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951A -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951A
KR20130060951A KR1020110127281A KR20110127281A KR20130060951A KR 20130060951 A KR20130060951 A KR 20130060951A KR 1020110127281 A KR1020110127281 A KR 1020110127281A KR 20110127281 A KR20110127281 A KR 20110127281A KR 20130060951 A KR20130060951 A KR 20130060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atcc
lactic acid
lactococcus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412B1 (ko
Inventor
이준구
김동명
김덕훈
Original Assignee
인타글리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타글리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타글리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4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향엽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성된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두향엽 나노 입자가 함유된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성된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nd skin whitening comprising ferment filtrate of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두향엽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성된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두향엽 나노 입자가 함유된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성된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경제의 선진화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서구형 피부 질환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커다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어린이에서 흔히 나타나며 어른이 되어서도 증상이 계속되는 만성 피부질환으로,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최근에는 어린이에서 20% 이상, 성인에서는 1-3% 정도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 되었다. 현재까지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원인에 대해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다만 다양한 임상양상만큼 복합적인 인자와 다양한 면역학적 반응의 결과로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인 인자, 환자의 면역학적 이상 반응 및 피부 장벽대의 이상 등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한방과 양방의 치료가 서로 달라서 의료 소비자인 환자는 물론 환자의 가족들에게도 정확한 치료 지침을 마련해 주기 어려운 상태이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일반적으로 정상인에 비하여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에 의한 피부 감염이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포도알균에 의한 피부 감염증이 자주 발생한다. 포도알균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서 95% 정도 배양되지만 정상인은 5% 가량 배양되는 차이를 보여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피부에 존재하는 선천성 항균 펩타이드가 정상인에 비해 적거나 기능을 하지 못해 피부에 세균이 잘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소 스테로이드제는 지난 50년 이상 아토피 피부염의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 국소 스테로이드제만큼 효과적인 치료제는 없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바른 부위에 살이 트는 팽창선조, 피부 위축, 모세혈관 확장,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다모증, 자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 신문이나 잡지, 인터넷을 통해 이러한 부작용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많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나 보호자들이 국소 스테로이드 사용을 꺼리고 있어 (steroid phobia)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한 보다 근본적인 치료법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해 피부에 색소 침착이 일어나 피부가 거무스름해지는 문제가 있어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의 고통이 배가되고 있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염증 후 과색소 침착 (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에 대하여 미백 효과를 함께 가지는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두향 (Ledum palustre)은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에 자생하고, 특히 백두산의 해발 1,700~2,700m의 고지에 분포하는 키 10~50cm의 진달래과의 상록관목으로, 문헌에 따르면 두향의 기름은 한방에서 기관지염, 간장염, 급성비염, 천식, 월경불순 및 불임을 치료하는 약제로 사용된다고 기록되어 있고, 일본에서는 혈압강하제의 원료로 사용된다고 보고가 있다 (한국특허출원 10-2002-0063286호). 또한, 두향이 류마티즘, 관절증 및 벌레 물린데의 대증적 치료에 사용 가능하다는 보고가 있고 (Dubois, et al., 1990, phytochemistry, Vol. 29, No.10, pp.3369-3371), 한국특허출원 10-2003-0042520호에서는 두엽 (Ledum palustre L. var. angustum N. Busch) 추출물이 항염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이 우수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자 연구한 결과, 두향엽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성된 두향엽 발효여액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및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하여 침착된 피부의 미백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두향엽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성된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두향엽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성된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은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혼합 균주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은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ATCC 19634 또는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ATCC 6057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ATCC 6057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241,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NCTC 7220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ATCC 149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NCDO 1750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는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ATCC 11454, 또는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NCIB 8586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7469,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KCTC 3326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ATCC 31063, 또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ATCC 15521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ATCC 15521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는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ATCC 51150이고,
상기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은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ATCC 49370이고,
상기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는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ATCC 51523이고,
상기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CCUG 11672,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 또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33316이고,
