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554A -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554A
KR20130054554A KR1020110119994A KR20110119994A KR20130054554A KR 20130054554 A KR20130054554 A KR 20130054554A KR 1020110119994 A KR1020110119994 A KR 1020110119994A KR 20110119994 A KR20110119994 A KR 20110119994A KR 20130054554 A KR20130054554 A KR 20130054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ublic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information
public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4800B1 (ko
Inventor
이채현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11011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8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Abstract

지도에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서버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대중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NG PUBLIC TRANSPOR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경로, 도착 예상 시간 등의 대중교통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이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대중교통 수단의 대기 시간을 찾는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수요에 발맞추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어 서비스 되고 있으나,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가 선택한 정류장을 기준으로 향후 도착할 대중교통 수단의 대기 시간을 보여주거나 지하철 시간표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정류장을 선택하면 시간표를 보여주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중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인터페이스에 특정 노선이 선택되는 경우 나타나는 화면이다.
기존의 대중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정류장을 검색하거나 선택할 때 지도(110) 상에 별도의 창(120)으로 해당 정류장에 도착 예정인 대중교통 수단을 표시한다. 그리고, 특정 대중교통 수단이 검색되거나 선택되면 도 2와 같은 화면을 통해 해당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정류장 기준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중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텍스트 기반으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직관적이지 않으므로 인식하는데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표시되는 대중교통 수단이 상행인지 하행인지 구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직접 정류장을 검색하거나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는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대중교통 수단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서버와 통신하여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은 외부에서 통신할 경우에 3G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는데 이는 통신 환경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크고 사용자가 통신에 대한 비용을 부담해야 하므로 데이터 통신을 최소화 하면서도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지도에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중교통 정보 제공 방법과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1076호(공개일 2010년 07월 14일) "대중교통시간의 도착시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는 이동통신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대중교통수단에 대한 교통정보를 교통정보 수집서버로 전송하여 수신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에 대한 교통정보를 메시지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메시지 서버가 상기 대중교통수단에 대한 교통정보로 도착시간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착시간 안내 방법 또한 도착시간 알림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직관적이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착시간 알림 메시지의 전송 주기로 인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중교통 수단의 정확한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도착시간 알림 메시지를 보다 자주 전송해야 하므로 데이터 통신량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중교통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적은 데이터 통신량으로도 실시간으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서버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대중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를 기초로 보간(interpol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예측된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지도 상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 경로 정보, 차량 정보 및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경로 정보를 캐시(cache)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수신한 경로 정보가 캐시되면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서버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간의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기 설정된 주기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예측된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흐리게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대기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도착 예정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서버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서버로 상기 지도의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의 위/경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되는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 받는 정보 요청 수신부, 상기 요청 받은 정보를 기 저장된 대중교통 정보에서 추출하는 대중교통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대중교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되는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될 때 상기 대중교통 정보 중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대중교통 정보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장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코드 및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대중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상에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경로, 대기 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눈에 용이하게 원하는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보간(interpol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고 이를 예측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적은 데이터 통신량으로도 실시간으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중교통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터페이스에 특정 노선이 선택되는 경우 나타나는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지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노선이 선택되는 경우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대중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대중교통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310)은 송수신부(312), 저장부(314), 예측부(316) 및 표시부(318)를 포함하고,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는 정보 요청 수신부(322), 대중교통 정보 추출부(324) 및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326)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310)의 송수신부(312)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2)로부터 해당하는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대중교통 정보는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 경로 정보, 차량 정보 및 대기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GPS 등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파악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송수신부(312)는 GPS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의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의 위/경도 정보를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대중교통 수단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312)는 사용자 단말(3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보다 큰 영역(예를 들어, 표시되는 지도의 150%)을 기준으로 상기 영역의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의 위/경도 정보를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 시 실시간으로 요청하는 것은 무선 트랙픽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송수신부(312)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에 주기적으로 정보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314)은 송수신부(312)가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대중교통 수단의 경로 정보를 캐시(cache)로 저장한다. 