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210A -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210A
KR20160150210A KR1020150087293A KR20150087293A KR20160150210A KR 20160150210 A KR20160150210 A KR 20160150210A KR 1020150087293 A KR1020150087293 A KR 1020150087293A KR 20150087293 A KR20150087293 A KR 20150087293A KR 20160150210 A KR20160150210 A KR 2016015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extract
true
asthma
decr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득실
박대훈
위안진
박화식
정보미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5008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50210A/ko
Publication of KR2016015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 추출물은 난백알부민(ovalbumin)으로 유도된 다양한 천식증상을 억제하거나 없애는 역할을 하였다. 즉 BALF와 혈청에서 백혈구와 호산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점액분비 감소, 상피세포 증식억제, eosinophil 침윤, 세포표면인자(CD3+, CD4+, CD8+, MHC class II+) 조절, Th1/Th2 세포 전사인자(T-bet, GATA-3) 조절, Th1 세포관련 싸이토카인(IFN-γ, IL-12p40)과 Th2 세포관련 싸이토카인(TNF-α, IL-4, IL-5, IL-6, IL-13)의 감소 등을 유도하였다. 특히 IL-5과 IL-6, IL-13의 발현은 거의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 추출물은 현재 사용되는 천식치료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고, 독성이 없으면서 치료효과가 탁월한 화합물로서 천식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sthmatic disease comprising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extracts}
본 발명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천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발전에 따라 최근 생활환경이 오염되고 식생활이 변화되면서 다양한 알레르기성 질환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알레르기성 질환 중에서도 특히 천식의 발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천식은 만성 기도염증 및 기도과민성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으로, 대기오염물질, 황사, 알러젠(allergen)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천식은 성인보다는 소아에서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습관의 변화 및 서구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천식이 발병하는 기전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전 중에 Th2(T helper type 2) 타입의 면역반응이 항진되어 이에 따라 인터루킨(interluekin)-4, 5, 13 등의 분비가 증가하며, 이러한 반응과 연계하여 호산구를 비롯한 많은 염증세포들이 폐조직 내로 이동 및 침윤하게 된다. 또한 염증세포들은 다양한 전염증인자 및 화학주성인자들을 방출하여 염증반응을 더욱 악화시키며, 기도 내 배상세포의 점액분비를 증가시키고, 기도과민성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반응으로 인하여 천식환자들은 호흡곤란, 청색증, 및 흉통 등의 임상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현재, 천식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은 스테로이드제제, 기관지확장제 또는 항생제 등이 있다. 스테로이드 제제와 항생제의 경우, 면역반응 및 염증반응 억제를 통하여 천식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기관지 확장제의 경우, 호흡곤란 등의 임상증상 발현 시에 이를 상쇄시킴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면역억압, 골수생성억제 등의 부작용을 비롯한 항생제 내성, 그리고 장기사용 시 부작용이 발견되어 천식치료제로서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들을 극복하고 독성이 적으며, 치료효과가 탁월한 천연물 혹은 새로운 화합물의 개발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참바늘버섯(Mycoleptodonoides aitchisonii)은 일명 침버섯이라 불리우며 과일향이 나는 식용버섯의 일종으로, 자실체는 버섯자루가 없고 유연한 육질이나 마르면 강인해지고, 균모는 부채꼴 또는 주걱꼴인데 다수 중생이며, 표면은 민등하고 백색 또는 담황색이며 가장자리는 이빨모양이다. 균사는 후막과 박막의 2 균사형이고, 하면의 자실층막은 바늘버섯형이고 바늘은 뽀족하고 길이는 3~10 mm로 마르면 황등색이 된다. 참바늘버섯은 혈압강화작용, 혈당강화작용, 뇌기능개선효과, 항암, 항당뇨작용 등의 약리적 효능과 함께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한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도 강원도와 제주도 등의 참나무 등 활엽수의 고목에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참바늘버섯에 대한 효능은 현재까지 주로 항암, 항당뇨 효과에 대하여 연구가 논의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안전하며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항천식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참바늘버섯 추출물이 항천식 효능을 가진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천식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질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참바늘버섯은 참바늘버섯의 자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천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참바늘버섯 추출물은 통상의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참바늘버섯 자실체를 5 내지 15 중량배의 증류수에서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5 내지 10 시간 동안 2회 추출한 다음 감압여과한 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침지시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은 난백알부민(ovalbumin)으로 유도된 다양한 천식증상을 억제하거나 없애는 역할을 하였다. 즉 BALF와 혈청에서 WBC와 eosinophil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점액분비 감소, 상피세포 증식억제, eosinophil 침윤, 세포표면인자(CD3+, CD4+, CD8+, MHC class II+) 조절, Th1/Th2 세포 전사인자(T-bet, GATA-3) 조절, Th1 세포관련 싸이토카인(IFN-γ, IL-12p40)과 Th2 세포관련 싸이토카인(TNF-α, IL-4, IL-5, IL-6, IL-13)의 감소 등을 유도하였다. 