템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다양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서빙 섹터(102)가 지원되는 단말에 대한 적절한 전송 전력을 단말 그 자체보다 양호하게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존재한다. 임의의 타입의 트래픽은 특정 서비스 품질 및 특정 전송 전력을 필요로 한다. 예컨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서는 전송을 종료하기 위하여 특정 전력 레벨이 필요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전송들을 종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특정 전력 전송 레벨을 이용하도록 단말(104)을 통제(direct)할 수 있다.
서빙 섹터(102)는 또한 높은 간섭 영역들 내에 위치한 단말들에 대한 전송 전력을 통제하기 위하여 전력 제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섹터들의 가장자리에 근접한 단말들의 전력 레벨은 다른 비-서빙 섹터들 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라 푸시-다운(push-down)되거나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섹터 가장자리들에 있는 높은 간섭 영역들에서, 단말들은 이웃 섹터들로부터의 간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단말들에 대한 전송 전력은 감소하여 성능을 저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전송 전력 레벨은 서빙 섹터(102)에 의해 제공된 전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신속하게 증가할 수 있다. 서빙 섹터(102)는 패킷을 종료하는데 필요한 레벨로 전력을 리셋할 수 있다. 전력 레벨을 리셋하는 것이 다른 섹터들에 대한 간섭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원되는 단말의 성능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서빙 섹터(102)는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할 때 비-서빙 섹터들에 대한 간섭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서빙 섹터(102)는 전력 제어 명령들을 계산하기 위하여 비-서빙 섹터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다른 섹터 간섭(OSI) 정보를 이용한다. 서빙 섹터(102)는 백홀 시그널링(backhaul signaling)을 통해 다른 섹터 간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백홀 시그널링은 섹터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통신을 지칭한다. 서빙 섹터(102)는 서빙 섹터(102) 내의 단말들에 대한 적절한 전력 레벨들을 계산하는 동안 그리고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동안 OSI와 같은 간섭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서빙 섹터(102)는 적절한 전송 전력을 세팅하는 것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빙 섹터(102)는, 될 수 있는 한 느린 시간 비율(slow time scale)로, 순방향 링크 기하학적 형태뿐만 아니라, 단말과 서빙 섹터 및 단말과 비-서빙 섹터들 간의 채널 강도들의 차이들에 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서빙 섹터(102)는 단말(104)보다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더 양호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빙 섹터들(102)은 또한 단말들(104)보다 전송 전력을 더 빠르게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들(104)은 OSI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송 전력을 증가방식으로 조정한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로딩된 시스템에서, 만일 단말이 비활성화되고 시간 기간 동안 자신의 전력을 전송하지 않거나 또는 조정하지 않으면, 단말은 초과 전송 전력 레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전송 전력을 적절한 레벨로 조정하기 위하여 여러 반복들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 기간 동안, 단말 전송은 이웃 섹터들에 대하여 상당한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전송 전력이 서빙 섹터에 의해 통제되면, 서빙 섹터 또는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에 명시적인 전력 레벨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이 자신의 최대 전력으로 전송하는 것이 방지되어 이웃 섹터들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킨다.
기지국은 단말들이 전력 제어 정보와 관계없이 전송 전력을 계산하도록 전력 제어 정보 전송 내에 디폴트값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가 디폴트를 포함하지 않을 때, 단말은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요구되는 전력의 단말의 추정을 무시할 수 있다. 단말의 추정은 전력 제어 정보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력 제어 정보는 전력 레벨들의 범위 또는 최소 요구 전력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요구된 전력의 단말 자체의 추정치에 기초하여 최소값의 범위 내 또는 최소값을 초과한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이 제시된다. 시스템(200)은 서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204)로의 무선 통신 신호들을 수신, 전송, 반복 등을 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20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액세스 포인트(202)는 다수의 전송 체인들 및 수신 체인들(예를 들어, 각각의 전송 및 수신 안테나에 대해 하나 씩)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신호 전송 및 수신과 연관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들(204)은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랩톱, 핸드헬드 통신 장치,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위성 라디오, 범용 위치 확인 시스템, PDA, 및/또는 무선 시스템(200) 상에서의 통신을 위한 적절한 임의의 다른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각 단말(204)은 하나 이상의 송신기 체인들 및 수신기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0)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각 송신기 및 수신기는 신호 전송 및 수신과 연관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면, 프로세서, 변조기, 멀티플렉서, 복조기, 디멀티플렉서,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를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각 액세스 포인트는 특정 지리적 영역(206)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용어 "셀"은 문맥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시스템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 보다 작은 영역들(예를 들면, 3개의 보다 작은 영역들 208A, 208B, 208C)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보다 작은 영역은 각각의 기지국 트랜시버 서브시스템(BTS)에 의해 서빙된다. 용어 "섹터"는 그 문맥에 따라 BTS 및/또는 그 커버리지를 지칭한다. 섹터화된 셀에 있어서, 셀의 모든 섹터들에 대한 기지국 트랜시버 서브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그 셀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 내에 함께 위치된다.
