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261A - 블록 - Google Patents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261A
KR20130059261A KR1020120086634A KR20120086634A KR20130059261A KR 20130059261 A KR20130059261 A KR 20130059261A KR 1020120086634 A KR1020120086634 A KR 1020120086634A KR 20120086634 A KR20120086634 A KR 20120086634A KR 20130059261 A KR20130059261 A KR 20130059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vex
concave
convex part
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토시 이도
다츠야 이다카
Original Assignee
유니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4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136935A/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5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표면을 고르게 한 상태의 샌드쿠션층 상에의 부설 시에 우수한 시공성을 누릴 수 있고, 그 부설 후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블록끼리의 조인트의 평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포장용의 블록을 제공한다.
전방 측면(13)에 형성된 볼록부(17) 및 이것과 대응한 형상으로 후방 측면(15)에 형성된 오목부(18)는, 블록(11)의 바닥면(19)을 하측으로 한 상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수직한 단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볼록부의 선단(17a)에 상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 및 오목부의 바닥부(18a)에 상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가, 전후 방향에서 전방 하향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록부의 선단에 하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 및 오목부의 바닥부에 하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가, 전후 방향에서 전방 상향이 아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블록{BLOCK}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보도나 공공 스페이스에 부설되는 포장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블록으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블록이 알려져 있다. 이 블록은, 평판형을 이루는 블록 본체의 한쪽의 측면에, 그 측면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볼록 라인이 형성되고, 그 한쪽의 측면과는 반대측인 다른 쪽의 측면에는, 블록의 부설 시에 인접하는 다른 블록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 라인과 감합되는 오목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 라인 및 오목 라인은 서로 감합되는 부분의 단면 형상이 대략 동일한 크기의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블록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반(41) 상에 뿌려진 부사(敷砂)로 이루어지는 샌드쿠션층(42) 상에 복수(도 17에서는, 3개 도시)의 블록(51∼53)이 인접하는 블록끼리의 볼록 라인(61)과 오목 라인(62)을 감합시킨 직렬 상태로 순차 부설된다. 그리고, 부설 시에는, 샌드쿠션층(42) 상의 부설 완료 블록(52, 53) 중 직렬 방향으로 최후미의 블록(52)을 향해서, 후속의 블록(51)을 바닥면(71)이 샌드쿠션층(42)의 표면 상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전진시킴으로써, 그 후속의 블록(51)의 볼록 라인(61)이 최후미의 블록(52)의 오목 라인(62)에 대하여 감합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6337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블록의 경우는, 부설 시에 후속의 블록(51)이 최후미의 블록(52)을 향해서 전진할 때, 그 블록(51)의 바닥면(71)이 샌드쿠션층(42)의 표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샌드쿠션층(42)의 표면 측의 부사를 끌어가서, 샌드쿠션층(42)의 고른 표면 상태를 거칠게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설 후에도, 볼록 라인(61)과 오목 라인(62)을 서로 감합시켜서 인접하는 블록(51∼53)끼리의 조인트에 상측으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는, 단면 원호 형상의 곡면끼리인 볼록 라인(61)과 오목 라인(62)이 곡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여, 한쪽의 블록에 대한 다른 쪽의 블록의 위치가 어긋나, 조인트의 평면성을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표면을 고르게 한 상태의 샌드쿠션층 상에의 부설 시에 우수한 시공성을 향유할 수 있고, 그 부설 후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블록끼리의 조인트의 평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포장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블록은, 한쪽의 측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측면과는 반대측인 다른 쪽의 측면에는 상기 볼록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블록으로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블록의 바닥면을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을 따라 수직인 평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선단에 상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상기 볼록부의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상측 윤곽부 및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상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상측 윤곽부가,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의 선단 및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향하여 전방 하향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선단에 하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상기 볼록부의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하측 윤곽부 및 상기 오목부의바닥부에 하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하측 윤곽부가,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의 선단 및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향하여 전방 상향이 아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부설하는 블록의 볼록부를 부설 시에 인접하는 다른 블록의 오목부에 감합시킬 때에, 그 블록은, 샌드쿠션층 등의 부설면을 옆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삽입 형태가 아니라, 부설면에 대하여 바닥면이 전방 하향으로 되는 경사 자세로 볼록부의 선단을 오목부 내에 경사 상측으로부터 삽입한 상태로부터 수평 자세로의 회동 변위를 수반하면서 이동되게 된다. 이 때문, 블록이 부사로 이루어지는 샌드쿠션층 상에 부설되는 경우에도, 그 블록을 부설면으로 되는 샌드쿠션층의 표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일없이, 볼록부를 오목부 내로 서서히 감합시키는 이동 형태로써, 부설하는 블록을 다른 블록과 인접하는 부설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설 시에는 표면을 고르게 한 상태의 샌드쿠션층의 표면 상태를 거칠게 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우수한 시공성을 향유할 수 있다. 