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529A -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529A
KR20130061529A KR1020110127888A KR20110127888A KR20130061529A KR 20130061529 A KR20130061529 A KR 20130061529A KR 1020110127888 A KR1020110127888 A KR 1020110127888A KR 20110127888 A KR20110127888 A KR 20110127888A KR 20130061529 A KR20130061529 A KR 20130061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ireless terminal
change
synchronization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규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1529A/ko
Publication of KR2013006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단말기 간에 데이터(예컨대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를 실시간으로 동기화시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 무선단말기가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변동사항을 감지하고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고정장치로 송신한다. 그러면 고정장치는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일 무선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변동사항을 반영하고,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타 무선단말기로 전달한다. 이후 타 무선단말기는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변동사항을 반영한다. 이때 타 무선단말기는 고정장치로부터 전달된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 및 생성시간을 바탕으로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BETWEEN WIRELESS TERMINALS }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 간에 데이터(예컨대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를 실시간으로 동기화시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e), WDCT(Worldwide Digital Cordless Telephone),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방식 등의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DCP(Digital Cordless Phone)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코드없는 전화기가 지원한 발신자번호표시(CID), 단문메시지서비스(SMS) 외에도 MP3, 데이터 통신, 휴대폰에 입력한 기존 전화번호를 다운로드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고품질의 서비스를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무선전화기(DCP)의 휴대장치(이하, '무선단말기'라 함)는, 예컨대 본체(고정장치)에 한 대 이상의 무선단말기가 DECT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고정장치와 무선단말기는 각각 독립적인 운영체제와 메모리를 가지고 동작하면서 전화를 받거나 거는 등의 서로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할 때 DECT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일반적인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고정장치와 무선단말기 역시 각각 메모리에 전화번호부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무선단말기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으로는, 각 무선단말기별로 데이터를 보관하여 운영하는 방식(이하 '제1 방식'이라 함)과, 고정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해두고 무선단말기가 필요시마다 고정장치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는 방식(이하 '제2 방식'이라 함)이 있다.
제1 방식은 전화번호부, 통화목록(발신번호, 착신번호, 미착신번호 등) 등을 무선단말기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저장한다. 다만 SMS 송수신 목록은 각 무선단말기에 별도로 저장하거나, 고정장치에 일괄 저장하고 무선단말기가 필요할 때마다 고정장치에 접속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혹은 역으로 고정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제1 방식에 따르면, 전화번호부의 경우 각 무선단말기마다 동일한 전화번호를 별도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의 경우 각 무선단말기별로 달라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제2 방식은 제1 방식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개선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무선단말기의 메뉴에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고정장치에게 전송한다. 즉, 무선단말기에서 무선으로 고정장치에 연결한 후 전화번호 수신요청을 고정장치에게 전송하고, 고정장치에서 응답을 받으면 자신의 전화번호 정보를 고정장치에게 송신한다. 이후에 고정장치는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결함이 없는 경우 자신의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신완료를 해당 무선단말기에게 통보한다. 무선단말기는 수신완료 메시지를 받으면 다음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절차를 반복 수행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반복하여 무선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 전체를 고정장치로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에서는 고정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무선단말기에서 고정장치로 무선으로 연결한 후 전화번호 송신요청을 고정장치에게 전송하고, 고정장치에서는 이 요청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무선단말기에게 송신한다. 무선단말기는 이 전화번호 데이터를 받아 분석하여 처리한 후, 고정장치에게 다음 전화번호의 송신을 요청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반복하여 고정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 전체를 고정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제2 방식에 따르면, 무선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고정장치로 업로드하거나 고정장치로부터 전화번호를 무선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도중에, 만약 전화가 착신되면 이러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동작은 취소된 후 착신 모드로 전환된다. 그러나, 통화가 종료된 후 사용자는 다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과정을 시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는 전화번호가 많은 경우 전송시간이 길어져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모든 정보의 동기 및 공유 동작이 사용자의 의도 및 시도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정보의 생성과 정보의 동기가 분리되어 있고, 정보의 갱신이 생성시각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동기시각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갱신 후의 정보가 더 이전 정보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7472호(2010.04.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 간에 데이터(예컨대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를 실시간으로 동기화시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무선단말기 간에 데이터(예컨대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를 실시간으로 동기화시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 무선단말기가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변동사항을 감지하고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고정장치로 송신한다. 그러면 고정장치는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일 무선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변동사항을 반영하고,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타 무선단말기로 전달한다. 이후 타 무선단말기는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변동사항을 반영한다. 이때 타 무선단말기는 고정장치로부터 전달된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 및 생성시간을 바탕으로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도 있다.
