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550A -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550A
KR20130062550A KR1020110128868A KR20110128868A KR20130062550A KR 20130062550 A KR20130062550 A KR 20130062550A KR 1020110128868 A KR1020110128868 A KR 1020110128868A KR 20110128868 A KR20110128868 A KR 20110128868A KR 20130062550 A KR20130062550 A KR 20130062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quest
shuttle
message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412B1 (ko
Inventor
이상현
홍봉희
류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싱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싱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싱맵
Priority to KR102011012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4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은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및 위치가 포함된 보고메시지를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차량 단말기와, 셔틀차량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셔틀차량의 경로 중 요청위치가 지정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셔틀차량이 요청위치로 통과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로부터 통보메시지를 통보받는 사용자 단말기와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와, 셔틀차량으로부터 다음에 보고받을 보고메시지의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고,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위치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메시지를 전송하는 차량도착예측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NOTIFICATION OF BUS ARRIVALS}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로 셔틀차량의 이동 위치를 파악하여 셔틀차량이 정류장에 도착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적정한 도착 예정 시간에 맞추어 정류장으로 나가 셔틀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또는 유치원, 학원 등의 셔틀차량은 미리 정해져 있는 노선을 따라 순회하면서 이용객(학생, 회원 등)들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차량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셔틀차량은 이동하는 노선이나 운행하는 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은 차량의 정차시간에 맞추어 미리 정해진 정거장에 도착하여 그 셔틀차량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셔틀차량이 해당 정거장을 지나는 정확한 시간을 고객들이 정확히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동절기나 하절기 및 날씨가 좋지 않은 날에도 이용객들은 정거장에 미리 도착하여 셔틀차량의 도착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노선 내에서 교통정체 또는 교통사고로 인하여 셔틀차량의 도착시간이 예고없이 지연될 경우, 이용자들은 정거장에서 계속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07177호의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셔틀차량 도착예정시간 알림 방법 및 장치" 및 공개특허 제10-2011-0071203호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및 대중교통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등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알림 시스템은 서버가 특정위치로 차량이 도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셔틀버스가 서버로 보고메시지를 전송하는 위치는 사용자가 요청한 지점과 정확히 일치할 수 없으므로, 종래의 알림 시스템은 특정지점을 중심으로 임의의 반경을 설정하여, 특정지점 내로 셔틀차량이 확인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때문에, 셔틀차량이 서버로 전송하는 보고주기가 길어질 경우, 보고주기 사이에 사각지역이 발생되어, 셔틀차량이 정류장에 도착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통보 메시지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셔틀차량에서 서버로 전송되는 보고 주기를 짧게 할 수 있지만, 이러할 경우, 통신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도착예측 서버가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와, 셔틀차량의 다음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여,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위치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셔틀차량의 이동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단말기의 보고주기를 짧게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은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및 위치가 포함된 보고메시지를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차량 단말기와, 셔틀차량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셔틀차량의 경로 중 요청위치가 지정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셔틀차량이 요청위치로 통과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로부터 통보메시지를 통보받는 사용자 단말기와,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와, 셔틀차량으로부터 다음에 보고받을 보고메시지의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고,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위치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메시지를 전송하는 차량도착예측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단말기는 셔틀차량의 위치정보, 차량속도의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GPS와, 차량정보가 포함된 보고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전송하고, 차량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는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 메시지와, 셔틀차량의 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보고 메시지 중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셔틀차량의 보고메시지 위치와, 계산부에서 계산된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다음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는 데이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요청위치가 셔틀차량의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부에서 예측한 셔틀차량의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예측부에서 예측한 셔틀차량의 예측 보고위치보다 셔틀차량의 다음 보고 메시지가 늦게 전송되면, 예측 보고위치와 늦게 전송된 셔틀차량의 보고 메시지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요청위치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방법은 차량도착예측 서버에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되면, 사용자 단말기로 셔틀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도착예측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지점,요청구간,요청영역 중 어느 한 요청위치가 선택되어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와, 