상기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는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ATCC 33314이고,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ATCC 27672이고,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는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 ATCC15697 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bacteriocin)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혼합 균주일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241,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NCTC 7220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7469,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KCTC 3326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CCUG 11672,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 또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33316 일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유산균은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24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7469 또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33316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균과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 또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균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두향엽 추출물은 두향엽의 나노 입자가 함유된 나노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두향엽의 나노 입자는 100 내지 500nm 범위의 균질화된 입자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두향엽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나노 입자가 함유된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산균 배양배지에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의 배양시의 온도는 보통 25℃ 내지 40℃이고, 배양시간은 7시간 내지 40시간이며, 상기 유산균은 1010 내지 1011 CFU/ml로 농축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두향엽 나노 입자는 100 내지 500nm 범위의 균질화된 입자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두향엽 나노 추출물은 유산균 배양배지 대비 1 내지 2 중량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에서 용어, "두향엽 추출물" 은 두향의 잎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추출 방법은 통상의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초음파 추출, 열수 추출 등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용어,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성된" 이란 유산균을 이용하여 원재료를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변성 또는 변형시키는 것을 말하며, 자연 하에서는 몇 만년이 걸려야 바뀔 수 있는 것을 단 며칠 또는 몇 개월 만에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분해 과정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는 외형은 바뀌지 않고 원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약성이나 성분만을 유산균이 선택적으로 찾아내 섭취하여 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용어, "발효여액" 이란 두향엽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배지에서 유산균 균체를 제거한 여액으로서, 유산균을 이용하여 두향엽 추출물을 발효 및 배양한 배지에 포함된 구성성분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고 유산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생성된 나노 발효여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두향엽 추출물의 발효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글루코오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이다. 젖산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이 저지되는 성질을 유제품, 김치류, 양조식품 등의 식품제조에 이용한다. 또한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정장제로도 이용되는 세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혼합 균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균들은 공지된 균들로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생물자원센터, Belgian Co-ordinated Collections of Micro-organisms (BCCM), 또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분양받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균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으로는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ATCC 19634 또는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ATCC 6057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로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ATCC 6057을 사용할 수 있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241,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NCTC 7220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ATCC 149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NCDO 1750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로는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ATCC 11454, 또는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NCIB 8586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로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7469,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KCTC 3326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로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ATCC 31063, 또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ATCC 15521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로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ATCC 15521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로는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ATCC 51150을 사용할 수 있고,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로는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ATCC 49370을 사용할 수 있고,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로는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ATCC 51523을 사용할 수 있고,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로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CCUG 11672,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 또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로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33316을 사용할 수 있고,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로는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ATCC 33314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로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ATCC 27672을 사용할 수 있고,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로는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 ATCC15697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박테리오신은 항균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로, 근연 관계의 세균을 죽이거나 생육을 저해하는 물질로서, 내재된 유전자에 의하여 직접 생합성 (ribosomal