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234A -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234A
KR20190129234A KR1020180053556A KR20180053556A KR20190129234A KR 20190129234 A KR20190129234 A KR 20190129234A KR 1020180053556 A KR1020180053556 A KR 1020180053556A KR 20180053556 A KR20180053556 A KR 20180053556A KR 20190129234 A KR20190129234 A KR 20190129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face
rigid
flexible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451B1 (ko
Inventor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05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4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reducing the size of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면대면 접합 버스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면대면 접합 버스바는, 측면에 제1접합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리지드버스바와, 제1접합면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접합면을 갖는 플렉시블버스바와, 리지드버스바의 제1접합면과 플렉시블버스바의 제2접합면을 접합하여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FACE-TO-FACE BONDED BUS BAR AND MAK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버스바와 리지드버스바를 면대면으로 접합하여 연결함으로써, 기존에 구현하지 못하는 버스바 레이아웃을 구현하고, 전체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거나, 차체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의 일반 차량에 비해 연비 및 유해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요하게 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효율적으로 차량 내부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가 필요된다.
이를 위해,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자동차용 박스 내부에는 대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버스바가 많이 활용된다. 이러한 버스바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되는 것으로, 대략 납작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버스바는 납작한 사각 단면형상으로서, 굴곡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렉시블버스바(flexible bus bar)와, 금속판재를 원하는 형상대로 커팅하여 형성되는 리지드버스바(rigid bus bar) 등이 있다.
그런데, 기존의 플렉시블버스바는 납작한 사각단면 형태의 기존 판재를 지그를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90도, 180도 굴곡 등과 같이 다양한 굴곡과정에서 과도한 변형으로 인해 절연성능 저하로 품질이 떨어지고, 작업시간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리지드버스바의 경우,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여 절단으로 인해 버려지는 소재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증가하며, 사이즈에 제약이 있어서 길게 만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버스바를 180도 굴곡하여 두께가 증가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종래의 플렉시블버스바(1)의 경우에는 180도로 굴곡하는 경우, 굴곡부(2)의 형상이 180도 휘어지면서 반전 됨에 따라 굴곡부(2)의 두께(H)가 상당히 높아지게 되고, 레이 아웃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5549호(2014.07.07, 발명의 명칭: 버스바 성형 다이 및 이를 이용한 버스바 제조 방법)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플렉시블버스바와 리지드버스바를 면대면으로 접합하여 연결함으로써, 기존에 구현하지 못하는 버스바 레이아웃을 구현하고, 전체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는, 측면에 제1접합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리지드버스바; 상기 제1접합면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접합면을 갖는 플렉시블버스바; 및 상기 리지드버스바의 제1접합면과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제2접합면을 접합하여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지드버스바는,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일측 제2접합면에 접합되고, 제1연결부에 제1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제1리지드버스바; 및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타측 제2접합면에 접합되고, 제2연결부에 제2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제2리지드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와 재2연결부는 밧데리, 모듈,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체결부재는 상기 리지드버스바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면대면 접합 버스바(1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 또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접합면과 제2접합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레이저용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제작방법은, 리지드버스바와 플렉시블버스바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리지드버스바와 플렉시블버스바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배치구간을 확인하는 단계; 배치구간 별로 상기 리지드버스바와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적용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 상기 리지드버스바와 상기 플렉시블버스바를 검토사항에 맞춰 형상을 조절하여 접합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리지드버스바의 제1접합면과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제2접합면을 접촉한 후 용접을 통해 접합부를 형성하여 접합하므로 면대면 접합 버스바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안착하고,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통해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접합면과 제2접합면을 접촉시키고 레이저용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은, 플렉시블버스바와 리지드버스바를 면대면으로 접합하여 연결함으로써, 기존에 구현하지 못하는 버스바 레이아웃을 구현하고, 전체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버스바를 180도 굴곡하여 두께가 증가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조립 및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접합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제작방법에서 여러 단계들의 흐름도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버스바를 180도 굴곡하여 두께가 증가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조립 및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접합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는, 리지드버스바(100), 플렉시블버스바(200) 및 접랍부(300)를 포함한다.
리지드버스바(100)는 측면에 제1접합면(130)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 구비된다.
리지드버스바(100)는 프레스 금형으로 형성하므로 사이즈에는 제약이 따른다.
