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245A -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245A
KR20130062245A KR1020120137871A KR20120137871A KR20130062245A KR 20130062245 A KR20130062245 A KR 20130062245A KR 1020120137871 A KR1020120137871 A KR 1020120137871A KR 20120137871 A KR20120137871 A KR 20120137871A KR 20130062245 A KR20130062245 A KR 20130062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hma
extract
composition
treat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김정주
최병권
이정구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2/01033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81425A1/ko
Publication of KR2013006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자로부터 수득한 소자 추출물을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동물모델에 투여한 결과, 기도과민 반응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호산구의 기관지 폐포로의 침윤을 억제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4 및 IL-5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인터페론 감마 및 IL-10의 생성을 촉진시켜 면역관용 유도로 천식의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소자 추출물을 천식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erillae seme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tic disease}
본 발명은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기관지 천식은 기관지 내의 알레르기 염증 질환으로, 인체 내로 공기가 출입하는 기관지에 염증이 발생하여 기관지의 민감도가 증가하는 질환이다. 기관지 염증에 의해 궁극적으로 기도 근육이 두꺼워지며 개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천식의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소인과 환경 요인이 있다. 환경 요인에는 대기오염물질, 각종 알레르겐 및 산업 분진이 있고, 이 들은 면역 반응에 의해 알레르겐 특이 IgE 항체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IgE는 각종 기관내의 비만세포 (mast cell) 표면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알레르기 염증을 일으킨다. 내부적인 요인에는 유전적인 요인이 포함되는데, 특히 사람의 5 번째 염색체, β2-아드레노리셉터 유전자, 사람의 11, 12, 14, 16 번째 염색체가 관여하며, 이들 유전자가 IgE의 증가와 기관지의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식은 원인 알레르겐에 노출되었을 경우, Th2 면역반응은 증가되고 Th1 면역반응은 억제되며 호산구의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 염증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기관지내에 호산구, 림프구, 단핵구 등의 다양한 염증세포가 침윤되며, 이들로부터 여러종류의 사이토카인과 화학주성인자 및 화학매개체가 분비되어 알레르기 염증을 주도한다.
한편, 이러한 기관지 천식의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치료방법은 원인 알레르겐에 대한 회피요법과 탈 감작 요법이 있으나, 원인 알레르겐을 회피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스테로이드, β2-아고니스트 및 크로몬(Cromone) 등을 이용한 기존의 약물치료로는 치료가 어렵고 이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천식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알레르겐에 의한 외인성 기관지 천식 환자에게만 일부 제한적으로 탈 감작요법이 시행되지만,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있다.
가장 흔히 사용되고 가장 효과가 좋은 치료제는 스테로이드(Steroid)이지만 장기간 사용 시 당뇨, 고혈압, 골다공증, 녹내장 두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개념의 명역관해를 유도하는 치료제가 필요하다. 면역관해는 조절 림프구로부터 유리되는 인터루킨-10(IL-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아직 IL-10을 유리하는 천식 치료제는 발명된 바 없다.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천식 치료제를 천연물로부터 개발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06242호에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717호에 항천식 활성을 갖는 백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천식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위해 소자를 대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062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0717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천연물로부터 천식 치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치료제로서 소자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L-10의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관용 유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자 추출물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0.5~60mg/g bwt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자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4 및 IL-5의 생성은 억제시키고, IFN-γ와 IL-10의 생성은 촉진시켜 면역관용을 통해 천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활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자 추출물은 IL-10의 생성 촉진을 통해 Th2 림프구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은 억제시키고, Th1 림프구에 의한 반응을 유도시키는데 이는 조절림프루로부타 생성되는 IL-10 생성을 유도하여 면역관해를 이루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Th2 림프구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억제는 소자 추출물의 IgE 항체 생성 억제활성을 통해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Th1 림프구에 의한 반응 유도는 소자 추출물의 IgG, IgG2a 항체 생성 촉진 활성을 