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377A -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377A
KR20130061377A KR1020110127648A KR20110127648A KR20130061377A KR 20130061377 A KR20130061377 A KR 20130061377A KR 1020110127648 A KR1020110127648 A KR 1020110127648A KR 20110127648 A KR20110127648 A KR 20110127648A KR 20130061377 A KR20130061377 A KR 20130061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xcavation
coupled
underground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덕
Original Assignee
정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덕 filed Critical 정진덕
Priority to KR102011012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1377A/ko
Publication of KR2013006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관 및 하수박스 등의 지하구조물 설치를 위한 지반 굴삭 작업 시, 토압에 대응하고 굴삭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삭부 측면으로 설치되는 흙막이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 굴삭 수단을 결합시키되, 상부에 착탈식의 견인 수단이 설치되는 흙막이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패널의 지중 입설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지중 구조물 견인 및 설치를 위한 별도의 크레인 장비 동원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간활용성 및 작업성을 높이며, 또한 지하구조물의 설치 폭에 따라 너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능동적인 시공 대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너비 조절이 가능한 착탈식 견인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구조와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하부에 굴삭 유닛(120)이 형성되어 굴삭부 내측으로 입설되는 흙막이부(100)와, 흙막이부(100) 상부에 설치되되 너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00)와, X,Y축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지중 구조물을 인양하여 굴삭부에 배치시키는 견인부(300)로 구성되는 바,
상기 흙막이부(100)는 일측에 체결편(111)이 형성되되 타측으로는 체결홀(112)이 형성되며, 하부 내측으로 두 개의 기어를 선회하는 굴삭날(125)을 포함하는 굴삭 유닛(120)이 형성되는 직사각 박스형태의 패널(110)과, 패널(110) 일면에 끼워져 결합되되 일정거리 수직 하강하여 고정되는 지지재(130) 및 마주하는 지지재(130) 사이에 결합, 설치되어 굴삭 폭에 따라 조립 갯수를 달리하게 되는 간격재(140)로 구성되게 된다.
본 발명 지지부(200)는 패널(110) 상부에 결합되는 레일(210)과 레일(210) 상에서 활주하는 롤러(220) 및 그의 상부에 결합, 배치되는 유압잭(240)이 설치된 프레임체(230)와 최상부 수평 프레임(232) 하부에 결합되는 X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a)과 Y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b)로 구성되게 되며, 견인부(300)는 구동모터(310)와,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롤러(330)에 전달하는 감속기(320)와, 가이드 레일(250a, 250b) 상에 설치되되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X축 방향 회전 롤러(330a) 및 Y축 방향 회전 롤러(330b)와, 지하구조물을 인양하는 권취 체인(350) 및 견인 체인(37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는 지중구조물 설치를 위한 흙막이 공사의 시행에 있어, 공사 현장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중구조물 설치를 위한 별도의 인발 장치 및 크레인 사용에 따른 제반 비용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흙막이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견인장치의 진입이 힘든 협소한 작업 현장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굴착폭에 따라 견인부의 너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중구조물이 설치되는 현장여건에 맞는 능동적이며 즉각적인 시공 대처가 이루어져 효율성을 높인 특징이 있다.
또한, 흙막이 패널의 하부에 굴삭면과 접하도록 궤도를 선회하는 굴삭날을 결합시켜 지중에 패널의 압입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Structure of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underground structures }
본 발명은 지중 관 및 하수박스 등의 지하구조물 설치를 위한 지반 굴삭 작업 시, 토압에 대응하고 굴삭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삭부 측면으로 설치되는 흙막이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 굴삭 수단을 결합시키되, 상부에 착탈식의 견인 수단이 설치되는 흙막이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패널의 지중 입설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지중 구조물 견인 및 설치를 위한 별도의 크레인 장비 동원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간활용성 및 작업성을 높이며, 또한 지하구조물의 설치 폭에 따라 너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능동적인 시공 대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너비 조절이 가능한 착탈식 견인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구조와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거나 지중 관을 매설하기 위해 관로 터파기를 하는 등의 지반 굴삭 작업 시 건축물 배치 주변에 공지의 면적이 넓어 충분한 안식각을 구할 수 있을 때는 경사면 오픈 컷(open cut)을 실시할 수 있으나, 현장 여건상 여유있는 안식각이 확보되지 않은 현장의 경우 흙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착부의 측면으로 흙막이 벽체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흙막이 벽체는 터파기 공사 중 생성되는 토압 및 수압 등의 측압을 일시적으로 부담하는 가설물로 그의 종류도 다양한 바,
먼저 엄지 말뚝식 흙막이 벽은 지중을 천공하고 H-파일(H-PILE)을 삽입한 후 굴착하면서 두 개의 H-파일(H-PILE)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것으로, 강재 엄지 말뚝을 천공 또는 진동 압입하거나 보링하여 지중에 삽입한 후에 굴착을 진행하면서, 토류판을 끼워서 굴삭벽을 지지하는 방법이다.
