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205B1 -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205B1
KR101379205B1 KR1020090071460A KR20090071460A KR101379205B1 KR 101379205 B1 KR101379205 B1 KR 101379205B1 KR 1020090071460 A KR1020090071460 A KR 1020090071460A KR 20090071460 A KR20090071460 A KR 20090071460A KR 101379205 B1 KR101379205 B1 KR 10137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ook
user information
customer
serve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821A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2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무선 통신단말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하면서 고객(상대방)의 단말주소록 및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일괄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소록 갱신서버가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정보의 변경사실을 통보받으면,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을 추출한다. 주소록 갱신서버는 추출한 고객의 단말주소록 및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일괄적으로 갱신하거나 갱신을 요청한다. 이때 서버주소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주소록 갱신서버에 구축될 수도 있고, 별도의 주소록 저장서버에 구축될 수 있다. 주소록 저장서버에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경우, 주소록 갱신서버는 주소록 저장서버로 추출한 고객의 단말주소록 또는 서버주소록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71460
주소록, 갱신, 변경, 사용자정보, 단말

Description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directory}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단말의 주소록 갱신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무선 통신단말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하면서 고객(상대방)의 단말주소록 및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일괄적으로 갱신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휴대폰과 이동통신단말이 급속히 보급되고, 010번호로의 통합, 3세대 서비스의 개시 및 인터넷 전화기의 확대로 인하여 사용자는 현재 사용중인 전화번호를 새로운 전화번호로 변경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통신사업자는 전화번호가 변경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상대방이 사용자의 변경전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사용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로 착신전환을 해주는 서비스나, 상대방이 사용자의 변경전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음성이나 문자메시지로 사용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서비스를 일정기간 제공해 준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는 직접 음성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하여 지인(상대방)에게 일일이 전화번호가 변경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상대방은 사용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자신의 이동통신단 말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주소록에 저장된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변경된 전화번호로 갱신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방 입장에서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다. 즉 상대방은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변경된 전화번호로 갱신하기 위해서는, 주메뉴에서 주소록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소록에서 해당 사용자를 찾은 다음, 변경전 전화번호를 삭제한 후 변경된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저장하는 조작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방 입장에서는 여간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통신서비스 사업자가 변경된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전화번호 이외의 사용자정보, 예컨대 직장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사용자 이미지, 주소, 연락처, 메일주소, 블로그 주소 등이 변경된 경우, 사용자가 이를 상대방에게 알려주기 위해서는 직접 음성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하여 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번거롭다. 이 경우 또한 상대방은 사용자의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주소록에 저장된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방 입장에서도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다.
또한 통신서비스 사업자는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 일정 기간 동안 변경된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통신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 그 기간 동안 해당 전화번호를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기간이 지난 후에 변경된 전화번호는 제3의 고객에 할당되어 활용될 수 있지만, 제3의 고객은 전화번호가 변경된 사실을 모르는 지인(변경 또는 해지된 전화번호를 사용했던 사용자의 지인)들로부터 전화나 메시지를 받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입장에서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상대방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일일이 음성통화를 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상대방 입장에서는 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데 따른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정보 중 변경 또는 해지된 전화번호를 일정 기간 동안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와, 그 기간이 지난 후에도 그 전화번호를 제3의 고객이 할당받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정보 변경이 발생되면,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록 및 단말주소록을 일괄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객 관리서버, 주소록 저장서버 및 주소록 갱신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소록 갱신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고객 관리서버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한다.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는 상기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상기 주소록 저 장서버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의 갱신을 요청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객 관리서버, 주소록 갱신서버 및 주소록 저장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소록 갱신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고객 관리서버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한다.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는 상기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는다.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는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소록 갱신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는 고객 관리서버와 주소록 저장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의 갱신을 요청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소록 갱신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는 고객 관리서버 및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의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소록 저장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는 단말과,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는 주소록 갱신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에 따라 상기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의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소록 저장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는 단말과,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는 주소록 갱신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의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소록 갱신서버가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는 수신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주소록 저장서버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의 갱신을 요청하는 갱신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소록 갱신서버가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는 