단말들(204)은 일반적으로 시스템(200) 전역에 걸쳐 분포된다. 각 단말(204)은 고정국 또는 이동국일 수 있다. 각 단말(204)은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202)과 통신할 수 있다.
중앙집중식 구조의 경우, 시스템 제어기(210)는 액세스 포인트들(202)을 연결하고 액세스 포인트들(202)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한다. 분산형 구조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들(202)은 서로 필요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210) 등을 통한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통신들은 백홀 시그널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기술들은 섹터화될 셀들을 구비한 시스템(200) 및 섹터화되지 않은 셀들을 구비한 시스템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서, 다음 설명은 섹터화된 셀들을 구비한 시스템을 기초로 설명한다. 용어 "액세스 포인트"는 셀을 서빙하는 고정국 및 섹터를 서빙하는 고정국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단말" 및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고, 용어 "섹터" 및 "액세스 포인트" 역시 상호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서빙 액세스 포인트/섹터는 단말이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섹터이다. 이웃 액세스 포인트/섹터는 단말이 통 신하고 있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섹터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양상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300)이 제시된다. 3-섹터 액세스 포인트(302)는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며, 하나의 그룹은 안테나들(304, 306)을 포함하고,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308, 310)을 포함하고, 제3 그룹은 안테나들(312, 314)을 포함한다. 도면에 따르면, 단지 2개의 안테나들만이 각 안테나 그룹에 대해 제시되지만, 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안테나들이 각 안테나 그룹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단말(316)은 안테나들(312, 314)과 통신하고, 여기서 안테나들(312 및 314)은 순방향 링크(320)를 통해 단말(316)로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316)로부터 역방향 링크(318)를 통해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322)은 안테나들(304, 306)과 통신하고, 여기서 안테나들(304 및 306)은 순방향 링크(326)를 통해 단말(322)로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324)를 통해 단말(3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안테나들의 각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되는 영역은 액세스 포인트(302)의 섹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안테나 그룹들 각각은 액세스 포인트(3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 또는 섹터 내의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지정된다. 각 액세스 포인트는 다수의 섹터들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하나 이상의 단말들(316,322)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302)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의 커버리지 영역들은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말들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면, 액세스 포인트 및 서빙 섹터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단말로의 파일럿 또는 신호 전송의 신호 강도에 기반하여 선택된다. 신호 강도는 무선 주파수(RF) 경로 손실의 관점에서 측정될 수 있고, 여기서 경로 손실은 전파가 특정 경로를 따라 공간을 통해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전력 손실이다. 경로 손실을 결정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내의 모든 액세스 포인트들은 미리 결정된 전력에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은 수신된 신호들 각각에 대한 전력을 측정하여 가장 강한 신호 강도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신호들은 결정되지 않은 전력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전송 전력은 신호 또는 다른 채널에서 인코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은 전송된 전력 및 수신된 전력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여 가장 강한 신호 강도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송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는 방법들이 제시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상기 방법들이 일련의 동작으로 제시 및 설명되지만, 당업자는 상기 방법이 상기 동작 순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일부 동작들이 다른 순서로 또는 다른 동작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기 방법이 상태도와 같이 일련의 상호 관련된 상태 또는 이벤트로서 대안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 양상에 따라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시된 동작들 모두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에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400)이 기술되어 있다. 단계(402)에서는 전력 관련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전력 관련 정보는 단말에 대한 적절한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데 적합하거나 또는 관련 있는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현재 전송 전력, 단말과 관련된 간섭 데이터(예컨대, OSI), 서비스 요건 품질, 단말과 서빙 섹터 및 비-서빙 섹터들 간의 채널 강도들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단말들에 대한 적절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련 정보는 또한 수신된 신호 품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 품질(예컨대, 수신된 신호 대 잡음 비(SNR))은 지원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추정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에 대한 수신된 신호 품질이 허용가능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전력 관련 정보는 단말 또는 단말들에 대한 전력 레벨 또는 전력 레벨들의 범위를 결정하고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단계(404)에서 분석될 수 있다. 분석은 임의의 패킷들의 전력 요건들, SNR, 단말 배터리 수명 최대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및 임의의 다른 관련 정보의 함수일 수 있다. 생성된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에 의해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허용가능 전력 레벨에 대한 특정 전력 레벨, 범위 또는 제한치를 지정할 수 있다. 