차량 단말기로부터 보고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와, 전송받은 알림 요청 메시지와 보고 메시지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계산부가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셔틀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예측부가 셔틀차량이 예상 이동속도로 이동할 다음 위치인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는 단계와, 처리부가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가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셔틀차량의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부에서 예측한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위치가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처리부가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셔틀차량의 다음 보고 메시지가 예측부에서 예측한 셔틀차량의 예측보다 늦게 전송되면, 예측 보고위치와 늦게 전송된 셔틀차량의 보고 메시지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요청위치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지점,요청구간,요청영역 중 어느 한 요청위치가 선택될 때, 요청위치가 요청지점으로 선택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의 처리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지점으로 한정하여, 예측부에서 예측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셔틀차량이 요청한 지점을 지나면, 처리부는 셔틀차량이 통과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지점,요청구간,요청영역 중 어느 한 요청위치가 선택될 때, 요청위치가 요청구간으로 선택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의 처리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구간을 정류장에서 일정거리 내로 한정하여, 예측부에서 예측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셔틀차량이 요청한 구간으로 진입하면, 처리부는 셔틀차량이 통과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지점,요청구간,요청영역 중 어느 한 요청위치가 선택될 때, 요청위치가 요청영역으로 선택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의 처리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영역에서 처음과 끝의 거리를 추출하여, 기준 정류장에서 일정거리 내로 한정하며, 예측부에서 예측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셔틀차량이 요청한 영역을 지나면, 처리부는 셔틀차량이 통과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도착예측 서버가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와, 셔틀차량의 다음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여,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위치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셔틀차량의 이동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단말기의 보고주기를 짧게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에서 차량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가 다수개일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에서 셔틀차량이 요청지점을 통과할 때,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3의 설명중, 예측 보고위치가 다음 보고 메시지 위치보다 이전 상황일 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에서 셔틀차량이 요청구간을 통과할 때,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설명중, 예측 보고위치가 다음 보고 메시지 위치보다 이전 상황일 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에서 셔틀차량이 요청영역을 통과할 때,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방법에 관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착 예측 알림 시스템은 차량 단말기(10), 사용자 단말기(20), 차량도착예측 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단말기(10)는 GPS(11;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및 위치가 포함된 보고메시지를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셔틀차량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셔틀차량의 경로 중 요청위치가 지정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셔틀차량이 요청위치로 통과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부터 통보메시지를 통보받는다.
상기 통보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또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이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차량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와, 셔틀차량으로부터 다음에 보고받을 보고메시지의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고, 차량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위치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20)로 통보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알림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하는 메시지로써, 셔틀차량의 노선 중, 사용자가 탑승할 정거장 이전의 어느 한 위치(요청위치)를 선택하여, 셔틀차량이 요청위치로 통과할 때,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받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통보 메시지는 차량도착예측 서버(30)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받은 알림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탑승할 셔틀차량이 사용자가 지정한 요청위치를 통과하게 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가 셔틀차량의 위치를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기(20)에 차량이 통과했다는 메시지이다.
상기 셔틀차량은 국내외 노선버스, 유치원/학원/회사 등의 셔틀버스 등과 같이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차량이다.
상기 차량 단말기(10)는 셔틀차량의 위치정보, 차량속도의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GPS(11)와, 차량정보가 포함된 보고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하고, 차량 단말기(10)를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는 셔틀차량의 ID를 차량정보에 포함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하여, 다수개의 셔틀차량을 차량도착예측 서버(30)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 접속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피쳐폰, 스마트폰, 타블렛 PC 들 중 어느 하나이며, 통신망을 통해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 접속하면, 차량도착예측 서비스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원하는 셔틀차량에 대한 노선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30)와 사용자 단말기(20), 차량도착예측 서버(30)와 차량 단말기(10)의 데이타 전송방법은 이동통신망 또는 IP 망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예를들어, 상기 이동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G, 4G, LTE(Long Term Evolution)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IP망은 근거리 무선망인 WI-FI를 이용한다.