여기서, 경로 정보는 대중교통 수단의 정류장 정보(정류장 ID, 정류장명, 정류장의 위치 정보 등), 각 정류장 사이의 정확한 경로를 나타내는 지점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312)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로 정보 요청 시 저장부(314)에 저장된 캐시를 확인하여 해당 대중교통 정보가 캐시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대중교통 수단의 경로 정보를 저장부(314)에 캐시되기 전까지 계속적으로(예를 들어, 3초)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부(314)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가 캐시되어 있으면 송수신부(312)는 기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분)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에 대중교통 수단의 경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부(312)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로부터 수신한 대중 교통 수단의 대기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해당 대중교통 수단의 도착 예정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주기가 되지 않더라도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측부(316)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로부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를 기초로 보간(interpol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예측한다.
예측부(316)는 저장부(314)에 대중교통 정보가 캐시되어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면, 각 대중교통 수단의 다음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표시부(318)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로부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대중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318)는 예측부(316)에서 예측된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지도 상에 대중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318)는 기 설정된 주기에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로부터 대중교통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예측부(316)에서 예측된 대중교통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해당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흐리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318)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 상에 표시되는 영역을 지나는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해야 할 대중교통 수단이 너무 많은 경우, 표시부(318)는 현재 지도 화면 또는 내 위치 주변의 정류장 에 도착 예정인 대중교통 수단을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14)는 사용자가 최근에 체류한 정류장의 체류 횟수를 저장하여 표시부(318)가 체류 횟수가 많은 정류장을 지나는 대중교통 수단을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310)에는 예측부(316)에서 예측된 위치 정보와 송수신부(312)를 통해 수신한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부에서 비교한 결과 상기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간의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예를 들어, 50미터) 이상인 경우, 송수신부(312)는 상 기 설정된 주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부는 상기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가 되면 송수신부(312)가 다시 대중교통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의 정보 요청 수신부(322)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 받는다. 그리고 대중교통 정보 추출부(324)는 정보 요청 수신부(322)가 요청 받은 정보를 기 저장된 대중교통 정보에서 추출한다.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326)는 대중교통 정보 추출부(324)에서 대중교통 정보가 추출되면 이를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320)로 제공한다.
따라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320)가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보는 사용자 단말(310)에서 보간 알고리즘을 통해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가 예측됨으로써 지도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대중교통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배포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배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배포 장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통해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코드 및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대중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도의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의 위/경도 정보를 상기 대중교통 제공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를 기초로 보간(interpol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경로 정보를 캐시(cache)로 저장하는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경로 정보가 캐시되면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대중교통 제공 서버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간의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지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지도(410)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를 기초로 보간 알고리즘을 통해 현재 위치가 예측되어 지도 상에 직관적으로 실시간으로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420), 대기 시간 정보(430), 막차 정보(440) 등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눈에 용이하게 원하는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지도(41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추천 목록, 즐겨찾기 목록, 버스/지하철 선택 목록, 정류장 선택 목록 등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노선의 선택되는 경우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특정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을 선택하면,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510) 상에 해당 대중교통 수단의 경로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한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고, 진행 방향이 상행인지(520) 하행인지(530))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받으면 해당 대중교통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610).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대중교통 수단의 경로 정보를 캐시로 저장하고(S620), 해당 대중교통 수단의 경로 정보가 캐시되면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 해당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630).
이후,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보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대기 시간 등을 계산함으로써 다음 주기에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의 대중교통 정보를 예측한다(S640). 이 때, 사용자 단말은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된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지도 상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S650).
기 설정된 주기가 되어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은 예측한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예측한 위치 정보와 수신한 위치 정보 간의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주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지도 상에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경로, 대기 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눈에 용이하게 원하는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고 이를 예측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적은 데이터 통신량으로도 실시간으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코드 및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대중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피쳐폰 VM(virtual machine) 등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10: 사용자 단말
312: 송수신부
314: 저장부
316: 예측부
318: 표시부
320: 대중교통정보 제공 서버
322: 정보 요청 수신부
324: 대중교통 정보 추출부
326: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

Claims (23)