또한, 부설 후에 볼록부와 오목부를 상호 감합시켜 인접하는 블록끼리의 조인트에 상측으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하중이 가해진 때는, 상호 감합되어 있는 볼록부 및 오목부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와 오목부 하측 윤곽부가 접촉하는 면끼리 상대 이동하지 않고 하중을 확실히 받아내기 때문에, 오목부 내에서 볼록부가 블록의 위치 어긋남을 초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블록의 부설 후에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끼리의 조인트의 평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 및 상기 오목부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는,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직선형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부설 후에 인접하는 블록끼리의 조인트에 상측으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하중이 가해진 때에는, 한쪽의 블록의 볼록부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블록의 오목부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볼록부 하측 윤곽부의 직선형부와 접촉하는 오목부 하측 윤곽부의 직선형부가 하중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된 인터로킹 구조를 형성하여 받아낸다. 이 때문에, 하중을 받아 볼록부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와 오목부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가 서로의 직선형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블록의 부설 후에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끼리의 조인트의 평면성이 파괴될 우려가 있는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측면은, 상기 블록의 바닥면을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의 상기 블록의 상면과 상기 한쪽의 측면이 교차하는 상측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볼록부의 상기 볼록부 상측 윤곽부와 상기 한쪽의 측면이 교차하는 위치까지의 상측 측면부측이, 상기 블록의 바닥면과 상기 한쪽의 측면이 교차하는 하측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볼록부의 상기 볼록부 하측 윤곽부와 상기 한쪽의 측면이 교차하는 위치까지의 하측 측면부보다,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에서 후퇴한 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종래부터 현안이었던 시공 시에 파손되기 쉬운 조인트 폭 규정용의 돌기를 블록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하지 않고, 부설 시에 인접하는 블록끼리의 사이에 조인트 폭을 규정하는 간극이, 한쪽의 측면의 상측 측면부를 하측 측면부보다 후퇴한 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부설하는 블록을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의 회동 변위를 수반한 이동 형태로 부설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블록에 있어서의 오목부가 형성된 면에 대하여 상측 모서리부끼리가 접촉하여 결손되는 우려를, 부설 시에 자세가 회동 변위되는 블록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면의 상측 측면부를 하측 측면부보다 후퇴시킨 면 구성으로 함으로써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평판형을 이루는 블록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의 측면 및 상기 다른 쪽의 측면에, 그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부설 후에 인접하는 블록끼리의 조인트에 상측으로부터 가해진 예측할 수 없는 하중을 비교적 넓은 수압 면적으로 받아낼 수 있기 때문에, 안정감이 있는 인터로킹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블록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쪽의 측면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부설하는 블록의 볼록부를 부설 시에 인접하는 다른 블록의 오목부에 감합시킬 때, 그 블록은, 볼록부의 돌출 방향 및 오목부의 깊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엄밀한 정렬을 요청하는 일없이, 볼록부의 선단을 대응하는 오목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삽입 상태로부터 블록의 회동 변위를 수반한 이동 도중에 폭 방향의 위치 조정도 함께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블록의 부설 시에 있어서의 시공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의 측면 및 상기 다른 쪽의 측면 이외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블록의 바닥면을 하측으로 한 상태로 상기 블록을 잡을 때에 손을 걸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걸림부에 손을 거는 것에 의해 블록이 잡기 쉽게 되기 때문에, 블록의 부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그 걸림부가 형성되는 상기 측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블록에 있어서의 한쪽의 걸림부에 한쪽의 손을 걸고, 상기 블록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의 걸림부에 대하여 블록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일부에 다른 쪽의 손을 거는 것에 의해 블록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2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블록 본체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형성된 한쪽의 측면 및 오목부가 형성된 다른 쪽의 측면 이외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의 쌍방에 걸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블록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블록을 도 1의 경우와는 별개의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상기 블록의 좌측면도.
도 4는 상기 블록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의 (a)는 상기 블록의 부설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b)는 (a)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상기 블록의 부설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블록의 부설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8은 제3 실시형태의 블록의 부설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9는 제4 실시형태의 블록의 부설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0은 제5 실시형태의 블록의 부설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1의 (a)는 제6 실시형태의 블록의 좌측면도, (b)는 (a)의 사시도.
도 12의 (a)는 제7 실시형태의 블록의 평면도, (b)는 (a)의 좌측면도, (c)는 (b)의 전측면도, (d)는 (b)의 후측면도.
도 13은 상기 블록을 후측으로부터 부설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4의 (a)는 상기 블록을 후측으로부터 부설할 때에 양손을 거는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a)의 좌측면도.
도 15는 상기 블록을 전측으로부터 부설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6의 (a)는 상기 블록을 전측으로부터 부설할 때에 양손을 거는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a)의 좌측면도.