통해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L-10의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관용 유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자로부터 수득한 소자 추출물을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동물모델에 투여한 결과, 기도과민 반응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호산구의 기관지 폐포로의 침윤을 억제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4 및 IL-5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인터페론 감마 및 IL-10의 생성을 촉진시켜 면역관용 유도로 천식의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소자 추출물을 천식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기관지 내 기도저항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침윤된 호산구 세포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기관지 내로 침윤된 호산구, 마크로파지, 림프구 및 상피세포의 세포수의 변화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부터 폐를 분리한 후, RT-PCR을 수행하여 IL-4, IL-10 및 인터페론-감마의 발현 양을 비교 분석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부터 기관지폐포세척액을 수집하고, 기관지폐포세척액 내에 존재하는 사이토카인의 양을 분광광도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 섭취량을 달리한 후, 기관지 내 기도저항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부터 혈청을 수득하고, 상기 혈청 내의 IgE 항체 및 IgG 항체의 양을 면역효소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천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로서 천연물인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과 함께 소자 추출물이 IL-10의 생성 촉진을 통한 면역관용 기작을 통해 천식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함에 따라 본 발명은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약리학적 유효성분의 소재로 사용한 소자(Perillae semen)는 아직까지 그 약리학적 효능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있으며, 단지 항산화 활성이 있고, 함유된 일반성분, 유지의 특성,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 등에 대한 내용이 알려져 있는데, 일반성분으로는 수분이 7.5%, 조지방이 33.2%, 조단백질이 16.3%, 조회분이 2.8%, 조섬유가 6.5%, 가용성무질소물이 33.7%로 지방질과 당류같은 가용성무질소물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단백질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아미노산 조성은 필수아미노산으로 히스티딘이 21.6mg%, 페닐알라닌이 20.1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비필수아미노산은 글루타민산이 66.9mg%, 아스파르트산이 32.5mg%으로 높은 함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1.2%로 알려져 있을 뿐, 그 외 다른 약학적 효능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소자를 천식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들을 수행하였는데, 즉,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난황 감작에 의한 천식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소자의 추출물을 투여한 후, 천식의 개선 정도를 기관지의 기도 저항 및 기관지 폐포로의 호산구 및 염증세포등의 침윤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소자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이 소자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기도 저항이 약 3배 정도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도 저항은 기관지 천식의 특징인 기도과민반응에 의한 기도폐쇄로 인해 유발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소자 추출물은 기도 저항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기관지 폐포로 침윤된 호산구의 숫자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식은 호산구성 만성 기관지염증이므로 호산구 억제능을 통한 항 염증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천식이 유발된 마우스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소자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기관지 폐포로 침윤된 마크로파지의 숫자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산구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소자 추출물이 천식을 유발시키는 기도 내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천식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Th2 면역세포에서 생성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염증세포가 증식, 분화 및 활성화되어 기도 및 기도주변 조직으로 이동, 침윤하여 나타나는 만성 염증질환으로(Elias JA, et al., J. Clin. Invest., 111, p291-297, 2003), 이때 염증 및 알레르기 질환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매개물질로는 류코트리엔류(leukotriens),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es) 및 혈소판활성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 등이 있으며, 이들은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및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에 의하여 전구체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성된다.
류코트리엔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체에서 생성되는 국소 작용성 호르몬 그룹을 구성하며, 중요한 류코트리엔으로는 류코트리엔 B4(LTB4), 류코트리엔 C4(LTC4), 류코트리엔 D4(LTD4) 및 류코트리엔 E4(LTE4)가 있다. 이들 류코트리엔의 생합성은 효소 5-리폭시게나제가 아라키돈산에 대하여 작용하여 류코트리엔 A4로서 알려진 에폭사이드(epoxide)를 생성시킴으로써 시작되며, 이것은 연속적인 효소반응 단계에 의해 다른 류코트리엔(LTB4, LTC4, LTD4, LTE4)으로 전환된다. 그 중 시스테인 류코트리엔(cysteinyl leukotrienes; LTC4, LTD4, LTE4)은 가장 강력한 기관지 수축작용과 호산구 증가를 유도하는 물질이다(Barnes PJ, et al., Pharmacol. Rev., 50, p515-596, 1998).
