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061A -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061A
KR20130064061A KR1020127028114A KR20127028114A KR20130064061A KR 20130064061 A KR20130064061 A KR 20130064061A KR 1020127028114 A KR1020127028114 A KR 1020127028114A KR 20127028114 A KR20127028114 A KR 20127028114A KR 20130064061 A KR20130064061 A KR 20130064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mpound
parts
diamide compoun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897B1 (ko
Inventor
유이찌 마쯔자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4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rings with more than six me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은 유해 생물에 대한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7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Figure pct00028

[식 중, X1, X2, X3, X4 및 X5는, 각각 명세서 중에 기재된 정의를 나타냄]

Description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PESTICIDAL COMPOSITION AND ITS USE}
본 발명은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해 생물을 방제하기 위해 많은 화합물이 개발되었으며,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국제 공개 제86/02641호 공보 국제 공개 제92/12970호 공보
본 발명은 유해 생물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유해 생물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력을 갖는 조성물을 발견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유해 생물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력을 갖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5]를 제공한다.
[1]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Figure pct00002
[식 중,
X1은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C1-C3 알킬기, (C3-C5 시클로알킬)C1-C3 알킬기, (C1-C3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C1-C3 알콕시)카르보닐(C1-C3 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내고,
X3은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4는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5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냄]
[2]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디아미드 화합물의 중량비가 카르복사미드 화합물/디아미드 화합물=0.01/1 내지 4/1인 [1]에 기재된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 생물 방제 방법.
Figure pct00003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Figure pct00004
[식 중,
X1은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C1-C3 알킬기, (C3-C5 시클로알킬)C1-C3 알킬기, (C1-C3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C1-C3 알콕시)카르보닐(C1-C3 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내고,
X3은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4는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5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냄]
[4]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디아미드 화합물의 중량비가 카르복사미드 화합물/디아미드 화합물=0.01/1 내지 4/1인 [3]에 기재된 유해 생물 방제 방법.
[5]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이 각각 대두 또는 대두를 재배하는 토양인 [3] 또는 [4]에 기재된 유해 생물 방제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유해 생물을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 함)은,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이하,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이라 함)과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이하, "본 디아미드 화합물"이라 함)을 함유한다.
Figure pct00005
[식 중, R1 및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Figure pct00006
[식 중,
X1은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C1-C3 알킬기, (C3-C5 시클로알킬)C1-C3 알킬기, (C1-C3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C1-C3 알콕시)카르보닐(C1-C3 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내고,
X3은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4는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5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은, 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86/02641호 공보 또는 국제 공개 제92/12970호 공보에 기재된 화합물로서, 이들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이하,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이라 함);
Figure pct00007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이하,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라 함);
Figure pct00008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이하,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이라 함);
Figure pct00009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이하,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라 함);
Figure pct00010
하기 화학식 (V)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이하,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라 함).
Figure pct00011
본 발명의 화학식 (B)의 치환기에 대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X1, X2, X3, X4 및 X5로 표시되는 C1-C3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고,
X2로 표시되는 (C3-C5 시클로알킬)C1-C3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1-시클로프로필에틸기를 들 수 있고,
X2로 표시되는 (C1-C3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 및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를 들 수 있고,
X2로 표시되는 (C1-C3 알콕시)카르보닐(C1-C3 알킬)아미노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기, 에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기, 메톡시카르보닐(에틸)아미노기 및 에톡시카르보닐(에틸)아미노기를 들 수 있고,
X3, X4 및 X5로 표시되는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다.
본 디아미드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8242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0335호 공보, 일본 특허 제3729825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4/067528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4150379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화합물이고, 이들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디아미드 화합물로서는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2
식 중, X1, X2, X3, X4 및 X5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조합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또한, 표 중의 "cycPr" 이란 "시클로프로필"을 나타낸다.
본 디아미드 화합물은 입체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이들 각각의 이성체 및 이들 이성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디아미드 화합물은 농약 화학상 허용 가능한 염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염기(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 암모니아 등), 유기 염기(예를 들면, 피리딘, 콜리딘,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 무기산(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인산, 황산, 과염소산 등), 유기산(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옥살산, 숙신산, 벤조산, 피크르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본 디아미드 화합물로서는, 그들 각각의 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의 중량비는, 통상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본 디아미드 화합물=0.01/1 내지 500/1, 바람직하게는 0.01/1 내지 4/1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의 혼합물 그 자체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본 디아미드 화합물 및 불활성 담체를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및/또는 그 밖의 제제용 보조제를 첨가하고, 오일제, 유제, 액상 수화제, 수화제, 과립 수화제, 분제, 입제 등으로 혼합물을 제제화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제제는, 그대로 또는 그 밖의 불활성 성분을 첨가하여 유해 생물 방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및 본 디아미드 화합물이 합계로, 통상 0.1 중량%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80 중량% 함유된다.