상기 차량 단말기(10)에서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되는 데이타 주기는 5초, 10초, 1분 등과 같이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관리자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서 차량 단말기(10)로 데이타 주기 수정메시지를 전송하면, 차량 단말기(10)의 제어부(12)가 데이타 전송 주기를 수정한다.
또는, 차량 단말기(10)는 차량 속도에 대응하여 데이터 전송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속도가 빠를수록, 차량 단말기(10)에서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주기를 빠르게 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가 예측하는 예측보고위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데이터 저장부(31), 계산부(32), 예측부(33) 및 처리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차량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보고 메시지와, 셔틀차량의 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은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1)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보고 메시지 중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계산하는 계산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계산부(32)에서 계산되는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는 최근에 차량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 중 기간별 차량속도를 평균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계산한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셔틀차량의 보고메시지 위치와, 계산부(32)에서 계산된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다음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는 예측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데이타 저장부(31)에 저장된 사용자의 요청위치가 셔틀차량의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부(33)에서 예측한 셔틀차량의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기(20)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처리부(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34)는 예측부(33)에서 예측한 셔틀차량의 예측 보고위치보다 셔틀차량의 다음 보고 메시지가 늦게 전송되면, 예측 보고위치와 늦게 전송된 셔틀차량의 보고 메시지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요청위치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처리부(34)는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수신받은 알림 요청메시지에서, 요청위치가 지점,구간,영역 중 지점이면, 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된 셔틀차량의 노선에서 지점을 지정하고, 요청지점으로 셔틀차량이 통과될 때, 사용자 단말기(20)로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고, 요청위치가 구간이면, 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된 셔틀차량의 노선에서 구간을 설정하고, 요청구간 내로 셔틀차량이 진입될 때, 사용자 단말기(20)로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고, 요청위치가 영역이면, 구간으로 맵핑하여 셔틀차량이 맵핑된 구간으로 진입될 때, 사용자 단말기(20)로 통지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수개의 셔틀차량에 다수개의 차량 단말기(10a,10b...10n+1)가 각각 장착되어, 차량도착예측 서버(30)와 데이터 통신되고, 다수개의 사용자 단말기(20a,20b...20n+1)가 차량도착예측 서버(30)와 데이터 통신된다.
이때,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30)가 다수개의 차량 단말기(10a,10b...10n+1)와 다수개의 사용자 단말기(20a,20b...20n+1)를 식별하기 위하여, 차량 단말기(10a,10b...10n+1)의 ID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a,20b...20n+1)의 ID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착 예측 알림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셔틀차량에 탑승할 사용자가 탑승할 정류장에서 셔틀차량을 기다리지만, 집 또는 직장 등의 출발지점에서 탑승할 정류장까지 이동시간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알림 요청 메시지는 셔틀차량의 노선 중, 탑승할 정류장 이전의 구간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요청위치를 지정하면, 셔틀차량이 지정된 요청위치를 통과할 때, 차량도착예측 서버(30)가 사용자 단말기(2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요청위치로 셔틀차량이 통과한다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파악할 수 있어, 요청위치에서 탑승할 정류장까지의 셔틀차량의 이동시간을 예상한 후, 탑승할 정류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요청위치는 정류장과 같은 한 지점을 포함한 지점(point), 정류장 전후 거리를 포함한 구간(section), 행정구역 또는 특정지번을 포함한 영역(area)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 접속하여, 요청위치를 직접 타이핑하여 요청할 수 있고,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여러 노선들을 사용자가 검색하여 어느 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으며, 타블렛PC 또는 스마트폰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노선 또는 지도(GUI:graphical user interface) 중 어느 한 위치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복수의 