또한, 흙막이 벽은 강널 말뚝의 또 다른 공법으로도 설치될 수 있는 바, 강널 말뚝을 설치하여 차수벽과 토류벽의 역활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공법으로 주로 차수성이 필요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제시된 흙막이 구조는 궁극적으로 하수박스 등의 지하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구조물 설치를 요하는 현장에 굴삭을 진행하기 위한 굴삭기와, 지중 굴삭부에 지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크레인이 현장에 함께 동원되어 굴삭기로 토사를 굴착하면서 측면의 토사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를 설치한 후, 크레인으로 지하구조물을 인양하여 굴삭부에 설치하는 공정으로 지하구조물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시행되는 지하구조물 설치에 따른 장비들을 동원하여 시공시, 작업 공간을 크게 차지하여 인근 지대까지 불편을 안겨주게 되며, 또한, 소규모 공사가 시행되는 작업 현장이거나 지하구조물을 견인하기 위한 크레인의 진입이 힘든 협소한 작업현장일 경우, 지하구조물 설치에 큰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는 작업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를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지중 구조물을 설치할 굴삭부 토사를 일부 굴삭 후 패널을 지중에 압입하여 패널을 굴삭부에 입설시키는 종래의 흙막이 구조에서 상기 패널의 상단을 타격하여 패널을 압입하는 종래 방식은 고강도의 반복적 타격으로 인해 패널의 상단부가 파손되거나 형태가 일그러져 흙막이 구조로의 조립 뿐 아니라, 패널의 사용자체가 힘든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 본원 발명은 지중구조물 설치를 위한 흙막이 공사의 시행에 있어, 공사 현장의 작업 공간 활용성을 높이며, 동시에 공사 기간 또한 단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흙막이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흙막이 패널에 진동을 부여하고, 패널 하부에 굴삭 수단을 결합시켜 패널을 지중에 입설시키기 위한 보다 용이한 구성을 갖는 흙막이 구조를 구현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하부에 굴삭 유닛(120)이 형성되어 굴삭부 내측으로 입설되는 흙막이부(100)와, 흙막이부(100) 상부에 설치되되 너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00)와, X,Y축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지중 구조물을 인양하여 굴삭부에 배치시키는 견인부(30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본 발명 흙막이부(100)는 일측에 체결편(111)이 형성되되 타측으로는 체결홀(112)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진동체(110a)가 부착되고 하부 내측으로는 두 개의 기어를 선회하는 굴삭날(125)을 포함하는 굴삭 유닛(120)이 형성되는 직사각 박스형태의 패널(110)과, 패널(110) 일면에 끼워져 결합되되 일정거리 수직 하강하여 고정되는 지지재(130) 및 마주하는 지지재(130) 사이에 결합, 설치되어 굴삭 폭에 따라 조립 갯수를 달리하게 되는 간격재(140)로 구성되게 된다.
본 발명 지지부(200)는 패널(110) 상부에 결합되는 레일(210)과 레일(210) 상에서 활주하는 롤러(220) 및 그의 상부에 결합, 배치되는 유압잭(240)이 설치된 프레임체(230)와 프레임(232)체 하부에 결합되는 X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a)과 Y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b)로 구성되게 되며, 견인부(300)는 구동모터(310)와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320)와, 가이드 레일(250a, 250b) 상에 설치되되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X축 방향 회전 롤러(330a) 및 Y축 방향 회전 롤러(330b)와, 지하구조물을 인양하는 권취 체인(350) 및 견인 체인(37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는 지중구조물 설치를 위한 흙막이 공사의 시행에 있어, 공사 현장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중구조물 설치를 위한 별도의 인발 장치 및 크레인 사용에 따른 제반 비용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흙막이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견인장치의 진입이 힘든 협소한 작업 현장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굴삭폭에 따라 지지부의 너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중구조물이 설치되는 현장여건에 맞는 능동적이며 즉각적인 시공 대처가 이루어져 효율성을 높인 특징이 있다.