도 17은 종래의 블록의 부설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도나 공공 스페이스 등에 부설되는 포장용의 블록으로 구체화한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블록(11)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의 평판형을 이루는 블록 본체(12)를 구비한다. 블록 본체(12)에 있어서의 직사각 형상의 옆으로 긴 4개의 측면(13, 14, 15, 16) 중 전방 측면(한쪽의 측면; 13)에는 볼록부(17)가 형성되고, 전방 측면(13)과는 반대측의 후방 측면(다른 쪽의 측면; 15)에는 볼록부(17)와 대응한 형상, 즉 다른 블록(11)의 전방 측면(13)에 형성된 볼록부(17)와 감합될 수 있는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7) 및 오목부(18)는, 각각이 형성되는 측면[전방 측면(13) 및 후방 측면(1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측면(13) 및 후방 측면(15)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도시 내용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블록 본체(12)의 바닥면(19)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블록 본체(12)에 있어서 의장면이 되는 상면(20)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다수의 홈(20a)이 대략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7) 및 오목부(18)는, 블록 본체(12)의 바닥면(19)을 하측으로 한 상태로 볼록부(17)의 돌출 방향 및 오목부(18)의 깊이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르는 수직한 평면에서 블록(11)을 절단한 경우의 단면 형상(이하, 「종단면 형상」이라 함)에 있어서,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몇 개의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제1 특징으로서, 볼록부(17)는, 블록(11)의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볼록부(17)의 선단(17a)에 상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볼록부(17)의 기단측(도 3에서는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가, 볼록부(17)의 돌출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볼록부(17)의 선단(17a)을 향하여 전방 하향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17)는, 블록(11)의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와 대응하는 부분의 대략 전체의 표면 형상이, 볼록부(17)의 선단(17a)을 향하여 전방 하향 구배의 사면(斜面)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오목부(18)는, 블록(11)의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오목부(18)의 바닥부(18a)에 상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오목부(18)의 개구측(도 3에서는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가, 오목부(18)의 깊이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오목부(18)의 바닥부(18a)를 향하여 전방 하향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18)는, 블록(11)의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와 대응하는 부분의 대략 전체의 내면 형상이, 오목부(18)의 바닥부(18a)를 향하여 전방 하향 경사의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7)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의 부분과 오목부(18)의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의 부분은, 오목부(18)에 볼록부(17)를 감합시킨 부설 상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전방 하향 구배의 사면끼리가 면 접촉한 구조가 되도록 상호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대략 동일 각도로 경사진 사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특징으로서, 볼록부(17)는, 블록(11)의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볼록부(17)의 선단(17a)에 하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볼록부(17)의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가, 볼록부(17)의 돌출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볼록부(17)의 선단(17a)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직선형부(SL)를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17)는, 블록(11)의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직선형부(SL)와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 형상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한 면, 즉 도 17에 도시한 종래의 블록(51)의 볼록 라인(61)에 있어서의 전방 상향 구배의 원호곡면과는 달리, 전방 상향 구배가 없는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오목부(18)는, 블록(11)의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오목부(18)의 바닥부(18a)에 하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오목부(18)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가, 오목부(18)의 깊이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오목부(18)의 바닥부(18a)를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직선형부(SL)를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18)는, 블록(11)의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직선형부(SL)와 대응하는 부분의 내면 형상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한 면, 즉 전방 상향 구배가 없는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7)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의 수평면 형상을 이루는 직선형부(SL)의 부분과 오목부(18)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의 수평면 형상을 이루는 직선형부(SL)의 부분은, 오목부(18)에 볼록부(17)를 감합시킨 부설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면 접촉한 구조로 되도록 서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특징으로서, 블록 본체(12)의 전방 측면(13)은, 그 전방 측면(13)에 있어서의 볼록부(17)를 돌출시킨 위치보다 상측의 면이 되는 상측 측면부(13a)측이, 하측의 