여기서 데이터 식별자는 32비트 랜덤값에 무선단말기의 RF 주소인 IPEI(International Portable Equipment Identity)를 결합하여 만든 UUID(Unique Identity)이며, 데이터는 헤더에 UUID와, 생성시간 정보, 동기명령 정보 및 데이터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동기명령 정보는 데이터의 생성, 변경, 삭제 중 어느 하나이며, 데이터 타입 정보는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여러 대의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마치 하나의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는 것 같이 항상 동일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즉, 모든 무선단말기에서 동일한 전화번호를 통해 전화를 걸 수 있으며, 전화 발신내역, 수신내역, 미수신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에 신규로 무선단말기를 추가 등록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 없이 고정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신규 등록된 무선단말기로 일괄 전송함으로써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각 무선단말기는 각자의 데이터 저장소를 갖고 있지만, 항상 백그라운드로 고정장치의 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있어, 모든 사용자의 무선단말기 조작에도 MMI가 지연 없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단말기에서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장치에서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기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화번호부의 동기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경 이력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는 각 무선단말기별로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되, 각 무선단말기에서 생성, 변경, 삭제되는 모든 데이터를 고장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무선단말기들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데이터의 실시간 동기를 위해 무선단말기 및 고정장치별로 도1 및 도2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단말기에서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장치에서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동기화를 위해서 무선단말기(10)는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제1 변동사항을 감지하고 제1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고정장치(20)로 송신하며,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이는 타 무선단말기가 고정장치(20)로 송신한 데이터임)의 데이터 식별자(생성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음)를 바탕으로 제2 변동사항을 반영한다. 그리고, 고정장치(20)는 데이터 식별자(생성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음)를 바탕으로 일 무선단말기(예컨대 무선단말기1)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제1 및 제2 변동사항을 반영하고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타 무선단말기(예컨대 무선단말기2 및/또는 3)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는 일 무선단말기(예컨대 무선단말기1)에서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의 변경이 발생하여 타 무선단말기(예컨대 무선단말기2 및/또는 3)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 데이터이고,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는 타 무선단말기(예컨대 무선단말기2 및/또는 3)에서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의 변경이 발생하여 일 무선단말기(예컨대 무선단말기1)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 데이터이다.
특히 무선단말기(10)는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백그라운드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송신 및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DECT 무선전화기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장치(20)는 무선단말기(10)와 DECT 방식으로 통신하는 전화기 본체일 수 있다.
도1을 참조하여 무선단말기(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 및 제2 변동사항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15)와, 제1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경 이력 버퍼(16)와, 데이터 식별자 및 생성시간을 바탕으로,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동기화를 제어하는 동기 매니저(14)와, 동기 매니저(14)의 제어하에, 동기화시킬 제1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동기 송신 버퍼(13)와, 동기 송신 버퍼(13)에 저장된 데이터를 고정장치(20)로 송신하고,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고정장치(20)로부터 수신받는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11)와,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동기 수신 버퍼(12)를 포함한다. 이때 동기 매니저(14)는 동기 수신 버퍼(12)에 저장되며 동기화시킬 데이터의 제2 변동사항을 저장소(15)에 반영한다.