또한, 흙막이 패널에 진동을 부여하면서 패널의 하부에 굴삭면과 접하도록 궤도를 선회하는 굴삭날을 결합시켜 지중에 패널의 압입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지중 관 및 하수박스 등의 지하구조물 설치를 위한 지반 굴삭 작업 시, 토압에 대응하고 굴삭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삭부 측면으로 설치되는 흙막이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 굴삭 수단을 결합시키되, 상부에 착탈식의 견인 수단이 설치되는 흙막이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패널의 지중 입설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지중 구조물 견인 및 설치를 위한 별도의 크레인 장비 동원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간활용성 및 작업성을 높이며, 또한 지하구조물의 설치 폭에 따라 너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능동적인 시공 대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너비 조절이 가능한 착탈식 견인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구조와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결합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결합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의 일부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 설치를 위한 본 발명 흙막이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굴삭부 내측으로 입설되는 흙막이부(100)와 흙막이부(100) 상부에 설치되되 너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00)와, X,Y축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지중 구조물을 인양하여 굴삭부에 배치시키는 견인부(300)로 이루어지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우선, 본 발명 흙막이부(100)를 살펴보면, 일측에 체결편(111)이 형성되되 타측으로는 체결편(111)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체결홀(112)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진동체(110a)가 부착되고 내측 하부로는 두 개의 기어를 선회하는 굴삭날(125)을 포함하는 굴삭 유닛(120)이 형성되는 직사각 박스형태의 패널(110)과, 패널(110) 일면에 활강편(131)이 끼워져 결합되되 일정거리 수직 하강하여 고정되는 지지재(130) 및 마주하는 지지재(130) 사이에 결합, 설치되어 굴삭폭에 따라 조립 갯수를 달리하게 되는 간격재(14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패널(110)은 일측에 체결편(111)이 형성되되 타측으로는 체결홀(112)이 형성되며, 하부가 일부 개방된 직사각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바, 상기 다수 개의 패널(110)이 연속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결합, 배치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를 갖는 하나의 체결편(111)은 그와 이웃하는 패널(110)의 체결홀(112)에 끼워져 결합되게 되며, 상기 체결홀(112)은 체결편(111)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길쭉한 홀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플레이트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널(110)의 일면으로는 길쭉한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 플레이트(114)가 형성되는 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4)는 패널(110)의 일면 중앙부에 패널(110)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되, 가이드 플레이트(114)와 패널(110)면 사이로는 다수 개의 체결공(117)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115)가 형성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14)와 패널(110)을 결합, 지지시켜 주며, 지지 플레이트(115)의 양측으로 끼움홀(116)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15)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체결공(117)은 후술하는 지지재(130)를 끼움홀(116)의 상부로 끼워넣어 하부로 일정거리 활강시킨 후, 지지재(130)의 하부에 위치되는 체결공(117)에 체결핀(118)을 끼워넣어 지지재(130)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지지시킨다.
또한, 상기 패널(110)의 전방 및 후방 상부로는 통공 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인발공(113a)이 패널(110)면에 형성되어 패널을 설치하거나 해체시 인발 장비로 패널을 인양하여 희망 위치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패널(110)의 내측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진동체(110a)가 부착되고, 패널(110)의 내측 하부로는 굴삭 유닛(120)이 형성되는 바, 구동 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기어(121)와 구동 기어(121)와 연계되어 동방향 회전되되, 패널(110) 내부의 하측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주동 기어(122) 및 체인(124)에 의해 주동 기어(122)와 연계되어 동방향 회전하되, 주동 기어(122)가 형성된 패널(110) 내부의 하측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종동 기어(123)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주동 기어(122)와 종동 기어(123)의 외주연을 선회하는 체인(124)으로는 다수 개의 굴삭날(125)이 결합되는 바, 상기 굴삭날(125)은 체인(124)의 회전에 따라 양 기어의 궤도를 선회하며, 패널(110)의 하단 외부로 노출되어 지중 굴삭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굴삭날(125)은 톱니 형태이거나, 첨예한 날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바, 끝단부가 토사 굴삭에 유리한 첨예한 형상이면 어느 형태라도 무방하다
또한, 패널(110) 면에 부착되는 진동체(110a)는 지속적인 진동을 패널(110)에 부여하여 패널(110)의 수직 하강과 지중 압입을 조력하여 주며, 상기 주동 기어(122) 및 종동 기어(123)에 소정 강도의 수직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 수단(126)이 형성되는 바, 상기 진동 수단(126)은 주동 기어(122) 및 종동 기어(123)가 회전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반복적 수직운동 할 수 있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바이브레이터 내지 타격기 등 패널(110)에 진동을 부여하면서 패널(110)의 지중 압입을 조력하여 줄 수 있으면 족하다.