면이 되는 하측 측면부(13b)보다, 볼록부(17)의 돌출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후퇴한 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측면(13)의 상측 측면부(13a)는, 오목부(18)에 볼록부(17)를 감합시킨 부설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블록(11)의 후방 측면(15)과의 사이에 조인트 폭을 규정하는 간극(23)을 형성할 수 있는 거리만큼 전방 측면(13)의 하측 측면부(13b)보다 후퇴한 면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측면(13)의 상측 측면부(13a)는, 블록(11)의 상면(20)의 전단측과 전방 측면(13)의 상단측이 라운드(R)형으로 교차하는 상측 모서리부(21)로부터 볼록부(17)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의 기단측과 전방 측면(13)이 라운드형으로 교차하는 위치까지의 직사각 형상의 옆으로 긴 면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측면(13)의 하측 측면부(13b)는, 블록(11)의 바닥면(19)의 전단측과 전방 측면(13)의 하단측이 라운드형으로 교차하는 하측 모서리부(22)로부터 볼록부(17)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의 기단측과 전방 측면(13)이 라운드형으로 교차하는 위치까지의 직사각 형상의 옆으로 긴 면을 말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측면(13)의 상측 측면부(13a)는 하측 측면부(13b)보다 상하 방향의 면폭이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블록(11)의 작용에 관하여, 특히 블록(11)을 부설하는 경우의 작용에 착안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그런데, 도 5의 (a), (b)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11)은, 노반(24) 상에 소정의 두께로 뿌려진 부사로 이루어지는 샌드쿠션층(25) 상에,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볼록부(17)와 오목부(18)를 감합시킨 직렬 상태로 순차 부설된다. 그리고 그 부설 시에는, 우선 도 5의 (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설 완료 블록(11) 중 직렬 방향으로 최후미의 블록(11)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샌드쿠션층(25)의 표면보다 상측이 되는 위치에, 이제 부설하고자 하는 블록(이하, 「부설 블록」이라 함)(11)이 그 바닥면(19)을 전방 하향으로 한 경사 자세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부설 블록(11)은, 도 5의 (a)에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이하, 「부설 초기 위치」라 함)로부터, 도 5의 (a)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자세로의 회동 변위를 수반하면서, 그 볼록부(17)의 선단(17a)을 최후미의 블록(11)의 오목부(18) 내에 경사 상측으로부터 삽입하는 위치(이하, 「부설 도중 위치」라 함)까지 이동된다. 또한, 부설 블록(11)은, 이 시점까지는 그 블록(11)의 바닥면(19)이 샌드쿠션층(25)의 표면에 접촉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부설 블록(11)은, 도 5의 (a)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부설 도중 위치에서, 작업자에 의해 샌드쿠션층(25)의 표면보다 약간만 상측의 위치에서 수평 자세보다 약간만 경사진 경사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부설 블록(11)은, 부설 초기 위치로부터 회동 변위를 수반하는 이동형태에 의해 도달한 부설 도중 위치에서 볼록부(17)를 상대방 블록(11)의 오목부(18) 내에 삽입할 때, 그 오목부(18)에 대한 볼록부(17)의 좌우 방향(폭 방향)의 엄밀한 정렬을 요구하지 않는다. 즉, 후방 측면(15)에 형성된 오목부(18)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블록 본체(12)의 좌우의 각 측면(14, 16)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오목형으로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의 (a)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부설 도중 위치에서는 볼록부(17)를 오목부(18) 내로 엄밀한 정렬이 없이 삽입하고, 그 후, 부설 블록(11)을 수평 자세로 변위시키기까지의 사이에, 볼록부(17)는 오목부(18) 내에서의 폭 방향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부설 블록(11)은, 부설 초기 위치로부터 회동 변위를 수반하여 이동된 부설 도중 위치에서, 그 전측 상단의 모서리인 상측 모서리부(21)가 최후미의 블록(11)의 후방 측면(15)의 상단 부분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부설 블록(11)은, 도 5의 (a)에 실선으로 도시한 부설 초기 위치로부터 도 5의 (a)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부설 도중 위치까지의 이동 과정에서, 그 볼록부(17)가 삽입되는 오목부(18)가 형성된 상대측의 블록(11)의 후방 측면(15)에 대하여 상측 모서리부(21)가 충돌하는 일없이, 그 자세를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 회동 변위시키면서 이동한다.
여기서, 만일 본 실시형태의 부설 블록(11)에 있어서, 그 전방 측면(13)의 상측 측면부(13a)가 하측 측면부(13b)보다 후퇴된 면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7)의 선단(17a)을 최후미의 블록(11)의 오목부(18)에 경사 상측으로부터 삽입시키는 경사 자세의 상태가 되었을 때, 그 부설 블록(11)은 상측 모서리부(21)가 최후미의 블록(11)에 충돌해 버린다. 그 때문에, 그 부설 블록(11)의 상측 모서리부(21) 및 최후미의 블록(11)에 있어서의 후방 측면(15)의 상단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이 파손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경우는, 도 5의 (b)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부설 블록(11)에 있어서의 전방 측면(13)의 상측 측면부(13a)는 하측 측면부(13b)보다 후퇴된 면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설 블록(11)은 도 5의 (a)에 도시하는 부설 초기 위치로부터 부설 도중 위치까지의 이동 과정에서 상대측의 블록(11)에 대한 상측 모서리부(21)의 접촉이 회피된다. 따라서 부설 블록(11)은, 그 부설 시에 있어서 다른 블록(11)과의 충돌에 의한 결손의 우려가 저감된다.
게다가, 부설 블록(11)은, 도 5의 (a)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부설 도중 위치에서 작업자에 의해 그 자세가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 변위된다. 그리고 그 자세가 수평 자세가 되었을 때, 부설 블록(1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바닥면(19)이 샌드쿠션층(25)의 표면에 처음으로 접촉하고, 그 볼록부(17)가 최후미의 블록(11)의 오목부(18)에 감합된 부설 완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부설 완료와 동시에, 이 부설 블록(11)과 이 블록의 앞쪽에 인접하는 다른 블록(그것까지의 최후미의 블록; 11)의 사이에는 조인트 폭을 규정하는 간극(23)이 형성된다.