요청위치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정을 선택하거나, 지점과 구간을 함께 선택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요청위치를 지점(point)으로 요청한 후의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측에서 우측으로 셔틀차량이 이동하는 노선(T)에 제 1 내지 4 정류장(41,42,43,44)이 포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4 정류장(44)이 사용자들이 탑승할 정류장이면, 사용자들이 제 1 내지 3 사용자 단말기(20a,20b,20c)를 이용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 접속하고, 제 1 내지 3 사용자 단말기(20a,20b,20c)가 제 1 내지 3 정류장(41,42,43)을 요청지점을 각각 지정하고,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제 1 내지 3 사용자 단말기(20a,20b,20c)로부터 전송받은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후, 셔틀차량이 제 1 정류장(41) 이전 위치에서, 셔틀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10)가 차량정보가 포함된 보고 메시지(M1)를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한다.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차량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보고 메시지(M1)를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하고, 계산부(32)는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차량정보(차량속도, 차량위치, 차량ID)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예측부(33)는 계산부(32)와 데이터 저장부(31)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보고위치(S1)를 예측한다.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보고 메시지(M1)와 예측보고위치(S1) 사이에 사용자 단말기(20a,20b,20c)가 요청한 요청지점인 제 1 내지 3 정류장(41,42,43)이 존재하는 것을 파악하고, 셔틀차량이 상기 계산부(32)에서 계산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이동한다고 가정하여, 제 1 내지 3 정류장(41,42,43)으로 셔틀차량이 예상 이동속도에 맞춰 통과하는 시점에 알맞게, 제 1 내지 3 사용자 단말기(20a,20b,20c)로 통보 메시지(G1,G2,G3)를 전송한다.
만약, 차량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다음 보고 메시지(M2)가 예측보고위치(S1) 이전 위치인 제 3 정류장(43) 이전에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다음 보고 메시지(M2)를 기준으로 프로세싱을 재수행하여, 제 3 사용자 단말기(20c)에 통보 메시지(G3)를 전송한다.
차량 단말기(10)의 다음 보고 메시지(M2)가 예측보고위치(S1)와 동일하거나, 예측보고위치(S1)보다 빠르게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되어도(셔틀차량이 예상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이동됨), 사용자 단말기(20)에 통보 누락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기(10)에서 전송하는 예측보고위치(S1)가 제 2 정류장(42)과 제 3 정류장(43) 사이에서 발생하고, 다음 보고 메시지(M2)가 예측보고위치(S1) 이후의 지점인 제 3 정류장(43)과 제 4 정류장(44) 사이에서 발생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셔틀차량의 실제 속도가 예상 이동속도보다 빠르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예측보고위치(S1) 이후에 요청된 사용자의 요청지점에 대한 통보 메시지(G3)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예측보고위치(S1) 이전에 차량 단말기(10)에서 전송하는 다음 보고 메시지(M2)를 전송받지 않으면, 예측보고위치(S1) 이후에 요청된 사용자의 요청지점에 대하여도 통보 메시지(G3)를 제 3 사용자 단말기(20c)로 전송한다.
또한,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예측보고위치(S1) 이후에 다음 보고 메시지(M2)가 수신되면, 다음 보고 메시지(M2)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통보 메시지를 제 3 사용자 단말기(20c)로 재전송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요청위치를 구간(section)으로 요청한 후의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4 정류장(44)이 사용자들이 탑승할 정류장이면, 사용자들이 제 1 내지 3 사용자 단말기(20a,20b,20c)를 이용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 접속하고, 제 1 내지 3 사용자 단말기(20a,20b,20c)가 제 1 내지 3 정류장(41,42,43)의 전후 일정한 거리를 포함한 요청구간(A,B,C)을 지정하고,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전후 일정 거리는 정류량과 다음 정류장 사이의 거리 내에서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정류장 전후 거리가 2000m 일 경우, 전후 일정거리는 1000m, 800m, 500m 등으로 설정된다.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제 1 내지 3 사용자 단말기(20a,20b,20c)로부터 전송받은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후, 셔틀차량이 제 1 정류장(41) 이전 위치에서, 셔틀차량에 장착된 차량 단말기(10)가 차량정보가 포함된 보고 메시지(M1)를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한다.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차량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보고 메시지(M1)를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하고, 계산부(32)는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 차량정보(차량속도, 차량위치)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예측부(33)는 계산부(32)와 데이터 저장부(31)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보고위치(S1)를 예측한다.