translation)되며,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어 인체에 무독하고 잔류성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배양물에 포함되는 박테리오신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진 않으며, 구체적인 종류로는 니신 (nisin), 섭틸린 (subtilin), 바실리신 (bacilysin), 콜리신스 (colicins), 알베이신스 (alveicins), 카르토보리신스 (cartovoricins), 아리조나신스 (arizonacins), 클로아신스 (cloacins), 마그세신스 (marcescins), 뉴모신스 (pneumocins), 애어로신스 ( (aerocins), 시오신스 (pyocins), 플루오신스 (fluocins), 페스피신스 (pesficins), 메가신스 (megacins), 모노신스 (monocins), 세레신스 (cerecins), 엔테로코킨스 (enterococcins) 및 스타필로코킨스 (staphylococcins)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으로 색소가 침착된 피부에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란, 특정 피부의 관리와 예방을 위해 특정 기능을 강조해 만든 화장료 조성물, 또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한 각종 피부 질환의 예방과 적당한 관리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크림류, 팩류, 로션류, 에센스류, 화장수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 베이스류 등이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제형 중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되어 상용화될 수 있으며, 상기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맞게 정제수, 보습제,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 연화제 (emollient), 킬레이트제, 점증제, 영영성분, pH조절제, 향료 등을 임의로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향엽 추출물의 발효여액을 함유한 화장료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1) 두향엽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나노 입자가 함유된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유산균 배양배지에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단계 (1) 은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서는 두향엽 추출물 원료 자체의 피부 흡수력 및 원료 안정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나노기술 (nanotechnology)을 융합함으로써 기존 바이오 소재보다 월등한 안전성과 흡수 및 이동성이 좋은 나노-추출물 발효여액 기능성 화장료 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두향엽 나노 추출물은 두향엽을 나노분쇄기 (Nanomil, Simbex. Co., Ltd, German)로 분쇄한 다음 초음파 추출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노 입자의 크기는 100 ~ 500nm 범위의 균질화된 입자인 것이 좋다. 나노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두향엽의 분말 제조 후 나노 입자화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 제조는 나노분쇄기 (Nanomil,Simbex.Co .,Ltd,German)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분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두향엽의 나노분말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식품 재료의 나노 입자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유체 추출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 추출 공정은 다른 추출공정에 비하여 입자 내에 독성용매나 계면활성제가 없는 관계로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RESS (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s), GAS (Gas Anti-Solvent), SAS (Supercritical fluid Anti-Solvent), ASES (Aerosol Solvent Extraction System), SEDS (Solution Enhanced Dispersion by Supercritical Fluids), PGSS (Particles from Gas Saturated Solutions), RPSS (Reactive Precipitaion in Supercritical Solution)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 에서는 유산균의 발효를 위하여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한다. 유산균 배양배지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지는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탄소원의 예에는 포도당, 자당, 유당, 과당,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와 같은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와 같은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셀롤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탄소원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의 예에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및 대두밀과 같은 유기 질소원 및 요소,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과 같은 무기 질소원이 포함된다. 이들 질소원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에는 인원으로서,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및 대응되는 소듐-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황산마그네슘, 황산망간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아세트산 나트륨, 스트르산 이암모늄, 염화칼슘, 아미노산, 비타민 및 적절한 전구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배양 중에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인산 및 황산과 같은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pH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배양배지로 MRS (de Man, Rogosa and Sharpe) 액체 배지,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 (Minimal Essential Medium), BME (Basal Medium Eagle), RPMI 1640, F-10, F-12, α-MEM (α-Minimal essential Medium), G-MEM (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및 Iso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발효란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변화시키는 전체적인 과정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발효과정을 통해서 미생물이 생약 원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찾아내어 섭취한 뒤 배설하여 대사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이러한 대사물질을 발효액이라 한다.
유산균 발효를 위한 유산균은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유산균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1010 내지 1011CFU/ml로 농축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의 배양 및 발효는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당업자라면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는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체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호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유산균의 배양시의 온도는 보통 2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이며, 7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1010 ~ 1011 CFU/ml로 농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에 의하여, 크기가 커서 피부로 흡수할 수 없는 고분자를 유산균의 작용으로 저분자로 분해하며 분해과정 중 유산균의 각종 효소들에 의하여 유효성분의 활성도를 높이고 미량 성분에 대해서는 획득 수율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또한 농약, 중금속 등의 독성물질을 분해 또는 불활성화시켜 피부에 유해가 되는 요소를 제거시킬 수 있다. 발효과정을 거치면 유산균은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를 미세하게 분해하고 소화한 뒤 배설하게 되는데 이때 나오는 물질이 대상물질, 즉 추출물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발효과정은 저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유산균을 이용하면 기존의 열수 추출이나 진공 추출 등에서 야기되는 성분의 손실이나 변성이 전혀 없이, 실온에서 원료의 외형은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유효성분만을 효과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다.