즉, 조인트 폭 규정용의 돌기가 블록(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전방 측면(13)의 상측 측면부(13a)를 하측 측면부(13b)보다 후퇴시킨 면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 후퇴시킨 스페이스분이 조인트 폭을 규정하는 간극(23)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하는 부설 초기 위치로부터 부설 도중 위치를 지나서 도 6에 도시하는 부설 완료 상태가 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과정에서, 부설 블록(11)은, 샌드쿠션층(25)의 표면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블록(11)의 부설 시에 샌드쿠션층(25)의 표면이 블록(11)의 슬라이드 접촉 등에 의해 거칠게 되는 일도 없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부설 후에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조인트에 상측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진 때에는, 상호 감합되어 있는 볼록부(17)와 오목부(18)에 있어서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와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의 직선형부(SL)끼리가 하중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하지 않고, 하중을 확실히 받아낸다. 따라서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조인트에 하중이 가해진 것에 기인하여, 블록(11)끼리의 조인트의 평면성이 파괴되는 일도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부설 블록(11)은, 그 볼록부(17)를 부설 시에 인접하는 다른 블록(11)의 오목부(18)에 감합시킬 때, 부설면으로 되는 샌드쿠션층(25) 상을 옆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삽입 형태가 아니라, 그 샌드쿠션층(25)의 표면에서 부상한 상태로, 그 바닥면(19)이 전방 하향으로 되는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의 회동 변위를 수반하면서 이동된다. 그 때문에, 블록(11)은, 부사로 이루어지는 샌드쿠션층(25) 상에 부설되는 경우에도, 그 바닥면(19)을 부설면으로 되는 샌드쿠션층(25)의 표면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일없이, 볼록부(17)를 오목부(18) 내로 서서히 감합시키는 이동 형태로써, 다른 블록(11)과 인접하는 부설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부설 시에는 표면을 고르게 한 상태의 샌드쿠션층(25)의 표면 상태를 거칠게 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우수한 시공성을 향유할 수 있다.
(2) 또한, 부설 후에 볼록부(17)와 오목부(18)를 서로 감합시켜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조인트에 상측으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하중이 가해진 때는, 상호 감합되어 있는 볼록부(17) 및 오목부(18)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와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가 접촉하는 면끼리 상대 이동하지 않고 하중을 확실히 받아낸다. 이 때문에, 오목부(18) 내에서 볼록부(17)가 블록(11)의 위치 어긋남을 초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블록(11)의 부설 후에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조인트의 평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특히, 볼록부(17)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와 오목부(18)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는, 감합 상태로 서로 상하 방향으로 면 접촉하는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부(SL)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설 후에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조인트에 상측으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하중이 가해진 때에는, 한쪽의 블록(11)의 볼록부(17)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블록(11)의 오목부(18)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의 직선형부(SL)와 접촉하는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의 직선형부(SL)가 하중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터로킹 구조를 형성하여 받아낸다. 따라서 하중을 받아 볼록부(17)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와 오목부(18)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가 서로의 직선형부(SL)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블록(11)의 부설 후에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조인트의 평면성이 파괴될 우려가 있는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4) 종래부터 현안이었던 시공 시에 파손되기 쉬운 조인트 폭 규정용의 돌기를 블록(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하지 않고, 부설 시에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사이에 조인트 폭을 규정하는 간극(23)을, 전방 측면(13)의 상측 측면부(13a)를 하측 측면부(13b)보다 후퇴한 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설하는 블록(11)을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의 회동 변위를 수반한 이동 형태로 부설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블록(11)의 상측의 모서리부끼리가 맞닿아 결손되는 우려를, 부설 시에 자세가 회동 변위하는 블록(11)에 있어서의 전방 측면(13)의 상측 측면부(13a)를 하측 측면부(13b)보다 후퇴시킨 면 구성으로 함으로써 저감할 수 있다.
(5) 볼록부(17)와 오목부(18)는, 직사각 형상의 옆으로 긴 전방 측면(13) 및 후방 측면(1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설 후에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조인트에 상측으로부터 가해진 예측할 수 없는 하중을 비교적 넓은 수압 면적으로써 받아내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감이 있는 인터로킹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6) 볼록부(17)를 감합시키는 오목부(18)는, 블록 본체(12)의 후방 측면(15)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설 블록(11)의 볼록부(17)를 부설 시에 인접하는 다른 블록(11)의 오목부(18)에 감합시킬 때, 그 부설 블록(11)은, 볼록부(17)의 돌출 방향 및 오목부(18)의 깊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엄밀한 정렬을 요구하는 일없이, 볼록부(17)의 선단(17a)을 대응하는 오목부(18)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삽입 상태로부터 부설 블록(11)의 회동 변위를 수반한 이동 도중에 폭 방향의 위치 조정도 함께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블록(11)의 부설 시에 있어서 시공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2 실시형태를 포함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제6 실시형태까지의 다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볼록부(17)와 오목부(18)의 일부 구성에 차이가 있지만, 그 밖의 점은 동일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의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주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 설명하고, 그 외의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블록(11)은, 전방 측면(13)에 형성된 볼록부(17)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와, 후방 측면(15)에 형성된 오목부(18)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가, 전후 방향에서 전방 하향으로 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이들 부분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실시형태와는 구성이 상이하다. 