리지드버스바(100)는, 플렉시블버스바(200)의 일측 제2접합면(210)에 접합되고, 제1연결부(20)에 제1체결부재(50)에 의해 설치되는 제1리지드버스바(110)와, 플렉시블버스바(110)의 타측 제2접합면(210)에 접합되고, 제2연결부(30)에 제2체결부재(60)에 의해 설치되는 제2리지드버스바(120)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20)와 재2연결부(30)는 배터리, 모듈,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1연결부(20)는 배터리이고, 제2연결부(30)은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1체결부재(50)와 제2체결부재(60)는 리지드버스바(100)와 플렉시블버스바(200)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면대면 접합 버스바(1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40)에 체결되는 볼트 또는 나사를 포함한다.
접합부(300)는 제1접합면(130)과 제2접합면(210)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레이저용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이저용접은 레이저빔을 집광하여 에너지 밀도를 더욱 더 높인 집중열원으로 모재료를 용융하는 용접 방법이다. 레이저 용접은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재료에 주는 열의 영향이 작아 변형도 적고, 소재의 변형이 적음에 따라 금속과 비금속에 사용 가능하다. 특히, 대기중에서 가공이 가능하며, 출력 제어를 통하여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용접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렉시블버스바(1)의 경우에는 180도로 굴곡 하는 결우, 굴곡부(2)의 형상이 180도 휘어지면서 반전 됨에 따라 굴곡부(2)의 두께(H)가 상당히 높아지게 되고, 레이 아웃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하지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930)에 결합되는 부위에는 모든 형상 구현이 가능한 제1리지드버스바(110)와 제2리지드버스바(120)를 커팅 작업 등 조절을 통해 마련하여 배치하고, 제1,제2리지드버스바(110)(120)의 사이에는 길이 등 사이즈에 제한이 없는 플렉시블버스바(200)를 커팅 작업 등으로 조절을 통해 마련하여 배치하고, 제1,제2리지드버스바(110)(120)의 제1접합면(130)과 플렉시블버스바(200)의 제2접합면(210)을 레이저용접으로 접합부(300)를 형성함으로써, 사이즈 문제와 모든 형상 구현 문제를 동시에 해결시킨 면대면 접합 버스바(10)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면대면 접합 버스바(10)는 두께(h)가 제1,제2리지드버스바(110)(120) 또는 플렉시블버스바(200)의 두께와 동일하므로 종래의 플렉시블버스바(1)의 두께(H)와 더르게 두께(h)가 현저하게 낮아지므로 레이 아웃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대면 접합 버스바(10)는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1,제2리지드버스바(110)(120)와, 제1,제2리지드버스바(110)(120) 사이에 치되는 1개의 플렉시블버스바(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대면 접합 버스바(10)는 일측에 배치되는 1개의 리지드버스바(100)와 리지드버스바(30)에 접하는 1개의 플렉시블버스바(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 의 제작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제작방법에서 여러 단계들의 흐름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제작방법은, 마련 단계(S10)와, 배치구간 확인단계(S20)와, 적용여부 검토단계(S30)와, 조절 및 접합준비단계(S40)와, 접합단계(S50)를 포함한다.
마련 단계(S10)는 리지드버스바(100)와 플렉시블버스바(200)를 가공하기 전 미리 마련하는 단계이다.
배치구간 확인단계(S20)는 리지드버스바(100)와 플렉시블버스바(200)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의 배치구간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배치구간 확인단계(S20)는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 간의 거리와 장애물 등의 배치 구간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적용여부 검토단계(S30)는 배치구간 별로 리지드버스바(100)와 플렉시블버스바(200)의 적용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이다.
적용여부 검토단계(S30)는 리지드버스바(100)를 적용하는 구간과, 플렉시블버스바(200)를 적용하는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리지드버스바(100)는 제1리지드버스바(110)와, 제2리지드버수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및 접합준비단계(S40)는 리지드버스바(100)와 플렉시블버스바(120)를 검토사항에 맞춰 형상을 조절하여 접합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조절 및 접합준비단계(S40)는 구간에 따라 절단 및 결합공(40)을 형성하는 프레스 금형 공정으로 리지드버스바(100)를 준비하고, 플렉시블버스바(200)를 사이즈에 맞춰 잘단공정 등으로 준비한다.