여기서 저장소(15)에는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 데이터는 고정장치(20) 및 타 무선단말기와 동기화된다. 또한 동기 송신 버퍼(13)는 고정장치(20)로 전송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동기 수신 버퍼(12)는 고정장치(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동기 매니저(14)는 송신 데이터 분석 처리부(142) 및 수신 데이터 분석 처리부(141)를 구비하며, 모든 동기 요청을 분석하고 처리하여 저장소(15)의 데이터를 갱신하고, 처리결과를 다시 상대측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변경 이력 버퍼(16)는 사용자가 MMI(사용자 메뉴)(17)를 통해 생성, 변경, 삭제하는 모든 데이터의 변경사항을 기록하여 동기 매니저(14)가 변경된 데이터를 고정장치(20)로 전송하도록 한다. 특히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11)는 고정장치(20)가 통화상태가 아닌 경우 백그라운드로 동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2를 참조하여 고정장치(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일 무선단말기(예컨대 무선단말기1)로부터 수신받고,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타 무선단말기(예컨대 무선단말기2 및/또는 3)로 송신하는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21)와,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동기 수신 버퍼(22)와, 데이터 식별자 및 생성시간을 바탕으로,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동기화를 제어하는 동기 매니저(24)와, 제1 및 제2 변동사항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25)와, 동기 매니저(25)의 제어하에,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경 이력 버퍼(26)와, 동기 매니저(25)의 제어하에,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송수신 매니저(21)로 전달하는 동기 송신 버퍼(23)를 포함한다. 이때 동기 매니저(24)는 동기 수신 버퍼(22)에 저장되며 동기화시킬 데이터의 제1 및 제2 변동사항을 저장소(25)에 반영한다.
여기서 저장소(25)에는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 데이터는 통신하는 모든 무선단말기(예컨대 무선단말기1,2,3)(10)와 동기화된다. 또한 동기 송신 버퍼(23)는 무선단말기(10)로 전송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동기 수신 버퍼(22)는 무선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동기 매니저(24)는 송신 데이터 분석 처리부(242) 및 수신 데이터 분석 처리부(241)를 구비하며, 수신된 동기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장소(25)의 동기 데이터를 갱신하고, 각 무선단말기(10)로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동기 매니저(24)가 어떤 데이터를 어느 무선단말기(10)로 전송할지를 변경 이력 버퍼(26)에서 알려준다. 특히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21)는 각 무선단말기(10)가 통화상태가 아닌 경우 무선링크를 연결하여 백그라운드로 동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식별자는, 32비트 랜덤값에 무선단말기의 RF 주소인 IPEI(International Portable Equipment Identity)를 결합하여 만든 UUID(Unique Identity)이다. 또한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는, 헤더에 UUID와, 생성시간 정보, 동기명령 정보 및 데이터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동기명령 정보는 데이터의 생성, 변경, 삭제 중 어느 하나이며, 데이터 타입 정보는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중 어느 하나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기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각 무선단말기(10)와 고정장치(20)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의 모든 데이터에는 특별한 헤더를 붙여 관리하고 저장한다.
헤더는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와 생성시간, 동기 명령, 데이터 타입 정보로 구성된다. 여기서 UUID는 고장장치(20) 및 고장장치(20)에 등록 연결되어 있는 모든 무선단말기(10)로 구성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유일하게 식별되는 데이터 식별 태그로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에서 생성하여 부여한다. 고정장치(20)와 무선단말기(10) 간에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는 UUID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각 무선단말기(10)에서는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이 UUID를 기준으로 정보의 중복을 구분하며, 생성시간 정보에 의해 정보의 우선순위를 구분하여 동기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UUID는 무선단말기(10)에서 데이터를 처음 생성할 때 데이터에 함께 포함할 목적으로 만드는 ID로서, 32바이트 랜덤값에 무선단말기(10)의 RF 주소인 IPEI를 결합하여 만들며, 모든 경우에 있어 항상 유일한 값이 되도록 유지한다. 또한 각 동기 데이터의 헤더에는 UUID 및 생성시간이 부여되어 있어, 이를 통해 이미 저장소(15,25)에 동일한 UUID의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어느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로 구분할지 기준이 된다.