그러나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록부(17)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 및 오목부(18)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의 부분도, 종래의 블록과는 상이하게 전방 상향이 아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하는 점에서는, 이들 부분이 마찬가지로 전방 상향이 아닌 수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실시형태와 공통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1), (2), (4) 내지 (6)과 동일한 효과를 향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볼록부(17)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 및 오목부(18)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의 부분을 전방 하향의 사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이 제2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오목부(18) 내에 볼록부(17)가 감합된 부설 상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조인트 부분에 상측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진 경우, 오목부(18)에 있어서의 전방 하향 사면형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의 부분에 대하여, 볼록부(17)에 있어서의 전방 하향 사면형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의 부분이 맞물리듯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단순한 하중에 더하여 진동이 부여된 경우에도, 인접하는 블록(11)끼리의 이격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가해지는 하중의 힘을 결합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블록(11)은, 전방 측면(13)에 형성된 볼록부(17)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와, 후방 측면(15)에 형성된 오목부(18)의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가, 전후 방향으로 전방 하향의 볼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이들 부분이 경사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실시형태와는 구성이 다르다. 그러나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록부(17)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 및 오목부(18)의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의 부분도,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전방 하향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1) 내지 (6)과 동일한 효과를 향유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의 블록(11)은, 전방 측면(13)에 형성된 볼록부(17)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와, 후방 측면(15)에 형성된 오목부(18)의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가, 전후 방향으로 전방 하향의 오목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이들 부분이 경사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실시형태와는 구성이 다르다. 그러나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록부(17)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 및 오목부(18)의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의 부분도,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전방 하향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1) 내지 (6)과 동일한 효과를 향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볼록부(17)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와 오목부(18)의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를 전방 하향의 오목 곡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이 제4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부설 블록(11)을 도 5의 (a)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부설 도중 위치에서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 회동 변위시킬 때, 서로 전방 하향의 오목 곡면 형상을 이루는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의 부분과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의 부분이 상대측을 회동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의 블록(11)은, 볼록부(17) 및 오목부(18)가 전방 측면(13)과 후방 측면(15)에 각각 2개씩(즉, 복수)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이들이 전방 측면(13)과 후방 측면(15)에 하나씩만 형성되어 있는 제1 실시형태와는 구성이 다르다. 그러나 이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록부(17) 및 오목부(18)도, 그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전방 하향으로 되는 형상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나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 및 전방 상향이 아닌 형상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 등을 갖는 점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1) 내지 (6)과 동일한 효과를 향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볼록부(17) 및 오목부(18)를 하나씩이 아닌 2개(복수)씩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9) 이 제5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2개(복수)씩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17)와 오목부(18) 중, 하나의 볼록부(17) 또는 오목부(18)가 결손된 경우에도, 나머지의 결손되지 않은 볼록부(17) 및 오목부(18)에 의해 적정한 감합 형태를 확보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의 블록(11)은, 볼록부(17)가, 전방 측면(1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전방 측면(13)의 전체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볼록부(17)가 전방 측면(13)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제1 실시형태와는 구성이 다르다. 또한, 오목부(18)는,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후방 측면(15)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측면(13)에 있어서의 볼록부(17)보다도 상측의 상측 측면부(13a)와 볼록부(17)보다도 하측의 하측 측면부(13b)가 동일 수직 평면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도, 상측 측면부(13a)가 하측 측면부(13b)보다도 후퇴된 면 구성으로 된 제1 실시형태와는 구성이 다르다. 그러나 이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록부(17)와 오목부(18)도, 그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전방 하향으로 되는 형상의 볼록부 상측 윤곽부(17b)나 오목부 상측 윤곽부(18b) 및 전방 상향이 아닌 형상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17c)나 오목부 하측 윤곽부(18c) 등을 갖는 점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4)를 제외한 상기 (1) 내지 (3), (5), (6)과 동일한 효과를 향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볼록부(17)를 전방 측면(13)의 전체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이 제6 실시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볼록부(17)의 길이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블록 본체(12)의 좌우의 각 측면(14, 16) 상에는 노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설 시에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블록(11)과의 충돌 등에 의해서 볼록부(17)가 결손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 제7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블록 본체(12)에 있어서의 좌측면(14)의 일부 구성이 다르지만, 그 밖의 점은 동일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주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 설명하고, 그 외의 동일 구성에 관하여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 실시형태의 블록(11)은, 블록 본체(12)에 있어서의 좌측면(14)에, 이 블록(11)을 잡을 때에 손을 걸기 위한 걸림부로서의 전후 한 쌍의 오목부(30)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조인트 폭 규정용의 전후 한 쌍의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양 오목부(30) 중, 좌측면(1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는 것은 전측 오목부(30a)로 되는 한편, 좌측면(1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는 것은 후측 오목부(30b)로 되어 있다. 즉, 오목부(30)는, 좌측면(1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오목부(30a, 30b)는, 좌측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할수록 깊이가 깊게 되어 있다.