유산균의 배양 및 발효는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당업자라면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은 다양한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세포의 성장방식에 따라 현탁배양과 부착배양을 배양방법에 따라 회분식과 유가식 및 연속배양식의 방법으로 구분된다. 또한 배양 중에는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체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호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할 수도 있다. 배양시의 온도는 보통 2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이고, 배양시간은 7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두향엽 나노 추출물은 유산균 배양배지 대비 1 중량% 내지 2 중량% 가 함유된 것이 좋다.
배양 종료 후에 배양물과 균체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분리 (contrifugation) 또는 여과 (filtration)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균체의 제거는 통상적인 균체의 제거를 위한 방법을 통해 유산균 균체가 실질적으로 제거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형성된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두향엽 추출물의 발효여액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치료의 보조 또는 대체 수단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나노 공법을 통해 활성성분을 피부 깊숙한 곳까지 그 효능을 빠르게 침투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에 1. 두향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여액의 제조
건조한 두향엽 분말을 나노 분쇄기 (Nanomil, Simbex. Co., Ltd, German)로 분쇄한 다음 초음파 추출하여 100 ~ 500nm 범위의 균질화된 나노 입자를 수득하였다.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MRS 배지를 기반으로 한 배지에 첨가하여 pH 를 5.5 로 조정한 후 고압살균기로 100℃ 이상에서 10분간 살균하였다. 살균이 끝난 시료는 42℃로 냉각한 후 유산균 혼합 균주를 2% 접종하고 37℃의 항온기에서 15시간 발효하였다. 유산균 혼합 균주로는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241 및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 의 혼합 균주 (제조예 1),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241 및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 의 혼합 균주 (제조예 2),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7469 및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의 혼합 균주 (제조예 3),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7469 및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의 혼합 균주 (제조예 4),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 및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33316의 혼합 균주 (제조예 5)를 각각 사용하였다.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는 Belgian Co-ordinated Collections of Micro-organisms (BCCM)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발효기에 상기 배양 배지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배양 배지 35kg 을 준비하고 상기 전 배양액 3.5kg 을 접종한 후 30~37℃ 에서 12~20시간 배양하여 본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본 배양이 완료된 후 발효기의 온도를 약 70℃ 이상 승온시키고 30분간 유지하여 균을 실활시켰다. 이후 발효기의 온도를 약 50℃ 까지 냉각시키고, 배양액을 원심분리시켜 균체와 배양 여과액으로 분리시켰다. 분리된 배양 여과액에 배양 여과액 전체 부피의 약 1.0~2.0%에 해당하는 활성탄을 넣고 약 3시간 동안 탈색 및 탈취시키고, 이를 필터 프레스 여과기 (Filter press, 규조토+여과포로 구성됨; 필터 프레스 온도는 약 55~60℃ 필터 프레스 압력은 약 1~2기압, 여과포의 기공 크기는 약 5㎛, 규조토 사용량은 처리할 여과액 총 부피의 약 5%임)에 통과시켜 활성탄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제된 배양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정제된 배양 여과액을 농축시켜 고형분 농도가 약 20 브릭스 (Brix)인 농축 배양 여과액 약 3.5㎏을 수득하였다. 농축 배양 여과액을 트랩온도 약 -80℃ 이하에서 약 40시간 이상 동결건조시켜 발효여액의 건조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두향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형의 제조
2-1. 모이스처라이징소프트너의 제조
모이스처라이징소프트너는 A상으로써 정제수+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향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여액 76.198%, EDTA-2Na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D,L-Panthenol (디엘판테놀) 0.10%, Aminocoat (아미노코트) 2.00%, Allantoin (알란토인) 0.10%, Glycerin (글리세린) 7.00%, Na-Hyaluronate (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3.00%, PCA-Na (2-피롤리돈-5-카르본산나트륨) 4.00%, 1,3-BG (부틸렌 글라이콜) 4.00%, Carbopol 941 (카보머) 0.07%, Aronvis-M (아론비스) 0.05%가 포함되고, B상으로써 Ethanol (95%, 에탄올) 1.50%, Spectrastat 0.30%, Nikkol HCO-40 0.30%, DC 556 0.20%, FE 6014245 0.05%가 포함되며, C상으로써 T.E.A 0.07%, 복합식물추출물 1.00%, 카라멜 색소 0.012%가 포함된다. 상기 원료 들을 사용한 모이스처라이징소프트너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1) A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하고, 2) 별도의 용해조에 B상을 용해한 후 본가마에 넣으며, 3) C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함으로써 모이스처라이징소프트너를 제조하였다.