제제화시에 이용되는 고체 담체로는, 예를 들면 카올린 클레이, 아타풀자이트 클레이,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산성 백토, 파이로필라이트, 탈크, 규조토, 방해석 등의 광물; 옥수수 속대 분말, 호두 껍데기 분말 등의 천연 유기물; 요소 등의 합성 유기물; 탄산칼륨, 황산암모늄 등의 염류; 합성 함수 산화규소 등의 합성 무기물 등을 포함하는 미분말 또는 입상물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담체로;는, 예를 들면 크실렌, 알킬벤젠, 메틸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2-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 대두유, 면실유 등의 식물유; 석유계 지방족 탄화수소류; 에스테르류; 디메틸술폭시드; 아세토니트릴 및 물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술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리그닌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중축합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제제용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고분자; 아라비아 검, 알긴산 및 그의 염,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크산탄 검 등의 다당류;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알루미나졸 등의 무기물; 방부제; 착색제; 및 PAP(산성 인산이소프로필), BHT 등의 안정화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을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제화한 후 제제로 하거나 이들의 희석액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에 대하여 섭식, 흡즙 등의 가해를 행하는 유해 생물(예를 들면, 유해 곤충 및 식물 병해)에 의한 가해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방제 효력을 갖는 유해 곤충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반시목 해충: 예멸구(Laodelphax striatellus), 갈색멸구(Nilaparvata lugens), 흰둥멸구(Sogatella furcifera) 등의 멸구류(Delphacidae);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두점끝동매미충(Nephotettix virescens) 등의 매미충류(Deltocephalidae);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 감자수염진딧물(Macrosiphum euphorbiae),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ni), 기장테두리진딧물(Rhopalosiphum padi), 귤소리진딧물(Toxoptera citricidus) 등의 진딧물류(Aphididae); 풀색노린재(Nezara antennata),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etus), 호리허리노린재(Leptocorisa chinensis), 가시점둥글노린재(Eysarcoris parvus),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mista), 장님노린재(Lygus lineolaris) 등의 방귀벌레류(Pentatomidae);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은빛잎가루이(Bemisia argentifolii) 등의 가루이류(Aleyrodidae); 귤붉은깍지벌레(Aonidiella aurantii), 산호제깍지벌레(Comstockaspis perniciosa), 화살깍지벌레(Unaspis citri), 루비깍지벌레(Ceroplastes rubens), 이세리아깍지벌레(Icerya purchasi) 등의 깍지벌레류(Coccidae); 방패벌레류; 나무이류; 등.
인시목 해충: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 삼화명나방(Tryporyza incertulas),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 목화명나방(Notarcha derogata),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배추순나방(Hellula undalis), 잔디포충나방(Pediasia teterrellus) 등의 명나방류(Pyralidae);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멸강나방(Pseudaletia separata),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무늬밤나방(Plusia nigrisigna), 트리코플루시아속(Thoricoplusia spp.), 헬리오티스속(Heliothis spp.), 헬리코베르파속(Helicoverpa spp.) 등의 밤나방류(Noctuidae); 배추흰나비(Pieris rapae) 등의 흰나비류(Pieridae); 아독소피에스속(Adoxophyes spp.),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콩나방(Leguminivora glycinivorella), 팥나방(Matsumuraeses azukivora),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orana fasciata),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 차잎말이나방(Homona magnanima), 검모무늬잎말이나방(Archips fuscocupreanus), 코드린나방(Cydia pomonella) 등의 잎말이나방류(Tortricidae); 동백가는나방(Caloptilia theivora), 사과굴나방(Phyllonorycter ringoneella)의 가는나방류(Gracillariidae);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niponensis) 등의 심식나방류(Carposinidae); 리오네티아속(Lyonetia spp.) 등의 굴나방류(Lyonetiidae); 매미나방속(Lymantria spp.), 무늬독나방속(Euproctis spp.) 등의 독나방류(Lymantriidae);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등의 좀나방류(Yponomeutidae); 목화다래나방(Pectinophora gossypiella), 감자뿔나방(Phthorimaea operculella) 등의 뿔나방류(Gelechiidae);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등의 불나방류(Arctiidae); 옷좀나방(Tinea translucens), 해충 옷좀나방(Tineola bisselliella) 등의 곡식좀나방류(Tineidae) 등,
총채벌레목 해충: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오이총채벌레(Thrips parmi),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담배총채벌레(Frankliniella fusca) 등의 총채벌레류(Thripidae) 등;
쌍시목 해충: 집파리(Musca domestica),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쇠등에(Tabanus trigonus), 고자리파리(Hylemya antiqua), 씨고자리파리(Hylemya platura),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벼잎굴파리(Agromyza oryzae), 벼잎물가파리(Hydrellia griseola), 벼줄기굴파리(Chlorops oryzae), 외파리(Dacus cucurbitae), 지중해광대파리(Ceratitis capitata),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 등;
딱정벌레목 해충: 28-점박이무당벌레(Epilachna vigintioctopunctata), 오이잎벌레(Aulacophora femoralis),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 벼잎벌레(Oulema oryzae), 벼뿌리바구미(Echinocnemus squameus), 벼물바구미(Lissorhoptrus oryzophilus), 목화바구미(Anthonomus grandis),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잔디왕바구미(Sphenophorus venatus), 왜콩풍뎅이(Popillia japonica), 구리풍뎅이(Anomala cuprea), 옥수수잎벌레속(Diabrotica spp.), 콜로라도감자잎벌레(Leptinotarsa decemlineata), 방아벌레속(Agriotes spp.),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 애알락수시렁이(Anthrenus verbasci),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 넓적나무좀(Lyctus brunneus), 알락하늘소(Anoplophora malasiaca), 소나무좀(Tomicus piniperda) 등;
직시목 해충: 풀무치(Locusta migratoria), 땅강아지(Gryllotalpa africana), 벼메뚜기(Oxya yezoensis), 옥시아 자포니카(Oxya japonica) 등;
막시목 해충: 무잎벌(Athalia rosae), 가위개미(Acromyrmex spp.), 불개미(Solenopsis spp.) 등;
바퀴목 해충: 독일바퀴(Blattella germanica), 먹바퀴(Periplaneta fuliginosa), 이질바퀴(Periplaneta americana), 집바퀴(Periplaneta brunnea), 잔날개바퀴(Blatta orientalis) 등;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방제 효력을 갖는 식물 병해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 것을 들 수 있다.