호산구 역시 다량의 시스테인 류코트리엔을 생산하므로 이들의 기도 조직 및 기관지폐포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에서의 증가는 천식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Underwood DC,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154, p850-857, 1996). 그러므로 호산구를 억제하는 것은 천식의 한 염증 치료에 중요한 부분이다. 천식의 염증반응은 염증세포로부터 생성되는 IL-4, IL-5 및 IL-13 등의 사이토카인들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Gani, F. et al., Tecenti. Prog. Med., 89, p520-528, 1998)
이와 같이 천식은 여러 화학매체와 사이토카인 및 염증세포 등이 관여하는 복합 질환이기 때문에 한 가지 사이토카인이나 화학매체나 단일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는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기도 알레르기인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에 의한 기도과민성 질환으로 일반 염증 반응인 Th1 림프구와 호중구에 의한 반응이 아닌, Th2 림프구와 호산구에 의한 알레르기 염증 반응이다.
따라서 현재 개발 중에 있는 천식 치료제들의 경우, 대부분 사이토카인 항체, 즉, IL-2 항체, IL-5 항체 또는 IL-8의 길항 사이토카인, 항 IgE 항체 등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들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키는 물질들에 불과하며, 대부분 이들 물질은 저분자 단백질로서 이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및 지속적인 사용 불가능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천식 치료제로서 새로운 개념인 즉, 면역 관용을 통한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천식의 치료를 면역관용(immune tolerance) 기작으로 치료하기 위한 연구들이 지속되고 있는데, 특히 면역관용은 사이토카인 중 IL-10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인터루킨-10을 천식 치료제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인터루킨은 단백질로서 장기간 투여 시 이종 단백에 대한 면역반응이 발생하여 약효가 격감되는 문제가 있거나 또는 항원-항체 반응이 발생하여 다른 장기에 악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기도 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IL-10 자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이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통한 치료방법의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의 천식 치료 효과가 면역관용을 통한 기작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를 대상으로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부터 폐를 분리한 후, IL-10의 mRNA의 발현 정도를 RT-PCR을 통해 분석하였고, 나아가 마우스의 기관지혜포세척액 내 사이토카인의 양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IL-10의 mRNA 발현량이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 참조). 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4의 발현량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루킨-감마의 발현량은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RNA 수준이 아닌 단백질 수준에서의 상기 사이토카인 양을 분석한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IL-4 및 IL-5의 양은 소자 추출물 처리군이 소자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천식 유발 마우스 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IL-10 및 인터페론-감마의 양은 소자 추출물 처리군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소자 추출물이 천식 질환에서 IL-10의 생성 촉진을 통한 면역관용 기작을 통해 천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알레르기 질환의 면역학적 발생기전은 주로 “hygiene hypothesis(위생가설, Th1/Th2 반응의 불균형)”로 설명하고 있다. 정상적으로 Th1 반응과 Th2 반응은 서로 길항작용을 하면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지만, 기관지천식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Th1 반응이 감소되고, Th2 반응이 항진되는 면역체계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이 핵심적인 요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Mosmann TR, et al., J Immunol. 136:2348-57.1986).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에서는 IL-4, IL-5, IL-13에 의한 비정상적인 Th2 면역반응으로 호산구성 염증을 초래하며, 호산구 염증에서 Th1과 Th2 사이토카인은 서로 길항작용을 하며, 선택적인 Th2 반응의 억제가 알레르기 염증을 억제하는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Wilson MS, et al., J Exp Med 202:1199-212, 2005; Park Y,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108:570-6, 2001).