특히 IL-5과 IL-6, IL-13의 발현은 거의 억제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천식"은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로, 때때로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는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천명(쌕쌕거리는 거친 숨소리) 등이며, 좁아진 기관지를 짧은 시간 내에 완화시키는 증상 완화제(기관지 확장제) 또는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을 억제하여 천식발작을 예방하는 질병 조절제(항염증제, 류코트리엔 조절제) 등이 대표적인 치료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식은 기관지성 천식, 알러지성 천식, 아토피형 천식, 비아토피형 천식, 운동유발 천식, 아스피린 천식, 심인성 천식 또는 폐포성 천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천식은 Th1/Th2 세포의 불균형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만성호흡기 질환이다. T-bet은 Th1 세포의 전사인자이며 IFN-γ, IL-12p35, IL-12p40 등 Th1관련 싸이토카인을 생산한다. 그 중 IFN-γ는 T-bet에 의해 생산되면서 동시에 T-bet의 발현을 돕는 positive feedback의 역할을 한다. IL-12는 Th1 세포와 Th2 세포의 균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p35와 p40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Th1 세포가 관여하는 IgG1a의 활성과 Th 세포의 움직임을 촉진한다. GATA-3는 Th2 세포의 전사인자이며 IL-4, IL-5, IL13 등 Th2관련 싸이토카인을 생산한다. IL-4는 GATA-3에 의해서 생산되며 positive feedback으로 GATA-3의 생산을 촉진한다. IL-5은 eosinophil 증시에 영향을 미치며 IL-13은 IL-4와 함께 B 세포 활성화와 IgE 증식을 유도한다. IL-6과 TNF-α는 proinflammatory 싸이토카인의 하나이다. IL-6는 CD4+ 세포(helper T 세포)의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천식조절에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TNF-α는 비만세포에 의해서 생산되며 smooth muscle contraction, neutrophil/eosinophil attractions, T 세포 활성화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 추출물은 기관지 또는 혈관 주위의 염증세포 수를 감소시키거나 기관 지상피의 배상세포의 점액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이 본 발명에 의해 확인되었다. 천식환자들에게서 기관지 폐포 세척술을 수행하여 기도 염증을 확인한 결과,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는 림프구, 비만세포, 호산구 및 활성화된 대식세포 등이 증가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천식이 기도 염증 질환이라고 일반화되고, 여러 염증 세포들이 대부분 활성화되어 각종 매개물질들을 분비하여 천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염증세포의 감소는 천식의 치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ley KJ,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8;158:565-72). 한편, 천식은 기도의 협착 및 기관지에 염증성 세포의 침윤과 더불어 고블렛(goblet) 세포가 형성되어 점액을 분비하며 콜라젠의 침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므로, 기관지의 점액 분비량의 증가 또한 천식 증상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H&E(Hematoxylin & Eosin) 염색을 통해 폐조직 내 염증을 관찰하고, PAS(periodic acid Schiff) 염색을 통해 기관지 내 점액분비량을 관찰한 결과, i) 천식유발군의 기관지 및 혈관 주위에 광범위한 염증세포의 침윤이 관찰된 반면, 참바늘버섯 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기관지 및 혈관 주위의 염증세포의 침윤이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ii) 천식유발군에서는 기관지상피의 배상세포에서 점액분비의 증가가 관찰된 반면, 참바늘버섯 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기관지상피의 배상세포의 점액분비가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 또한 상기 참바늘버섯 추출물이 천식의 치료에 유효함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천식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에 의해 천식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체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체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인간,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개체에나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의 방식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참바늘버섯 추출물 및 천식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천식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에 포함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조절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04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3 g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천식의 의심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식의 의심 개체는 천식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천식 의심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개체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천식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천식 의심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상기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 추출물은 난백알부민(ovalbumin)으로 유도된 다양한 천식증상을 억제하거나 없애는 역할을 하였다. 즉 BALF와 혈청에서 백혈구와 호산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점액분비 감소, 상피세포 증식억제, eosinophil 침윤, 세포표면인자(CD3+, CD4+, CD8+, MHC class II+) 조절, Th1/Th2 세포 전사인자(T-bet, GATA-3) 조절, Th1 세포관련 싸이토카인(IFN-γ, IL-12p40)과 Th2 세포관련 싸이토카인(TNF-α, IL-4, IL-5, IL-6, IL-13)의 감소 등을 유도하였다. 특히 IL-5과 IL-6, IL-13의 발현은 거의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 추출물은 현재 사용되는 천식치료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고, 독성이 없으면서 치료효과가 탁월한 화합물로서 천식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비장세포 증식을 관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BALB/c mouse에 대한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항천식 효능 평가하기 위한 동물실험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 및 4는 각각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BALF의 백혈구(WBC) 및 호산구(Eosinophil)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BALF의 IgE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폐조직의 변화를 H&E Stain을 이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도 7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폐조직의 변화를 PAS stain을 이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도 