이렇게 동기 데이터의 헤더는 UUID 및 동기정보가 생성된 시간정보, 동기명령(생성, 변경, 삭제 등), 그리고 동기할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인지를 구분하는 동기 데이터 타입으로 구성되며, 헤더 정보 다음에는 동기할 실제 정보(동기 데이터 Body로서,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등)가 붙는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화번호부의 동기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무선단말기1(10-1)에서 전화번호를 신규로 생성할 경우, 이 전화번호 정보는 UUID와 함께 생성되어 저장된 후 고정장치(20)로 전송된다. 고정장치(20)는 동기 데이터 수신후 자신의 저장소(25)에 있는 모든 전화번호의 UUID와 비교하여, 동일한 UUID가 없는 경우 자신의 저장소(25)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한 후 무선단말기2,3(10-2,10-3)으로 동기 데이터를 송신한다. 비교 결과, 동일한 UUID를 갖는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 고정장치(20)는 생성된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동기 데이터가 최근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기존 정보를 갱신하고, 이전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기존 정보를 유지한다.
한편 무선단말기2,3(10-2,10-3)은 고정장치(20)로부터 동기 데이터를 수신한 후 자신의 저장소(15)에 있는 모든 전화번호의 UUID와 비교하여, 동일한 UUID가 없는 경우 수신한 동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화번호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전화번호의 UUID는 고정장치(20)가 보낸 UUID가 적용된다. 그러나 동일한 UUID를 갖는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 무선단말기2,3(10-2,10-3)은 생성된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동기 데이터가 최근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기존 정보를 갱신하고, 이전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기존 정보를 유지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무선단말기1(10-1)에서 생성한 전화번호는 고정장치(20) 및 다른 모든 무선단말기2,3(10-2,10-3)에서 유일한 UUID를 갖는 전화번호가 되며, 이후 변경, 삭제될 경우에도 UUID를 바탕으로 전화번호를 변경하게 된다.
전화번호의 동기화 과정을 도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MMI(17)를 통해 전화번호를 신규로 작성하고 저장하면, 그 전화번호 데이터는 UUID, 생성시간과 함께 생성되어 저장소(15)에 저장된다. 이때, 신규로 만들어진 전화번호는 고정장치(20)로 전송하기 위해 변경 이력 버퍼(16)에 신규로 생성된 전화번호의 UUID, 생성시간(또는 변경시간 또는 삭제시간), 변경타입(생성, 변경, 삭제 등), 데이터 타입(전화번호, 통화이력, SMS 송수신내용 등) 등이 기록된다. 신규 생성이 아닌 변경 및 삭제의 경우에도, 그 변경내용이 동일하게 변경 이력 버퍼(16)에 기록되며, 전화번호가 아닌 통화내역의 생성/변경/삭제, SMS 송수신 내용의 생성/변경/삭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변경 이력 버퍼(16)에 기록된다. 예컨대 변경 이력 버퍼(16)에서 관리되는 변경 이력 정보의 구성은 도5와 같다.
동기 매니저(14)는 항상 변경 이력 버퍼(16)의 내용을 읽고 분석하여, 신규생성 및 변경의 경우에 저장소(15)에서 해당 데이터를 읽어 동기 데이터를 생성하고, 삭제의 경우에 해당 UUID 헤더 정보만 생성하고, 처리된 내용을 변경 이력 버퍼(16)에서 삭제한다. 이때 생성된 동기 데이터는 동기 송신 버퍼(13)에 임시 저장된 후,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11)에 의해 고정장치(20)로 송신된다. 이때 동기 데이터의 송신은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도록 백그라운드로 진행되며, 별도의 MMI(17)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만일 전송중 RF 연결이 실패하거나, 수신된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11)에서 재연결, 재전송한다. 연속해서 송신 실패가 발생할 경우, 동기 매니저(14)는 동기 송신 버퍼(13)의 용량을 감안하여 적절히 변경 이력 버퍼(16)의 변경 정보를 처리한다.
