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714A -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 Google Patents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714A
KR20130067714A KR1020110134558A KR20110134558A KR20130067714A KR 20130067714 A KR20130067714 A KR 20130067714A KR 1020110134558 A KR1020110134558 A KR 1020110134558A KR 20110134558 A KR20110134558 A KR 20110134558A KR 20130067714 A KR20130067714 A KR 20130067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on terminal
series connection
friction stir
sti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593B1 (ko
Inventor
정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라이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라이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라이비텍
Priority to KR102011013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은, 제1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맞대어 배치하는 단계; 숄더부와 핀부를 갖는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 및 접합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복수 개로 절단하여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METHOD FOR FABRICATING BUSBAR FOR SERIES CONNECTION OF HETERO-ELECTRODE BATTERY USING FRICTION STIR WELDING AND BUSBAR FABRICATED THEREBY}
본 발명은 마찰교반용접(Friction Stir Welding: FSW)을 이용하여 이종 전극을 갖는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배터리용 연결단자의 제작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축전지는 큰 출력을 얻어야 하기에 고전압 또는 대전류의 용량을 필요로 한다. 축전지에는 산화환원반응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되는 전극을 포함하고 있는데, 알루미늄과 구리의 조합과 같이 상이한 전극에 의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하나의 단위 전지(Cell)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은 큰 동력을 얻기에 충분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전원을 구성하기 위해 단위 전지를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기도 한다. 단위 전지와 단위 전지를 연결시 각 전극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볼트체결, 리벳 등의 방법들이 있으나 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접촉 저항을 줄이고 공간 절약 및 녹 발생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방안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알루미늄과 알루미늄간의 용접과 구리와 구리의 용접은 레이저나 전자빔과 같은 고밀도 에너지원을 이용한 용접 가능하지만, 구리와 알루미늄의 이종 재료간의 용접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근본적으로 구리와 알루미늄은 금속의 특성상 차이가 크기 때문에 용융시켜 접합시키더라도 쉽게 혼합되지 않고, 접합된 부분에 불균일한 영역이 발생하게 되며, 용접 부위의 취성이 증가하여 쉽게 부러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기존의 연결단자의 제조방법은 하나씩 형성하는 것이므로 양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각 제품의 접합품질을 보장하기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용접 부위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종 전극 직렬연결용 배터리 연결단자를 제작하는 방법 그에 의해 제작된 연결단자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용접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양산성을 개선시킨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은, 제1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맞대어 배치하는 단계; 숄더부와 핀부를 갖는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 및 접합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복수 개로 절단하여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플레이트에 동종재질의 제1전극과 용접되기 위한 제1접합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에 동종재질의 제2전극과 용접되기 위한 제2접합부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접합부위 및 상기 제2접합부위는, 라운드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접합부위 및 상기 제2접합부위는, 사각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호 평평하게 맞대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한 후, 상기 맞대기선의 주변부위가 평평한 상태로 접합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도전재료와 상기 제2도전재료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Al)이고, 상기 제1도전재료와 상기 제2도전재료 중 다른 하나는 구리(Cu)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은, 상기 회전공구의 이송 끝단부에 형성된 핀홈을 포함하는 부위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호 겹쳐지도록 맞대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한 후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한 후 맞대어 배치하고,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한 후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를 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에 의하면, 마찰교반용접에 의해 이종 재료간의 접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연결단자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연결단자의 제작방법에 의하면,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한 번에 마찰교반용접한 후 복수 개로 절단하여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을 얻는 것이므로 양산이 용이하며, 균일하면서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회전공구에 의한 홈 자국은 제거되므로 우수한 품질의 연결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직렬 연결단자(100)를 이용하여 배터리셀간 직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직렬 연결단자(100)와 알루미늄도선(10) 및 구리도선(20) 사이의 연결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100)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200)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예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300)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종 재료의 맞대기 구조들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직렬 연결단자(100)를 이용하여 배터리셀간 직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직렬 연결단자(100)와 알루미늄도선(10) 및 구리도선(20) 사이의 연결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과 같이, 배터리 시스템은, '+'극성인 알루미늄전극(11)과 '-'극성인 구리전극(21)을 갖는 복수의 배터리셀(C)이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C)을 인접한 배터리셀(C)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알루미늄과 구리 사이의 연결부분이 발생한다. 