수신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서버주소록 갱신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추출된 고객의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단말주소록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소록 저장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통보받는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는 전송요청 수신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에 따라 상기 추출된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소록 저장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통보받는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데이터베이 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추출한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소록 갱신서버가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정보의 변경사실을 통보받으면, 주소록 저장서버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고객의 서버주소록 및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일괄적으로 갱신하기 때문에,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고객(상대방)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일일이 음성통화를 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소록 갱신서버는 일괄적으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록 및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기 때문에,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다른 고객이 이용하게 될 때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변경된 사용자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 일괄적으로 변경전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록 및 단말주소록에서 변경전 전화전호를 변경된 전화번호로 갱신하기 때문에, 변경전 전화번호를 일정 기간 동안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와, 그 기간이 지난 후에도 그 전화번호를 제3의 고객이 할당받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전화번호가 해지된 경우에서는 주소록 갱신서버는 해당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 록 및 단말주소록에서 해당 전화번호를 삭제하는 갱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해지된 전화번호를 일정 기간 동안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와, 그 기간이 지난 후에도 그 전화번호를 제3의 고객이 할당받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주소록 갱신서버는 사용자 또는 고객의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의 가입 여부에 따라,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갱신하거나 사용자정보의 변경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즉,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주소록 갱신서버는 주소록 저장서버로부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 고객의 단말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1 고객단말과의 싱크 또는 TID(Teleservice 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미가입된 제2 고객이 있는 경우, 주소록 갱신서버는 제2 고객단말로 사용자정보 변경안내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2 고객에게 사용자정보 변경을 알릴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사용자정보, 사용자단말, 고객단말 및 사용자정보 변경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였다.
“사용자정보”는 사용자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로서, 사용자단말의 전화번호, 직장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사용자 이미지, 주소, 메일주소, 블 로그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거나, 단말주소록 또는 서버주소록에 저장하고 있는 통신단말이다.
“고객단말”은 사용자정보를 단말주소록 또는 서버주소록에 저장하고 있는 통신단말이다.
“사용자정보 변경”은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포함하여 사용자정보의 해지, 중지 또는 삭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관리서버(10), 주소록 갱신서버(20) 및 주소록 저장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단말(40,50)로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하거나 고객의 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이때 고객 관리서버(10), 주소록 갱신서버(20), 주소록 저장서버(30) 및 고객단말(40,50)은 통신망을 매개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망은 고객 관리서버(10), 주소록 갱신서버(20), 주소록 저장서버(30) 및 고객단말(40,5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망은 IP를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김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으로,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IP망 구조인 ALL-IP망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중에 하나일 수 있다.
고객 관리서버(10)는 통신망을 매개로 주소록 갱신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에 변경이 발생되면 이를 주소록 갱신서버(20)에 통보한다. 이때 고객 관리서버(10)는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할 때, 변경전 사용자정보 및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함께 주소록 갱신서버(20)로 전송한다.
주소록 갱신서버(20)는 통신망을 매개로 고객 관리서버(10), 주소록 저장서버(30) 및 고객단말(40,50)과 통신을 수행한다. 주소록 갱신서버(20)는 고객 관리서버(10)로부터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받으면,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주소록의 갱신을 제어한다. 주소록 갱신서버(20)는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단말(40,50)로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하거나 고객단말(40,50)의 단말주소록을 갱신한다. 또는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주소록 저장서버(30)로 고객의 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킬 것을 요청한다.
주소록 저장서버(30)는 통신망을 매개로 주소록 갱신서버(20) 및 고객단말(40,50)과 통신을 수행한다. 주소록 저장서버(30)는 고객정보와,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하며, 고객정보와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고객정보는 고객의 개인정보와, 고객이 가입한 부가서비스 가입정보를 포함한다. 부가서비스 가입정보는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의 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의 서버주소록에는 지인들의 사용자정보를 저장한다.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주소록 갱신서버(20)의 요청에 따라 고객정보를 추출하여 주소록 갱신서버(20)로 전송하고, 주소록 갱신서버(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 따라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단말(40,50)로 사 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하거나 고객의 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객단말(40,50)은 통신망을 매개로 주소록 갱신서버(20) 및 주소록 저장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한다. 고객단말(40,50)은 주소록 갱신서버(20) 또는 주소록 저장서버(30)로부터 사용자정보의 변경 사실을 통보받거나 단말주소록이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된다. 이때 고객단말(40,50)은 제1 고객단말(40)과 제2 고객단말(50)을 포함한다. 제1 고객단말(40)은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제1 고객의 단말기이다. 제2 고객단말(50)은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미가입된 제2 고객의 단말기이다. 제1 및 제2 고객단말(40,50)은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단말로서, 이동통신단말, 유선통신단말, 인터넷전화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은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토대로 주소록 갱신서버(20) 또는 주소록 저장서버(30)에서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첫째, 주소록 갱신서버(20)로부터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수신한 주소록 저장서버(30)가 고객의 서버주소록 갱신,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 갱신 및 제2 고객단말(50)로의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메시지(이하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라 함)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주소록 갱신서버(20)가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하고,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사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주소록 저장서버(30)가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갱신한다.
