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506A -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506A
KR20130067506A KR1020110134112A KR20110134112A KR20130067506A KR 20130067506 A KR20130067506 A KR 20130067506A KR 1020110134112 A KR1020110134112 A KR 1020110134112A KR 20110134112 A KR20110134112 A KR 20110134112A KR 20130067506 A KR20130067506 A KR 20130067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us leaf
product
lotus
drying
anima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두
박정호
최종화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연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연
Priority to KR102011013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7506A/ko
Publication of KR2013006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잎차 및 엿기름 부산물에 양파농축 고형물, 연근 및 증제 처리된 연잎을 더 혼합한 다음 유산균과 효모균을 첨가해 발효과정을 거친 후 돼지에게 공급함으로써 돼지의 식욕을 높이고 소화 효소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잎에 포함된 비타민,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을 공급할 수 있으며, 각종 부산물을 이용해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부산물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은 연잎차 및 엿기름 부산물을 포함하는 중간소재를 준비하는 중간소재 준비단계와, 상기 중간소재 준비단계를 통해 처리된 중간소재를 고압멸균 및 공압성형 처리하는 가공단계와,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가공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건조물에 유산균 및 효모균을 첨가하여 발효하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법제유황 및 제오라이트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 종료된 혼합물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NIMAL FEED USED BY LOTUS LESF TEA AND EFFECTIVE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잎차 및 엿기름 부산물에 양파농축 고형물, 연근 및 증제 처리된 연잎을 더 혼합한 다음 유산균과 효모균을 첨가해 발효과정을 거친 후 돼지에게 공급함으로써 돼지의 식욕을 높이고 소화 효소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잎에 포함된 비타민,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을 공급할 수 있으며, 각종 부산물을 이용해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부산물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돈산업은 사육규모가 대규모화됨에 따라 설사, 폐렴 등의 여러 가지 질병발생도 증가 되면서 양돈 사료 내 항생제의 첨가와 화학적 치료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사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서 그 대안으로 비 항생제적 생물학적 방법에 관한 미생물제가 항생제 대체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2006년 5월부터 배합사료내 항생물질의 첨가 종류가 대폭 축소되었으며, 또한 항생제는 가축의 성장촉진 목적이 아닌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도록 그 규제가 강화되어 항생제를 대신할 수 있는 대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더 나아가 최근 국민의식의 변화, 안전축산물의 요구, 고급축산물 또는 브랜드화 요구 및 축산환경개선, 질병의 예방 측면에서 천연기능성 물질 및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제 및 발효사료 등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연꽃은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인인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서,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해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온 식물이다. 또한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하는데,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가을에는 특히 끝부분이 굵어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연꽃은 그 잎이나 뿌리 등에 비타민,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식혜(食醯)란 찹쌀을 쪄서 엿기름물을 붓고 삭힌 다음 밥알은 냉수에 헹구어 건져 놓고, 그 물에 설탕과 생강을 넣고 끓여 식힌 다음 밥알을 띄워 만든 한국 고유의 음료를 말하는 것으로 단술 또는 감주(甘酒)라고도 하는데, 전술한 특성을 갖는 연잎을 이용해 식혜 고유의 맛을 높임과 동시에 연잎차의 은은하고 부드러운 맛과 색이 살아있는 연식혜가 인기를 얻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연꽃을 이용한 가공물의 경우 동물에게 사료로 제공하기에는 그 생산단가가 비싸 그 활용법에 대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며, 아울러 연꽃을 이용한 가공물의 부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검토 또한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잎차 및 엿기름 부산물에 양파농축 고형물, 연근 및 증제 처리된 연잎을 더 혼합한 다음 유산균과 효모균을 첨가해 발효과정을 거친 후 돼지에게 공급함으로써 돼지의 식욕을 높이고 소화 효소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잎에 포함된 비타민,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을 공급할 수 있으며, 각종 부산물을 이용해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부산물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연잎차 및 엿기름 부산물을 포함하는 중간소재를 준비하는 중간소재 준비단계와, 상기 중간소재 준비단계를 통해 처리된 중간소재를 고압멸균 및 공압성형 처리하는 가공단계와,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가공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건조물에 유산균 및 효모균을 첨가하여 발효하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법제유황 및 제오라이트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 종료된 혼합물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중간소재에는 양파농축 고형물, 연근 및 증제 처리된 연잎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중간소재 준비단계의 연잎차는, 싹 난지 45일이 경과 된 연잎을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 단계에서 절단된 연잎을 증열기를 통해 증기로 쪄내는 증제단계와, 상기 증제단계에서 증제된 연잎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냉풍을 이용해 통기 처리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연잎 표면의 유막을 제거하기 위해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조유단계와, 