벼의 병해: 도열병(Magnaporthe grisea), 깨잎마름병(Cochliobolus miyabeanus),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 벼키다리병(Gibberella fujikuroi);
밀의 병해: 백분병(Erysiphe graminis), 붉은곰팡이병(Fusarium graminearum, F.avenacerum, F.culmorum, Microdochium nivale), 녹병(Puccinia striiformis, P.graminis, P.recondita), 홍색설부병(Micronectriella nivale), 설부소립균핵병(Typhula sp.), 겉깜부기병(Ustilago tritici), 비린 깜부기병(Tilletia caries), 눈무늬병(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잎마름병(Mycosphaerella graminicola), 껍질마름병(Stagonospora nodorum), 황반병(Pyrenophora tritici-repentis);
보리의 병해: 백분병(Erysiphe graminis), 붉은곰팡이병(Fusarium graminearum, F.avenacerum, F.culmorum, Microdochium nivale), 녹병(Puccinia striiformis, P.graminis, P.hordei), 겉깜부기병(Ustilago nuda), 운형병(Rhynchosporium secalis), 그물무늬병(Pyrenophora teres), 반점병(Cochliobolus sativus), 얼룩잎병(Pyrenophora graminea),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
옥수수의 병해: 깜부기병(Ustilago maydis), 깨잎마름병(Cochliobolus heterostrophus), 띠모양잎반점병(Gloeocercospora sorghi), 남방녹병(Puccinia polysora), 회색잎반점병(Cercospora zeae-maydis),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
감귤류의 병해: 흑점병(Diaporthe citri), 더댕이병(Elsinoe fawcetti), 과실부패병(Penicillium digitatum, P.italicum), 갈색부패병(Phytophthora parasitica, Phytophthora citrophthora);
사과의 병해: 꽃부패병(Monilinia mali), 부란병(Valsa ceratosperma), 백분병(Podosphaera leucotricha), 점무늬낙엽병(Alternaria alternata apple pathotype), 흑성병(Venturia inaequalis),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 역병(Phytophtora cactorum);
배의 병해: 흑성병(Venturia nashicola, V.pirina), 흑반병(Alternaria alternata Japanese pear pathotype), 적성병(Gymnosporangium haraeanum), 역병(Phytophtora cactorum);
복숭아의 병해: 회성병(Monilinia fructicola), 흑성병(Cladosporium carpophilum), 가지마름병(Phomopsis sp.).
포도의 병해: 흑두병(Elsinoe ampelina), 만부병(Glomerella cingulata), 백분병(Uncinula necator), 녹병(Phakopsora ampelopsidis), 블랙로트병(Guignardia bidwellii), 노균병(Plasmopara viticola);
감의 병해: 탄저병(Gloeosporium kaki), 낙엽병(Cercospora kaki, Mycosphaerella nawae);
참외류의 병해: 탄저병(Colletotrichum lagenarium), 백분병(Sphaerotheca fuliginea), 덩굴마름병(Mycosphaerella melonis), 덩굴쪼김병(Fusarium oxysporum),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역병(Phytophthora sp.), 잎집무늬마름병(Pythium sp.);
토마토의 병해: 겹둥근무늬병(Alternaria solani), 잎곰팡이병(Cladosporium fulvum),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가지의 병해: 갈색무늬병(Phomopsis vexans), 백분병(Erysiphe cichoracearum);
유채과 야채의 병해: 흑반병(Alternaria japonica), 백반병(Cercosporella brassicae), 뿌리혹병(Plasmodiophora brassicae), 노균병(Peronospora parasitica);
파의 병해: 녹병(Puccinia allii), 노균병(Peronospora destructor);
대두의 병해: 자반병(Cercospora kikuchii), 흑두병(Elsinoe glycines), 흑점병(Diaporthe phaseolorum var. sojae), 갈색무늬병(Septoria glycines), 반점병(Cercospora sojina), 녹병(Phakopsora pachyrhizi), 줄기역병(Phytophthora sojae),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 갈색겹둥근무늬병(Corynespora casiicola),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강낭콩의 병해: 탄저병(Colletotrichum lindemthianum);