8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CD3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9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CD4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CD8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1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CD19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2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MHC class II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3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T-bet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4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GATA3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5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FN-γ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6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12p35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7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12p40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8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TNF-α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9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4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20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5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21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6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22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13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참바늘버섯 추출물 제조
전라남도완도수목원(완도,한국)에서 제공한 신선한 참바늘버섯 자실체를 열풍건조하고 분말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참바늘버섯 자실체 시료 10g을 10배수 중량의 증류수에 넣고, 50 ℃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Whatman No. 1 여과지를 사용하여 감압여과한 후 여과액에 2배수의 EtOH를 넣어 25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침지액을 5500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따로 보관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고, 침전물은 그대로 회수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시험예 1>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비장세포에 대한 면역조절능 평가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농도별 세포 분화(cell proliferation)을 측정하기 위하여 ICR mouse의 spleen을 채취하여 splenocyte로 extraction 후 3-(4,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spleen을 채취해서 cell room의 clean bench에서 spleen의 끝을 찢어주어 RPMI를 쏴서 spleen안에 들어있는 cell 들을 아래로 흘러가게 하였다. 5~7번 정도 위아래 바꿔주면서 실시하였다. 그 후 3 min, 1000 rpm에서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RBC buffer 1mL을 넣고 suspension하였다. 다시 3 min, 1000 rpm에서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 제거하고 RPMI 배지를 넣고 suspension 후 cell counting을 실시하였다. cell counting 후 96-well plate에 각 1X105 cells/well로 seeding하였다. 그 후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군(0, 1, 10, 50, 100, 500, 100 ㎍/mL)과 Lipopolysaccharide (LPS), concanavalin A (con A), pokeweed mitogen (PWM) 각각 5 ㎍/mL으로 제조 후 100 ㎕씩 treatment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MTT (5 mg/mL)시약을 10 ㎕씩 넣어 4hr 동안 자극 후 plate를 invert하여 배지를 모두 털어주었다. DMSO를 100 ㎕씩 넣어주고 암조건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 570nm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비장세포 증식을 관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농도별로 splenocyte에 처리하였을 때 cell proliferation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100 ㎍/mL에서 가장 증가하였고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시험예 2> BALB/c mouse에 대한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항천식 효능 평가
(1)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실험동물을 ovalbumin으로 천식을 유도한 후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항천식 효능을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i) 실험동물
실험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풍부한 시험 기초 자료가 축적되어 있어, 시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에 참고할 수 있으며 관련문헌에 근거하여 특정병원체 부재(SPF) mouse인 BALB/c mouse를 선택하였다. 동물 수는 시험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충분한 수로 산정하며 투여물질에 따라 총 6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당 8마리씩 산정하였다. 산정 기준은 부검 시 4마리는 BALF 채취, 4마리는 폐 조직을 얻기 위함이다.
(ii) 실험방법
동물실험일정(도 2 참조)은 동물 입수 후 시험을 실시하는 동물실 내에서 순화기간을 가지고 매일 1회 이상 관찰하였다. 시험군은 순화기간 중 건강한 것으로 판정한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여 순위화하고 각 군의 평균체중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시험군을 무작위 분배하여 군분리하였다. 각 그룹은 control, 난백 알부민 야기대조군(OVA), 양성대조군(Dexamethasone, Dex), 참바늘버섯 추출물 10 mg/kg, 100 mg/kg, 1000mg/kg 으로 총 6그룹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은 순화기간 후 2주간 1주 1회 복강주사로 OVA를 감작한다. 3주째부터 5일 동안 오전에 양성대조물질과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경구투여하고, 오후에 5 % OVA solution inhalation을 실시하였다. 투여액량은 실험동물 체중(g) 당 28 ㎕를 경구투여하였고 감작은 체중과 상관없이 마리당 일정량을 투여하였다. 5일 동안 투여 후 그 다음날 부검을 실시하였다.