더욱이, 전력 제어 정보는 제공된 전력 레벨 제한치들이 적용되는 패킷들의 수 또는 시간 기간을 지정하는 지속 기간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단계(406)에서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에 전송된 할당 블록(assignment block)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할당 블록은 전송을 위하여 사용될 임의의 코딩 및 변조뿐만 아니라 단말에 할당된 자원들(예컨대, 주파수, 시간 및/또는 코드)에 관한 명령들을 단말에 제공한다. 필드 또는 필드들은 전력 제어 정보(예컨대, 전력 레벨, 전력 레벨들의 범위, 디폴트값 및/또는 전력 제어 정보가 적용되는 패킷들의 수 또는 시간 기간)를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할당 블록(RLAB)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전력 레벨들은 고정 레벨로서 지정될 수 있거나 또는 이전 레벨로부터의 변화 또는 델타(delta)가 지시될 수 있다. 전력 제어 필드는 기준 제어 채널 전력 스펙트럼 밀도에 대한 트래픽 채널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 필드는 서빙 섹터로부터의 전력 할당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을 때 정규 전력 제어 절차들을 따르도록 단말을 통제하기 위하여 디폴트값으로 세팅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서빙 섹터는 서빙 섹터 내의 단말들의 세트 또는 이러한 단말들의 임의의 서브세트에 전력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서빙 섹터는 단일 브로드캐스팅 전송을 사용하여 다수의 단말들에 대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500)이 기술된다. 단계(502)에서, 전력 제어 정보는 서빙 섹터로부터 수신된다. 전력 제어 정보는 할당 블록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다수의 단말들에 브로드캐스팅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전송을 위한 특정 전력 레벨을 지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전력 제어 정보는 가능한 전력 레벨들(예컨대, 최소 및 최대 전력 레벨들)의 범위 또는 세트를 지정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고정된, 독립 값들을 사용하여 또는 이전 전력 레벨로부터의 변화 또는 델타를 지정함으로써 전력 레벨들을 지정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통제되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이 전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패킷들의 수 또는 시간 기간을 지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서빙 섹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이 단말 통제 전력에 대한 리턴(return)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임의의 단말 생성 전력 요건 추정들에 우선(override)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제어 정보 내의 디폴트값의 존재는 단말 통제 전송 전력에 대한 리턴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일단 전송 전력의 제어가 단말에 리턴되면, 단말은 서빙 섹터에 의한 제어 전에 전력 세팅들 또는 전력 세팅들에 대한 리턴을 조정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단계(504)에서 적절한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하여 분석될 수 있다. 명시적 전력 레벨 정보가 전력 제어 정보에 존재할 때, 명시적 전력 레벨 정보가 단말의 현재 전송 전력 세팅에 우선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전력 세팅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단말은 단말이 다음 패킷들에 대한 새로운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또는 단말이 다음 패킷들에 대한 새로운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자신의 정규 전력 조절 절차들을 계속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다음 패킷들에 대한, 비-서빙 섹터들로부터의 간섭 레벨 표시들(예컨대, OSI)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 레벨들을 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단말은 정규 전력 조절 절차들을 다시 시작하도록 통제될 때까지 조정 없이 전력 제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506)에서,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레벨은 전력 제어 정보의 분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세팅될 수 있다. 양상들에서, 전력 제어 정보는 적절한 전력 레벨을 선택하기 위하여 다른 정보와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 전력 레벨은 단말 전력 성능들 및/또는 잔여 배터리 전력에 기초하여 제한될 수 있다. 더욱이, 전송 전력 레벨은 비-서빙 섹터들로부터 수신된 간섭 정보의 함수일 수 있다.
도 6에는 단말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더 상세한 방법(600)이 기술된다. 단계(602)에서는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들과 연관된 전력 관련 정보가 분석될 수 있다. 정보는 간섭 정보, 서비스 요건들의 품질, 채널 강도, 단말들에 대한 이전 전송 전력 레벨들, 또는 단말(들)에 대한 적절한 전력 레벨을 결정할 때의 임의의 다른 정보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간섭 정보는 다른 비-서빙 섹터들에 의해 제공된 OSI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서빙 섹터는 또한 패킷 단위로 다른 단말들 간에 이용가능 전력(또는 다른 섹터들에 의해 유발된 간섭)을 교환할 수 있다.
단계(604)에서는 서빙 섹터에 의해 전력 레벨들이 제어되는 단말들이 식별될 수 있다. 특히, 서빙 섹터가 개별 단말보다 더 정확하게 단말에 대한 적절한 전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는 단말들이 선택될 수 있다. 단말들은 단말들과 연관된 전력 관련 정보의 분석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단말 전력 제어에 대하여 문제가 있는 특정 시나리오가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높은 간섭 레벨 영역들(예컨대 섹터들의 가장자리에 근접한 영역들)에 위치한 단말들은 다른 비-서빙 섹터들 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라 푸시-다운(push-down)되거나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들은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하여 마크(mark)될 수 있다.
단계(606)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하여 식별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614)로 계속되며, 단계(614)에서 전력 제어 정보는 디폴트값으로 세팅되고 단말들에 전송될 수 있다. 디폴트값은 단말들이 정규 전력 제어 절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단말들은 비-서빙 섹터들로부터의 OSI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만일 하나 이상의 단말들이 서빙 섹터에 의한 제어를 위하여 선택되면, 특정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은 단계(608)에서 계산된다. 계산은 적정 레벨 또는 레벨들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계산은 적정 전력으로 전송될 패킷들의 수 또는 시간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10)에서는 전력 제어 정보가 단말에 전송되기 위하여 포맷화된다. 예컨대, 전력 제어 정보는 현재의 전력에 대한 변화 또는 델타로서 표현될 수 있다.