또한, Th1 세포와 Th2 세포로의 분화를 결정하는 인자로는 항원제시세포와 T 세포와의 상호작용, 노출된 항원의 양, 사이토카인의 분비 양상 등 여러 요인이 있는데, 이 중 사이토카인은 Th1/Th2 반응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Th2 반응을 증가시키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은 IL-4가 있으며, Th1 반응을 증가시키는 사이토카인으로는 IL-12가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자 추출물이 IL-10의 생성을 통한 면역 관용 효과와 함께 Th2 림프구에 의한 반응을 일반적인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Th1 림프구로의 반응 전환(유도)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에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한 후, Th1 림프구에 의한 반응을 주도하는 항체인 IgG 항체와 Th2 림프구에 의한 반응을 주도하는 항체인 IgE 항체 수준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소자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난황 특이 IgE 항체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IgG 항체, IgG1 항체, IgG2a 항체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7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이 알레르기 면역반응인 Th2 반응은 억제하고 면역 관용을 유도하여 근본적인 천식 치료 효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IL-10의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관용 유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소자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소자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며, 상기 소자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공지의 추출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는데, 특히 당업계에 공지된 용매 추출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유기용매로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이외에도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및 환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물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소자와 물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소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물을 1배~10배로 첨가할 수 있다.
추출 시 온도는 상압 하의 실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시간은 추출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1시간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3시간 추출한다. 또한, 추출시 교반기(shaker)로 교반할 경우에 더욱 추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되는 소자는 수확한 후 세척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조방법으로는 양건, 음건, 열풍건조 및 자연 건조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소자는 그 건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소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천식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자 추출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0.1 ~ 1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0.5 ~ 60mg/day/체중kg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천식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에 대한 천식 개선 및 치료 효과 결과를 토대로 천식 치료를 위한 소자 추출물의 최적 처리양을 확인해 보기 위해, 천식 마우스 동물 모델을 대상을 분말화된 소자 추출물을 0, 0.5, 10, 25, 50, 100mg의 양으로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이를 감자를 이용하여 섭취하게 하였고, 기도 저항성 정도의 측정으로 천식 치료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자 추출물의 섭취량에 따른 천식 증상의 개선 정도를 확인한 결과, 흥미롭게도 25mg의 양으로 섭취시킨 군이 천식 개선정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뒤로 50mg, 100mg, 10mg 및 0.5mg의 순으로 나타났다(도 5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천식 치료효과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소자 추출물의 최적 섭취량은 15~35m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30mg, 더욱 바람직하게는 25mg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식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식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천식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소자 추출물은 천연물인 소자로부터 수득한 추출물로서 체내 다른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은 천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천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용 조성물은 천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천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원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천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술한 것 이외에 본원발명의 천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천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음료의 경우, 100ml를 기준으로 0.001g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01g 내지 0.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소자 추출물의 제조
소자(Perillae semen)를 시중에서 구매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480g의 분쇄된 소자에 물을 1 L 첨가하고 중탕하여 농축하여 소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마우스 동물모델 실험을 통한 소자 추출물의 천식 치료 효과 규명