(iii) 투여방법
(가) 복강투여: 관련문헌에 근거하여 난백 알부민(OVA) 20 ㎍ + alum hydrate 1 mg + normal saline 500 ㎕/head 로 투여하였다. 투여해야할 동물 마리수를 총 50 마리로 계산하여 OVA 1000 ㎍ + alum hydrate 50 mg + normal saline 25 mL로 환산하여 조제하였다. 주 1회로 2주간 복강주사로 감작시키고 1 mL Syringe를 이용하여 주사하였다.
(나) 경구투여: control과 야기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하고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고농도는 200 mg의 참바늘버섯을 칭량하여 5.6 mL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중농도는 20 mg의 참바늘버섯을 칭량해 5.6 mL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키고, 저농도는 참바늘버섯 2 mg을 칭량해 5.6 mL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Dexamethasone은 생리식염수에 넣고 vortexing하여 용해시켜 최종 투여 액량에 맞게 조제하였다. 모든 조제는 투여 당일 조제한다.
(다) Inhalation: OVA 1 g + normal saline 20 mL (5% OVA Solution)로 만들어 voltexing하여 투여하였다. neublizer (OMRON, NE-U17)를 사용하여 5일 동안 강제 흡입을 실시하고 흡입챔버(inhalation exposure chamber)를 이용하여 전신노출 시켰다.
(2) 실험 분석 방법
(i) 체중변화량: 시험기간 중 주 2회 측정하였다.
(ii) 주간 사료섭취량: 시험기간 중 3일 1회 측정하여 1주일 단위로 평균하였다.
(iii) BALF 채취: 마취가 된 실험동물을 pincette으로 조직을 벌려 기관을 확보 후 수술실을 밑으로 넣어주어 느슨히 묶어주고 Scissor로 기관을 살짝 자른 후 Needle을 제거한 주사기에 PBS 0.2 mL을 넣고 존데에 꽃은 후 주입하였다. 주입 후 다시 PBS를 빨아들이면서 BALF를 채취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0.2 mL 씩 3번 BALF를 채취하였다. 첫 번째 BALF는 1번 튜브로 넣고 두 번째, 세 번째 BALF는 2번 튜브에 넣었다.
(iv) 조직의 보관: 부검 시 1/2은 액체질소에 넣어 급속동결한 후 초저온냉동고 혹은 액체질소통(약 -75˚c)에 보관하여 PCR/western blot용으로 활용하고, 1/2은 10% 포르말린 용액에 보관하여 조직병리 및 immunohistochemistry (IHC)용으로 활용하였다
(3) 시료분석 및 결과
(i) BALF의 혈구분석
첫 번째 채취한 BALF는 1번 튜브, 두 번째, 세 번째 채취한 BALF는 2번 튜브에 같이 넣었다. 1번 튜브는 5분간 3000 rpm에서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3번으로 옮긴 후 남은 pellet과 PBS 20 ㎕를 넣어 섞어주었다. 2번 튜브는 5분간 3000 rpm에서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버리고 pellet과 PBS 60 ㎕를 넣어 섞어준 후 1번의 20 ㎕와 섞어 총 80 ㎕로 혈구분석기(Hemavet 950FS, Drew Scientific Inc, Korea)를 활용하여 혈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3 및 4는 각각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BALF의 백혈구(WBC) 및 호산구(Eosinophil)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WBC가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4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Eosinophil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보다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추출물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100 mg/kg에서 DEX와 비슷하게 감소하였고 1000 mg/kg에서는 DEX보다 감소하였다.
(ii) BALF의 IgE 분석
IgE 분석을 위한 키트 및 장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도 5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BALF의 IgE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IgE가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000 mg/kg에서 DEX와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ii) H&E Stain
H&E Stain은 Hematoxylin & Eosin 염색법으로 조직 염색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염색법이다. Hematoxylin은 염기성으로 조직에서 인산기가 많이 들어있는 핵을 염색하기 위하여 사용이 된다. Eosin은 산성으로 염기성을 띠는 원자단과 결합하여 색을 내게 되는데 세포질, 세포벽 등의 세포의 바깥구조를 염색한다.