단계(612)에서는 서빙 섹터 전력 제어를 필요로 하는 추가 단말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일 그렇다면, 프로세스는 단계(608)로 리턴되며, 단계(608)에서 전력 레벨은 다음 단말을 위하여 계산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614)로 계속되며, 단계(614)에서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들)에 전송된다.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들에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제어 정보는 서빙 섹터 내의 각각의 단말에 대한 할당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서빙 섹터 통제 전송 전력은 서빙 섹터가 섹터 내의 각각의 단말의 전력을 제어하도록 한다. 서빙 섹터는 대기 시간 목표들, 서비스 요건들의 품질, 할당 크기, 스케줄링된 다른 사용자들의 수 및 다른 관련 파라미터들에 대한 함수로서 패킷 단위로 전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서빙 섹터는 또한 패킷 단위로 상이한 단말들 간에 이용가능한 전력(또는 다른 섹터들에 의해 유발된 간섭)을 교환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전력 레벨 또는 범위는 단말들의 세트에 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세트는 서빙 섹터 또는 이의 임의의 서브세트 내의 모든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그것이 다수의 단말들에 의해 수신되도록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 전력 제어 정보는 브로드캐스팅을 수신하는 모든 단말들 또는 이의 서브세트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700)이 기술된다. 단계(702)에서, 간섭 정보(예컨대, OSI)는 하나 이상의 이웃 섹터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단계(704)에서 서빙 섹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할당 블록 및/또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포함하여 임의의 전송으로 수신될 수 있다. 단계(706)에서는 전력 제어 정보가 전송 전력을 결정할 때 이용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이 단말 제어 전력 레벨 절차들을 이용하여 전력 제어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디폴트값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단계(708)에서, 단말은 전송 전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OSI의 분석을 포함하는 다른 전력 제어 알고리즘들을 이용할 수 있다.
만일 전력 제어 정보가 이용되면, 프로세스는 전력 제어 정보가 분석되고 전송 전력이 전력 제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계산되는 단계(710)에서 계속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전력 제어 정보는 특정 전력 레벨, 레벨들의 범위 또는 전송 전력에 대한 다른 제한치들 및 한계치들을 지정할 수 있다. 전송 전력은 전력 계산들에 기초하여 단계(712)에서 세팅될 수 있다. 단계(714)에서, 단말은 적절한 전력 레벨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 제어 정보가 제공되면,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의 현재 전송 전력 세팅에 우선한다. 특히, 전력 제어 정보가 할당 블록에 제공되면, 단말은 새로운 할당을 위하여 새로운 전력 세팅을 사용한다. 단말은 그것이 다음 패킷들에 대한 명시적 전력 레벨 정보를 가진 새로운 할당들을 수신하지 않으면 다음 패킷들에 대한, 비-서빙 섹터로부터의 간섭 레벨 표시들(예컨대, OSI)에 기초하여 정규 전력 조정 절차들을 계속할 수 있다.
간섭들은 전송 전력, 포맷들, 주파수들 등에 대해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추론(infer 또는 inference)"은 시스템, 환경, 및/또는 이벤트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포착되는 관측들 세트에 대한 추리 및 추론 상태에 관한 처리를 지칭한다. 추론은 예컨대 특정 컨텍스트 또는 동작을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도 있다. 추론은 확률적일 수 있으며,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에 대한 고려에 기반하여 관심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에 대한 계산일 수 있다. 추론은 또한 한 세트의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로부터의 보다 높은 레벨의 이벤트들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은 한 세트의 관찰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이벤트들이 가까운 시간적인 근접성을 갖는지에 따라, 그리고 이러한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 또는 수개의 이벤트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기인하는지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동작들의 구성을 초래한다.
일 예에 따르면, 상술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은 전력 제어 정보를 결정할 때 전력 레벨 요건들에 관한 추론을 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론은 또한 배터리 수명, 채널 강도, 간섭 등에 대해 이뤄질 수 있다.
도 8은 여기서 제시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송 전력을 통제하는 단말(8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단말(800)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일반적인 동작들(예를 들면,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 등)을 행하여,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하는 수신기(902)(예컨대,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들)를 포함한다. 복조기(804)는 샘플들을 복조하여 수신된 파일럿 심벌들을 프로세서(806)로 제공한다.
프로세서(806)는 수신기 컴포넌트(8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및/또는 송신기(814)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806)는 단말(8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8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814)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단말(8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806)는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서 도 4-7에 제시된 방법들 중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800)은 서빙 섹터로부터 획득된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된 입력을 분석하고,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전력 분석 컴포넌트(808)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분석 컴포넌트(808)는 비-서빙 섹터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예컨대, OSI)뿐만 아니라, 이전 전송 전력 레벨들과 같은 다른 전력 관련 정보, 장치 정보(예컨대, 배터리 전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력 분석 컴포넌트(808)는 프로세서(806)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전력 분석 컴포넌트(808)는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서 유틸리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전력 분석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분석 코드는 추론 수행과 관련된 인공 지능 기반 방법 및/또는 전송 전력 최적화와 관련한 확률 결정 및/또는 통계-기반 결정들을 이용할 수 있다.
