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771A - 기지국, 기지국의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지국, 기지국의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771A
KR20130069771A KR1020137007378A KR20137007378A KR20130069771A KR 20130069771 A KR20130069771 A KR 20130069771A KR 1020137007378 A KR1020137007378 A KR 1020137007378A KR 20137007378 A KR20137007378 A KR 20137007378A KR 20130069771 A KR20130069771 A KR 2013006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base s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4627B1 (ko
Inventor
레이 야기사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33Interconnection of networks using encapsulation techniques, e.g. tunne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본 실시 형태의 과제는, 물리층의 정보를 다른 장치로 전송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일측면에 의하면, 기지국은, 정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인증함으로써,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정보 단말 장치를 통해서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물리층의 정보를 다른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다른 장치를 통해서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지국, 기지국의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BASE STATION, METHOD OF CONTROLLING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기지국, 기지국의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환경이 다양화되고, 무선 구내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유선 LAN 등에 대응하는 각종 통신 모듈이 정보 처리 장치에 탑재 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을 네트워크에 접속시킴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중계국과의 사이에서 인증을 행하는 것이 있다. 이 인증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어 통신 모듈에 기억된 MAC 어드레스 등의 물리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MAC 어드레스는, 통신 모듈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어드레스이며, 그 장치에서만 송신원 어드레스로서 이용할 수 있는 어드레스이다. 따라서,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면, 송신원의 장치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인증 코드를 입력하지 않고, 용이하게 인증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원하는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행할 수 없는 경우, 다른 장치에 원하는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행하게 하여, 이 다른 장치를 경유해서 원하는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MAC 인증은, 그 상태로는, 중계한 장치를 경유한 인증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는, MAC 인증을 행하는 네트워크에 다른 장치를 경유해서 접속할 수 없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0328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원하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다른 장치를 통해서 MAC 어드레스 인증을 행하는 다른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의 물리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물리 어드레스를 포함하여, 접속을 요구하는 리퀘스트를 송신하는 제1 처리부를 갖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와 유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리퀘스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송신하는 제2 처리부를 갖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중계를 행하는 기지국은, 상기 물리 어드레스를 미리 저장하는 제2 저장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와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물리 어드레스를 대조함으로써,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인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일측면에 의하면, 기지국은,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물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인증시킴으로써,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을 허가함으로써,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그 1)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정보 처리 장치 간에서 통신을 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통신 드라이버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은 기지국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그 2)이다.
도 1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나타낸다.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정보 처리 장치(1), 정보 처리 장치(2) 및 기지국(6)을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1)는, 무선 통신 모듈(100) 및 유선 통신 모듈(200)을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2)는, 무선 통신 모듈(400) 및 유선 통신 모듈(300)을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1) 및 정보 처리 장치(2)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모듈을 갖기 때문에, 무선 LAN과 유선 LAN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 및 정보 처리 장치(2)는, 유선 통신 모듈(200)과 유선 통신 모듈(300)이 네트워크(11)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유선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지국(6)은, 정보 처리 장치(1)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3), 무선 통신 모듈(100) 등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 및 무선 통신 모듈(100)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정보와, 저장부(4)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인증 처리를 행하고, 무선 통신 모듈(100) 등과 기지국(6)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증부(5)를 갖는다. 기지국(6)은, 서버(71), 서버(72) 및 서버(73)와 접속된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71) 등이 인증부(5)를 갖고, 무선 통신 모듈(100) 등과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증을 행해도 좋다.
도 2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1) 및 정보 처리 장치(2)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 중, 화살표(23)로 표시한 위치에 무선 통신 모듈이 화살표(25)로 표시한 위치에 유선 통신 모듈이 존재한다.