파리핀 제거 및 수화과정으로 Xylene 15분, 80% 알코올 1분, 90% 알코올 1분, 100% 알코올 1분의 과정을 실시하였다. 탈수과정 후 1차 증류수에 5분 동안 수세를 실시한 후 heamatoxylin에 1분 30초 동안 담가 염색하였다. 염색 후 조직이 파랗게 보일 때까지 1차 증류수에 15분간 washing을 실시하였다. 청명과정 및 탈수과정으로 95% 알코올 1분, Eosin 6분, 95% 알코올 1분, 95% 알코올 1분, 100% 알코올 1분, Xylene 6분 동안 한 후에 Mounting 과정으로 조직봉입을 실시하였다. 조직봉입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6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폐조직의 변화를 H&E Stain을 이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도 6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eosinophil, mucus, epithelial hyperplasia가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iv) PAS Stain
PAS Stain은 조직 내에는 polysaccharide, mucopolysaccharides, mucoprotein, glycoprotein 등이 존재하는데 이들 protein과 결합된 carbohydrate기가 periodic acid에 의해 산화되어 aldehyde 기를 생성하고 이것이 Schiff's reagent와 작용하여 붉은 자주색을 띄는 원리이다.
파라핀 제거 및 수화과정으로 Xylene 15분, 80% 알코올 1분, 90% 알코올 1분, 100% 알코올 1분의 과정을 실시하였다. 실시 후 10분 동안 0.5 % Periodic Acid Solution에 담가 조직을 산화시켰다. 산화 후 5분 동안 흐르는 수돗물에 수세하고 3분 정도 동안 1차 증류수로 가볍게 수세하였다. 수세 후 10분 동안 Schiff 시약에 담가 반응시킨 후 5분 동안 흐르는 수돗물에 수세하였다. 수세 후 1분 30초 동안 Hematoxylin으로 염색하고 다시 10분 동안 흐르는 물에 수세하였다. 수세 후 Mounting 과정으로 조직봉입을 실시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7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폐조직의 변화를 PAS stain을 이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도 7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mucus가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v) 면역조직화학염색법 (Immunohistochemistry)
면역조직화학염색법 (Immunohistochemistry, IHC)은 조직 내에 특정단백질이 만들어지면 이를 검사하는 염색법으로 항원항체가 일으키는 반응에서 예민성과 특이성을 이용하여 찾아보는 방법이다. 기본원리는 일차항체를 결합시키고 그 항체에 대한 이차항체를 붙게 만들어 보는 원리이다. IHC는 발현조직의 부위, 즉 형태(Morphology)를 검사할 수 있는데 조직의 어떤 부위에서 어떤 단백이 발현 되는지를 육안으로 분석할 수 있다.
파라핀제거 및 수화과정으로 Xylene 15분, 100% EtOH 3분, 95% EtOH 1분, 80% EtOH 1분, 1차 D.W로 3분 동안 수세하였다. 다음은 antigen retrival 과정으로 antigen retrival를 비커에 넣고 water bath 90 ℃에서 40분간 중탕하였다. 실온에서 5분간 방치 후 찬물(수돗물)에서 10분 식혔다. 수세는 TBS-T로 5분씩 3번 반복하고 TBS-T는 수세할 때 마다 바꿔주었다. slide의 조직주변을 조심히 닦은 후 3% H2O2를 피펫으로 뿌려준 후 10분간 반응시켰다. 수세는 TBS-T로 5분씩 3번 반복하였다. Immunoblocking을 하기 위하여 vector labratories Universal Quick KIT (Catalog No. PK-7800)에서 Blocking Serum 떨어뜨린 후 parafilm으로 덮어두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각 회사의 Datasheet에 맞게 Primary Antibody를 적정농도에 맞게 Blocking serum으로 희석하였다. Slide위에 Primary Antibody를 떨어뜨리고 parafilm으로 덮어두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TBS-T로 5분씩 3번 수세를 반복하고 vector labratories Universal Quick KIT에서 Biotinylated Secondary Antibody를 slide를 Kim-Wipes로 잘 닦아 준 후 Slide위에 떨어뜨리고 parafilm으로 덮어두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TBS-T로 5분씩 3번 수세를 반복한다. vector labratories Universal Quick KIT에서 streptavidin/peroxidase performed complex를 slide에 떨어뜨리고 5분간 반응시켰다. TBS-T로 5분씩 3번 수세를 반복한다. 수세 후 Chromogen Reaction으로 DAB Substrate Kit에서 A 1 mL +B 1 Drop 으로 제조 후 Slide에 떨어뜨린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조직의 발색정도를 관찰한 후에 갈색으로 변하기 전에 DW에 담궈 반응을 정지시킨 후 TBS-T로 5분씩 3번 수세를 반복하였다. 수세 후 Hematoxylin으로 7초간 대조염색을 실시하였다. 대조염색 후 D.W로 washing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TBS-T로 5분씩 3번 수세를 반복하였다. 수세 후 80% EtOH 1분, 90% EtOH 1분, 100% EtOH 3분, Xylene 15분 동안 한 후에 mounting 과정으로 조직봉입을 실시하였다. 봉입 후 현미경으로 확인한다.