접합단계(S50)는 리지드버스바(100)의 제1접합면(130)과 플렉시블버스바(200)의 제2접합면(210)을 접촉한 후 레이저용접을 통해 접합부(300)를 형성하여 접합하므로 면대면 접합 버스바(1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대면 접합 버스바(10)는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1,제2리지드버스바(110)(120)와, 제1,제2리지드버스바(110)(120) 사이에 배치되는 1개의 플렉시블버스바(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대면 접합 버스바(10)는 일측에 배치되는 1개의 리지드버스바(100)와, 리지드버스바(100)에 접합되는 1개의 플렉시블버스바(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면대면 접합 버스바(10)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공(40)을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에 안착하고, 제1체결부재(50)와 제2체결부재(60)를 통해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300)는 제1접합면(130)과 제2접합면(210)을 접촉시키고 레이저용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면대면 접합 버스바 20 : 제1연결부
30 : 제2연결부 40 : 삽입공
50 : 제1체결부재 60 : 제2체결부재
100 : 리지드버스바 110 : 제1리지드버스바
120 : 제2리지드버스바 130 : 제1접합면부
200 : 플렉시블버스바 210 : 제2접합면부
300 : 접합부 :

Claims (8)

  1. 측면에 제1접합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리지드버스바;
    상기 제1접합면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접합면을 갖는 플렉시블버스바; 및
    상기 리지드버스바의 제1접합면과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제2접합면을 접합하여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드버스바는,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일측 제2접합면에 접합되고, 제1연결부에 제1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제1리지드버스바; 및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타측 제2접합면에 접합되고, 제2연결부에 제2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제2리지드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재2연결부는 밧데리, 모듈,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체결부재는 상기 리지드버스바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 또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접합면과 제2접합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레이저용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
  6. 리지드버스바와 플렉시블버스바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리지드버스바와 플렉시블버스바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배치구간을 확인하는 단계;
    배치구간 별로 상기 리지드버스바와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적용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
    상기 리지드버스바와 상기 플렉시블버스바를 검토사항에 맞춰 형상을 조절하여 접합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리지드버스바의 제1접합면과 상기 플렉시블버스바의 제2접합면을 접촉한 후 용접을 통해 접합부를 형성하여 접합하므로 면대면 접합 버스바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제작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안착하고,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통해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제작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접합면과 제2접합면을 접촉시키고 레이저용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대면 접합 버스바의 제작방법.

KR1020180053556A 2018-05-10 2018-05-10 면대면 접합 버스바 KR102101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56A KR102101451B1 (ko) 2018-05-10 2018-05-10 면대면 접합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56A KR102101451B1 (ko) 2018-05-10 2018-05-10 면대면 접합 버스바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862A Division KR20200030043A (ko) 2020-03-10 2020-03-10 면대면 접합 버스바
KR1020200029863A Division KR20200029424A (ko) 2020-03-10 2020-03-10 면대면 접합 버스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34A true KR20190129234A (ko) 2019-11-20
KR102101451B1 KR102101451B1 (ko) 2020-04-16

Family

ID=6872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56A KR102101451B1 (ko) 2018-05-10 2018-05-10 면대면 접합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4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7578A (zh) * 2020-03-23 2021-09-24 Ip传输控股公司 用于母线联接的电气系统
US20210328396A1 (en) * 2018-08-27 2021-10-21 Molex, Llc Hinged busbar assembly
KR20210131156A (ko) 2020-04-23 2021-11-02 진영글로벌 주식회사 열방출능력이 향상된 중공형 구조의 플렉시블 버스바, 이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3809609A (zh) * 2020-06-17 2021-12-17 矢崎总业株式会社 导电结构体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639A (ja) * 2000-07-07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ーザ溶接接合構造
KR101058888B1 (ko) * 2011-02-01 2011-08-23 김창덕 플렉시블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9984A (ko) * 2011-11-07 2013-05-15 아이피지 포토닉스 코리아(주) 배터리를 위한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KR20130067714A (ko) * 2011-12-14 2013-06-25 주식회사 한라이비텍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JP2013233036A (ja) * 2012-04-27 2013-11-14 Jtekt Corp モーター制御用回路基板、モ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ーユニット