반대로 수신의 경우,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11)는 수신 데이터의 결함을 확인하여 이상이 있으면 재전송 요청을 하여 다시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이상이 없으면 동기 수신 버퍼(12)에 임시로 저장한다. 동기 매니저(14)는 수신된 동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UUID를 기준으로 저장소(15)에 저장된 데이터의 UUID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동일한 UUID가 없는 경우 신규 데이터로 취급하여 저장소(15)에 수신된 동기 데이터 및 UUID, 생성시간을 적용하여 저장하며, 동일한 UUID가 있는 경우 생성시간 및 수신된 데이터로 기존 데이터를 대체하고 UUID는 변경하지 않는다. 만약 수신된 동기명령이 삭제일 경우에, 저장소(15)에서 UUID를 찾아 해당 데이터를 삭제한다.
전화번호의 동기화 과정을 도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장치(20)의 동작은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상대가 여러 대의 무선단말기란 점이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무선단말기(10)의 동작과 매우 유사하다.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21)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이상이 있으면 상대 무선단말기(10)에게 재전송을 요청하고, 이상이 없는 정상적인 동기 데이터를 동기 수신 버퍼(22)로 이동시킨다. 이후 동기 매니저(24)는 동기 수신 버퍼(22)에서 동기 데이터를 가져와 동기 데이터의 UUID를 저장소(25)에서 검색하여 동일한 UUID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검사 결과, 동일한 UUID가 없으면 수신된 동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저장소(25)에 신규 생성하며, 동일한 UUID가 있으면 생성시간을 참조하여 해당 데이터를 대체하거나 유지한다. 삭제의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저장소(25)에서 삭제 처리한다. 또한 동기 매니저(24)는 수신 데이터 처리시 저장소(25)의 변경내역을 변경 이력 버퍼(26)에 각 무선단말기별로 기록한다. 이때 동기 데이터를 송신한 무선단말기1의 변경 이력 버퍼에는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동기 매니저(24)는 각 무선단말기(10)의 변경 이력 버퍼의 내용을 읽고 분석하여 처리하는데, 변경내용이 신규 생성 및 변경인 경우에 저장소(25)의 데이터를 읽어 헤더 정보와 Body로 구성된 동기 데이터를 만들어 동기 송신 버퍼(23)에 임시 저장하며, 삭제의 경우에 헤더 정보만 만들어 동기 송신 버퍼(23)에 임시 저장한다. 이후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21)는 동기 송신 버퍼(23)의 내용을 읽어 해당 무선단말기(10)로 RF 링크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송신 후 상대방으로부터 데이터 수신 확인 메시지를 받을 때까지 대기하며, 정해지 시간까지 응답이 없거나, 수신된 데이터 에러 메시지를 받으면 동일한 동기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은 각 무선단말기(10)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무선단말기 11,21: 동기데이터 송수신 매니저
12,22: 동기 수신 버퍼 13,23: 동기 송신 버퍼
14,24: 동기 매니저 15,25: 저장소
16,26: 변경 이력 버퍼 17: MMI(사용자 메뉴)
20: 고정장치 141,241: 수신데이터 분석처리부
142,242: 송신데이터 분석처리부

Claims (16)

  1.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로서,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제1 변동사항을 감지하고 상기 제1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송신하며,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변동사항을 반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기; 및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일 무선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을 반영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타 무선단말기로 전달하는 고정장치
    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식별자 및 생성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제2 변동사항을 반영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상기 제1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경 이력 버퍼;
    상기 데이터 식별자 및 상기 생성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동기화를 제어하는 동기 매니저;
    상기 동기 매니저의 제어하에, 동기화시킬 상기 제1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동기 송신 버퍼;
    상기 동기 송신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고정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수신받는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 및
    상기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동기 수신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동기 매니저는, 상기 동기 수신 버퍼에 저장되며 동기화시킬 데이터의 상기 제2 변동사항을 상기 저장소에 반영하는, 무선 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일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받고, 상기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타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는 동기 데이터 송수신 매니저;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동기 수신 버퍼;
    상기 데이터 식별자 및 상기 생성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동기화를 제어하는 동기 매니저;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상기 동기 매니저의 제어하에,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경 이력 버퍼; 및
    상기 동기 매니저의 제어하에, 상기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송수신 매니저로 전달하는 동기 송신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동기 매니저는, 상기 동기 수신 버퍼에 저장되며 동기화시킬 데이터의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을 상기 저장소에 반영하는, 무선 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식별자는, 32비트 랜덤값에 무선단말기의 RF 주소인 IPEI(International Portable Equipment Identity)를 결합하여 만든 UUID(Unique Identity)인,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헤더에 상기 UUID와, 생성시간 정보, 동기명령 정보 및 데이터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UID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중복을 구분하고, 상기 생성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구분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명령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생성, 변경, 삭제 중 어느 하나인,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타입 정보는,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중 어느 하나인,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제1 및 제2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백그라운드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무선단말기와 DECT 방식으로 통신하는 전화기 본체인,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 무선전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DECT 무선전화기인,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13.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으로서,