<2-1> 소자 추출물의 기도 저항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소자 추출물이 천식을 치료할 수 있는지 그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소자 추출물이 기도 내에서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려고 천식 마우스 모델을 제작하였다. 즉, 6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난황 감작시켜 천식 유도 마우스 모델을 만들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난황 20㎍을 100㎕의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동일한 부피의 Imject Alum 복합체를 첨가하였고, 이러한 난황 액 200㎕를 상기 마우스의 복강 내에 주사하였다. 이후 실험 21일째부터 23일째까지 2% 난황을 연무기(neubilizer, Pari-Inhaler Boy)를 이용하여 매일 10분씩 국소 감작시켜, 천식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험 23일째부터 25일째까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자 추출물 을 냉동 건조분말로 제조한 다음,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50mg의 소자 추출물을 감자를 이용하여 마우스에 섭취하도록 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소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생리식염수를 감자와 함께 섭취하게 한 천식 유발 마우스 군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소자 추출물이 기관지 천식의 특징인 기도과민 반응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기도폐쇄로 인해 유발되는 기도 저항성 정도를 측정하였는데, 기도 저항성 측정은 26일째 소자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2%의 난황을 10분간 흡입시켜 난황 감작 시킨 후, 2.5 mg/ml에서부터 점차 농도를 증가시켜 25mg/ml까지의 메타콜린을 각 마우스 군에 2분간 흡입시킨 후, 기도 저항 정도를 OCP-3000(Allmedicus, Anyang, Korea)을 이용하여 Penh(enhanced pause)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식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투여하고 기도 과민성을 유발시킨 경우, 소자 추출물 대신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기도 저항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약 3배 정도 기도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소자 추출물이 천식 치료 효과에 뛰어난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2> 소자 추출물의 기도 내 염증 억제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실험군 마우스와 대조군 마우스(천식 유도 마우스에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소자 추출물 대신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군)를 대상으로 마취 후 각 마우스의 흉부를 절개하여 기도를 분리한 다음, 폴리에틸렌 튜브를 삽입하고, 1ml의 생리 식염수를 상기 튜브를 통해 기도로 주입시킨 후 폐를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기관지 폐포 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iude ,BALF)을 수집하였다. 이어 상기 수집한 기관지 폐포 세척액 총 1.8ml을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분리하고 세포자동 도말장치인 사이토스핀(cytospin)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이를 라이트 김사(Wright-Giemsa) 염색을 수행한 다음, 광학현미경으로 × 400 배율 시야에서 100개의 세포수를 계측하여 침윤된 호산구의 숫자를 산출하였다. 또한, 중성구와 마크로파지도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여 세포수를 계측하였다.
실험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난황 감작으로 인한 기관지 폐포로 침윤된 염증세포 전체 수뿐 아니라 호산구의 숫자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3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자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천식마우스 군(대조군)에 비해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천식 마우스 군의 경우, 기관지 폐포로 침윤된 마크로파지의 숫자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산성 백혈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소자 추출물이 천식을 유발시키는 기도 내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3> RT - PCR 을 통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발현 분석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소자 추출물이 천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 조절을 통해 이뤄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2-2>의 실험에 사용된 각 마우스들의 폐를 분리하여 mRNA를 추출하였다. 이후, Diastar RT-kit를 사용하여 각 마우스의 폐로부터 추출한 mRNA 3㎍을 IL-4, IL-10, IFN-γ를 증폭할 수 있는 각각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RT-PCR 수행 결과를 통해 IL-4는 399bp, IL-5는 313bp, IFN-γ는 460bp에서 IL-10은 300bp에서 각각 증폭된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RT-PCR을 위해 사용한 프라이머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또한 PCR 반응 조건은 GAPDH는 58℃에서 1분, 72℃에서 40초간 어닐링 하는 방법으로 35cycle을 시행하였고, IL-4, IFN-γ, IL-10는 94℃에서 1분, 56℃에서 1분 72℃에서 2분간 어닐링, 72℃에서 10분간 연장반응을 35cycle 시행하였다. DNA thermal Cycle 480(Perkin ElmerNorwalk, USA)을 이용하여 PCR을 시행하고 결과 산물을 전기 영동하여 IL-4는 399 bp, IFN-γ는 460 bp에서 1L-10 300 bp에서 각각의 band를 확인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유전자명 방향 프라이머 서열 어닐링 온도 사이클
IL-4 정방향 5'-ATGGGTCTCAACCCCCAGCAT-3' 56℃ 35
IL-4 역방향 5'-GCTCTTTAGGCTTTCCAGGAAGTC-3'
IFN- 정방향 5'-TGAACGCTACACACTGCATCTTGG-3' 56℃ 35
IFN- 역방향 5'-CGACTCCTTTTCCGCTTCCTGAG-3'
IL-10 정방향 5'-AGCTGGACAACATACTGCTAACC-3' 56℃ 40
IL-10 역방향 5'-TCATTCATGGCCTTGTAGACAC3-3'
GAPDH 정방향 5'-TCTACCCACGGCAAGTTCAA-3' 58℃ 35
GAPDH 역방향 5'-GGATGACCTTGCCCACAGC-3'