땅콩의 병해: 검은무늬병(Cercospora personata), 갈반병(Cercospora arachidicola), 백비단병(Sclerotium rolfsii);
완두의 병해: 백분병(Erysiphe pisi);
감자의 병해: 겹둥근무늬병(Alternaria solani),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주홍색부패병(Phytophthora erythroseptica), 분말형더댕이병(Spongospora subterranean, f. sp. Subterranean);
딸기의 병해: 백분병(Sphaerotheca humuli),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차의 병해: 망병병(Exobasidium reticulatum), 백성병(Elsinoe leucospila), 갈색무늬병(Pestalotiopsis sp.), 탄저병(Colletotrichum theae-sinensis);
담배의 병해: 적성병(Alternaria longipes), 백분병(Erysiphe cichoracearum), 탄저병(Colletotrichum tabacum), 노균병(Peronospora tabacina),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유채의 병해: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
목화의 병해;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
사탕무의 병해: 갈반병(Cercospora beticola), 엽부병(Thanatephorus cucumeris), 근부병(Thanatephorus cucumeris), 흑근병(Aphanomyces cochlioides);
장미의 병해: 흑성병(Diplocarpon rosae), 백분병(Sphaerotheca pannosa), 노균병(Peronospora sparsa);
국화 및 국화과 야채의 병해: 노균병(Bremia lactucae), 갈반병(Septoria chrysanthemi-indici), 백녹병(Puccinia horiana);
다양한 작물의 병해: 피티움속균에 의해서 야기되는 병해(Pythium aphanidermatum, Pythium debarianum, Pythium graminicola, Pythium irregulare, Pythium ultimum), 회색곰팡이병(Botrytis cinerea),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무우의 병해: 흑반병(Alternaria brassicicola);
잔디의 병해: 동전마름병(Sclerotinia homeocarpa), 갈색잎마름병 및 갈색퍼짐병(Rhizoctonia solani);
바나나의 병해: 시가토카병(Mycosphaerella fijiensis, Mycosphaerella musicola);
해바라기의 병해: 노균병(Plasmopara halstedii);
아스페르길루스속(Aspergillus spp.), 페니실리움속(Penicillium spp.), 푸사리움속(Fusarium spp.), 지베렐라속(Gibberella spp.), 트리코데르마속(Tricoderma spp.), 티엘라비옵시스속(Thielaviopsis spp.), 리조푸스속(Rhizopus spp.), 뮤코르속(Mucor spp.), 코르티시움속(Corticium spp.), 포마속(Phoma spp.), 리족토니아속(Rhizoctonia spp.) 및 디플로디아속(Diplodia spp.)균 등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작물의 종자 병해 또는 생육 초기의 병해;
폴리믹사속(Polymixa spp.) 또는 올피디움속(Olpidium spp.) 등에 의해서 매개되는 각종 작물의 바이러스병.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 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 것을 들 수 있다.
농작물; 옥수수, 벼, 밀, 보리, 호밀, 귀리, 수수, 목화, 대두, 땅콩, 메밀, 사탕무, 유채, 해바라기, 사탕수수, 담배 등;
야채; 가지과 야채(가지, 토마토, 피망, 고추, 감자 등), 참외과 야채(오이, 호박, 쥬키니, 수박, 멜론, 스쿼시 등); 평지과 야채(무우, 순무, 서양고추냉이, 콜라비, 배추, 양배추, 갓,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등), 국화과 야채(우엉, 쑥갓, 아티초크, 레터스 등), 백합과 야채(파, 양파, 마늘, 아스파라거스 등), 산형과 야채(당근, 파슬리, 셀러리, 파스닙 등), 명아주과 야채(시금치, 근대 등), 차조기과 야채(차조기, 민트, 바질 등), 딸기, 고구마, 참마, 토란 등;
화훼;
관엽 식물;
잔디;
과수; 인과류(사과, 배, 일본배, 모과, 마르멜로 등), 핵과류(복숭아, 자두, 승도복숭아, 매화, 앵두, 살구, 프룬 등), 감귤류(온주 밀감, 오렌지, 레몬, 라임, 자몽 등), 견과류(밤, 호두, 헤이즐넛, 아몬드, 피스타치오, 캐슈넛, 마카다미아넛 등), 액과류(블루베리, 크랜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등), 포도, 감, 올리브, 비파, 바나나, 커피, 대추, 코코넛 등;
과수 이외의 나무; 차, 오디, 화목, 가로수(물푸레나무, 박달나무, 층층나무, 유칼립투스, 은행나무, 라일락, 단풍나무, 떡갈나무, 포플러, 박태기나무, 중국풍나무, 버짐나무, 느티나무, 일본측백나무, 전나무, 솔송나무, 노간주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주목) 등.
상기한 식물이란,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내성이 부여된 식물일 수도 있다.