도 3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1) 및 정보 처리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12), RAM(Random Access Memory)(14),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16), 유선 통신 기능(18), 무선 통신 기능(20), 디스플레이(22), 스피커(24), 키보드(26) 및 마우스(28)를 갖고, 이들이 버스(3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CPU(12)는, 코어 처리를 행한다. RAM(14)은, 정보의 일시 기록을 행한다. HDD(16)는, 정보의 상시 기록을 행한다. 유선 통신 기능(18)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유선 통신을 행한다. 유선 통신 기능(18)은, 유선 통신 기능(18)의 물리 어드레스이며, 고유한 식별 정보인 MAC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저장부(181)를 갖는다. 또한, 예를 들어, ROM을 설치하여, ROM에 유선 통신 기능(18)의 MAC 어드레스를 저장해도 좋다. 무선 통신 기능(20)은, 안테나(103)를 갖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무선 통신 기능(20)은, 무선 통신 기능(20)의 물리 어드레스이며, 고유한 식별 정보인 MAC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저장부(201)를 갖는다. 디스플레이(22)는, 데이터의 표시를 행한다. 스피커(24)는, 음성 출력을 행한다. 키보드(26) 및 마우스(28)는, 데이터 입력 작업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키보드(26) 및 마우스(28)로부터의 입력 작업에 따라서, 버스(30)를 경유하여, 각 부에 처리, 기록, 표시 명령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선 통신 기능(18)과 무선 통신 기능(20)과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버스(30)를 경유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도 동등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정보 처리 장치(2)의 유선 통신 기능(18)은, 유선 통신 모듈(300)을 갖고, 정보 처리 장치(2)의 무선 통신 기능(20)은, 무선 통신 모듈(400)을 갖는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선 통신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500)의 구조예를 나타낸다. 소프트층(510)은, IP 데이터(512), IP 헤더(514) 및 데이터 링크층(516)을 갖는다. IP 데이터(512)에는, 유저가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IP 헤더(514)에는, 송신처의 IP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링크층(516)에 MAC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물리층(520)은, PLS(Physical Layer Signaling) 부층(522)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IP 데이터(512) 및 데이터 링크층(516)에는 MAC 어드레스가 저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 모듈(100)과 유선 통신 모듈(200) 및 유선 통신 모듈(300)과 무선 통신 모듈(400)의 소프트웨어 층간을 경유할 때에, 소프트층(510)과 물리층(520)의 데이터가 그대로 전송된다.
도 5는, 정보 처리 장치(1)와 정보 처리 장치(2)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스텝 S001에 있어서, CPU(12)는, HDD(16)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드라이버를 RAM(14)에 로드한다. CPU(12)는, HDD(16)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드라이버를 RAM(14)에 로드함으로써, 도 5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처리는 스텝 S002로 이행한다. 또한, 통신 드라이버는 상기한 것 이외에도 가반 매체로부터 취득하거나, 네트워크 경유로 다른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해도 좋다.
스텝 S002에 있어서, CPU(12)는, 무선 통신 기능(20)의 무선 통신 모듈(100)을 제어하여, 무선 통신 기능(20)과 기지국(6)이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통신 가능한 경우,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경우, 처리는 스텝 S0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003에 있어서, CPU(12)는, 유선 통신 기능(18)의 유선 통신 모듈(200)을 제어하여, 유선 통신 기능(18)이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 처리는 스텝 S004로 이행한다. 한편,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스텝 S004에 있어서, CPU(12)는, 정보 처리 장치(1)와 정보 처리 장치(2)와의 통신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와 정보 처리 장치(2)와의 통신 처리는 도 6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처리는 스텝 S005로 이행한다.