2-2. 모이스처라이징세럼
모이스처라이징세럼는 A상으로써 정제수+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향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여액 59.43%, EDTA-2Na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D,L-Panthenol (디엘판테놀) 0.10%, Aminocoat (아미노코트) 1.00%, PCA-Na (2-피롤리돈-5-카르본산나트륨) 3.00%, Glycerin (글리세린) 8.00%, Adenosine (아데노신) 0.04%, 1,3-BG (부틸렌 글라이콜) 10.00%, 유용성감초추출물 0.05%, Keltrol-F (켈트롤에프) 0.10%, Natrosol 250HR 0.26%가 포함되고, B상으로써 Squalane (스쿠알란) 1.50%, Grape seed oil (포도씨오일) 1.20%, Tegocare 450 1.30%, Abil EM 90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 0.50%, Nikkol HCO-40 0.60%, Spectrastat 0.30%, Neosil ES 8.00%, Sepigel 305 0.40%이포함되며, C상으로써 Na-Hyaluronate (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3.00%, FE 6014245 0.10%, 복합식물추출물 1.00%, 카라멜 색소 0.07%가 포함된다. 상기 원료 들을 사용한 모이스처라이징세럼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1) A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하고, 2) 별도의 용해조에 B상을 용해한 후 본가마에 넣으며, 3) C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함으로써 모이스처라이징세럼을 제조하였다.
2-3. 모이스처라이징에멀젼
모이스처라이징에멀젼은 A상으로써 정제수+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향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여액 57.53%, EDTA-2Na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D,L-Panthenol (디엘판테놀) 0.10%, Aminocoat (아미노코트) 2.00%, PCA-Na (2-피롤리돈-5-카르본산나트륨) 5.00%, Glycerin (글리세린) 7.00%, Adenosine (아데노신) 0.04%, 1,3-BG (부틸렌 글라이콜) 4.00%, 유용성감초추출물 0.05%, Carbopol 941 (카보머) 0.04%, Aronvis-M (아론비스) 0.02%가 포함되고, B상으로써 Lanette O (세테아릴알코올) 1.50%, Montanov L (몬타왁스) 0.80%, Arlacel 165 1.50%, Tween 60V 0.80%, Spectrastat 0.30%, C E H 5.00%, Tegocare 450 0.70%, Olivoil Glutinate (올리브오일 글루티네이트) 0.80%, Shea Butter (시어버터) 1.50%, DC 200/100cs 0.50%, Vitamin E Acetate 0.10%, Nexbase 2008 FG 3.00%, Grape seed oil (포도씨오일) 1.50%가 포함되며, C상으로써 T.E.A 0.04%, Na-Hyaluronate (0.5%,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00%, FE 6014245 0.12%, 발효여액 3.00%, 복합식물추출물 1.00%, 카라멜 색소 0.01%가 포함된다. 상기 원료 들을 사용한 모이스처라이징에멀젼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1) A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하고, 2) 별도의 용해조에 B상을 용해한 후 본가마에 넣으며, 3) C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함으로써 모이스처라이징에멀젼을 제조하였다.