상기 식물 중,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대두에 발생하는 식물 병해에 대하여 높은 방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이들의 작물에 발생하는 식물 병해 중,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히 높은 효력이 기대되는 대두의 병해로서는,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 자반병(Cercospora kikuchii), 갈색무늬병(Septoria glycines), 갈색겹둥근무늬병(Corynespora casiicola), 녹병(Phakopsora pachyrhizi),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반점병(Cercospora sojin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본 디아미드 화합물 (1)=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본 디아미드 화합물 (2)=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본 디아미드 화합물 (3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본 디아미드 화합물 (4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본 디아미드 화합물 (46)=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본 디아미드 화합물 (47)=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본 디아미드 화합물 (1)=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본 디아미드 화합물 (2)=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본 디아미드 화합물 (3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본 디아미드 화합물 (4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본 디아미드 화합물 (46)=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본 디아미드 화합물 (47)=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본 디아미드 화합물 (1)=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본 디아미드 화합물 (2)=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본 디아미드 화합물 (3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본 디아미드 화합물 (4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본 디아미드 화합물 (46)=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II)/본 디아미드 화합물 (47)=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본 디아미드 화합물 (1)=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본 디아미드 화합물 (2)=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본 디아미드 화합물 (3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본 디아미드 화합물 (4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본 디아미드 화합물 (46)=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V)/본 디아미드 화합물 (47)=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본 디아미드 화합물 (1)=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본 디아미드 화합물 (2)=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본 디아미드 화합물 (3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본 디아미드 화합물 (45)=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본 디아미드 화합물 (46)=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V)/본 디아미드 화합물 (47)=0.0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본 발명의 유해 생물 방제 방법(이하, "본 발명의 방제 방법"이라 함)은,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함으로써 행해진다.
처리하는 식물의 부분은, 예를 들면 식물의 경엽(莖葉), 식물의 종자 또는 식물의 구근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구근이란, 인경(鱗莖), 구경, 근경, 괴경, 괴근 및 근상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제 방법에 있어서,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및 본 디아미드 화합물은 동시기에 개별적으로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될 수도 있지만, 통상은 처리시 간편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로서 처리된다.
본 발명의 방제 방법에 있어서,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및 본 디아미드 화합물의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경엽 처리, 토양 처리, 근부 처리 또는 종자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엽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경엽 산포 또는 수간(樹幹) 산포에 의해 재배되어 있는 식물의 표면에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근부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액에 식물의 전체 또는 근부를 침지하는 방법, 및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과 고체 담체를 함유하는 고체 제제를 식물의 근부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토양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토양에 산포하는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토양과 혼화하는 방법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토양으로 약액 관주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종자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 병해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자 또는 구근으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처리를 들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현탁액을 종자 표면 또는 구근 표면에 분무하는 분무 처리, 본 발명의 조성물의 수화제, 유제 또는 액상 수화제에 소량의 물을 첨가하거나 또는 그대로 종자 또는 구근에 도포하는 도말 처리,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액에 일정 시간 종자를 침지하는 침지 처리, 필름 코팅 처리 또는 펠릿 코팅 처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 방법에 있어서의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의 처리량은, 처리하는 식물의 종류, 방제 대상인 식물 병해의 종류나 발생 빈도, 제제 형태, 처리 시기, 처리 방법, 처리 장소, 기상 조건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물의 뿌리 및/또는 잎에 처리하는 경우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경우에는,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의 합계량으로 1000 m2당 통상 1 내지 500 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g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종자에 처리하는 경우,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본 디아미드 화합물의 합계량으로 종자 1 kg당 통상 0.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g이다.
유제, 수화제, 액상 수화제 등은 통상 소량의 물로 제제를 희석하여 산포함으로써 처리한다. 이 경우,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및 본 디아미드 화합물의 농도는, 희석된 제제의 합계로 통상 0.0005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 중량%이다.
분제, 입제 등은 통상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처리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제제예 및 시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제예 1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2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8부, 화이트카본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의 혼합물(중량 비율 1:1) 35부 및 물 5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10부,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1.5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2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28.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 후, 이 속에 크산탄 검 0.05부 및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45부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 10부를 더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3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4부, 합성 함수 산화규소 1부, 리그닌술폰산칼슘 2부, 벤토나이트 30부 및 카올린클레이 62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련한 후, 조립 건조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4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2.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37.5부, 리그닌술폰산칼슘 3부, 라우릴황산나트륨 2부 및 합성 함수 산화규소 45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5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3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1)을 2부, 카올린클레이 85부 및 탈크 10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6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2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8부, 화이트카본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의 혼합물(중량 비율 1:1) 35부 및 물 5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7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10부,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1.5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2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28.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 후, 이 속에 크산탄 검 0.05부 및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45부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 10부를 더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8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4부, 합성 함수 산화규소 1부, 리그닌술폰산칼슘 2부, 벤토나이트 30부 및 카올린클레이 62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련한 후, 조립 건조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9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2.