여기서, 연결단자(100)는 알루미늄도선(10)과 구리도선(20)의 사이에서 알루미늄도선(10)과 구리도선(20)의 직접용접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고 배터리셀(C)간 직렬연결이 용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두 가지 금속이 접합된 연결단자(100)를 보이고 있다. 이들 금속은 각각 알루미늄과 구리로서 전기적,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가 부분). 따라서, 알루미늄도선(10)은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는 연결단자(100)의 대응금속에(나 부분), 구리도선(20)은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는 연결단자(100)의 반대쪽 대응금속에(다 부분)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접 등에 의한 결합이 용이하며, 이종금속에 의한 접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예의 직렬 연결단자(100)의 제작방법은, 제1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110) 및 제2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120)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를 맞대어 배치하는 단계, 숄더부(S)와 핀부(P)를 갖는 회전공구(T)를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맞대기선(L)을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 및 접합된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를 절단하여 연결단자(1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각각 알루미늄(Al) 및 구리(Cu)로 조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정 크기로 자를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종 재료의 조합은 알루미늄과 구리 외에도 알루미늄과 금, 은 또는 납 등의 조합, 아연과 구리, 금, 은 또는 납, 기타 금속간의 조합일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용접을 위하여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상호 평평하게 맞대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공구(T)를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배치한 후, 맞대기선(L)의 주변부위가 평평한 상태로 접합되도록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맞대기선(L)을 따라 이송시킨다. 회전공구(T)의 이송에 의하여 용접부위(W)는 평평하고 깨끗한 상태가 되므로 접합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마찰교반용접방법은 이미 알려져 있는 것으로, 두 개의 금속 사이에 모재보다 경도가 높은 별도의 마찰 공구를 삽입한 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용접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모재에 직접 마찰을 시키면서 재료 내부에 교반작용과 소성유동 현상을 일으켜서 교반 및 혼합작용으로 두 개의 금속이 용접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접합되면, 일정한 크기별로 연결단자(100)를 절단하여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절단방법으로서, 워터젯 절단, 레이저 절단, 초음파 절단, 플라즈마 절단, 와이어 컷팅, 샤링기(shearing), 톱기계, 휠커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CL로 표시된 부분은 커터에 의하여 잘려지는 절단선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선(CL)은 용접 후에 절단과정에서 실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용접 전에 형성함으로써 모재의 손실을 줄일 수도 있다.
회전공구(T)의 이송 끝단부에 형성된 핀홈(101)을 포함하는 부위(103)를 절단하는 단계가 추가됨으로써 불필요한 자국을 제거하고 우수한 품질의 연결단자(100)만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200)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예에서는, 제1플레이트(210) 및 제2플레이트(220)를 마련시, 제1플레이트(210)에 동종재질의 제1전극과 용접되기 위한 제1접합부위(215)를 형성하고, 제2플레이트(220)에 동종재질의 제2전극과 용접되기 위한 제2접합부위(225)를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보인다. 이러한 제1접합부위(215)와 제2접합부위(225)는 배터리의 전극 또는 도선과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동종 재질의 용접에 의할 경우 결합강도를 높이고 용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다른 부위보다는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의하면 이러한 제1접합부위(215) 및 제2접합부위(225)는 라운드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의 형성을 위하여 테일러 블랭킹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제1접합부위(215)와 제2접합부위(225)는 용접 후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예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300)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예에서는,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에 각각 형성되는 제1접합부위(315)와 제2접합부위(325)가 사각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돌기형의 제1접합부위(315)와 제2접합부위(325)를 갖는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배터리셀로부터 나온 동종재질의 전극 또는 도선과의 용접을 용이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종 재료의 맞대기 구조들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a)도의 연결단자(100)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단부가 수직면을 이룬 상태에서 상호 맞대기한 것이고, (b)도의 연결단자(100')은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단부가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한 후 맞대어 배치한 것이며, (c)도의 연결단자(100")은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상호 겹쳐지도록 맞대어 배치한 것을 각각 보인다. 마찬가지로, 맞대어 배치된 후에는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지며 접합후 일정크기로 잘려져서 깨끗한 품질의 연결단자를 얻는다. 이외에도 맞대기의 다른 방법으로서, 제1플레이트에 대하여 제2플레이트를 육성도포한 후 마찰교반용접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100', 100", 200, 300: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
101: 핀홈 103: 제거될 부위
110, 210, 310: 제1플레이트 120, 220, 320: 제2플레이트
215, 315: 제1접합부위 225, 325: 제2접합부위
T: 회전 공구 S: 숄더부
P: 핀부 W: 용접부위
L: 맞대기선 CL: 절단선

Claims (10)

  1. 제1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각각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맞대어 배치하는 단계;