2-4. 모이스처라이징크림
모이스처라이징크림은 A상으로써 정제수+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향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여액 48.99%, EDTA-2Na (디소듐이디티에이) 0.04%, D,L-Panthenol (디엘판테놀) 0.08%, Glycerin (글리세린) 5.00%, Adenosine (아데노신) 0.04%, Uvinul MS-40 0.04%, DPG 0.05%, 1,3-BG (부틸렌 글라이콜) 13.00%, 유용성감초추출물 0.05%, Keltrol-F (켈트롤에프) 0.06%이 포함되고, B상으로써 Macadamia Nut Oil (마카다미아넛오일) 0.40%, Beeswax (비즈왁스) 2.10%, Lanette O (세테아릴알코올) 2.00%, Arlacel 60V 0.40%, Arlacel 165 1.40%, Tween 60V 0.80%, Spectrastat 0.30%, Nexbase 2008 FG 2.50%, Tegocare 450 1.00%, Olivoil Glutinate (올리브오일 글루티네이트) 1.20%, Shea Butter (시어버터) 1.60%, Vitamin E Acetate 0.10%, C E H 9.00%, KF 96 (100cs) 1.00%, DC 556 0.70%, Neosil ES 7.00%가 포함되며, C상으로써 FE 6014245 0.12%, 복합식물추출물 1.00%, 카라멜 색소 0.03%가 포함된다. 상기 원료 들을 사용한 모이스처라이징크림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1) A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하고, 2) 별도의 용해조에 B상을 용해한 후 본가마에 넣으며, 3) C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함으로써 모이스처라이징크림을 제조하였다.
2-5. 모이스처라이징아이크림
모이스처라이징아이크림은 A상으로써 정제수+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향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여액 46.10%, EDTA-2Na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Allantoin (알란토인) 0.10%, M-P 0.20%, Uvinul MS-40 0.05, Moist SS 14.00%, 1,3-BG (부틸렌 글라이콜) 3.00%, 유용성감초추출물 0.05%, Keltrol-F (켈트롤에프) 0.07%이 포함되고, B상으로써 Grape seed oil (포도씨오일) 1.20%, Beeswax (비즈왁스) 1.80%, Lanette O (세테아릴알코올) 2.50%, Arlacel 60V 0.40%, Arlacel 165 1.50%, Tween 60V 0.80%, C E H 9.00%, Nexbase 2008 FG 2.00%, Tegocare 450 0.50%, Lipoid S 75-3 0.50%, Olivoil Glutinate (올리브오일 글루티네이트) 1.70%, Shea Butter (시어버터) 1.60%, Vitamin E Acetate 0.30%, P-P 0.15%, Phenoxyethanol (페녹시에탄올) 0.15%, Neosil ES 9.00%가 포함되며, C상으로써 Forever-1w 0.24%, 복합식물추출물 1.00%, Adenosphere 2.00%, 카라멜 색소 0.04%가 포함된다. 상기 원료 들을 사용한 모이스처라이징아이크림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1) A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하고, 2) 별도의 용해조에 B상을 용해한 후 본가마에 넣으며, 3) C상을 본가마에 넣고 완전용해함으로써 모이스처라이징아이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능 평가
3-1. 아토피 피부염 감소 효과
몸무게 13-22g의 NC/Nga 마우스 (SPF, 5주, 암컷, Japan) 40 마리를 물과 먹이를 자유롭게 먹을 수 있는 일반 사육사에서 1 마리씩 분리하여 12시간의 광주기성을 유지하면서 키웠다. NC/Nga 마우스 중 35 마리의 귀와 등에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crude extract, 이하 DPE) 을 1주간 (총 3회)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 시켰다. 또한, DPE 처치 후 실시예 1의 발효여액 도포 군, DPE 처치 후 기제만 도포한 군, 및 DPE 처치 후 다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도포군으로 나누고,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군을 추가로 설정하고, 총 4 주간 1 주일에 1 번, 국소 도포 전에 다음 기준으로 귀의 피부염의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발효여액 시료가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보다 염증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평가 기준 : 염증없음, 0; 염증 또는 상처가 약간 있음, 1; 중간 정도의 염증이나 상처 또는 약간의 출혈이 있음, 2; 염증 또는 출혈 또는 궤양 또는 귀조직의 손실이 있음, 3.