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37.5부, 리그닌술폰산칼슘 3부, 라우릴황산나트륨 2부 및 합성 함수 산화규소 45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0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3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2)를 2부, 카올린클레이 85부 및 탈크 10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1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2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8부, 화이트카본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의 혼합물(중량 비율 1:1) 35부 및 물 5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2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10부,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1.5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2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28.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 후, 이 속에 크산탄 검 0.05부 및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45부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 10부를 더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3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4부, 합성 함수 산화규소 1부, 리그닌술폰산칼슘 2부, 벤토나이트 30부 및 카올린클레이 62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련한 후, 조립 건조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4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2.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37.5부, 리그닌술폰산칼슘 3부, 라우릴황산나트륨 2부 및 합성 함수 산화규소 45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5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3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35)를 2부, 카올린클레이 85부 및 탈크 10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6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2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8부, 화이트카본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의 혼합물(중량 비율 1:1) 35부 및 물 5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7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10부,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1.5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2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28.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 후, 이 속에 크산탄 검 0.05부, 및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45부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 10부를 더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8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4부, 합성 함수 산화규소 1부, 리그닌술폰산칼슘 2부, 벤토나이트 30부 및 카올린클레이 62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련한 후, 조립 건조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19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2.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37.5부, 리그닌술폰산칼슘 3부, 라우릴황산나트륨 2부 및 합성 함수 산화규소 45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0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3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5)를 2부, 카올린클레이 85부 및 탈크 10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1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2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8부, 화이트카본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의 혼합물(중량 비율 1:1) 35부 및 물 5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2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10부,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1.5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2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28.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 후, 이 속에 크산탄 검 0.05부, 및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45부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 10부를 더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3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4부, 합성 함수 산화규소 1부, 리그닌술폰산칼슘 2부, 벤토나이트 30부 및 카올린클레이 62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련한 후, 조립 건조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4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2.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37.5부, 리그닌술폰산칼슘 3부, 라우릴황산나트륨 2부 및 합성 함수 산화규소 45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5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3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6)을 2부, 카올린클레이 85부 및 탈크 10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6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2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8부, 화이트카본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의 혼합물(중량 비율 1:1) 35부 및 물 5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7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10부,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1.5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2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28.5부를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 후, 이 속에 크산탄 검 0.05부, 및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45부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 10부를 더 첨가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8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4부, 합성 함수 산화규소 1부, 리그닌술폰산칼슘 2부, 벤토나이트 30부 및 카올린클레이 62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련한 후, 조립 건조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29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12.5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37.5부, 리그닌술폰산칼슘 3부, 라우릴황산나트륨 2부 및 합성 함수 산화규소 45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30
본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I) 내지 (V) 중 어느 하나를 3부, 본 디아미드 화합물 (47)을 2부, 카올린클레이 85부 및 탈크 10부를 충분히 분쇄 혼합함으로써 각 제제를 얻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사용하는 시험예를 나타낸다.
시험예
회전식 종자 처리기(시드 드레서, 한스-울리히 헤게 게엠베하(Hans-Ulrich Hege GmbH) 제조)로 대두(품종; 낫또콩 소립(Natto shoryu)) 종자 10 g에 대하여, 소정 중량의 공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시클로헥사논 용액 100 ㎕를 도말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로부터 1일 후, 리족토니아속균(Rhizoctonia solani)으로 오염된 토양을 플라스틱 포트에 담고, 토양에 공시 화합물로 처리한 종자를 파종하여, 유리 온실에서 20일간 재배하였다(이를 "처리구"라 함).
그 후, 각 종자로부터 출아된 모종에 있어서의 리족토니아속균에 의한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의 발병 유무를 관찰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발병률을 구하였다.
한편, 상기한 도말 처리를 행하지 않은 대두 종자를 이용하여, 처리구와 마찬가지로 재배하였다(이를 "무처리구"라 함). 또한, 처리구와 마찬가지로 무처리구의 발병률을 구하였다.
처리구 및 무처리구 각각의 발병률로부터,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처리구의 효력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내지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은 유해 생물의 방제에 유용한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Figure pct00023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Figure pct00024

    [식 중,
    X1은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C1-C3 알킬기, (C3-C5 시클로알킬)C1-C3 알킬기, (C1-C3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C1-C3 알콕시)카르보닐(C1-C3 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내고,
    X3은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4는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5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디아미드 화합물의 중량비가 카르복사미드 화합물/디아미드 화합물=0.01/1 내지 4/1인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디아미드 화합물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 생물 방제 방법.
    Figure pct00025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냄]
    Figure pct00026

    [식 중,
    X1은 수소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C1-C3 알킬기, (C3-C5 시클로알킬)C1-C3 알킬기, (C1-C3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또는 (C1-C3 알콕시)카르보닐(C1-C3 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내고,
    X3은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4는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X5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냄]
  4. 제3항에 있어서, 카르복사미드 화합물과 디아미드 화합물의 중량비가 카르복사미드 화합물/디아미드 화합물=0.01/1 내지 4/1인 유해 생물 방제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이 각각 대두 또는 대두를 재배하는 토양인 유해 생물 방제 방법.