단말(800)은 프로세서(806)에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전송 전력에 관한 정보, 간섭 정보(예컨대, 0SI), 전송 전력 결정 방법, 이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 및 여기서 제시된 전송 전력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8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데이터 저장 컴포넌트(예를 들면, 메모리들)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한 메모리(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 동작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RAM은 동기 RAM(SRAM), 동적인 RAM(DRAM), 동기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DDR SDRAM), 인헨스드 SDRAM(ESDRAM), 동기링크 DRAM(SLDRAM), 및 직접 램버스 RAM(DRRAM)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810)는 이러한 메모리들 및 다른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한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프로세서(806)는 심벌 변조기(912) 및 변조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914)에 연결된다.
도 9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통신 환경에서 전송 전력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900)의 일 예를 보여준다. 시스템(9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906)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들(904)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하며 다수의 전송 안테나들(908)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들(904)로 신호(들)를 전송하는 수신기(910)를 가진 액세스 포인트(90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수신 안테나(906)들 및 전송 안테나(908)들은 단일 안테나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910)는 수신 안테나들(9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912)에 동작적으로 연관된다. 수신기(910)는 예를 들어, 레이크 수신기(예를 들면, 복수의 베이스밴드 상관기들을 사용하여 다중 경로 신호 컴포넌트들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기술), MMSE-기반 수신기, 또는 그에 할당된 단말들을 구분하는 당업자가 인식가능한 다른 적절한 수신기일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다수의 수신기들이 이용될 수 있고(예를 들면, 수신기 안테나당 하나씩), 이러한 수신기들은 서로 통신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개선된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복조된 심벌들은 도 8에서 설명한 프로세서와 유사하고, 간섭, 전송 전력 레벨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916)에 연결된 프로세서(914)에 의해 분석된다. 각각의 안테나의 수신기 출력은 수신기(910) 및/또는 프로세서(914)에 의해 결합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변조기(918)는 전송 안테나들(908)을 통한 단말들(904)로의 송신기(920)에 의한 전송을 위해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902)는 프로세서(914)에 통합되거나, 또는 프로세서(914)와는 별개의 프로세서일 수 있는 전력 제어 컴포넌트(922)를 더 포함한다. 전력 제어 컴포넌트(922)는 전력 관련 정보를 평가하고, 하나 이상의 단말들(904)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관련 정보는 간섭 정보(예컨대, OSI), 이전 단말 전송 전력 레벨들, 서비스 요건들의 품질, 채널 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컴포넌트(922)는 패킷 단위로 전력을 수정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단말들 간에 이용가능한 전력을 교환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컴포넌트(922)는 전력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유틸리티 기반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분석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코드는 추론 수행과 관련하여 인공 지능 기반 방법 및/또는 전력 제어 최적화와 관련한 확률 결정 및/또는 통계-기반 결정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을 보여준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은 간략화를 위해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및 2개의 단말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단말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단말들은 상술한 시스템(도 1-3, 8 및 9) 및/또는 방법들(도 4-7)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다중 액세스 다중 캐리어 통신 시스템(1000)에서 2개의 단말들(1004x, 1004y) 및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002)에 대한 블록도이다. 액세스 포인트(1002)에서,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는 데이터 소스(1012)로부터의 트래픽 데이터(즉, 정보 비트들) 및 제어기(1020) 및 스케줄러(1030)로부터의 시그널링 및 다른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1020)는 지원되는 활성 단말들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케줄러(1030)는 단말들에 대한 캐리어들의 할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22)는 현재 또는 이전 할당들 및/또는 전력 레벨들에 관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예를 들면, 전력 제어 정보 및 할당 정보)가 상이한 전송 채널들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는 다중 캐리어 변조(예를 들면, OFDM)를 사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변조된 데이터(예를 들면, OFDM 심벌들)를 제공한다. 송신기 유닛(TMTR)(1016)은 변조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안테나(1018)로부터 전송되는 다운링크 변조된 신호를 생성한다.
각 단말들(1004x, 1004y)에서, 전송되고 변조되는 신호들은 안테나(1052)에 의해 수신되어 수신기 유닛(RCVR)(1054)으로 제공된다. 수신기 유닛(1054)은 수신된 신호를 처리 및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한다.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056)는 샘플들을 복조 및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는 간섭 정보, 복원된 트래픽 데이터, 메시지, 시그널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1058)로 제공되고, 단말에 대한 고속 및/또는 저속 간섭 정보는 제어기(1060)로 제공된다.