상기 조유단계에서 조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유념단계와, 상기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을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와, 상기 중유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와, 상기 재건단계에서 재건된 연잎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연잎차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중간소재 준비단계의 엿기름 부산물은,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제 1 부산물을 걸러내는 제 1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에서 제1부산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와, 상기 침전단계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잎차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와, 상기 침출단계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에서 가열된 효소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여과하여 제2부산물을 걸러내는 제 2 여과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연식혜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 1 부산물 및 제 2 부산물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유산균은 김치 유산균이고, 상기 효모균은 청국장 균인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은 첫째, 연잎차 및 엿기름 부산물에 양파농축 고형물, 연근 및 증제 처리된 연잎을 더 혼합한 다음 유산균과 효모균을 첨가해 발효과정을 거친 후 돼지에게 공급함으로써 돼지의 식욕을 높이고 소화 효소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질병 없는 건강한 돼지의 사육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연잎에 포함된 비타민,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을 공급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각종 부산물을 이용해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부산물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중에서 중간소재 준비단계인 연잎차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중에서 중간소재 준비단계인 엿기름 부산물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중에서 중간소재 준비단계인 연잎차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중에서 중간소재 준비단계인 엿기름 부산물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은 연잎차 및 엿기름 부산물을 포함하는 중간소재를 준비하는 중간소재 준비단계와, 상기 중간소재 준비단계를 통해 처리된 중간소재를 고압멸균 및 공압성형 처리하는 가공단계와,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가공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건조물에 유산균 및 효모균을 첨가하여 발효하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법제유황 및 제오라이트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 종료된 혼합물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간소재 준비단계는 연잎차와 엿기름 부산물을 포함하는 중간소재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로서, 필요에 따라 양파농축 고형물, 연근 및 증제 처리된 연잎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전술한 연잎차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싹 난지 45일이 경과 된 연잎을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 단계에서 절단된 연잎을 증열기를 통해 증기로 쪄내는 증제단계와, 증제단계에서 증제된 연잎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냉풍을 이용해 통기 처리하는 건조단계와,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연잎 표면의 유막을 제거하기 위해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조유단계와, 조유단계에서 조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유념단계와,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을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와, 중유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와, 재건단계에서 재건된 연잎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연잎차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114260000호(2011.01.21)와 동일한 바, 그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114260000호의 경우 동결연잎을 사용하고 2번에 걸쳐 유념단계를 진행하며 최후에 선별단계가 포함된다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본원발명의 경우에도 동절기에는 동결연잎을 사용해 연잎차를 가공할 수 있고, 유념단계 또한 필요에 의해 2차에 걸쳐 진행할 수 있으며, 선별단계는 연잎차로서 상품화할 경우 필요한 단계인 바,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단계임을 밝혀둔다.
한편, 전술한 엿기름 부산물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와, 출단계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제 1 부산물을 걸러내는 제 1 여과단계와, 여과단계에서 제1부산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와, 침전단계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잎차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와, 침출단계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가열단계에서 가열된 효소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여과하여 제2부산물을 걸러내는 제 2 여과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연식혜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제 1 부산물 및 제 2 부산물인 것으로 한다.
이러한 엿기름 부산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836000000호(2010.09.15)의 연식혜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제 1 부산물과 제 2 부산물을 활용하는 것인 바, 그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836000000호의 경우 여과단계를 1번만 실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본원발명의 경우 제 2 부산물을 얻어내기 위해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836000000호의 단계 중 최종 단계인 가열단계 실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제 2 가열단계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것인 바 제 2 가열단계를 제외한 나머지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됨을 밝혀둔다.