KR1020127028114A 2010-04-27 2011-04-25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811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1847 2010-04-27
JPJP-P-2010-101847 2010-04-27
PCT/JP2011/002411 WO2011135828A1 (en) 2010-04-27 2011-04-25 Pesticidal composition and its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061A true KR20130064061A (ko) 2013-06-17
KR101811897B1 KR101811897B1 (ko) 2017-12-22

Family

ID=4486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114A KR101811897B1 (ko) 2010-04-27 2011-04-25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9232797B2 (ko)
EP (1) EP2563131B1 (ko)
JP (1) JP5824851B2 (ko)
KR (1) KR101811897B1 (ko)
CN (1) CN102858167B (ko)
AR (1) AR083148A1 (ko)
AU (1) AU2011246793B2 (ko)
BR (1) BR112012027375B1 (ko)
CA (1) CA2797216C (ko)
CL (1) CL2012002991A1 (ko)
ES (1) ES2605777T3 (ko)
HU (1) HUE032446T2 (ko)
MX (1) MX337310B (ko)
MY (1) MY159776A (ko)
NZ (1) NZ603839A (ko)
PL (1) PL2563131T3 (ko)
RU (1) RU2564067C2 (ko)
TW (1) TWI520683B (ko)
UA (1) UA106532C2 (ko)
WO (1) WO2011135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1045A1 (it) 2012-06-15 2013-12-16 Isagro Ricerca Srl Composizioni sinergiche per la protezione di colture agrarie e relativo uso
CN104981162B (zh) 2012-11-30 2017-11-28 拜耳作物科学股份公司 三元杀真菌混合物
BR112015012519A2 (pt) 2012-11-30 2017-07-11 Bayer Cropscience Ag misturas ternárias fungicidas e pesticidas
EP2925137A1 (en) 2012-11-30 2015-10-07 Bayer CropScience AG Binary fungicidal or pesticidal mixture
CA3082683A1 (en) 2012-11-30 2014-06-05 Bayer Cropscience Ag Binary fungicidal mixtures
CN104994736B (zh) * 2012-11-30 2018-02-06 拜耳作物科学股份公司 二元农药和杀真菌混合物
KR102469841B1 (ko) 2014-07-14 2022-11-22 바스프 에스이 살충 조성물
JP6011597B2 (ja) * 2014-11-11 2016-10-19 住友化学株式会社 有害節足動物防除組成物及び有害節足動物の防除方法
EP3245872A1 (en) 2016-05-20 2017-11-22 BASF Agro B.V. Pesticidal compositions
CN106417293A (zh) * 2016-09-27 2017-02-22 四川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防治介壳虫的方法
AR114466A1 (es) 2018-04-04 2020-09-09 Fmc Corp Formulaciones de concentrados emulsionables de fungicidas de sdhi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7176A1 (fr) 1981-12-01 1983-06-03 Rhone Poulenc Agrochimie Association insecticide et acaricide a base de pyrethroide
KR920003893B1 (ko) 1984-10-29 1992-05-18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피라졸 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291519B1 (en) 1986-10-15 1995-08-02 BAXTER INTERNATIONAL INC. (a Delaware corporation) Blood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5093347A (en) 1991-01-28 1992-03-03 Monsanto Company 3-difluoromethylpyrazolecarboxamide fungicides, compositions and use
ES2152396T3 (es) 1994-04-06 2001-02-01 Shionogi & Co Derivado del acido fenilacetico con sustitucion en gamma, su procedimiento de obtencion y bactericida agricola que lo contiene.
GB9817548D0 (en) 1998-08-12 1998-10-07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GB0101996D0 (en) 2001-01-25 2001-03-14 Syngenta Participations Ag Organtic compounds
AR036872A1 (es) 2001-08-13 2004-10-13 Du Pont Compuesto de antranilamida, composicion que lo comprende y metodo para controlar una plaga de invertebrados
TWI283164B (en) 2001-09-21 2007-07-01 Du Pont Anthranilamide arthropodicide treatment
JP4317752B2 (ja) 2001-10-15 2009-08-19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無脊椎害虫を防除するためのイミノベンゾオキサジン、イミノベンズチアジンおよびイミノキナゾリン
DE10203688A1 (de) 2002-01-31 2003-08-07 Bayer Cropscience Ag Synergistische insektizide Mischungen
RU2343151C3 (ru) * 2003-01-28 2019-10-01 ЭфЭмСи Корпорейшн Цианоантраниламидные инсектициды
DE10352067A1 (de) 2003-10-23 2005-05-25 Bayer Cropscience Ag Isopentylcarboxanilide
EP1680407A1 (de) 2003-10-23 2006-07-19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Isopentylcarboxanilide zur bekämpfung von unerwünschten mikroorganismen
CN100519551C (zh) * 2004-02-18 2009-07-29 石原产业株式会社 邻氨基苯甲酰胺类化合物、其制造方法及含有该类化合物的有害生物防除剂
JP4150379B2 (ja) 2004-02-18 2008-09-17 石原産業株式会社 アントラニルアミド系化合物、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ES2560879T3 (es) 2004-02-18 2016-02-23 Ishihara Sangyo Kaisha, Ltd. Antranilamidas, proceso para la producción de las mismas y controladores de plagas que contienen las mismas
MY140912A (en) 2004-07-26 2010-01-29 Du Pont Mixtures of anthranilamide invertebrate pest control agents
GB0418047D0 (en) 2004-08-12 2004-09-15 Syngenta Participations Ag Fungicidal compositions
GB0422401D0 (en) 2004-10-08 2004-11-10 Syngenta Participations Ag Fungicidal compositions
WO2006080311A1 (ja) * 2005-01-25 2006-08-03 Ishihara Sangyo Kaisha, Ltd. アントラニルアミド系化合物、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JP2006213665A (ja) 2005-02-04 2006-08-17 Mitsui Chemicals Inc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その防除方法