실험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IL-4의 사이토카인 발현양을 대조군에 비해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발현양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IFN-γ와 IL-10의 발현양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소자 추출물 처리 군)에서 발현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이 IL-10 사이토카인의 생성 촉진을 통한 면역 관용(immune tolerance)으로 천식을 예방, 억제 및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2-4> 단백질 수준에서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2-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 추출물의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 저해 활성을 PCR 방법을 통해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발현된 사이토카인의 발현 정도를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예 <2-2>의 실험에서 사용된 각 마우스들로부터 기관지폐포세척액을 채취한 후 -70℃에 보관하였다가 사이토카인 IL-4, 5, 10 및 INF-γ을 Quantikine kit를 이용하여(R&D Systems) 면역효소법으로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면역효소용 96-microwell plate에 well당 50 ㎕의 분석 희석액 RD1을 넣고 플레이트를 커버로 덮은 다음 상온에서 방치한 후 제거한 다음, 각각의 샘플을 실온에서 2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세척용 버퍼로 5회 세척한 후 각각의 마우스 사이토카인-접합체(congugate)를 100㎕씩을 각 웰에 첨가하고 3시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다시 세척액으로 3회 세척하고 기질 100 ㎕씩 넣고 30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3회 세척하고 반응정지 용액을 첨가한 후, 잘 혼합시켰다. 이후 30분 정도 둔 후분광광도계(BEP II plus, Germany)로 흡광도(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때 상기 기관지폐포세척액은 상기 각 마우스들을 케타민으로 마취하고, 흉부를 절개한 후 기도를 분리하였으며, 기도를 조금 절개하여 폴리에틸렌 튜브를 삽관하였다. 이후 1 ㎖의 생리식염수를 주입시킨 후 폐를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기관지폐포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천식이 유발된 마우스군(소자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IL-4와 IL-5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IL-10과 INF-r는 소자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월등히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소자 추출물이 조력 림프구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IL-10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하여 Th2 알레르기 반응은 억제되고 반대되는 Th1 반응은 활성화시켜 기도과민성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염증세포 억제를 통해 염증 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소자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천식 치료효과 분석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수득한 소자의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천식 마우스에 처리하여 최대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소자 추출물의 투여 농도를 살펴보았는데,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행한 것과 같이 천식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건조분말의 소자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각각 용량을 달리하여 용해한 후 이를 감자와 함께 마우스에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각 섭취용량은 0, 10, 25, 50, 100mg의 양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섭취하게 하였다. 이후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기도 저항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자 추출물의 섭취량을 달리하여 천식 증상의 개선 정도를 확인한 결과, 흥미롭게도 25mg의 양으로 섭취시킨 군이 천식 개선정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뒤로 50mg, 100mg, 10mg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천식 치료효과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소자 추출물의 최적은 25mg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소자 추출물이 알레르겐 특이 감작 IgE 항체 및 IgG 항체 생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에 의한 기도 과민성 질환이다. 즉, 알레르겐의 노출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일반염증은 IgG 항체가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알레르기 염증은 IgE 항체가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이 이러한 IgG 항체 및 IgE 항체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2>에서 사용한 각 마우스들을 대상으로 마우스의 심장을 천자하여 혈액을 채취한 후 -70℃에 보관하였다가 난황 특이 IgE, IgG1과 IgG2 항체의 수준을 면역효소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면역효소용 96-microwell plate에 5 ㎍/㎖의 난황을 웰 당 20 ㎕씩 넣고 플레이트로 덮은 후, 4℃에 하룻밤 방치하였다. 난황 용액을 제거한 후 PBS(phosp- hate buffered solution)에 녹인 1% BSA 300 ㎕를 각 웰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였다. 이후 PBST(PBS containing 0.05% Tween 20)로 3회 세척한 후 마우스 혈청 100 ㎕를 웰 에 넣고 1시간 실온에 방치하고, PBST로 다시 3회 세척하고 이차 항체로 희석한 Biotin-conjugated rat anti-mouse IgE 단클론 항체(2 ug/ml in PBS-1% BSA)를 100 ㎕씩 넣고 1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였다. 이후 PBST로 3회 세척하고 PBS-1% BSA로 1:1000 희석한 Av-HRP를 100 ㎕씩 넣고 30분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시켰다. 