한편, 상기 패널은 굴삭부의 깊이가 깊을 경우, 상부 및 하부 패널로 구분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는 바, 상기 굴삭 유닛(120)은 하부 패널의 하부에 형성하고 하부 패널의 전방 및 후방 상부로는 통공 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인발공(113a)을 형성하되, 상부 패널의 하부로는 패널면 하부로 돌출되는 연장편에 통공 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113b)을 상부 패널의 인발공(113a)과 수직 일직선상에 형성하여 상기 돌출된 상부 패널 체결공(113b)은 하부 패널의 인발공(113a)의 내측으로 끼워넣어 상기 체결공(113b)과 인발공(113a)의 배치로 일직선상의 관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형성되는 관통로에 체결핀(113c)를 삽입하고 나사 등으로 체결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및 하부 패널이 하나의 패널 조립체로 결합되어 측토압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패널(120)은 하나의 패널이나, 상부 및 하부로 구분, 적층되는 두 개의 패널 뿐만 아니라, 굴삭 깊이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의 패널이 상술한 인발공(113a)과 체결공(113b)의 동일 구성으로 적층, 조립되어 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널(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재(130)는 직사각 박스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은 길쭉한 플레이트 형태의 활강편(13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117)에 끼워지어 패널(110)에 결합되되, 타측은 다수의 통공(132)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결합 형성되게 되며, 굴삭부에 마주하는 패널 벽체를 설치시 마주하게 되는 두 개의 지지재(130) 사이로는 간격재(140)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간격재(140)는 다수의 통공(141)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양측으로 결합 형성된 직사각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바, 지지재(130) 및 간격재(140)의 마주하는 통공을 체결핀(150)으로 체결하여 지지재(130)와 간격재(140)를 결합시키며, 굴착부 폭에 따라 간격재(140)의 결합 갯수를 달리하여 결합시켜 현장 굴착폭에 따른 유동적인 변형이 용이한 흙막이부(1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지지부(200)를 살펴보면, 흙막이부(100) 패널(110)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210)과 레일(210) 상에서 활주하는 롤러(220) 및 지지부(200)의 지지체가 되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231)과 수평 프레임(232) 및 지지 프레임(233)으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레일(210)은 패널(110) 상부에 다수 개 배치되되, 그 중앙부가 이웃하는 두 개의 패널(110) 사이 연결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다수 개가 일렬 배치되게 된다.
상기 지지체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231)과 다수 개의 수평 프레임(232)으로 형성되는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과 직사각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233)으로 결합되는 프레임체(230)가 마련되는 바, 상기 프레임체(230)는 그 하부에 다수의 롤러(220)를 형성하여 레일(210) 상에 배치시킴으로써 프레임체(230)가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수평 프레임(232)의 일정 위치로는 유압잭(240)이 설치되어 유압 펌프(미도시)로부터 유압이 공급되고 차단됨으로 유압잭(240)의 피스톤이 신장, 수축되고, 수평 프레임(232)의 일단을 밀어주고 회귀시켜주게 되며, 이로 인해 수평 프레임(232)의 길이 신장과 수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다수의 수평 프레임(232) 중 최상부에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232)의 하부로는 X축 및 Y축의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X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a) 및 Y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b)이 높이차를 가지며 교차 