셋째, 주소록 갱신서버(20)가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한다. 주소록 저장서버(30)가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갱신하고,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넷째, 주소록 갱신서버(20)가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주소록 저장서버(30)가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갱신하고,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의 주소록 갱신서버(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제1 통신부(21)와 제1 제어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통신부(21)는 통신망을 매개로 고객 관리서버(10), 주소록 저장서버(30) 및 고객단말(40,50)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부(21)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1 제어부(25)는 주소록 갱신서버(2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제어한다. 이때 고객의 주소록은 주소록 저장서버(30)에 저장된 서버주소록과, 고객단말(40,50)에 저장된 단말주소록을 포함한다. 제1 제어부(25)는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주소록 저장서버(30)에 요청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주소록 저장서버(30)로부터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1 제어부(25)가 주소록 저장서버(30)에 요청하여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수행시키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 제어부(25)는 통신부(21)를 통 하여 고객 관리서버(10)로부터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주소록 저장서버(30)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제1 제어부(25)는 주소록 저장서버(30)로부터 요청한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작성한다. 제1 제어부(25)는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주소록 저장서버(30)로 전송하여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의 갱신을 요청한다. 후술되겠지만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 따라 고객의 서버주소록 및 단말주소록을 갱신시킨다.
이때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는 변경전 사용자정보, 변경된 사용자정보, 고객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변경된 사용자정보가 사용자의 전화번호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전후의 사용자의 전화번호, 고객명 및 고객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갖는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60)가 작성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는 사용자의 실명,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사용자의 이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25)는 주소록 저장서버(30)로부터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주소록 갱신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 제어부(25)는 통신부(21)를 통하여 고객 관리서버(10)로부터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주소록 저장서버(30)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제1 제어부(25)는 주소록 저장서버(30)로부터 요청한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작성한다. 제1 제어부(25)는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주소록 저장서버(30)로 전송하여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 경된 사용자정보로의 갱신을 요청한다. 제1 제어부(25)는 수신한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단말(40,50)에 접속하여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이때 제1 제어부(25)는 고객의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정보 갱신을 수행하거나, 단순히 사용자정보의 변경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부(25)는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제1 고객단말(40)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제1 제어부(25)는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하기 전에, 제1 고객에게 자동 갱신에 대한 의사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5)는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미가입된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25)는 고객의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사용자정보 갱신 단계를 수행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제어부(25)는 사용자가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단말주소록의 사용자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25)는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 가입여부에 상관없이 고객단말(40,50)로 자동 갱신에 대한 의사를 확인한 후 단말주소록의 사용자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어부(25)는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하고,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의 갱신을 주소록 저장서버(30)에 요 청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제1 제어부(25)는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의 갱신을 수행하고,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주소록 저장서버(30)에 전송하여 서버주소록의 사용자정보 갱신 및 제2 고객단말(50)로의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의 주소록 저장서버(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제2 통신부(31), 제2 데이터베이스(33) 및 제2 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통신부(31)는 통신망을 매개로 주소록 갱신서버(20) 및 고객단말(40,50)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2 통신부(31)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33)는 고객정보와,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하며, 고객정보와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고객정보는 고객의 개인정보와, 고객이 가입한 부가서비스 가입정보를 포함한다. 부가서비스 가입정보는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의 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의 서버주소록에는 지인들의 사용자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35)는 주소록 저장서버(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제어한다. 제2 제어부(35)는 주소록 갱신서버(20)로부터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요청받아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수행한다.