스텝 S005에 있어서, CPU(12)는, 정보 처리 장치(1)와 정보 처리 장치(2)와의 통신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통신이 완료된 경우,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통신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스텝 S001로 복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의 무선 통신 모듈(400)과 기지국(6)이 통신 가능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1)의 무선 통신 모듈(100)을 통해서 기지국(6)과의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6)의 저장부(4)에는, 무선 통신 모듈(400)을 식별하는 MAC 어드레스인 MAC4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통신 드라이버의 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스텝 S101에 있어서, CPU(12)는, 무선 통신 모듈(400)의 MAC 어드레스인 MAC4를 데이터 링크층(516)에 저장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처리는 스텝 S102로 이행한다. 또한, CPU(12)는, 예를 들어, HDD(16)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드라이버를 RAM(14)에 로드함으로써,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CPU(12)는, 데이터를 유선 통신 모듈(300)로 송신한다.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CPU(12)는, 무선 통신 모듈(4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CPU(12)는,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층(516)을 참조하여, 무선 통신 모듈(400)의 MAC 어드레스인 MAC4를 확인함으로써, 데이터의 송신원이 무선 통신 모듈(400)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처리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CPU(12)는, 무선 통신 모듈(300)의 MAC 어드레스인 MAC3을 데이터 링크층(516)에 저장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처리는 스텝 S105로 이행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CPU(12)는, 무선 통신 모듈(400)의 MAC 어드레스인 MAC4를 IP 데이터(512)에 저장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처리는 스텝 S106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CPU(12)는, 데이터를 유선 통신 모듈(200)로 송신한다. 처리는 스텝 S107로 이행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CPU(12)는, 유선 통신 모듈(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CPU(12)는, 수신한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층(516)을 참조하여, 유선 통신 모듈(300)의 MAC 어드레스인 MAC3을 확인함으로써, 데이터의 송신원이 유선 통신 모듈(300)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처리는 스텝 S108로 이행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CPU(12)는, 유선 통신 모듈(200)의 MAC 어드레스인 MAC2를 데이터 링크층(516)에 저장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처리는 스텝 S109로 이행한다.
스텝 S109에 있어서, CPU(12)는, 무선 통신 모듈(400)의 MAC 어드레스인 MAC4를 IP 데이터(512)에 저장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처리는 스텝 S1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CPU(12)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 모듈(100)로 송신한다. 처리는 스텝 S111로 이행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CPU(12)는, 유선 통신 모듈(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CPU(12)는, 수신한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층(516)을 참조하여, 유선 통신 모듈(200)의 MAC 어드레스인 MAC2를 확인함으로써, 데이터의 송신원이 유선 통신 모듈(200)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처리는 스텝 S112로 이행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CPU(12)는, 무선 통신 모듈(100)의 MAC 어드레스인 MAC1을 데이터 링크층(516)에 저장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처리는 스텝 S1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CPU(12)는, 무선 통신 모듈(400)의 MAC 어드레스인 MAC4를 IP 데이터(512)에 저장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처리는 스텝 S114로 이행한다.
스텝 S114에 있어서, CPU(12)는, 데이터를 안테나(103)를 통해서 기지국(6)으로 송신한다. 처리는 종료한다.
도 7에 기지국의 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스텝 S201에 있어서, 통신부(3)는 무선 통신 모듈(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부(3)는, 수신한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층(516)을 참조하여, 무선 통신 모듈(100)의 MAC 어드레스인 MAC1을 확인함으로써, 데이터의 송신원이 무선 통신 모듈(100)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처리는 스텝 S202로 이행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인증부(5)는, 통신부(3)를 통해서 취득한 데이터의 IP 데이터에 포함되는 MAC 어드레스와, 저장부(4)에 저장된 MAC 어드레스를 비교한다. IP 데이터에 포함되는 MAC 어드레스와, 저장부(4)에 저장된 MAC 어드레스가 일치한 경우, 처리는 스텝 S203으로 이행한다. 한편, IP 데이터에 포함되는 MAC 어드레스와, 저장부(4)에 저장된 MAC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처리는 스텝 S204로 이행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통신부(3)는, 무선 통신 모듈(100)과의 통신을 허가한다. 처리는 종료한다. 이에 의하면, 기지국(6)은, 무선 통신 모듈(100)의 MAC 어드레스인 MAC1이 아니라, 무선 통신 모듈(400)의 MAC 어드레스인 MAC4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정보 처리 장치(2)는, 정보 처리 장치(1)를 통해서 기지국(6)에 대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스텝 S204에 있어서, 통신부(3)는, 무선 통신 모듈(100)과의 통신을 거부하다. 처리는 종료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해, 통신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다른 장소의 통신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는 통신 모듈의 안테나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통신 환경을 선택하지 않고 통신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편리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전파 상태가 나쁜 환경에서는, 전파 상태가 좋은 환경의 정보 처리 장치의 통신 환경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빨리 쾌적한 통신 환경을 이용할 수 있게 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리모트 접속을 행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면 이러한 통신을 할 수 없는 데다가, 시큐리티의 설정에 따라서는, 리모트의 정보 처리 장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트의 정보 처리 장치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리모트의 정보 처리 장치의 통신 모듈을 접속 및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통신 환경을 이용한다는 의미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이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의 조합 뿐만 아니라, 유선 통신과 유선 통신, 무선 통신과 무선 통신의 조합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3000)을 나타낸다.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1)의 통신 모듈(200)과,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2)의 통신 모듈(300)이 네트워크(11)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3000)에서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서 자택에 설치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경유하여, MAC 어드레스 인증이 있는 사적인 무선 LAN 회선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를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자택의 정보 처리 장치를 조작하여, 전세계의 무선 통신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원격의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통신함으로써 접속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전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떤 네트워크에서 밖에 이용할 수 없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저렴한 네트워크를 선택해서 이용하거나 할 수도 있게 된다.