이후 다시 PBST로 3회 세척하고 ABTS를 0.1M citric acid에 녹인 기질 완충액에 30% H2O2를 첨가하여 100 ㎕씩 넣고 30분 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였다. 발색제로 40% SDS를 200ml DMF(N.N-dimethyl formamide)에 녹인 SDS/DMF용액 50 ㎕을 첨가한 후 분광광도계로 405 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하였으며, 난황 특이 IgG1 및 IgG2 항체도 상기와 같은 면역효소법으로 동일하게 측정하였으며, 단 2차 항체의 농도는 각각 1:10000으로 PBS 용액을 이용하여 희석한 것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을 처리한 천식 유발 마우스 군은 소자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천식 유발 마우스 군에 비해 난황 특히 IgE 항체의 생성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IgG, IgG1 및 IgG2의 생성 정도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소자 추출물이 Th2 림프구의 반응인 천식을 일반적인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Th1 림프구로의 반응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궁극적으로 Th2 사이토카인에 의해 발생되는 알레르기 천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추출물은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0.5~60mg/g bwt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4 및 IL-5의 생성은 억제시키고, IFN-γ와 IL-10의 생성은 촉진시켜 면역관용을 통해 천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추출물은 IL-10의 생성 촉진을 통해 Th2 림프구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은 억제시키고, Th1 림프구에 의한 반응을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Th2 림프구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억제는 소자 추출물의 IgE 항체 생성 억제활성을 통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Th1 림프구에 의한 반응 유도는 소자 추출물의 IgG, IgG1, IgG2a 항체 생성 촉진 활성을 통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IL-10의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관용 유도제.
  9. 소자(Perillae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20137871A 2011-12-02 2012-11-30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2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10331 WO2013081425A1 (ko) 2011-12-02 2012-11-30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205 2011-12-02
KR20110128205 2011-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245A true KR20130062245A (ko) 2013-06-12

Family

ID=4886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871A KR20130062245A (ko) 2011-12-02 2012-11-30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2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428A1 (ko) * 2018-03-16 2019-09-19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428A1 (ko) * 2018-03-16 2019-09-19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US11559555B2 (en) 2018-03-16 2023-01-24 Helixmith Co., Ltd. Crude 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983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RU2423139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Actinidia,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US2010011192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10042334A (ko) 상기도감염, 스트레스, 불안, 기억력 및 인지기능장애, 및 노화를 위한 프로바이오틱 균주
JP2019511521A (ja) キツネノマゴ抽出物を含む呼吸器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薬学的組成物
KR101761285B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80175888A1 (en)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Actinidia and Steroids and Uses Thereof
KR20130032629A (ko) 오디 유래의 감염성 비만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30062245A (ko)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1148B1 (ko) 유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WO2013081425A1 (ko) 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3063941A (ja) 過敏性腸症候群の予防又は改善剤
AU2010316120B2 (en) Antivir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leurites fordii or Daphne kiusiana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7821B1 (ko) 육계와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154284B1 (ko)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101894657B1 (ko) 맥문동과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30062246A (ko)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7679A (ko) 땅두릅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조성물
JP2015010041A (ja) 抗アレルギー剤
KR20230033937A (ko) 도라지 및 구절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140075065A (ko)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활성 증강용 조성물
KR20200128478A (ko) 우르솔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톡소포자충증의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10076053A (ko) 스페니쉬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여름세이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50210A (ko)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