제어기(1060)는 단말에 할당되고 수신된 캐리어 할당에 표시된 특정 캐리어 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지시한다. 제어기(1060)는 또한 수신된 전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들에 대해 사용되는 전송 전력을 추가로 조정한다. 메모리(1062)는 이전 전력 제어 정보, 이전 다른 섹터 간섭(OSI) 정보 및/또는 다른 전송 전력 관련 정보에 관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각 활성 단말(1004x, 1004y)에 있어서, TX 데이터 프로세서(1074)는 데이터 소스(1072)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기(1060)로부터 시그널링 및 다른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1060)는 단말에 대한 요구되는 전송 전력, 최대 전송 전력, 또는 최대 전송 전력 및 요구되는 전송 전력 사이의 차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가 할당된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TX 데이터 프로세서(1074)에 의해 코딩 및 변조되고, 송신기 유닛(1076)에 의해 추가로 처리되어, 안테나(1052)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변조된 신호를 생성한다.
액세스 포인트(1002)에서, 단말들로부터 전송 및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1018)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 유닛(1032)에 의해 처리되며, RX 데이터 프로세서(1034)에 의해 복조 및 디코딩된다. 디코딩된 신호들은 데이터 싱크(1036)로 제공될 수 있다. 수신기 유닛(1032)은 각각의 단말에 대한 수신된 신호 품질(예컨대 수신된 신호 대 잡음비(SNR))을 추정하고 이러한 정보를 제어기(10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1020)는 단말에 대한 수신된 신호 품질이 허용가능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각각의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유도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34)는 각각의 단말에 대한 복원된 피드백 정보(예컨대, 필요한 전송 전력)를 제어기(1020) 및 스케줄러(1030)에 제공한다.
스케줄러(1030)는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여 다수의 기능들, 예를 들면 (1) 역방향 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한 세트의 단말들 선택 및 (2) 선택된 단말들에 캐리어들 할당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스케줄링된 단말들에 대한 캐리어 할당들은 순방향 링크 상에서 이러한 단말들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시된 기술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이러한 기술들을 위한 처리 유닛들(예를 들면, 제어기(1020, 1060), TX 및 RX 프로세서(1014, 1034) 등)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장치(PLD),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술들은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면, 프로시져, 함수,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어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메모리는 공지된 다양한 수단들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빙 섹터 통제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1100)이 제시된다. 시스템(1100)은 서빙 섹터가 전송 전력을 통제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말 또는 단말들의 세트와 연관된 컨디셔닝 및 전력 관련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전력 데이터 평가 모듈(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 생성 모듈(1104)은 전력 관련 정보의 평가에 기초하여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의 전송 전력을 통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할당 블록에 포함되거나 또는 다중 단말들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송신기 모듈(1106)은 단말에 전력 제어 정보를 전송 또는 송신할 수 있다.
시스템(1100)은 단말과 연관된 전력 제어 분석 모듈(1108)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분석 모듈(1108)은 서빙 섹터에 의해 제공된 전력 제어 정보 및 임의의 추가 관련 데이터(예컨대, 간섭 정보 및/또는 단말 전력 제약들)를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전력 제어 정보는 특정 전력 레벨 또는 전력 레벨들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이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정규 전력 제어 절차들을 이용하도록 하는 디폴트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전력 세팅 모듈(1110)은 전력 제어 분석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세팅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대한 예시이다. 상술한 양상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모든 가능한 컴포넌트들 및 방법들의 조합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가능한 양상들의 조합 및 순열(permutation)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단지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타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Claims (48)

  1. 단말 전송 전력의 서빙(serving)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과 연관된 전력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백홀 시그널링(backhaul signaling)을 통해 비-서빙(non-serving) 섹터 간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단말에 전력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전력 제어 정보의 함수이고,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이고,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override)하여 고려될 수 있는,
    단말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블록 자원 할당 블록으로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단말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최소 전송 전력 레벨을 정의하는,
    단말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서빙 섹터가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통제(direct)할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섹터와는 독립적으로 전송 전력을 결정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는,
    단말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서비스 품질 요건의 함수인,
    단말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수신된 신호 품질의 함수인,
    단말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전송 전력이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통제되는 기간을 지정하는,
    단말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0. 무선 환경에서 단말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단말의 서빙 섹터로부터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제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되는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이고,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될 수 있는,
    단말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전력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전력에 대한 제한치를 기술하는,
    단말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제어 정보가 상기 전력 제어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전송 전력의 독립적인 결정을 지정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로써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로써 상기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전력 제어 정보에 대한 지속 기간(duration)을 지정하는 지속 기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단말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블록에 포함되는,
    단말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6.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들의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에 전력 제어 지시(power control direction)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전력 제어 지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되며, 상기 전력 제어 지시는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이고, 상기 전력 제어 지시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될 수 있음 ?; 및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지시는 상기 전력 관련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단말들의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지시는 자원 할당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단말들의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전력 제어 지시가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될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단말들의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전력 제어 지시의 결정 시 서비스 품질 요건, 신호 대 잡음 비 성능 또는 간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평가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단말들의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지시는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한치를 지정하는,