    일 무선단말기가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변동사항을 감지하고 상기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고정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상기 일 무선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상기 변동사항을 반영하고, 상기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를 타 무선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무선단말기가 상기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바탕으로 상기 변동사항을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 무선단말기가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변동사항이 발생한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식별자 및 생성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변동사항을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식별자는, 32비트 랜덤값에 무선단말기의 RF 주소인 IPEI(International Portable Equipment Identity)를 결합하여 만든 UUID(Unique Identity)이며,
    상기 데이터는, 헤더에 상기 UUID와, 생성시간 정보, 동기명령 정보 및 데이터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명령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생성, 변경, 삭제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데이터 타입 정보는,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SMS 송수신 목록 중 어느 하나인,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20110127888A 2011-12-01 2011-12-01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20130061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88A KR20130061529A (ko) 2011-12-01 2011-12-01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88A KR20130061529A (ko) 2011-12-01 2011-12-01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529A true KR20130061529A (ko) 2013-06-11

Family

ID=4885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888A KR20130061529A (ko) 2011-12-01 2011-12-01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15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898B1 (ko) * 2013-10-04 2014-12-23 주식회사 팩시스템즈 데이터 이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9521231B2 (en) 2014-07-28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going call during phone book information downlo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898B1 (ko) * 2013-10-04 2014-12-23 주식회사 팩시스템즈 데이터 이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9521231B2 (en) 2014-07-28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going call during phone book information downl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4406B2 (ja) 移動無線のプレゼンスおよびシチュエ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10357142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communication elements
US84952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utomatic communication path selection, distributed device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EP3082353B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user data
JP4767521B2 (ja) マルチゾーンでの私設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間のローミング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02098812B (zh) 数据的同步方法及移动终端
CA27381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utomatic communication path selection, distributed device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CN104247478A (zh) 基于云的连接信息发现
CN103067478A (zh) 一种传输联系人信息的方法及装置、系统
CN1770704B (zh) 用于在主机手持设备上集成持续同步的系统和方法
US9185192B2 (en)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61529A (ko) 무선단말기간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EP2071820A1 (en) Communication message storing and delivering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ssage storing and delivering method
EP2830365A1 (en) Portable voice routing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cessing telephony voice communication
CN112673658B (zh) 用于管理订阅配置文件的方法和电子设备
US8537988B2 (en) Message relay system with message relay server
CN101883419A (zh) 客户端信息的同步方法和系统
FI114680B (fi) Menetelmä yhteydenmuodostustietojen päivittämiseksi puhelun yhteydessä ja menetelmää hyödyntävä päätelaite
JP506762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659956B1 (en) Contract assignment switch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7365525B1 (ja) 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1682652B (zh) 用于创建归因于来自外部源的触发事件的动态电话页面的方法和装置
JP4276251B2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移動通信端末の制御方法。
KR101379205B1 (ko)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
JP2005311552A (ja) 電話帳保存システム、電話帳保存方法、及び電話帳保存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