n 1주일 후 2주일 후 3주일 후 4주일 후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1) 도포군
5 2 1 0 0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2) 도포군
5 2 1 1 0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3) 도포군
5 2 1 0 0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4) 도포군
5 1 0 0 0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5) 도포군
5 2 0 0 0
DPE 처치 후
기제만 도포한 군
5 3 3 3 3
DPE 처치 후
다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도포군
5 2 2 2 1
무처치군 5 0 0 0 0
3-2. 귀 부종 감소 효과
상기 실시예 3-1의 실험 과정에서, 매주 각 군별로 dial caliper (KORI SEIKI MFG.Co, Japan)를 이용해 귀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DPE 처치 후 기제만 도포한 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귀 부종이 증가하여 70% 정도에 도달하였으나, DPE 처치 후 본 발명의 발효여액을 도포한 군은 처음에 약 30~50% 정도로 귀 부종이 증가하였다가 점차 0에 도달하였으며,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보다 우수한 귀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단위 : %) n 1주일 후 2주일 후 3주일 후 4주일 후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1) 도포군
5 35 22 10 2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2) 도포군
5 41 34 21 11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3) 도포군
5 38 29 18 7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4) 도포군
5 30 19 9 2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5) 도포군
5 32 25 13 5
DPE 처치 후
기제만 도포한 군
5 55 62 65 70
DPE 처치 후
다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도포군
5 39 35 28 19
무처치군 5 0 0 0 0
3-3. 피부의 함습도 측정
상기 실시예 3-1의 실험 과정에서, 매주 각 군별로 corneometer CM820 (Courage & Khazaka, Cologne, Germany)와 tewameter TM210 (Courage & Khazaka, Cologne, Germany)를 이용하여 등 피부의 함습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DPE 처치 후 기제만 도포한 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의 함습도가 감소하여 20% 정도에 도달하였으나, DPE 처치 후 본 발명의 발효여액을 도포한 군은 처음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의 함습도가 점치 회복되었으며,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보다 우수한 피부 함습도 유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단위 : %) n 1주일 후 2주일 후 3주일 후 4주일 후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1) 도포군
5 52 58 59 60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2) 도포군
5 53 55 57 59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3) 도포군
5 55 57 60 63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4) 도포군
5 57 58 62 64
DPE 처치 후
실시예 1 (제조예 5) 도포군
5 52 54 55 56
DPE 처치 후
기제만 도포한 군
5 52 39 31 25
DPE 처치 후
다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도포군
5 50 47 52 55
무처치군 5 70 68 65 62
실시예 4. 피부 색소 침착의 개선 효능 평가
미백 실험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두향엽 발효 여액이 포함된 시료와 경쟁사 제품 A, B 를 실험자 20명 (실험자 10명이 1개 그룹)의 얼굴에 도포하였다. 즉, 그룹군은 2개를 형성하여 각각의 그룹군 10명의 얼굴 오른쪽에는 1일 2회 연속 1개월간 본 발명의 시료를 도포하였다.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상기 그룹군 중 1개 그룹의 실험자 얼굴 왼쪽에 경쟁사 제품 A, 다른 그룹군의 실험자 얼굴 왼쪽에 경쟁사 제품 B를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얼굴 좌우 양편의 도포부위 피부를 화상분석으로 얼굴색을 비교하여 어두운 색을 5, 중간색을 3, 밝은 색을 1로 정하고 평가하였다. 하기 표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시료가 경쟁사 제품 A, B보다 수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미백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경쟁사 A 제품 3.5 3.0 3.0 3.5 4.0 3.5 3.5 3.5 3.0 3.0
경쟁사 B 제품 3.0 2.5 2.5 3.0 2.5 2.0 2.0 2.5 2.0 2.5
본 발명의 시료 1.5 2.0 2.0 2.0 2.0 1.5 2.0 2.0 2.5 2.0

Claims (14)

  1. 두향엽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생성된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은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ATCC 19634 또는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ATCC 6057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ATCC 6057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241,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NCTC 7220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ATCC 149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NCDO 1750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는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ATCC 11454, 또는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NCIB 8586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7469,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KCTC 3326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ATCC 31063, 또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ATCC 15521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ATCC 15521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는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ATCC 51150이고,
    상기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은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ATCC 49370이고,
    상기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는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ATCC 51523이고,
    상기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CCUG 11672,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 또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33316이고,