상기 예측보고위치(S1)는 제 3 정류장(43)이 포함된 요청구간(C)이 종료되는 지점이다.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보고 메시지(M1)와 예측보고위치(S1) 사이에 사용자 단말기(20a,20b,20c)가 요청한 요청구간(A,B,C)이 존재한다는 것을 파악하고, 셔틀차량이 상기 계산부(32)에서 계산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이동한다고 가정하여, 셔틀차량이 요청구간(A,B,C)으로 예상 이동속도에 맞춰 통과하는 시점에 알맞게, 제 1 내지 3 사용자 단말기(20a,20b,20c)로 통보 메시지(G1,G2,G3)를 전송한다.
만약, 차량 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다음 보고 메시지(M2)가 예측보고위치(S1) 이전 구간인 요청구간(C) 이전에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다음 보고 메시지(M2)를 기준으로 프로세싱을 재수행하여, 제 3 사용자 단말기(20c)에 통보 메시지(G3)를 전송한다.
차량 단말기(10)의 다음 보고 메시지(M2)가 예측보고위치(S1)와 동일하거나, 예측보고위치(S1)보다 빠르게 차량도착예측 서버(30)로 전송되어도(셔틀차량이 예상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이동됨), 사용자 단말기(20)에 통보 누락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기(10)에서 전송하는 예측보고위치(S1)가 요청구간(B)가 끝나는 지점에서 발생하고, 다음 보고 메시지(M2)가 예측보고위치(S1) 이후의 위치인 요청구간(C)에서 발생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셔틀차량의 실제 속도가 예상 이동속도보다 빠르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예측보고위치(S1) 이후에 요청된 사용자의 요청구간에 대한 통보 메시지(G3)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예측보고위치(S1) 이전에 차량 단말기(10)에서 전송하는 다음 보고 메시지(M2)를 전송받지 않으면, 예측보고위치(S1) 이후에 요청된 사용자의 요청구간에 대하여도 통보 메시지(G3)를 제 3 사용자 단말기(20c)로 전송한다.
또한,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예측보고위치(S1) 이후에 다음 보고 메시지(M2)가 수신되면, 다음 보고 메시지(M2)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통보 메시지를 제 3 사용자 단말기(20c)로 재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a,20b,20c)에서 요청한 위치가 일정영역(행정구역, 지번)을 포함하는 영역(D)일 경우, 영역(D)의 처음과 끝 지점을 이용하여 구간으로 맵핑(Mapping)하여, 요청위치가 요청구간일 때와 같이 처리한다.
광역버스와 같이 다수개의 행정구역을 통과하는 셔틀차량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요청영역을 선택하여, 셔틀차량의 이동위치에 대한 통보 메시지를 전송받는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요청위치를 지점/구간/영역으로 세분화해서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셔틀차량의 이동위치에 대한 보다 정확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요청위치가 복수인 경우에는, 차량도착예측서버(30)는 각 요청위치에 대한 통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한다.
만약, 복수의 요청위치 중 제 1 요청 위치를 셔틀차량이 통과한 경우에는, 차량도착예측 서버(30)는 다음 셔틀차량을 검색하여 다음 셔틀차량의 차량정보를 기초로 제 1 요청위치에 대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착예측 알림 방법은 차량도착예측 서버(30)에 사용자 단말기(20)가 접속되면, 사용자 단말기(20)로 셔틀차량의 정보를 제공한다(S100);
상기 셔틀차량의 정보는 셔틀차량의 노선정보 등을 지도 등의 GUI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차량도착예측 서버(30)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지점,요청구간,요청영역 중 어느 한 요청위치가 선택되어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는다(S11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노선 중 어느 한 위치(요청위치)에 대한 알림 요청 메시지를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요청할 수 있고, 상기요청위치는 요청지점, 요청구간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차량 단말기(10)로부터 보고 메시지를 전송받는다(S120).
전송받은 알림 요청 메시지와 보고 메시지를 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하고, 계산부(32)가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셔틀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예측부(33)가 셔틀차량이 예상 이동속도로 이동할 다음 위치인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한다(S130).