도 8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CD3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8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CD3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100 mg/kg에서 DEX와 비슷하게 감소하였고 1000 mg/kg에서는 DEX보다 감소하였다.
도 9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CD4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9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CD4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0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CD8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CD8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100 mg/kg에서 DEX와 비슷하게 감소하였고 1000 mg/kg에서는 DEX보다 감소하였다.
도 11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CD19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1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CD19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크게 감소하지는 않았다.
도 12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MHC class II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2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MHC class II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100 mg/kg에서 DEX와 비슷하게 감소하였고 1000 mg/kg에서는 DEX보다 감소하였다.
도 13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T-bet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3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T-bet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4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GATA3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4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GATA3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5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FN-γ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5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IFN-γ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000 mg/kg에서 DEX와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도 16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12p35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6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IL-12p35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7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12p40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7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IL-12p40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크게 감소하지는 않았다.
도 18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TNF-α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8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TNF-α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9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4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19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IL-4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20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5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20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IL-5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100 mg/kg에서 DEX와 비슷하게 감소하였고 1000 mg/kg에서는 DEX보다 더 감소하였다.
도 21은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6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21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IL-6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100 mg/kg에서 DEX와 비슷하게 감소하였고 1000 mg/kg에서는 DEX보다 더 감소하였다.
도 22는 참바늘버섯 추출물에 의한 IL-13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22에서 보듯이, OVA에서 CON과 비교했을 때 IL-13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DEX는 CON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참바늘버섯 농도별 처리군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참바늘버섯 100 mg/kg에서 DEX와 비슷하게 감소하였고 1000 mg/kg에서는 DEX보다 더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 추출물은 난백알부민(ovalbumin)으로 유도된 다양한 천식증상을 억제하거나 없애는 역할을 하였다. 즉 BALF와 혈청에서 백혈구와 호산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점액분비 감소, 상피세포 증식억제, eosinophil 침윤, 세포표면인자(CD3+, CD4+, CD8+, MHC class II+) 조절, Th1/Th2 세포 전사인자(T-bet, GATA-3) 조절, Th1 세포관련 싸이토카인(IFN-γ, IL-12p40)과 Th2 세포관련 싸이토카인(TNF-α, IL-4, IL-5, IL-6, IL-13)의 감소 등을 유도하였다. 특히 IL-5과 IL-6, IL-13의 발현은 거의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바늘버섯 추출물은 현재 사용되는 천식치료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고, 독성이 없으면서 치료효과가 탁월한 화합물로서 천식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참바늘버섯이 참바늘버섯 자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087293A 2015-06-19 2015-06-19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KR20160150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293A KR20160150210A (ko) 2015-06-19 2015-06-19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293A KR20160150210A (ko) 2015-06-19 2015-06-19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210A true KR20160150210A (ko) 2016-12-29

Family

ID=5773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293A KR20160150210A (ko) 2015-06-19 2015-06-19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502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8462B2 (en) Compound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having anti-inflammation activity
US1075137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extract, fraction of same or compound separated from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RU2423139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Actinidia,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101495117B1 (ko)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585159B1 (ko)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0011192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160488B1 (ko)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2550970A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ory, allergic or asthma diseases, containing paprika extracts
KR20110061194A (ko) 탄닌산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4123B1 (ko) 활성아민 함유 봉독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식품 조성물
KR101604347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83096B1 (ko) 쿠퍼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급성 폐 손상 또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73198B1 (ko) 미네랄 이온 혼합물을 포함하는 천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6105A (ko)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50210A (ko) 참바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천식용 조성물
KR102288506B1 (ko) 아스파탐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296075B1 (ko) 볏 붉은잎 추출물의 신규 용도
KR20150089188A (ko) 능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22190A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36460A (ko)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612099B1 (ko) 흑미 호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450143B1 (ko) 타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954736B1 (ko) 동백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6583A (ko) 질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