    상기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는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ATCC 33314이고,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ATCC 27672이고,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는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 ATCC15697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bacteriocin)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241,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NCTC 7220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7469,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KCTC 3326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CCUG 11672,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 또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33316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024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7469 또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33316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균과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ATCC 11454, 또는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LMG 816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균으로 이루어진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향엽 추출물은 두향엽의 나노 입자가 함유된 나노 추출물인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향엽의 나노 입자는 100 내지 500nm 범위의 균질화된 입자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두향엽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나노 입자가 함유된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두향엽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산균 배양배지에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그라미니스 (Lactobacillus graminis),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Leuconostoc citreum), 바이셀라 헬레니카 (Weissella hellenica), 락토코커스 가르비에 (Lactococcus garvieae),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Pediococcus acidilactici),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의 배양시의 온도는 보통 25℃ 내지 40℃이고, 배양시간은 7시간 내지 40시간이며, 상기 유산균은 1010 내지 1011 CFU/ml로 농축하여 사용하는 것인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향엽 나노 입자는 100 내지 500nm 범위의 균질화된 입자인 것인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향엽 나노 추출물은 유산균 배양배지 대비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110127281A 2011-11-30 2011-11-30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5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281A KR101354412B1 (ko) 2011-11-30 2011-11-30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281A KR101354412B1 (ko) 2011-11-30 2011-11-30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951A true KR20130060951A (ko) 2013-06-10
KR101354412B1 KR101354412B1 (ko) 2014-01-27

Family

ID=4885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281A KR101354412B1 (ko) 2011-11-30 2011-11-30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4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554A1 (ko) * 2018-03-09 2019-09-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산균 배양물 혼합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6315A (ko) 2019-12-14 2021-06-24 주식회사 코스메드 한방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5314B1 (ko) * 2022-09-22 2023-01-09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유산균 발효 시어버터와 유산균 발효 시어버터 배양액 유래 엑소좀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329B1 (ko) * 2019-07-15 2021-04-09 (주)월드코스텍 천연 혼합물의 유산균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102A (ko) * 2010-02-12 2011-08-29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554A1 (ko) * 2018-03-09 2019-09-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산균 배양물 혼합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6439A (ko) * 2018-03-09 2019-09-18 한미약품 주식회사 유산균 배양물 혼합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6315A (ko) 2019-12-14 2021-06-24 주식회사 코스메드 한방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5314B1 (ko) * 2022-09-22 2023-01-09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유산균 발효 시어버터와 유산균 발효 시어버터 배양액 유래 엑소좀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412B1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593B1 (ko) 해양 소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963B1 (ko)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57960B1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825B1 (ko) 현미, 녹차 및 포공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JP6321402B2 (ja) 細胞分化促進剤及び化粧料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3560A (ko) 진달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54412B1 (ko) 두향엽 발효여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8506A (ko) 달팽이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9453A (ko) 마태반 발효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1265A (ko)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102560734B1 (ko) 3단계 발효를 통한 병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051492A (ja) 老化防止剤又は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210093662A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8603A (ko)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8942A (ko)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50357A (ko)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1163A (ko) 울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1541843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267765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2379A (ko) 동치미 원료를 이용한 복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CN112842951A (zh) 二次发酵的桦树汁及其在皮肤外用组合物中的应用
KR20150144129A (ko)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