특히 제2 제어부(35)는 제2 통신부(31)를 통하여 주소록 갱신서버(20)로부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면, 제2 데이터베이스(33)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하여 주소록 갱신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제2 제어부(35)는 주소록 갱신서버(20)로부터 고객정보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면, 제2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모든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대상으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의 고객정보를 추출한다.
제2 제어부(35)는 주소록 갱신서버(20)로부터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수신하면,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 따라 추출된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부(35)는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 따라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그리고 제2 제어부(35)는 주소록 갱신서버(20)의 요청에 따라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하거나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제2 제어부(35)는 제1 고객단말(40)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의 주소록 갱신 방법의 제1 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3은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의 제1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S71단계에서 고객 관리서버(10)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이 발 생되면 이를 주소록 갱신서버(20)에 통보한다. 즉 사용자에 의한 또는 통신사업자 등에 의한 사용자정보의 변경, 해지, 중지 또는 삭제가 발생되고, 이를 고객 관리서버(10)가 수신하면, 고객 관리서버(10)는 S71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S71단계에서 고객 관리서버(10)가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할 때, 사용자단말의 변경전 사용자정보와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고객 관리서버(10)는 S71단계를 사용자정보 변경이 발생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정보 변경이 발생된 이벤트를 모았다가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3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을 주소록 저장서버(30)에 요청한다. 이때 주소록 갱신서버(20)는 S73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다음으로 S75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제2 데이터베이스(35)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갖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의 고객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S77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추출한 고객정보를 주소록 갱신서버(2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S79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수신한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작성한다. 이때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는 변경전 사용자정보, 변경된 사용자정보, 고객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변경된 사용자정보가 사용자의 전화번호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전후의 사용자의 전화번호, 고객명 및 고객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60)가 작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S81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작성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주소록 저장서버(30)로 전송하여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의 갱신을 요청한다.
다음으로 S83단계 내지 S93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 따라 추출된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며,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S83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 따라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다음으로 S85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추출된 고객이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S8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제1 고객이 있는 경우, S87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제1 고객단말(40)과 싱크를 수행하거나 제1 고객단말(40)로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한다.
S89단계에서 제1 고객단말(40)은 주소록 저장서버(30)와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수신을 통하여, 주소록 저장서버(30)의 제어에 따라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S8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제2 고객이 있는 경우, S91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는 단문메시지이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USER)의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 “USER의 전화번호가 010-1111-1111로 변경되었으니 변경바랍니다.”라는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가 제2 고객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USER)의 전화번호가 해지된 경우, “USER의 전화번호가 해지되었으니 전화번호 삭제 바랍니다.“라는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가 제2 고객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S93단계에서 제2 고객단말(50)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제2 고객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에 따라 제2 고객단말(50)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의 주소록 갱신 방법의 제2 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4는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의 제2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S71단계 내지 S83단계까지는 도 3의 주소록 갱신 방법에 따른 제1 예와 동일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S84단계 내지 S93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작성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 따라 추출된 제1 고객의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며,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S84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추출된 고객이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S84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제1 고객이 있는 경우, S86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제1 고객단말(40)과 싱크를 수행하거나 제1 고객단말(40)로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한다.