처리부(34)가 사용자 단말기(20)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140).
처리부(34)가 셔틀차량의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부(34)에서 예측한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위치가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기(20)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예측부(33)에서 예측한 셔틀차량의 예측 보고위치보다 셔틀차량의 다음 보고 메시지가 늦게 전송되면, 예측 보고위치와 늦게 전송된 셔틀차량의 보고 메시지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요청위치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S110)단계에서, 요청위치가 요청지점으로 선택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사용자가 요청한 지점(정류장)으로 한정하여, 예측부(33)에서 예측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셔틀차량이 요청한 지점을 지나면, 처리부(34)는 셔틀차량이 통과했다고 판단한다.
또는 상기 (S110)단계에서, 요청위치가 요청구간으로 선택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사용자가 요청한 구간을 정류장에서 일정거리 내로 한정하여, 예측부(33)에서 예측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셔틀차량이 요청한 구간으로 진입하면, 처리부(34)는 셔틀차량이 통과했다고 판단한다.
상기 일정거리는 정류장 전후 0.1~2Km 내외로, 정류장과 다음 정류장 사이를 포함할 수 있는 거리이며, 상기 일정거리는 가변적으로 조정된다.
또는 상기 (S110)단계에서, 요청위치가 요청영역으로 선택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30)의 처리부(34)는 사용자가 요청한 영역에서 처음과 끝의 거리를 추출하여, 기준 정류장에서 일정거리 내로 한정하며, 예측부(33)에서 예측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셔틀차량이 요청한 영역을 지나면, 처리부(34)는 셔틀차량이 통과했다고 판단한다.
즉, 요청영역일 때에는 거리만 늘어날 뿐, 요청구간으로 선택되어 작동되는 과정과 같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10: 차량 단말기
20: 사용자 단말기
30: 차량도착예측 서버
31: 데이터 저장부
32: 계산부
33: 예측부
34: 처리부

Claims (14)

  1.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및 위치가 포함된 보고메시지를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차량 단말기;
    셔틀차량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셔틀차량의 경로 중 요청위치가 지정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셔틀차량이 요청위치로 통과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로부터 통보메시지를 통보받는 사용자 단말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와, 셔틀차량으로부터 다음에 보고받을 보고메시지의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고,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위치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메시지를 전송하는 차량도착예측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기는 셔틀차량의 위치정보, 차량속도의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GPS와, 차량정보가 포함된 보고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차량도착예측 서버로 전송하고, 차량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는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보고 메시지와, 셔틀차량의 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보고 메시지 중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셔틀차량의 보고메시지 위치와, 계산부에서 계산된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다음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착예측 서버는 데이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요청위치가 셔틀차량의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부에서 예측한 셔틀차량의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셔틀차량의 다음 보고 메시지가 예측부에서 예측한 셔틀차량의 예측 보고위치보다 늦게 전송되면, 예측 보고위치와 늦게 전송된 셔틀차량의 보고 메시지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요청위치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받은 알림 요청메시지에서, 요청위치가 지점,구간,영역 중 지점이면,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셔틀차량의 노선에서 지점을 지정하고, 요청지점으로 셔틀차량이 통과될 때,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고, 요청위치가 구간이면,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셔틀차량의 노선에서 구간을 설정하고, 요청구간 내로 셔틀차량이 진입될 때,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고, 요청위치가 영역이면, 구간으로 맵핑하여 셔틀차량이 맵핑된 구간으로 진입될 때,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9. 차량도착예측 서버에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되면, 사용자 단말기로 셔틀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차량도착예측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지점,요청구간,요청영역 중 어느 한 요청위치가 선택되어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
    차량 단말기로부터 보고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