배치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견인부(300)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견인부(300)는 구동 모터(310)와 모터의 회전력을 롤러(330)에 전달하는 감속기(320)와, 상기 X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a) 상에 설치되되,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수평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X축 방향 회전 롤러(330a) 및 Y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b) 상에 설치되되,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수평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Y축 방향 회전 롤러(330b)와, 지하구조물을 인양하기 위한 권취 체인(350) 및 견인 체인(37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모터(310)는 X축 방향 회전 롤러(330a) 및 Y축 방향 회전 롤러(330b)의 회전과 권취 체인(350)의 권취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해주며, 상기 감속기(320)가 롤러(330)와 권취 박스(340) 내의 권취 롤러(미도시)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롤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권취 박스(340) 내부로는 권취 체인(350)이 권취되는 바, 상기 권취 체인(350)은 수평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바(360)에 걸림고리 등으로 결합 되어지며, 상기 지지바(360)의 하부 양측으로 견인 체인(370)이 마련되어 상기 견인 체인(370)으로 지하구조물을 인양하여 굴착부에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 흙막이 구조를 통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지하구조물 시공 현장에 본 발명 흙막이 구조를 이루는 각 구성 부재와 설치할 지하구조물을 반입하여 두고, 두 개의 패널(110)에 각각 하나씩 지지재(130)를 결합시키되, 패널(110) 끼움홀(116)의 상부로부터 지지재(130)의 활강편(131)을 끼워넣어 일정거리 하강시킨 후, 패널(1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17) 중 지지재(130)의 하부에 위치되는 체결공(117)에 체결핀(118)을 끼워넣어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지지재(130)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패널(110)과 지지재(130)를 결합시키고, 상기 마주하는 두 지지재(130) 사이로 간격재(140)를 결합시키는 바, 시공 현장에서 요하는 굴착폭에 상응하도록 간격재(140)의 갯수를 산정하여 결합시키되, 지지재(130)의 일측에 마련된 다수 개의 통공(132)과 간격재(140)의 양측에 형성된 다수 개의 통공(141)이 서로 맞접되도록 위치시켜 상기 통공(132, 141)을 관통하도록 다수 개의 체결핀(150)을 체결하여 결합시키면 된다.
그런 다음, 최초 시공할 위치에 굴삭기로 일정깊이 터파기를 실시한 후, 패널(110) 인발공(113a)에 와이어 및 걸림 부재를 걸어 인양시켜 상기 조립한 패널(110)과 지지재(130) 및 간격재(140) 결합체를 굴삭부에 입설시킨다.
상기 패널(110)을 굴삭부에 입설시 상부에서 패널(110)을 가압하여 패널(110)을 굴삭면 하부로 압입함과 동시에 구동 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패널(110) 면의 진동체(110a) 및 패널(110) 하부에 형성된 구동 기어(121)가 회전하게 되며, 그와 연계된 주동 기어(122)와 종동 기어(123)의 회전으로 체인(124)에 결합된 굴삭날(125)이 기어를 선회하며 지중 굴삭면 토사를 굴삭하고, 패널(110)이 원활하게 지중 압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굴삭과 패널(110)의 압입을 반복하여 목표 깊이까지 굴삭하여 상기 패널(110) 및 지지재(130)와 간격재(140)가 결합된 흙막이부(100)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흙막이부(100)는 패널(110)을 굴삭부에 먼저 입설시키고, 지중에 일정깊이 압입시킨 후, 지지재(130)와 간격재(140)를 조립,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의 공정을 두 개조 내지 세 개조 시공 후, 상기 패널(110)의 상부에 레일(210)을 설치하면 되는데, 상기 레일(210)은 다수 개의 레일(210)이 일렬로 정렬되어 하나의 긴 레일체가 형성되도록 하되, 하나의 레일(210)의 중앙부가 이웃하는 두 개의 패널(110)의 연결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배치시킨 후, 상부에 프레임체(230)가 결합된 롤러(220)를 레일(210) 상에 배치시킨다.