또한, 전술한 중간소재 준비단계에서 추가적으로 양파농축 고형물, 연근 및 증제 처리된 연잎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양파농축 고형물은 액상 농축과정을 거친 빨간 양파의 함수율이 25% 수준이 되도록 공압으로 압축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양파농축 고형물의 경우 제조과정의 특성상 규격의 차이가 불가피 한바, 별도의 절단 과정을 거쳐 8 내지 10mm 수준으로 가공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근의 경우 세척 가공한 후 세절하여 사용하며, 증제 처리된 연잎의 경우 앞서 설명한 연잎차의 제조방법 중에서 세척 및 증제 처리까지 완료된 상태의 연잎을 세절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중간소재 준비단계가 진행된 후에는 중간소재들을 각각 고압멸균 및 공압성형 처리하는 가공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고압멸균 과정은 멸균기 내에서 110℃ 내지 120℃의 온도 조건으로 20분 내지 30분 가열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대장균, 일반세균 등 각종 유해세균을 멸균하게 된다. 또한 공압성형 과정은 2kgf/㎠/30min 조건 하에서 고압멸균 공압기를 이용해 공압 성형해 줌으로써 중간소재 중 수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소재의 제형과 함수율을 25% 이내로 낮추어 준다.
전술한 가공단계가 진행된 후에는 건조단계를 진행하는데 이 건조단계를 통해서 전술한 가공단계를 통해 함수율 25% 이내로 낮추지 못한 가공물의 함수율을 다시 한번 20% 내지 25% 정도로 낮추어 주게 되며, 건조단계가 종료된 후에는 추가적으로 세절기를 통해서 가공물을 20~25mesh 크기로 세절해준다.
전술한 건조단계가 진행된 후에는 1일 내지 5일에 걸쳐서 발효단계를 진행하는데 이 발효단계는 전술한 가공물에 유산균 및 효모균을 첨가함으로써 가공물 내에서 발효가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발효과정은, 먼저 전술한 건조단계까지 준비된 각각의 재료들을 배합하는데, 배합비는 연잎차 15 내지 25 중량부, 엿기름 부산물 40 내지 55 중량부, 양파농축 고형물 25 내지 35 중량부, 연근 1 내지 3 중량부 및 증제 처리된 연잎 1 내지 3 중량부이다.
배합이 완료된 후에는 유산균 1종과 효모균 1종을 접종하고 호기적 방법으로 30℃ 내지 40℃ 조건에서 5시간 내지 7시간 동안 교반 하고, 다음 5시간 내지 7시간은 교반하지 않는 배치식(batch type) 자동 교반을 통해 2일 내지 3일간 발효과정을 진행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유산균은 28℃ 내지 35℃ 온도 상태인 김치 유산균으로 1.5 내지 2.5%의 중랑비로 첨가하며, 효모균은 28℃ 내지 35℃ 온도 상태인 청국장 균으로 1.3 내지 2%의 중랑비로 첨가한다. 또한 발효의 과정은 여름철일 경우 1일 내지 2일 동안 진행하며, 겨울철일 경우 4일에서 5일 동안 진행한다.
전술한 발효단계가 진행된 후에는 혼합단계를 진행하는데, 이 혼합단계는 발효된 발효물에 법제유황 및 제오라이트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즉, 미생물 발효 사료로서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법제유황(edibility surfur)이 1 내지 3%의 중량비로 첨가되고 미생물 발효 사료의 급식 기간에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이며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제올라이트(zeolite)가 2 내지 3%의 중량비로 첨가한다.