    단말들의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지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제어의 지속 기간을 지정하는 지속 기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단말들의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2. 단말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단말의 전송 전력과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단말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된 비-서빙 액세스 포인트 간섭 정보의 함수이며,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될 수 있는,
    단말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비-서빙 액세스 포인트 간섭 정보의 함수로써 상기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단말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전력 제어 정보가 상기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단말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전력 제어 정보에 대한 지속 기간을 지정하는 지속 기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단말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6.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서빙 섹터에 대한 전력 관련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
    상기 평가 및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단말에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통제하며,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될 수 있는,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련 데이터는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전송 전력이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통제되는 기간을 지정하는,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련 데이터는 서비스 품질 요건, 신호 대 잡음 비 성능 또는 간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30.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단말을 지원하는 서빙 섹터로부터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전력 제어 정보의 함수로써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 레벨을 세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되는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에 기초하며 단말 기반 전송 전력 레벨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될 수 있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최소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로써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가 상기 전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의 독립적인 결정을 지정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로써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세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34.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과 연관된 데이터의 함수로써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단말에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통제하며,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에 기초하고,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의 무시(override)를 보증하는 조건들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자원들을 할당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37. 삭제
  38.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단말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은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되는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에 기초하며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의 함수로써 상기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이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전력의 독립적인 계산을 지정함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은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의 지속 기간을 지정하는 지속 기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42. 전송 전력의 서빙 섹터 기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명령들은,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
    서빙 섹터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에 관한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의 단말 기반 추정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하나의 전송 전력에 대한 제한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할당하는 메시지로 제공되는,
    프로세서.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다수의 단말들에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프로세서.
  46. 전송 전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명령들은,
    단말을 지원하는 서빙 섹터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되는 비-서빙 섹터 간섭 정보에 기초하며 단말 기반 전송 전력 계산 정보보다 우선하여 고려되는,
    프로세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전송 전력에 대한 제한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프로세서.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전력 제어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전송 전력의 독립적인 결정이 지정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프로세서.
KR1020087019218A 2006-01-05 2007-01-05 서빙 섹터 전력 제어 KR101140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696006P 2006-01-05 2006-01-05
US60/756,960 2006-01-05
PCT/US2007/060192 WO2007124184A2 (en) 2006-01-05 2007-01-05 Power control for serving sec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779A Division KR101208397B1 (ko) 2006-01-05 2007-01-05 서빙 섹터 전력 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061A KR20080083061A (ko) 2008-09-12
KR101140536B1 true KR101140536B1 (ko) 2012-05-02

Family

ID=386256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218A KR101140536B1 (ko) 2006-01-05 2007-01-05 서빙 섹터 전력 제어
KR1020117025779A KR101208397B1 (ko) 2006-01-05 2007-01-05 서빙 섹터 전력 제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779A KR101208397B1 (ko) 2006-01-05 2007-01-05 서빙 섹터 전력 제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966033B2 (ko)
EP (1) EP1972077A2 (ko)
JP (3) JP2009522955A (ko)
KR (2) KR101140536B1 (ko)
CN (2) CN101366196B (ko)
AR (1) AR058938A1 (ko)
AU (1) AU2007240571A1 (ko)
BR (1) BRPI0706355A2 (ko)
CA (1) CA2635302A1 (ko)
IL (1) IL191972A0 (ko)
NO (1) NO20083400L (ko)
RU (1) RU2407154C2 (ko)
TW (2) TWI361581B (ko)
WO (1) WO20071241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6033B2 (en) * 2006-01-05 2011-06-21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sector directed power control
EP2485168B1 (en) * 2006-03-31 2019-06-26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disparate datastores via a remote device
US20080165733A1 (en) * 2007-01-10 2008-07-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ynamic and contention-free allocation of communication resources
JP4835465B2 (ja) * 2007-02-26 2011-1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
JP5224733B2 (ja) * 2007-06-19 2013-07-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およびユーザ装置
US8412255B2 (en) * 2007-09-20 2013-04-02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traffic power control
US20090129333A1 (en) * 2007-11-16 2009-05-21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design for a wireless signal
US8918112B2 (en) 2007-11-16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design for a wireless signal