S89단계에서 제1 고객단말(40)은 주소록 갱신서버(20)와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수신을 통하여, 주소록 갱신서버(20)의 제어에 따라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S84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제2 고객이 있는 경우, S90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S93단계에서 제2 고객단말(50)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제2 고객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에 따라 제2 고객단말(50)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의 주소록 갱신 방법의 제3 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5는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의 제3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S71단계 내지 S83단계까지는 도 3의 주소록 갱신 방법에 따른 제1 예와 동일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S84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작성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서 제1 고객을 추출한다. 이어서 S86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추출한 제1 고객의 제1 고객단말(40)과 싱크를 수행하거나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한다. 다음으로 S89단계에서 제1 고객단말(40)은 주소록 갱신서버(20)와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수신을 통하여, 주소록 갱신서버(20)의 제어에 따라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S85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서 제2 고객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S91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S93단계에서 제2 고객단말(50)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제2 고객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에 따라 제2 고객단말(50)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제3 예에서는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한 이후에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순으로 진행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주소록 갱신서버(20)와 주소록 저장서버(30)에서 각각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 갱신 및 제2 고객단말(50)로의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의 전송이 독립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주소록 갱신서버(20)와 주소록 저장서버(30)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주소록 저장서버(30)에서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의 주소록 갱신 방법의 제4 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6은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의 제4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S71단계 내지 S83단계까지는 도 3의 주소록 갱신 방법에 따른 제1 예와 동일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S85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서 제1 고객을 추출한다. 이어서 S87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추출한 제1 고객의 제1 고객단말(40)과 싱크를 수행하거나 제1 고객단말(40)로 TID를 갖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S89단계에서 제1 고객단말(40)은 주소록 저장서버(30)와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수신을 통하여, 주소록 저장서버(30)의 제어에 따라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S84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작성한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에서 제2 고객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S90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20)는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S93단계에서 제2 고객단말(50)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제2 고객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에 따라 제2 고객단말(50)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제4 예에서는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한 이후에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순으로 진행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주소록 저장서버(30)와 주소록 갱신서버(20)에서 각각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 갱신 및 제2 고객단말(50)로의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의 전송이 독립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주소록 갱신서버(20)와 주소록 저장서버(30)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주소록 갱신서버(20)에서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 및 갱신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고객정보를 주소록 저장서버(30)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서버주소록 및 단말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일괄적으로 갱신하기 때문에,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고객(상대방)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일일이 음성통화를 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은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갖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록 및 단말주소록을 일괄적으로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기 때문에, 변경전 전화번호를 일정 기간 동안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와, 그 기간이 지난 후에도 그 전화번호를 제3의 고객이 할당받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관리서버(10), 주소록 갱신서버(20) 및 주소록 저장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단말(40,50)로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하거나 고객의 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이때 고객 관리서버(10), 주소록 갱신서버(20), 주소록 저장서버(30) 및 고객단말(40,50)은 통신망을 매개로 통신을 수행한다.
고객 관리서버(10)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에 변경이 발생되면 이를 주소록 갱신서버(20)에 통보한다. 이때 고객 관리서버(10)는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할 때, 변경전 사용자정보 및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함께 주소록 갱신서버(20)로 전송한다.
주소록 갱신서버(20)는 고객 관리서버(10)로부터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받으면, 주소록 저장서버(30)로 고객의 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킬 것을 요청한다. 이때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주소록 저장서버(30)로 갱신 요청과 더불어, 변경전 사용자정보와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주소록 저장서버(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주소록 갱신서버(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단말(40,50)로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하거나 주소록 갱신을 수행한다.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제2 통신부(31), 제2 데이터베이스(33) 및 제2 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통신부(31)는 통신망을 매개로 주소록 갱신서버(20) 및 고객단말(40,50)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2 통신부(31)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33)는 고객정보와,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하며, 고객 정보와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고객정보는 고객의 개인정보와, 고객이 가입한 부가서비스 가입정보를 포함한다. 부가서비스 가입정보는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의 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의 서버주소록에는 지인들의 사용자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35)는 주소록 저장서버(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제어한다. 제2 제어부(35)는 주소록 갱신서버(20)로부터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요청받아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수행한다. 즉 제2 제어부(35)는 주소록 갱신서버(20)로부터 사용자정보의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면, 제2 데이터베이스(33)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2 제어부(35)는 추출한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또는 제2 제어부(35)는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제2 제어부(35)는 추출된 고객 중 제1 고객의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그리고 제2 제어부(35)는 추출된 고객 중 제2 고객의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제2 제어부(35)는 제1 고객단말(40)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200)의 주소록 갱신 방법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8은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S71단계에서 고객 관리서버(10)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이 발생되면 이를 주소록 갱신서버(20)에 통보한다.
다음으로 S72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주소록 저장서버(30)에 요청한다. 이때 주소록 갱신서버(20)는 S72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로 변경전 사용자정보와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다음으로 S75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제2 데이터베이스(33)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추출한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작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S83단계 내지 S93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추출한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며,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S83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추출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다음으로 S85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추출한 고객이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S8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제1 고객이 있는 경우, S87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 버(30)는 제1 고객단말(40)과의 싱크를 수행하거나, 제1 고객단말(40)로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한다.