KR20140140744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2014236150A (ja) * 2013-06-04 2014-12-15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20140146232A (ko) * 2010-03-29 2014-12-2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KR20150016834A (ko) * 2013-08-05 2015-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 제조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 제조방법
KR20150070625A (ko) * 2013-12-17 2015-06-25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이차전지 모듈간 가변형 접속장치 및 이를 갖는 전지팩
KR20170089566A (ko) * 2016-01-27 2017-08-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20170138943A (ko) * 2016-06-08 2017-12-1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639A (ja) * 2000-07-07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ーザ溶接接合構造
KR20140146232A (ko) * 2010-03-29 2014-12-2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버스 바 및 버스 바의 제조 방법
KR101058888B1 (ko) * 2011-02-01 2011-08-23 김창덕 플렉시블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9984A (ko) * 2011-11-07 2013-05-15 아이피지 포토닉스 코리아(주) 배터리를 위한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KR20130067714A (ko) * 2011-12-14 2013-06-25 주식회사 한라이비텍 마찰교반용접을 이용하는 이종 전극 배터리용 직렬 연결단자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직렬 연결단자
JP2013233036A (ja) * 2012-04-27 2013-11-14 Jtekt Corp モーター制御用回路基板、モ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ーユニット
KR20140140744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2014236150A (ja) * 2013-06-04 2014-12-15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20150016834A (ko) * 2013-08-05 2015-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 제조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 제조방법
KR20150070625A (ko) * 2013-12-17 2015-06-25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이차전지 모듈간 가변형 접속장치 및 이를 갖는 전지팩
KR20170089566A (ko) * 2016-01-27 2017-08-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20170138943A (ko) * 2016-06-08 2017-12-1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8396A1 (en) * 2018-08-27 2021-10-21 Molex, Llc Hinged busbar assembly
US11837830B2 (en) * 2018-08-27 2023-12-05 Molex, Llc Hinged busbar assembly
CN113437578A (zh) * 2020-03-23 2021-09-24 Ip传输控股公司 用于母线联接的电气系统
CN113437578B (zh) * 2020-03-23 2023-07-25 Ip传输控股公司 用于母线联接的电气系统
KR20210131156A (ko) 2020-04-23 2021-11-02 진영글로벌 주식회사 열방출능력이 향상된 중공형 구조의 플렉시블 버스바, 이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3809609A (zh) * 2020-06-17 2021-12-17 矢崎总业株式会社 导电结构体
CN113809609B (zh) * 2020-06-17 2023-08-08 矢崎总业株式会社 导电结构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451B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9234A (ko) 면대면 접합 버스바 및 이의 제작방법
US20110045345A1 (en) Power sourc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wer source apparatus
US10236647B2 (en) Routing members connection structure
JP5569442B2 (ja) 機器用コネクタ
JP5640837B2 (ja) 機器用コネクタ
KR20140111705A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커넥터, 와이어 하니스 및 압착 단자 제조 방법,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CN108630877B (zh) 电池汇流条设计和激光焊接
DE102007029678A1 (de) Elektronische Steuervorrichtung
JP6317911B2 (ja) 回路導体の製造方法
JP4428406B2 (ja) Uターンバスバー
WO2015064247A1 (ja) バスバー構造及びバスバー構造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DE112017005200B4 (de) Verbindungselement, elektrische bauteileinheit und batterievorrichtung
JP5645957B2 (ja) 高電流コンタクト、および、高電流コンタクトシステムの作製方法
US20220394873A1 (en) Circuit assembly
US20020061676A1 (en) Auxiliary device module
KR20200029424A (ko) 면대면 접합 버스바
KR20200030043A (ko) 면대면 접합 버스바
GB2356087A (en) Wiring board where a soldered connection between a bus bar and an electrical component can be inspected
KR102087698B1 (ko) 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09935772A (zh) 一种电池箱及其电池模组、导电连接片
KR20180078776A (ko) 배터리 전압 측정을 위한 버스바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
EP1215755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mponent to electrial junction box
CN113839224A (zh) 用于车辆电驱动的部件、用于车辆电驱动的组件以及导电连接两个部件的方法
JP2022050114A (ja) 端子製造方法
US20230207153A1 (en) Electrical Co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