전술한 혼합단계가 종료된 후에는 포장단계를 진행하는데, 이 포장단계는 소비자에게 안전하게 사료가 전달될 수 있도록 일정량씩 분할하여 포장하는 단계로서 규격화 된 포장지 내에 이물질 침투 및 내용물 유출이 없도록 진공 포장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의 전체적인 제조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싹 난지 45일이 경과 된 연잎을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 단계에서 절단된 연잎을 증열기를 통해 증기로 쪄내는 증제단계와, 증제단계에서 증제된 연잎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냉풍을 이용해 통기 처리하는 건조단계와,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연잎 표면의 유막을 제거하기 위해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조유단계와, 조유단계에서 조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유념단계와,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을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와, 중유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와, 재건단계에서 재건된 연잎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연잎차를 준비한다.
또한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와, 출단계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제 1 부산물을 걸러내는 제 1 여과단계와, 여과단계에서 제1부산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와, 침전단계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잎차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와, 침출단계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가열단계에서 가열된 효소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여과하여 제2부산물을 걸러내는 제 2 여과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연식혜의 제조공정에서 제 1 부산물 및 제 2 부산물을 준비한다.
또한 전술한 중간소재 준비단계에서 추가적으로 양파농축 고형물, 연근 및 증제 처리된 연잎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경우, 양파농축 고형물은 액상 농축과정을 거친 빨간 양파의 함수율이 25% 수준이 되도록 공압으로 압축 성형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양파농축 고형물은 제조과정의 특성상 규격의 다른 중간소재에 비해서 차이가 불가피 한바, 별도의 절단 과정을 거쳐 10mm 수준으로 가공 처리한다.
또한 연근의 경우 세척 가공한 후 세절하여 사용하며, 증제 처리된 연잎의 경우 앞서 설명한 연잎차의 제조방법 중에서 세척 및 증제 처리까지 완료된 상태의 연잎을 세절하여 사용한다.
그런 다음, 준비된 각각의 중간소재들은 각각 고압멸균 및 공압성형 처리하는 가공단계가 진행되는데, 이때 고압멸균 과정은 멸균기 내에서 110℃의 온도 조건으로 20분간 가열하여 제조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대장균, 일반세균 등 각종 유해세균을 멸균하고, 공압성형 과정은 2kgf/㎠/30min 조건 하에서 고압멸균 공압기를 이용해 공압 성형해 줌으로써 중간소재 중 수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소재의 제형과 함수율을 25% 이내로 낮추어 준다.
그런 다음, 건조단계를 통해서 전술한 가공단계를 통해 함수율 25% 이내로 낮추지 못한 가공물의 함수율을 다시 한번 20% 정도로 낮추어 주게 되며, 건조단계가 종료된 후에는 추가적으로 세절기를 통해서 가공물을 25mesh 크기로 세절해준다.
그런 다음, 건조단계까지 준비된 각각의 재료들을 배합하는데, 배합비는 연잎차 20 중량부, 엿기름 부산물 45 중량부, 양파농축 고형물 30 중량부, 연근 2 중량부 및 증제 처리된 연잎 2 중량부이다.
배합이 완료된 후에는 30℃ 온도 상태인 김치 유산균을 2.0% 중랑비로 접종하고, 30℃ 온도 상태인 청국장 균을 1.7%의 중랑비로 접종하여 호기적 방법으로 35℃ 조건에서 6시간 동안 교반 하고, 다음 6시간은 교반하지 않는 배치식(batch type) 자동 교반을 통해 2일간 발효과정을 진행한다.
그런 다음, 미생물 발효 사료로서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법제유황(edibility surfur)을 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미생물 발효 사료의 급식 기간에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이며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제올라이트(zeolite)를 2%의 중량비로 첨가한다.