그런 후, 구동 모터(310)를 구동시켜 회전 롤러(330a, 330b)를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여 견인부(330)를 전진 및 후진시키게 되는데, 현장에 반입되어 있는 하수 박스 등의 지중 구조물을 견인 체인(370)으로 걸어 지중 구조물을 견인부(300)에 고정시킨 후, 권취 체인(350)을 권취 박스(340) 내에 권취시킴으로써 지중 구조물을 인양하여 굴삭부에 안착시키고, 굴삭부에 설치된 지중 구조물에 이웃하게 다른 하나의 지중 구조물을 설치하며 상기 작업의 반복적인 전진 시공 후, 지지부(200) 및 견인부(300)를 철거하고, 굴삭부에 되메우기 한 후, 흙막이부(100)를 인발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100 : 흙막이부 110 : 패널
111 : 체결편 112 : 체결홀
113a : 인발공 113b : 체결공
113c : 체결핀 114 : 가이드 플레이트
115 : 지지 플레이트 116 : 끼움홀
117 : 체결공 118 : 체결핀
120 : 굴삭 유닛 121 : 구동 기어
122 : 주동 기어 123 : 종동 기어
124 : 체인 125 : 굴삭날
126 : 진동 수단 130 : 지지재
131 : 활강편 132, 141 : 통공
140 : 간격재 150 : 체결핀
200 : 지지부 210 : 레일
220 : 롤러 230 : 프레임체
231 : 수직 프레임 232 : 수평 프레임
233 : 지지 프레임 240 : 유압잭
250a : X축 방향 가이드 레일 250b : Y축 방향 가이드 레일
300 : 견인부 310 : 구동 모터
320 : 감속기 330a: X축 방향 회전 롤러
330b : Y축 방향 회전 롤러 340 : 권취 박스
350 : 권취 체인 360 : 지지바
370 : 견인 체인

Claims (5)

  1. 건축물의 지하층이나 지하철 등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거나 지중 관을 매설하기 위한 지반 굴착작업 시 흙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착부 측면으로 설치되는 흙막이 구조에 있어서,
    일측에 길쭉한 플레이트 형태의 체결편(111)이 형성되되, 타측으로 체결편(111)을 수용할 크기의 길쭉한 체결홀(112)이 형성되며, 하부에 동방향 회전하는 두 개의 기어를 선회하는 체인(124)과 굴삭날(125)이 형성된 패널(110)과, 패널(110) 일면에 활강편(131)이 끼워져 결합되되 일정거리 수직 하강하여 고정되는 지지재(130) 및 마주하는 지지재(130) 사이에 결합, 설치되어 굴착폭에 따라 조립 갯수를 달리하게 되는 간격재(140)로 구성되는 흙막이부(100)와,
    패널(110) 상부에 결합되는 레일(210)과 레일(210) 상에 배치되어 활주하는 다수 개의 롤러(220)와 롤러(220)의 상부에 결합, 배치되되 다수 개의 유압잭(240)이 설치된 프레임체(230)와 프레임체(230)에 결합되는 X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a) 및 Y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b)로 구성되는 지지부(200)와,
    구동모터(310)와,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320)와, X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a) 상에 설치되되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X축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X축 회전 롤러(330a)와, Y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b) 상에 설치되되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Y축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Y축 회전 롤러(330b)와, 지하구조물을 인양하는 권취 체인(350) 및 견인 체인(370)으로 구성되는 견인부(300)로 구성되어 패널의 지중 입설 및 압입과 지하구조물의 견인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흙막이부(100) 패널(110)은 내부 공간을 갖는 직사각 박스형태로 형성되되, 패널(110) 하부 내측으로는 구동 기어(121)와 구동 기어(121)와 연계되어 동방향 회전되는 주동 기어(122) 및 종동 기어(123)와 주동 기어(122) 및 종동 기어(123)의 외주연을 선회하는 체인(124)과 체인(124) 외면에 다수 개 결합되는 굴삭날(125)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진동 수단(126)이 형성되어 굴삭날(125)이 지중 굴삭면과 접하여 반복적 수직운동하며 회전하도록 하여 패널의 지중 압입을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진동 수단(126)은 주동 기어(122) 및 종동 기어(123)와 체인(124)이 반복적으로 수직운동 할 수 있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바이브레이터 내지 타격기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부(200)는 그 중앙부가 이웃하는 두 패널(110)의 연결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되, 패널(110) 상부에 다수 개가 일렬 배치되는 레일(210)과, 레일(210) 상에 배치되어 프레임체(23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다수 개의 롤러(220)와, 유압잭(240)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평 프레임(232)과 수평 프레임(232)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231)이 롤러(220)의 상부에 결합·지지되는 프레임체(230)와, 최상부에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232)의 하부에 결합되되, 높이차를 가지며 교차 배치되는 X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a)과 Y축 방향 가이드 레일(250b)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