1, 2 정보 처리 장치
100, 400 무선 통신 모듈
103 안테나
1000, 3000 정보 처리 시스템
11 네트워크
12 CPU
14 RAM
16 HDD
18 유선 통신 기능
181, 201, 4 저장부
20 무선 통신 기능
200, 300 유선 통신 모듈
22 디스플레이
23, 25 화살표
24 스피커
26 키보드
28 마우스
3 통신부
30 버스
500 데이터
5 인증부
510 소프트층
512 IP 데이터
514 IP 헤더
516 데이터 링크층
520 물리층
522 PLS 부층
6 기지국
71, 72, 73 서버

Claims (15)

  1.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의 물리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제1 처리부를 갖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와 유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와, 제2 처리부를 갖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중계를 행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물리 어드레스를 미리 저장하는 제2 저장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와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처리부가 상기 제2 처리부로 송신한 상기 물리 어드레스를 포함하여, 접속을 요구하는 리퀘스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경우, 수신한 상기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물리 어드레스를 대조함으로써,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인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2 통신부로 상기 리퀘스트를 송신할 때에, 송신원의 상기 제1 통신부를 식별하는 제2 물리 어드레스도 상기 제2 통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리퀘스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송신할 때에, 송신원의 상기 제2 통신부를 식별하는 제3 물리 어드레스도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어드레스는 MAC 어드레스이며,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MAC 어드레스를 패킷의 헤더에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가,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한 경우,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6.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의 제1 물리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제1 처리부를 갖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와 유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와, 제2 처리부를 갖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중계를 행하는 기지국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를 제2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부와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상기 제1 처리부가 상기 제2 처리부로 송신한 상기 물리 어드레스를 포함하여, 접속을 요구하는 리퀘스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수신한 상기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와의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2 통신부로 상기 리퀘스트를 송신할 때에, 송신원의 상기 제1 통신부를 식별하는 제2 물리 어드레스도 상기 제2 통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퀘스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송신할 때에, 송신원의 상기 제2 통신부를 식별하는 제3 물리 어드레스도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어드레스는 MAC 어드레스이며,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MAC 어드레스를 패킷의 헤더에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한 경우,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 방법.