    전송받은 알림 요청 메시지와 보고 메시지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계산부가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셔틀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예상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예측부가 셔틀차량이 예상 이동속도로 이동할 다음 위치인 예측보고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처리부가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처리부가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셔틀차량의 보고메시지 위치와 예측부에서 예측한 예측보고위치 사이에 사용자가 요청한 요청위치가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처리부가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셔틀차량의 다음 보고 메시지가 예측부에서 예측한 셔틀차량의 예측보다 늦게 전송되면, 예측 보고위치와 늦게 전송된 셔틀차량의 보고 메시지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요청위치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지점,요청구간,요청영역 중 어느 한 요청위치가 선택될 때, 요청위치가 요청지점으로 선택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의 처리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지점으로 한정하여, 예측부에서 예측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셔틀차량이 요청한 지점을 지나면, 처리부는 셔틀차량이 통과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지점,요청구간,요청영역 중 어느 한 요청위치가 선택될 때, 요청위치가 요청구간으로 선택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의 처리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구간을 정류장에서 일정거리 내로 한정하여, 예측부에서 예측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셔틀차량이 요청한 구간으로 진입하면, 처리부는 셔틀차량이 통과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지점,요청구간,요청영역 중 어느 한 요청위치가 선택될 때, 요청위치가 요청영역으로 선택되면, 차량도착예측 서버의 처리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영역에서 처음과 끝의 거리를 추출하여, 기준 정류장에서 일정거리 내로 한정하며, 예측부에서 예측한 예상 이동속도에 따라 셔틀차량이 요청한 영역을 지나면, 처리부는 셔틀차량이 통과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착예측 알림 방법.
KR1020110128868A 2011-12-05 2011-12-05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289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868A KR101289412B1 (ko) 2011-12-05 2011-12-05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868A KR101289412B1 (ko) 2011-12-05 2011-12-05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550A true KR20130062550A (ko) 2013-06-13
KR101289412B1 KR101289412B1 (ko) 2013-08-07

Family

ID=4886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868A KR101289412B1 (ko) 2011-12-05 2011-12-05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7640A (zh) * 2017-11-09 2019-05-17 深圳大学 一种基于历史数据匹配的公交运行时间预测方法
CN110148297B (zh) * 2019-04-24 2021-09-28 河海大学 一种使用班车接驳的停车换乘系统及优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8641A (ja) * 2005-08-25 2007-03-08 Oki Electric Ind Co Ltd 車両位置管理システム
JP2008003829A (ja) * 2006-06-22 2008-01-10 E Wave Solutions Inc 移動体位置管理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
KR20080079715A (ko) * 2007-02-09 2008-09-02 오재철 차량 위치 안내시스템 및 그 안내방법
KR100824555B1 (ko) * 2007-03-16 2008-04-23 (주)에스디시스템 셔틀차량의 도착시간 알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412B1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1902B1 (en) Navig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US8031595B2 (en) Future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social networks
US2014025454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t least one stationary data network, mobile terminal and motor vehicle having a mobile terminal
US1101250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ecentralized computing network, in particular an edge cloud computer of the decentralized computing network
US20070049289A1 (en)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and positio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thereof
US8755809B2 (en) Communication method of base station and target terminal
KR20140144066A (ko)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모바일 장치
WO2014168428A1 (ko) 복수의 경유지를 포함한 최적 경로 전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90456B2 (en) Vehicle and method of providing route guidanc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JP2017184046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9219845A (ja) 車両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管理方法
CN106898134A (zh) 车辆的调度方法、装置和服务器
EP261585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future location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06172061A (ja) 予約対象管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システム
JP2005252623A (ja) 通信端末及び情報提供装置並びにハンドオーバ処理方法
CN107274705A (zh) 公交车位置的确定方法、装置和系统
KR101289412B1 (ko)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
FI124844B (fi) Jonotusmenetelmä
JP2007306318A (ja) 通信リソース予約システム、通信リソース予約方法、および通信リソース予約プログラム
KR20130054554A (ko)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KR100824555B1 (ko) 셔틀차량의 도착시간 알림시스템
JP6129436B2 (ja) データ提供システム
KR20150052915A (ko) 서로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로 안내 시스템 간의 만남 장소 안내 방법
US20220057221A1 (en) Method for the Navigation of a Vehicle
KR20220025589A (ko) 퍼스널 모빌리티 교통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