    숄더부와 핀부를 갖는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마찰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마찰에 의해 접합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복수 개로 절단하여 연결단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에 동종재질의 제1전극과 용접되기 위한 제1접합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에 동종재질의 제2전극과 용접되기 위한 제2접합부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위 및 상기 제2접합부위는, 라운드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위 및 상기 제2접합부위는, 사각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호 평평하게 맞대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한 후, 상기 맞대기선의 주변부위가 평평한 상태로 접합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재료와 상기 제2도전재료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Al)이고, 상기 제1도전재료와 상기 제2도전재료 중 다른 하나는 구리(Cu)인,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구의 이송 끝단부에 형성된 핀홈을 포함하는 부위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호 겹쳐지도록 맞대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한 후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한 후 맞대어 배치하고,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한 후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맞대기선을 따라 이송시키는,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
KR1020110134558A 2011-12-14 2011-12-14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KR10132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558A KR101324593B1 (ko) 2011-12-14 2011-12-14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558A KR101324593B1 (ko) 2011-12-14 2011-12-14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714A true KR20130067714A (ko) 2013-06-25
KR101324593B1 KR101324593B1 (ko) 2013-11-06

Family

ID=4886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558A KR101324593B1 (ko) 2011-12-14 2011-12-14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5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33440A1 (en) * 2013-07-31 2015-02-04 LG Chem, Ltd. Stacking type battery pack having connecting member made of different metals
US9882193B2 (en) 2015-06-16 2018-01-30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8620654A (zh) * 2018-06-21 2018-10-09 宁夏小牛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电池串首片剔除装置及串焊机及首片剔除裁断方法
KR20190129234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경신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
CN117937068A (zh) * 2024-03-21 2024-04-26 常州瑞德丰精密技术有限公司 复合极块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045A (ja) * 2000-11-10 2002-05-24 Honda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用バスバー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US9196890B2 (en) * 2009-10-05 2015-11-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welded portion between terminal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33440A1 (en) * 2013-07-31 2015-02-04 LG Chem, Ltd. Stacking type battery pack having connecting member made of different metals
US9379367B2 (en) 2013-07-31 2016-06-28 Lg Chem, Ltd. Stacking type battery pack having connecting member made of different metals
US9882193B2 (en) 2015-06-16 2018-01-30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90129234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경신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
CN108620654A (zh) * 2018-06-21 2018-10-09 宁夏小牛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电池串首片剔除装置及串焊机及首片剔除裁断方法
CN108620654B (zh) * 2018-06-21 2024-02-02 宁夏小牛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电池串首片剔除装置及串焊机及首片剔除裁断方法
CN117937068A (zh) * 2024-03-21 2024-04-26 常州瑞德丰精密技术有限公司 复合极块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593B1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593B1 (ko)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US9525228B2 (en) Battery terminal,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terminal, and battery
JP5481178B2 (ja) 組電池および単電池
CN103078078B (zh) 层叠电池
JP5699296B2 (ja) 金属材のかしめ構造及びこのかしめ構造を用いたバスバー
CN103003979B (zh) 导电性连结构件、导电性连结构件的制造方法、以及将导电性连结构件形成为电极的蓄电池
WO2017056628A1 (ja) 蓄電モジュール、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金属接合体及び金属接合体の製造方法
CN107534119B (zh) 具有改进的用于单元连接器元件的焊接技术的蓄电池组件
CN102084518A (zh) 电池及其制造方法
JP2007026907A (ja) 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US847937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motor stator
JP2014212012A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二次電池
KR20100100657A (ko) 각형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30049984A (ko) 배터리를 위한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JP4586008B2 (ja) 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203466249U (zh) 电极片结构及电池模组
JP5957651B2 (ja) 組電池
JP6153789B2 (ja) 組電池および角形二次電池
KR101324606B1 (ko) 레이저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JP2007115584A (ja) 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用集電板
KR101324597B1 (ko) 폭발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JP2018092743A (ja) 摩擦攪拌接合方法
EP1089364B1 (en) Method for bonding collector plates to end faces of electrode plates
JP6108545B2 (ja) 角形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
CN106654148A (zh) 一种电池极片裁切方法和包含该方法的电池芯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