다음으로 S89단계에서 제1 고객단말(40)은 주소록 저장서버(30)와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수신을 통하여, 주소록 저장서버(30)의 제어에 따라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S8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미가입된 제2 고객이 있는 경우, S91단계에서 주소록 저장서버(30)는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는 단문메시지이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S93단계에서 제2 고객단말(50)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제2 고객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에 따라 제2 고객단말(50)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100,200)은 서버주소록을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33)를 관리하는 주소록 저장서버(30)를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 갱신서버(20)의 제1 데이터베이스(23)에 서버주소록을 구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관리서버(10) 및 주소록 갱신서버(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단말(40,50)로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하거나 고객의 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이때 고객 관리서버(10), 주소록 갱신서버(20) 및 고객단말(40,50)은 통신망을 매개로 통신을 수행한다.
고객 관리서버(10)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에 변경이 발생되면 이를 주소록 갱신서버(20)에 통보한다. 이때 고객 관리서버(10)는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할 때, 변경전 사용자정보 및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함께 주소록 갱신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주소록 갱신서버(20)는 고객 관리서버(10)로부터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받으면,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단말(40,50)로 사용자정보의 변경을 통보하거나 주소록 갱신을 수행한다.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제1 통신부(21), 제1 데이터베이스(23) 및 제1 제어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통신부(21)는 통신망을 매개로 고객 관리서버(10) 및 고객단말(400,50)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부(21)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23)는 고객정보와,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하며, 고객정보와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고객정보는 고객의 개인정보와, 고객이 가입한 부가서비스 가입정보를 포함한다. 부가서비스 가입정보는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의 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의 서버주소록에는 지인들의 사용자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25)는 주소록 갱신서버(2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을 제어한다. 즉 제1 제어부(25)는 제1 통신부(21)를 통하여 고객 관리서버(10)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제1 데이터베이스(23)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추출한다. 제1 제어부(25)는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25)는 추출된 고객의 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또는 제1 제어부(25)는 추출된 고객 중 제1 고객의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제1 제어부(25)는 제1 고객단말(40)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을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25)는 추출된 고객 중 제2 고객의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300)의 주소록 갱신 방법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10은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S71단계에서 고객 관리서버(20)는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이 발생되면 이를 주소록 갱신서버(20)에 통보한다.
다음으로 S80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제1 데이터베이스(23)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추출한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작성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S82단계 내지 S93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추출한 고객의 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며,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S82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추출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한다.
다음으로 S84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추출한 고객이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S84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제1 고객이 있는 경우, S86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제1 고객단말(40)과 싱크를 수행하거나 제1 고객단말(40)로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한다.
다음으로 S89단계에서 제1 고객단말(40)은 주소록 갱신서버(20)와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수신을 통하여, 주소록 갱신서버(20)의 제어에 따라 제1 고객단말(40)의 단말주소록(41)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시킨다.
S84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제2 고객이 있는 경우, S90단계에서 주소록 갱신서버(20)는 제2 고객단말(50)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는 단문메시지이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S93단계에서 제2 고객단말(50)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제2 고객은 수신한 사용자정보 변경 안내메시지 에 따라 제2 고객단말(50)의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고객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고객의 주소록(서버주소록 및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일괄적으로 갱신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변경된 사용자정보를 고객(상대방)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일일이 음성통화를 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고객 입장에서는 주소록을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데 따른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정보 중 변경 또는 해지된 전화번호를 일정 기간 동안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와, 그 기간이 지난 후에도 그 전화번호를 제3의 고객이 할당받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소록 갱신서버에서 작성되는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에 따른 제1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에 따른 제2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에 따른 제3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에 따른 제4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 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고객 관리서버 20 : 주소록 갱신서버
30 : 주소록 저장서버 40 : 제1 고객단말
50 : 제2 고객단말 60 : 사용자정보 갱신리스트
100 : 주소록 갱신시스템

Claims (25)

  1.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하는 고객 관리서버;
    고객정보와, 각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하고, 주소록 갱신서버의 요청에 따라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 정보를 제공하는 주소록 저장서버;
    상기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의 서버 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의 갱신을 요청하면서, 상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로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주소록 갱신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갱신시스템.