  11. 기지국과,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와,
    제1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의 제1 물리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요구하는 리퀘스트를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제1 처리부를 갖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네트워크 경유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리퀘스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2 처리부를 갖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의 상기 제1 물리 어드레스를 미리 저장하는 제2 저장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와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한 상기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제1 물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물리 어드레스와의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인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리퀘스트를 송신할 때에, 송신원의 상기 제1 통신부를 식별하는 제2 물리 어드레스도 상기 제2 통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리퀘스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송신할 때에, 송신원의 상기 제2 통신부를 식별하는 제3 물리 어드레스도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어드레스는 MAC 어드레스이며,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MAC 어드레스를 패킷의 헤더에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가,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한 경우,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137007378A 2010-09-24 2010-09-24 기지국, 기지국의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444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5760 WO2012039010A1 (ja) 2010-09-24 2010-09-24 基地局、基地局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771A true KR20130069771A (ko) 2013-06-26
KR101444627B1 KR101444627B1 (ko) 2014-09-26

Family

ID=4587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378A KR101444627B1 (ko) 2010-09-24 2010-09-24 기지국, 기지국의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26803B2 (ko)
EP (1) EP2621206B1 (ko)
JP (1) JP5534023B2 (ko)
KR (1) KR101444627B1 (ko)
CN (1) CN103141127B (ko)
WO (1) WO20120390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373A (ja) * 1994-07-13 1996-03-26 Nec Corp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のための通信方式
JP2002300328A (ja) 2001-04-02 2002-10-1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TWI289999B (en) * 2001-06-08 2007-11-11 Benq Corp Transmission method for relay signal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200721738A (en) * 2002-07-31 2007-06-01 Interdigital Tech Corp Wireless personal communicator and communication method
JP3737474B2 (ja) * 2002-12-05 2006-01-18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コンテンツの予約受取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データ受取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の予約受取方法
JP2005192059A (ja) * 2003-12-26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lan子局装置
JP4750646B2 (ja) 2006-08-14 2011-08-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路設定方法
KR100888596B1 (ko) * 2006-10-23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복합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JPWO2008105176A1 (ja) * 2007-02-27 2010-06-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モバイルノード、代理ノード及び管理ノード
KR20080099748A (ko) * 2007-05-10 200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 방법
JP4734374B2 (ja) * 2008-06-04 2011-07-27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方法
JP4578539B2 (ja) * 2008-06-17 2010-11-10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lan接続装置、無線lan中継装置
JP4679616B2 (ja) * 2008-08-19 2011-04-27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無線lan中継装置、無線lan中継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146437A (ja) * 2008-12-22 2010-07-01 Canon It Solutions Inc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87314A (ja) * 2009-02-13 2010-08-26 Hitachi Cable Ltd 認証機能付きネットワーク中継機器及びそれを用いた端末の認証方法
JP5241665B2 (ja) * 2009-09-28 2013-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627B1 (ko) 2014-09-26
EP2621206A4 (en) 2016-04-13
US20130195059A1 (en) 2013-08-01
JP5534023B2 (ja) 2014-06-25
WO2012039010A1 (ja) 2012-03-29
EP2621206A1 (en) 2013-07-31
CN103141127A (zh) 2013-06-05
CN103141127B (zh) 2016-07-06
EP2621206B1 (en) 2016-11-09
JPWO2012039010A1 (ja) 2014-02-03
US9426803B2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2056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アクセス認証技術
KR102269417B1 (ko) 멀티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205339A1 (en) Auto-Provisioning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for Operation With A Wireless Network
US201203312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heterogeneous service terminals
JP2001320373A (ja) 無線lanシステム
US876833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nection method
CN101616414A (zh) 对终端进行认证的方法、系统及服务器
US20080320099A1 (en) Connector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8774779B2 (en) System, method, service server, traffic information relay method, application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execu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KR101444627B1 (ko) 기지국, 기지국의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JP2005150794A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239369A (ja) エネルギー消費機器制御装置及びエネルギー消費機器制御方法
JP2002232420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接続認証方法
KR100559043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2006314138A (ja) 無線lan端末の無線lanへの参加制御方法及び無線lan基地局装置並びに無線lan端末装置
JP2007207016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サーバ装置
KR100550774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약정보처리장치
KR101094000B1 (ko) 액세스 포인트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00080B1 (ko) 공동 주택 단지에서의 앱 보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53422B1 (ko) 단지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 기반의 로비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2887948B (zh) 绑定蓝牙装置的方法及其系统
JP4629024B2 (ja) 認証サーバ及び認証方法
WO2008013012A1 (fr) système pour faire fonctionner des appareils dans une relation liée,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fonctionnement lié, appareil capable d'un fonctionnement lié, dispositif de serveur et programme
JP5108634B2 (ja) 鍵交換方法
KR100550775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모바일 에이전트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