JP2009502747A (ja) 2005-07-14 2009-01-29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1−メチル−ピラゾール−4−イルカルボキシアニリド類に基づく殺菌性混合物
DE102005035300A1 (de) 2005-07-28 2007-02-01 Bayer Cropscience Ag Synergistische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JP5186751B2 (ja) 2005-10-14 2013-04-24 住友化学株式会社 ヒドラジド化合物およびその有害生物防除用途
EP2251336A1 (en) 2005-10-14 2010-11-1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Hydrazide compounds as intermediates of pesticides
TW201309635A (zh) 2006-02-10 2013-03-01 Dow Agrosciences Llc 殺蟲性之n-取代(6-鹵烷基吡啶-3-基)烷基磺醯亞胺(二)
TWI435863B (zh) 2006-03-20 2014-05-01 Nihon Nohyaku Co Ltd N-2-(雜)芳基乙基甲醯胺衍生物及含該衍生物之蟲害防治劑
AR062291A1 (es) 2006-08-09 2008-10-29 Du Pont Metodo agronomico
EA026766B1 (ru) * 2006-09-18 2017-05-31 Басф Се Антраниламидсульфамоильное соединение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сельском хозяйстве
JP2008100946A (ja) 2006-10-19 2008-05-01 Bayer Cropscience Ag 殺菌殺虫組成物
US20100099559A1 (en) 2007-03-20 2010-04-22 Basf Se Method for protecting soybeans from being infected by fungi
CL2008000979A1 (es) 2007-04-11 2008-10-17 Sumitomo Chemical Co Proceso para producir un compuesto derivado de 2-piridin-2-il-2h-pirazol-3-fenilamida; compuestos intermediarios; el compuesto en si; composicion plaguicida que contiene a dicho compuesto; uso de dicho compuesto como plaguicida; y metodo para control
CA2842787C (en) 2007-04-25 2016-03-22 Syngenta Participations Ag Fung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a 3-substituted 1-methyl-1h-pyrazole-4-carboxylic acid (9-dihalomethylidene-benzonorbornene-5-yl) amide and a second fungicide
US20110105321A1 (en) 2007-11-16 2011-05-05 Delphine Breuninger Pesticidal Mixtures Comprising Cyanosulfoximine Compounds
KR20100111742A (ko) 2008-02-05 2010-10-15 바스프 에스이 식물 건강 조성물
JP5365047B2 (ja) * 2008-03-28 2013-12-11 住友化学株式会社 植物病害防除組成物および植物病害防除方法
JP2010013389A (ja) 2008-07-03 2010-01-21 Nissan Chem Ind Ltd 水中溶出性が促進される農薬組成物
EA018990B1 (ru) 2008-07-04 2013-12-30 Басф Се Фунгицидные смеси, содержащие замещенные 1-метилпиразол-4-илкарбоксанилиды
JP5939557B2 (ja) 2008-08-19 2016-06-22 石原産業株式会社 農薬有効成分の分解を抑制する方法
AR073109A1 (es) 2008-08-26 2010-10-13 Sumitomo Chemical Co Derivados de n-benzotiazol acetamida utiles para controlar fitoenfermedades y composiciones que los contienen.
JP2010083869A (ja) 2008-09-08 2010-04-15 Nissan Chem Ind Ltd 水田水口施用農薬包装袋
JP2010083883A (ja) 2008-09-08 2010-04-15 Nissan Chem Ind Ltd イソキサゾリン置換ベンズアミド化合物及び有害生物防除剤
EA201100593A1 (ru) 2008-10-08 2011-12-30 Зингента Партисипейшнс Аг Пестицидные комбинации, содержащие сульфоксафлор
EP2039771A2 (en) * 2009-01-06 2009-03-25 Bayer CropScience AG Method for improved utilization of the production potential of transgenic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58167B (zh) 2016-03-16
AU2011246793A1 (en) 2012-10-18
TW201206350A (en) 2012-02-16
AU2011246793B2 (en) 2015-09-17
MY159776A (en) 2017-01-31
HUE032446T2 (en) 2017-09-28
CA2797216C (en) 2018-07-24
JP5824851B2 (ja) 2015-12-02
BR112012027375B1 (pt) 2018-03-27
EP2563131A4 (en) 2013-09-25
JP2011246456A (ja) 2011-12-08
RU2012150502A (ru) 2014-06-10
US9232797B2 (en) 2016-01-12
TWI520683B (zh) 2016-02-11
CL2012002991A1 (es) 2013-04-05
WO2011135828A1 (en) 2011-11-03
CA2797216A1 (en) 2011-11-03
KR101811897B1 (ko) 2017-12-22
MX337310B (es) 2016-02-25
EP2563131B1 (en) 2016-09-14
CN102858167A (zh) 2013-01-02
RU2564067C2 (ru) 2015-09-27
PL2563131T3 (pl) 2017-09-29
AR083148A1 (es) 2013-02-06
UA106532C2 (uk) 2014-09-10
EP2563131A1 (en) 2013-03-06
MX2012012297A (es) 2012-11-23
ES2605777T3 (es) 2017-03-16
BR112012027375A2 (pt) 2015-09-15
NZ603839A (en) 2014-12-24
US20130109723A1 (en)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362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811897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840487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812361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811898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RU2507745C2 (ru) Пест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производное альфа-алкоксифенилуксусной кислоты и неоникотиноид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травливания семян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ми вредителями (варианты)
KR101811896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849792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651310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유해 생물 방제 방법
RU2549761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ы для борьбы с вредителя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