또한, 양 돌기(31) 중, 전측에 위치하는 것은 전측 돌기(31a)로 되는 한편, 후측에 위치하는 것은 후측 돌기(31b)로 되어 있다. 즉, 돌기(31)는, 좌측면(1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돌기(31a)는 전측 오목부(30a)보다 후측[오목부(18)측]에 위치하고 있고, 후측 돌기(31b)는 후측 오목부(30b)보다도 후측[오목부(18)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오목부(30a, 30b)는, 좌측에서 보아 상하로 긴 대략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블록(11)의 작용에 관하여, 특히 블록(11)을 부설하는 경우의 작용에 착안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11)의 오목부(18)측을 볼록부(17)측으로 순차 감입하여 직렬 방향으로 부설하는 경우에는, 도 1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쪽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면서, 부설하고자 하는 블록(11)의 후측 오목부(30b)에 오른손(M)을 걸고, 볼록부(17)의 우단부에 왼손(H)을 거는 것에 의해 해당 블록(11)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확실히 잡고 부설 작업이 행해진다.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11)의 볼록부(17)측을 오목부(18)측으로 순차 감입하여 직렬 방향으로 부설하는 경우에는, 도 1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면서, 부설하고자 하는 블록(11)의 전측 오목부(30a)에 왼손(H)을 걸고, 오목부(18)의 우단부에 오른손(M)을 거는 것에 의해 해당 블록(11)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확실히 잡고 부설 작업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블록(11)은, 블록 본체(12)에 있어서의 전방 측면(한쪽의 측면; 13) 및 후방 측면(다른 쪽의 측면) 이외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좌측면(14) 및 우측면(16)] 중 좌측면(14)에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로 잡기 쉬워진다. 즉, 블록(11)은, 볼록부(17)측으로부터 오목부(18)측으로 감입하여 부설하는 경우에도, 오목부(18)측으로부터 볼록부(17)측으로 감입하여 부설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상태로 잡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블록(11)의 부설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블록(11)은, 평탄면 상에 배치된 직사각 원통형의 형틀 안에 원재료를 충전한 후, 해당 형틀의 상단 개구로부터 오목부(30) 및 돌기(31)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 형을 압박함으로써 성형된다. 이 경우, 블록(11)은, 우측면(16)이 아래로 되고, 좌측면(14)이 위로 된 상태로 성형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블록(11)에는 좌측면(14) 및 우측면(16) 중 좌측면(14)에만 오목부(30)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록(11)의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1) 내지 (6)과 동일한 효과를 향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오목부(30)를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블록(11)은, 블록 본체(12)에 있어서의 각 측면(13∼16) 중 좌측면(14)에만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목부(30)와, 볼록부(17) 및 오목부(18) 중 어느 한쪽에 손을 거는 것에 블록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블록(11)의 부설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12) 블록(11)은, 블록 본체(12)의 좌측면(1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오목부(30)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즉, 블록 본체(12)의 좌측면(14)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의 중앙보다도 볼록부(17)측(전측)에 전측 오목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 본체(12)의 좌측면(14)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의 중앙보다도 오목부(18)측(후측)에 후측 오목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블록(11)에 있어서의 전측 오목부(30a) 또는 후측 오목부부(30b)에 한손을 걸고, 블록(11)에 있어서의 오목부(18)의 우단부 또는 볼록부(17)의 우단부에 다른 쪽의 손을 거는 것에 의해 블록(11)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13) 블록(11)은, 블록 본체(12)에 있어서의 좌측면(14) 및 우측면(16) 중 좌측면(14)에만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블록 본체(12)의 좌측면(14) 및 우측면(16)의 양방에 오목부(30)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블록(11)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더라도 좋다.
ㆍ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설 시에 볼록부(17)와 오목부(18)를 감합시켜 인접시킨 블록(11)끼리는, 길이 방향(전후 방향), 폭 방향(좌우 방향) 및 두께 방향(상하 방향)의 각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구성(예컨대 한쪽에 대하여 다른 쪽이, 길이 치수를 1/2, 두께 치수를 3/4로 하는 등)이라도 좋다.
ㆍ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블록(11)에 있어서의 블록 본체(12)의 평면 형상은, 한쪽의 측면으로부터 볼록부(17)가 형성되고, 이에 감합되는 오목부(18)가 다른 쪽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사각형 이외에 육각형이나 팔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윤곽의 적어도 일부에 곡선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이어도 좋다.
ㆍ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블록(11)에 있어서의 블록 본체(12)의 상면(20)에는, 홈(20a)이 좌우 방향 이외에 전후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격자형을 이루는 면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또는 홈(20a)이 형성되지 않는 평면 형상이어도 좋다.
ㆍ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볼록부(17) 및 오목부(18) 중 적어도 볼록부(17)는 그것이 형성되는 측면[전방 측면(13)이나 후방 측면(15)]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위치에 일군의 볼록부(17)[및 오목부(18)]가 가로로 줄지어 이격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ㆍ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블록(11)에 있어서의 블록 본체(12)의 전방 측면(13)의 상측 측면부(13a)가 하측 측면부(13b)보다도 후퇴되어 있는 거리는, 조인트 폭을 규정하는 간극(23)의 크기에 대응시켜 임의의 후퇴 거리로 변경하더라도 좋다.
ㆍ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블록(11)에 있어서의 블록 본체(12)의 전방 측면(13)은, 볼록부(17)보다도 상측의 상측 측면부(13a)와 볼록부(17)보다도 하측의 하측 측면부(13b)가 동일 수직 평면 내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ㆍ상기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블록(11)에 있어서의 좌측면(14) 및 우측면(16)의 양방에 오목부(30)를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대안으로, 블록(11)에 있어서의 좌측면(14) 및 우측면(16) 중 우측면(16)에만 오목부(30)를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ㆍ상기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30) 대신에, 측면(14)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걸림부로 하여도 좋다.
ㆍ상기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블록(11)의 측면(14)에 형성하는 오목부(30)의 수나 위치는 임의로 변경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30)를 반드시 블록(11)의 측면(1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할 필요는 없다.