  1. 서버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대중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를 기초로 보간(interpol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예측된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지도 상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 경로 정보, 차량 정보 및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경로 정보를 캐시(cache)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수신한 경로 정보가 캐시되면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서버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간의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주기를 감소시키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기 설정된 주기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예측된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흐리게 표시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대기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도착 예정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서버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서버로 상기 지도의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의 위/경도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되는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9.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 받는 정보 요청 수신부;
    상기 요청 받은 정보를 기 저장된 대중교통 정보에서 추출하는 대중교통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대중교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되는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될 때 상기 대중교통 정보 중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대중교통 정보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보간(interpolation)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가 예측됨으로써 상기 지도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 경로 정보, 차량 정보 및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경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캐시(cache)로 저장되면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제공되는 위치 정보 간의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주기가 감소되어 요청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는,
    상기 대중교통 정보가 기 설정된 주기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 흐리게 표시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대기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도착 예정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청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지도의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의 위/경도 정보를 수신하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17.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코드; 및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대중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코드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를 기초로 보간(interpol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 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 경로 정보, 차량 정보 및 대기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경로 정보를 캐시(cache)로 저장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경로 정보가 캐시되면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대중교통 제공 서버에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간의 오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주기를 감소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도의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의 위/경도 정보를 상기 대중교통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 배포 장치.
  23.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에 대중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코드; 및
    상기 수신한 대중교통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 위치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대중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코드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119994A 2011-11-17 2011-11-17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KR101934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94A KR101934800B1 (ko) 2011-11-17 2011-11-17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94A KR101934800B1 (ko) 2011-11-17 2011-11-17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54A true KR20130054554A (ko) 2013-05-27
KR101934800B1 KR101934800B1 (ko) 2019-01-03

Family

ID=4866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994A KR101934800B1 (ko) 2011-11-17 2011-11-17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8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250A (ko) * 2014-04-11 2015-10-22 (주)피엑스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055128A3 (ko) * 2018-09-12 2020-05-14 주식회사 날다 음성안내 기반 대중교통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8141A (ko) * 2020-01-06 2021-07-14 네이버 주식회사 대중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117B1 (ko) 2019-05-21 2022-07-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
KR20220093459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엠넥스 교통수단 하차정보 제공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699A (ja) * 2002-03-11 2003-09-19 Ainsu:Kk バス運行支援システム
JP2005251054A (ja) * 2004-03-08 2005-09-15 Dual:Kk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293443A (ja) * 2005-04-05 2006-10-26 Navitime Japan Co Ltd バス運行状況表示システム、バス運行状況表示装置およびバス運行状況表示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250A (ko) * 2014-04-11 2015-10-22 (주)피엑스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055128A3 (ko) * 2018-09-12 2020-05-14 주식회사 날다 음성안내 기반 대중교통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8141A (ko) * 2020-01-06 2021-07-14 네이버 주식회사 대중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800B1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9803B2 (en) Systems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future location of an entity
US20100331017A1 (en) Method and system of efficiently using mobile terminal context
US201502300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anaging, and sharing moving path
CN103826203A (zh) 公交运行预测方法和装置
US870463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JP5362337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1934800B1 (ko)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CN102238472B (zh) 以移动装置的目前位置更新服务器储存的位置资讯的方法
KR100727903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주변 위치 정보 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10890456B2 (en) Vehicle and method of providing route guidanc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US20190122554A1 (en) Smart parking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JP2009063336A (ja) 位置情報取得装置,位置情報取得方法および位置情報取得プログラム
KR101699972B1 (ko) 이동 단말기, 인터넷 제어서버 및 무선인터넷 존 안내 방법
JP2007240206A (ja) 携帯端末、情報管理装置、地図情報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地図情報ダウンロード方法
CN110647231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机器可读介质
AU2007344022A1 (en) Method for sensing covering state according to velocity and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the same method
JP4363338B2 (ja) 位置情報検索システム,位置情報検索サーバおよび位置情報検索方法
CN103034938A (zh) 行程管理系统及方法
JP2014153198A (ja) 交通情報受信装置および交通情報送信装置
KR101135255B1 (ko) 개인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89412B1 (ko) 차량도착예측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1204A (ko) 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18940A (ko) 주변 정류장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2058931A (ja) 駐車場情報提供システム、駐車場情報提供方法、および駐車場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150041244A (ko) 최적 출발 알림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