그런 다음, 규격화된 포장지 내에 이물질 침투 및 내용물 유출이 없도록 진공 포장하여 출하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5)

  1. 연잎차 및 엿기름 부산물을 포함하는 중간소재를 준비하는 중간소재 준비단계;
    상기 중간소재 준비단계를 통해 처리된 중간소재를 고압멸균 및 공압성형 처리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가공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건조물에 유산균 및 효모균을 첨가하여 발효하는 발효단계;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법제유황 및 제오라이트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 종료된 혼합물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소재에는 양파농축 고형물, 연근 및 증제 처리된 연잎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소재 준비단계의 연잎차는,
    싹 난지 45일이 경과 된 연잎을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 단계에서 절단된 연잎을 증열기를 통해 증기로 쪄내는 증제단계;
    상기 증제단계에서 증제된 연잎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냉풍을 이용해 통기 처리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연잎 표면의 유막을 제거하기 위해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조유단계;
    상기 조유단계에서 조유된 연잎을 비벼내는 유념단계;
    상기 유념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을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중유단계;
    상기 중유단계에서 비벼진 연잎에 열풍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재건단계; 및
    상기 재건단계에서 재건된 연잎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연잎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소재 준비단계의 엿기름 부산물은,
    겉보리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겉보리를 식수가 충전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용해시켜 효소물을 생성시키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효소물을 여과탱크로 이송하여 식수를 투입하면서 제 1 부산물을 걸러내는 제 1 여과단계;
    상기 여과단계에서 제1부산물이 여과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지에밥을 투입한 후 숙성하며, 밥알이 수면 위로 떠오를 때 부유되는 부유밥알을 걷어낸 다음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를 조절하는 침전단계;
    상기 침전단계에서 당도가 조절된 효소물에 연잎차을 투입하여 침출시키는 침출단계;
    상기 침출단계에서 연잎차가 침출된 효소물을 당화조로 이송하여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단계에서 가열된 효소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여과하여 제2부산물을 걸러내는 제 2 여과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연식혜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 1 부산물 및 제 2 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김치 유산균이고, 상기 효모균은 청국장 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KR1020110134112A 2011-12-14 2011-12-14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KR20130067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112A KR20130067506A (ko) 2011-12-14 2011-12-14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112A KR20130067506A (ko) 2011-12-14 2011-12-14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506A true KR20130067506A (ko) 2013-06-25

Family

ID=4886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112A KR20130067506A (ko) 2011-12-14 2011-12-14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75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1669A (zh) * 2015-10-28 2015-12-30 福建健宝农业发展有限公司 食药用菌培养基用新鲜菌草加工工艺及其流水加工装置
KR102494551B1 (ko) * 2022-09-23 2023-01-31 최명우 저작력 향상을 위한 단두종 개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1669A (zh) * 2015-10-28 2015-12-30 福建健宝农业发展有限公司 食药用菌培养基用新鲜菌草加工工艺及其流水加工装置
KR102494551B1 (ko) * 2022-09-23 2023-01-31 최명우 저작력 향상을 위한 단두종 개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61873A (zh) 一种提高生产性能猪饲料增效剂
KR101407892B1 (ko) 생홍고추 와 고춧가루를 이용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CN104473187B (zh) 全巨菌草肽营养品及其制备方法
EP3459360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aste with a high content of nutrients from germinated grain
CN1837344A (zh) 咖啡甜米酒及其制备工艺
CN101756175B (zh) 木薯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4759349B2 (ja) 液体麹を用いた醤油の製造方法
KR20130067506A (ko) 연잎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사료의 제조방법
CN112410153B (zh) 高sod谷物蛋白液及其制备
KR20150095323A (ko) 천연 혈당조절음료의 제조방법
CN1927033A (zh) 一种处理豆类的方法及处理后的豆类粉末和豆类液体
KR20160078075A (ko) 곡물을 이용한 홍삼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287905A (zh) 发酵型豆渣饮料制备方法
KR101861151B1 (ko) 아미노산이 풍부한 계란콩두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계란콩두부
CN108029870A (zh) 奶水牛饲料的制备方法
KR100870368B1 (ko) 축산 사료용 곡물 발아 방법
CN104207259A (zh) 玉米汁的制作工艺
CN105851550A (zh) 一种提高抗应激能力羊饲料增效剂
CN104804965A (zh) 一种黑绿豆四粮液制作方法
CN109953326A (zh) 一种高营养糙米酵素发酵工艺
KR101458413B1 (ko) 발효멸치액젓 및 그의 속성 발효방법
CN107805588A (zh) 一种制造苹果醋的方法
CN107535793A (zh) 一种甜型多肽饮料
CN106479833A (zh) 一种青梅果酒的制作方法
JP4270306B2 (ja) 醸造酒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