  2.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하는 고객 관리서버;
    상기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주소록 저장서버로 사용자 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 요청을 전송하는 주소록 갱신서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의 주소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면,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고객의 서버 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면서, 상기 추출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주소록 저장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갱신시스템.
  3. 고객 관리서버, 주소록 저장 서버 및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상기 주소록 저장 서버로부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고객 정보로부터 사용자 정보 갱신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상기 주소록 저장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 갱신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의 서버 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갱신서버.
  4. 고객 관리서버 및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고객정보와,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고, 추출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갱신서버.
  5. 삭제
  6.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는 주소록 갱신서버 및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들의 서버주소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을 추출하고,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저장서버.
  7. 주소록 갱신서버가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는 수신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주소록 저장서버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고객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의 서버 주소록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의 갱신을 요청하는 갱신 요청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로의 싱크 또는 TID(Teleservice 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는 변경전 사용자정보, 변경된 사용자정보,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미가입된 고객의 단말로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14. 제7항, 제8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전화번호, 직장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사용자 이미지, 주소, 메일주소, 블로그 주소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15. 주소록 갱신서버가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통보받는 수신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의 서버주소록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서버주소록 갱신 단계;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추출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단말주소록 갱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가 상기 추출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미가입된 고객의 단말로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18. 주소록 저장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통보받는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는 전송요청 수신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서버주소록 갱신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단말주소록 갱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수신한 사용자정보 갱신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미가입된 고객의 단말로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22. 주소록 저장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고객 관리서버로부터 통보받는 주소록 갱신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고객의 주소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주소록을 갖는 고객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추출된 고객의 서버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서버주소록 갱신 단계;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추출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로의 싱크 또는 TID를 갖는 메시지 전송을 통해 단말주소록에 저장된 상기 변경전 사용자정보를 상기 변경된 사용자정보로 갱신하는 단말주소록 갱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저장서버가 상기 추출된 고객 중 정보변경 알리미 서비스에 미가입된 고객의 단말로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정보 변경에 따른 주소록 갱신 방법.
KR1020090071460A 2009-08-03 2009-08-03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 KR10137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460A KR101379205B1 (ko) 2009-08-03 2009-08-03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460A KR101379205B1 (ko) 2009-08-03 2009-08-03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821A KR20110013821A (ko) 2011-02-10
KR101379205B1 true KR101379205B1 (ko) 2014-03-28

Family

ID=4377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460A KR101379205B1 (ko) 2009-08-03 2009-08-03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2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007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케이티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주소록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14324A (ko) * 2005-07-28 2007-02-01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통합 자동 싱크 방법
KR20080032548A (ko) * 2006-10-10 2008-04-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090013257A (ko) * 2006-12-14 2009-02-05 주식회사 케이티 유무선 통합 폰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007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케이티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주소록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14324A (ko) * 2005-07-28 2007-02-01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통합 자동 싱크 방법
KR20080032548A (ko) * 2006-10-10 2008-04-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090013257A (ko) * 2006-12-14 2009-02-05 주식회사 케이티 유무선 통합 폰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821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5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striction on call connections
JP2002057807A (ja) 携帯電話の電話帳管理システム
CN105407202A (zh) 一种远程查询联系人信息的方法及终端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9299B1 (ko)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CN107172109A (zh) 基于ims通话显示头像的方法、存储设备及移动终端
KR100983141B1 (ko)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1379205B1 (ko) 주소록 갱신시스템 및 방법
JP5069142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618521B1 (ko) 이동통신망에서 그룹 서비스 제공방법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KR20050005051A (ko) 유무선 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67544B1 (ko) 유무선 통신단말장치에서의 메시지 통합관리방법
JP2010087762A (ja) 電話帳データ管理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および電話帳サーバー
KR101508377B1 (ko) 애칭 서비스 서버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애칭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68305B1 (ko) 이동통신 망에서의 주소록 자동 갱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153219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제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착신된 메시지 및 착신 전화 번호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0710B1 (ko) 국제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4253A (ko) 이동전화 착신 통화시 착신자 단말기 화면에 자동적으로착신자 번호 번역 표시 정보를 통하여 발신 번호 및 발신가입자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 구현 시스템 및 제어할 수있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62290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588206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전화번호 변경 관리 시스템 및방법
US80600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communication device based upon device capability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KR101095599B1 (ko)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사용자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