  5. 건축물의 지하층이나 지하철 등 지반을 굴착하고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거나 지중 관을 매설하기 위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최초 시공할 위치에 굴삭기로 일정깊이 터파기를 실시한 후, 하부 내측에 구동 기어(121)와 구동 기어(121)에 연계되어 동방향 회전하는 두 개의 기어 및 양 기어의 외주연을 선회하는 굴삭날(125)이 형성된 하나의 패널(110)마다 하나의 지지재(130)를 결합시키고, 굴삭폭에 상응하도록 갯수를 산정하여 두 지지재(130) 사이에 간격재(140)를 결합시켜 굴삭 위치에 입설시킨 후, 구동 기어(121)를 구동시켜 그와 연계된 이격된 두 개 기어의 회전으로 기어에 결합된 다수의 굴삭날(125)이 하부 토사를 굴삭하도록 하여 패널(110)을 지중에 압입시키고, 마주하는 두 개의 패널(110) 사이 토사를 굴착하면서 패널(110)의 압입을 두 개조 내지 세 개조 시공 후, 패널(110)의 상부에 다수 개의 레일(210)을 설치하고, 하부에 롤러(220)가 결합되고 구동 모터(310)와 그에 의해 구동하는 견인 체인(370)이 형성된 프레임체(230)를 레일(210) 상부에 배치시킨 후, 구동 모터(310)를 구동시켜 견인 체인(370)이 구조물을 인양하여 굴삭부에 안착시켜 지하 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10127648A 2011-12-01 2011-12-01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20130061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48A KR20130061377A (ko) 2011-12-01 2011-12-01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48A KR20130061377A (ko) 2011-12-01 2011-12-01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77A true KR20130061377A (ko) 2013-06-11

Family

ID=4885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48A KR20130061377A (ko) 2011-12-01 2011-12-01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13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999B1 (ko) * 2020-09-04 2021-01-12 주식회사 데크맨 토류판, 토류판 설치 지그 및 토류판 시공 방법
CN112947227A (zh) * 2021-03-06 2021-06-11 深圳市安比智慧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深基坑监控系统
CN114482064A (zh) * 2021-07-19 2022-05-13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平方向开挖的基坑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115324067A (zh) * 2022-07-23 2022-11-11 北京城乡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半盖挖精准定位安装钢支撑的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999B1 (ko) * 2020-09-04 2021-01-12 주식회사 데크맨 토류판, 토류판 설치 지그 및 토류판 시공 방법
WO2022050499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데크맨 토류판, 토류판 설치 지그 및 토류판 시공 방법
CN112947227A (zh) * 2021-03-06 2021-06-11 深圳市安比智慧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深基坑监控系统
CN114482064A (zh) * 2021-07-19 2022-05-13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平方向开挖的基坑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115324067A (zh) * 2022-07-23 2022-11-11 北京城乡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半盖挖精准定位安装钢支撑的装置
CN115324067B (zh) * 2022-07-23 2023-08-18 北京城乡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半盖挖精准定位安装钢支撑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78661A (zh) 方形抗滑桩成孔方法以及成孔用方形钻头
CN212026272U (zh) 一种复合型拉森钢板桩基坑支护结构
CN113322990B (zh) 一种适用于薄覆盖层硬质河床的锁扣钢管桩围堰施工方法
KR20130061377A (ko)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949606B1 (ko) 천공오거 케이싱 외부에 장착하여 일체형으로 시공하는 시트파일 천공항타공법 및 천공항타장치
KR20130085772A (ko) 저심도 지하 연속 구조물 시공을 위한 흙막이 구조
KR20130061372A (ko)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018889B1 (ko) 수평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식 언더패스터널 구축방법
KR20120109437A (ko) 시트파일용 가이드 롤러가 포함된 굴착장치
JP2017166294A (ja) 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KR20130030340A (ko) 착탈식 견인 수단이 구비된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20130085354A (ko) 나선 말뚝의 파일링 장치
KR20130061368A (ko)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20060122047A (ko) 유도레일장치와 협지장치를 구비한 지중 연속벽 구축용파일드라이버
KR101289392B1 (ko)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
KR102122698B1 (ko) 대심도 및 도심지 수직굴착시 지반변위 최소화를 위한 흙막이 벽체 시공공법
JP2009235807A (ja) 地下構造物の解体撤去工法
KR20100138522A (ko) 흙막이공사용 토류벽 시공방법 및 그 장치
JP2008274746A (ja) 地下構造物の解体撤去工法
JP5876353B2 (ja) 鋼管杭の構築方法
KR20130061370A (ko)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3043502B2 (ja) 薄膜壁体造成用掘削孔形成方法
KR101886969B1 (ko) 포크레인 결합형 지반굴착장치
KR100669527B1 (ko) 흙막이 공사 장치
JP2013144876A (ja) 山留め壁の施工方法、及びその施工方法に使用する芯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