US9264976B2 (en) * 2007-11-16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design for a wireless signal
US9215669B2 (en) * 2007-11-16 2015-12-15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design for a wireless signal
WO2009081457A1 (ja) * 2007-12-20 2009-07-02 Fujitsu Limited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電力制御方法およ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上位装置
US8238455B2 (en) 2008-01-07 2012-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ownlink PDSCH power setting
US9801188B2 (en) * 2008-02-01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Backhaul signaling for interference avoidance
US8768372B2 (en) 2008-02-13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Sector interference management based on inter-sector performance
WO2009116909A1 (en) * 2008-03-19 2009-09-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mproved uplink scheduling in a cellular system
US8538450B2 (en) * 2009-07-16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behavior in response to an overload indicator
JP5508803B2 (ja) * 2009-10-05 2014-06-04 Kddi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235582A1 (en) * 2010-03-25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depend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anagement
KR101757299B1 (ko) * 2010-03-26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CN102905965B (zh) * 2010-05-11 2016-03-23 霍加纳斯股份有限公司 自行车电机毂
CN101951671B (zh) 2010-08-25 2013-01-1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装置及终端
US20120149412A1 (en) * 2010-12-10 2012-06-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Control in Simultaneous Transmission Systems
JP5668979B2 (ja) * 2011-03-10 2015-02-1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29880B2 (en) * 2011-04-21 2015-01-06 Motorola Solutions, Inc. Uplink interference management for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US20130322370A1 (en) * 2012-06-01 2013-12-0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reduced user equipment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398540B2 (en) * 2012-08-15 2016-07-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f-optimized uplink power control
WO2016041166A1 (en) * 2014-09-18 2016-03-24 Intel IP Corporation Scheme of finite power transmission statuses for low cost wireless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CN112533272A (zh) * 2014-09-28 2021-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功率配置方法和装置
US11917554B2 (en) * 2021-03-09 2024-02-27 Juniper Networks, Inc. Orientation based transmission pow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2418A2 (en) * 1994-05-12 1995-11-15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mobile radio
US20030134655A1 (en) 2001-03-28 2003-07-17 Tao Chen Power control for point-to-multipoint services provided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040077370A1 (en) 2002-10-17 2004-04-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communications systems utilizing high speed shared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8584B (en) * 1997-08-22 2002-05-29 Nokia Mobile Phones Ltd Switch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US6895245B2 (en) * 1998-03-06 2005-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ion(Publ) Telecommunications interexchange measurement transfer
CN1474613A (zh) 1999-06-28 2004-02-11 哈里公司 移动通信系统中控制前向链路发送功率的方法
US7046966B2 (en) 2001-08-24 2006-05-16 Kyocera Wireles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data rate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CN1310441C (zh) * 2002-06-07 2007-04-11 诺基亚有限公司 便于无线电通信系统中数据通信调度的装置及相关方法
JP4167485B2 (ja) * 2002-12-26 2008-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7392055B2 (en) * 2003-06-23 2008-06-2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data system based on system loading
GB2406755B (en) * 2003-10-04 2008-07-02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of sharing a communication resource
CN1705248A (zh) * 2004-06-02 2005-12-07 Ik技术株式会社 使用无线通信方法的功率控制装置及其方法
KR100725773B1 (ko) * 2004-08-20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상태에 따라 상향링크 전력제어방식을 적응적으로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580723B2 (en) * 2004-08-30 2009-08-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mode power control
US20060252447A1 (en) * 2005-05-03 2006-11-09 Tarik Muharemovic TPC Command, SIR Estimation and Channel Estimation Improvement Using TPC Command History
US7966033B2 (en) * 2006-01-05 2011-06-21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sector directed power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2418A2 (en) * 1994-05-12 1995-11-15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mobile radio
US20030134655A1 (en) 2001-03-28 2003-07-17 Tao Chen Power control for point-to-multipoint services provided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040077370A1 (en) 2002-10-17 2004-04-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communications systems utilizing high speed shared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91972A0 (en) 2009-08-03
KR20080083061A (ko) 2008-09-12
KR20110134502A (ko) 2011-12-14
RU2407154C2 (ru) 2010-12-20
JP2012178838A (ja) 2012-09-13
WO2007124184A3 (en) 2008-03-13
EP1972077A2 (en) 2008-09-24
CN101366196B (zh) 2012-08-29
US7966033B2 (en) 2011-06-21
CA2635302A1 (en) 2007-11-01
TW201119449A (en) 2011-06-01
AR058938A1 (es) 2008-03-05
JP2012186816A (ja) 2012-09-27
AU2007240571A1 (en) 2007-11-01
WO2007124184A2 (en) 2007-11-01
US20070197254A1 (en) 2007-08-23
NO20083400L (no) 2008-08-04
CN102625430A (zh) 2012-08-01
BRPI0706355A2 (pt) 2011-03-22
KR101208397B1 (ko) 2012-12-05
JP2009522955A (ja) 2009-06-11
CN101366196A (zh) 2009-02-11
TW200803217A (en) 2008-01-01
TWI361581B (en) 2012-04-01
RU2008132140A (ru)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536B1 (ko) 서빙 섹터 전력 제어
KR101136611B1 (ko) 다중 레이트 간섭 표시들을 사용한 전력 제어
Croce et al. LoRa technology demystified: From link behavior to cell-level performance
US8116800B2 (en) Reverse link traffic power control for LBC FDD
EP2238779B1 (en) Backhaul signaling for interference avoidance
US8412255B2 (en) Reverse link traffic power control
US20060251041A1 (en)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telecommunication system
Chen et al. Energy-efficient coordinated scheduling mechanism for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component carriers
Bahai et al. Network planning and optimization in the third generation wireless networks
WO2017173621A1 (en) Mitigation of ue-ue interference in flexible duplex mode
AU2011211344A1 (en) Power control using multiple rate interference indications
MX2008008756A (en) Power control using multiple rate interference ind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