ㆍ상기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림부를 전측 오목부(30a)로부터 후측 오목부(30b)에 걸쳐서 연장되는 하나의 오목부(30)에 의해서 구성하더라도 좋다.
ㆍ상기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기(31)는 생략하더라도 좋다.
ㆍ상기 제7 실시형태의 오목부(30)를 상기 제2 내지 제6 실시형태의 블록(11)에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2 내지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11) 내지 (13)에 기재된 효과를 향유할 수 있다.
11, 51… 블록, 12… 블록 본체, 13∼16… 측면, 13… 전방 측면(한쪽의 측면), 13a… 상측 측면부, 13b… 하측 측면부, 15… 후방 측면(다른 쪽의 측면), 17… 볼록부, 17a… 선단, 17b… 볼록부 상측 윤곽부, 17c… 볼록부 하측 윤곽부, 18… 오목부, 18a… 바닥부, 18b… 오목부 상측 윤곽부, 18c… 오목부 하측 윤곽부, 19… 저면, 20… 상면, 21… 상측 모서리부, 22… 하측 모서리부, 30… 걸림부로서의 오목부, SL… 직선형부.

Claims (8)

  1. 한쪽의 측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측면과는 반대측인 다른 쪽의 측면에는 상기 볼록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블록으로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블록의 바닥면을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을 따라 수직인 평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선단에 상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상기 볼록부의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상측 윤곽부 및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상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상측 윤곽부가,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의 선단 및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향하여 전방 하향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선단에 하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상기 볼록부의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하측 윤곽부 및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하측으로부터 연속해 있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하측 윤곽부가,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의 선단 및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를 향하여 전방 상향이 아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볼록부 하측 윤곽부 및 상기 오목부의 오목부 하측 윤곽부는,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 및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직선형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측면은,
    상기 블록의 바닥면을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의 상기 블록의 상면과 상기 한쪽의 측면이 교차하는 상측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볼록부의 상기 볼록부 상측윤곽부와 상기 한쪽의 측면이 교차하는 위치까지의 상측 측면부측이, 상기 블록의 바닥면과 상기 한쪽의 측면이 교차하는 하측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볼록부의 상기 볼록부 하측 윤곽부와 상기 한쪽의 측면이 교차하는 위치까지의 하측 측면부보다,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에서 후퇴한 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평판형을 이루는 블록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의 측면 및 상기 다른 쪽의 측면에, 그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블록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쪽의 측면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의 측면 및 상기 다른 쪽의 측면 이외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블록의 바닥면을 하측으로 한 상태로 상기 블록을 잡을 때에 손을 걸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그 걸림부가 형성되는 상기 측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2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KR1020120086634A 2011-11-28 2012-08-08 블록 KR201300592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8639 2011-11-28
JP2011258639 2011-11-28
JPJP-P-2012-124461 2012-05-31
JP2012124461A JP2013136935A (ja) 2011-11-28 2012-05-31 ブロッ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261A true KR20130059261A (ko) 2013-06-05

Family

ID=4849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634A KR20130059261A (ko) 2011-11-28 2012-08-08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59261A (ko)
CN (1) CN103132424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71B2 (ja) * 1986-10-08 1994-05-02 元旦ビユーティ工業株式会社 タイルブロツク壁体
HU214807B (hu) * 1993-04-23 1998-05-28 René Scheiwiller Burkolókő útburkolat kialakításához
WO2000061868A1 (en) * 1999-04-07 2000-10-19 Nihon Kogyo Co., Ltd. Paving block and its laying method
JP3751284B2 (ja) * 2003-02-12 2006-03-01 日本興業株式会社 舗装用ブロック
JP2005146685A (ja) * 2003-11-17 2005-06-09 Wonder Giken Kk 路床材ブロック
JP2005163480A (ja) * 2003-12-05 2005-06-23 Nihon Kogyo Co Ltd 機能型舗装用ブロック
CN2782808Y (zh) * 2005-01-05 2006-05-24 黄清标 一种密封性强且可自动正位的建筑用砌块
CN2913434Y (zh) * 2006-05-22 2007-06-20 扈晓楠 一种可渗水和定位的铺路砖
CN201031335Y (zh) * 2006-09-13 2008-03-05 吴胜华 带榫边的地面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32424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674B2 (en) Panel, method of joining panels and method manufacturing panels
CN104018642B (zh) 地板块
CA2848746C (en) Slant wall block and wall section including same
KR101251192B1 (ko) 바닥 패널 배치방법
US20140106108A1 (en) Building blocks
RU2446259C2 (ru) Панель, прежде всего половая панель
US6682269B2 (en) Block with multifaceted bottom surface
US8413399B2 (en) Block combinable with other similar blocks to form a wall,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7096634B2 (en) Block wall system
KR20150106918A (ko) 플로어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한 플로어 패널, 이러한 플로어 패널들로 형성된 플로어 커버링 및 이러한 플로어 패널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13136935A (ja) ブロック
RU2751154C1 (ru) Панель
NO327720B1 (no) Gulvsystem og gulvplate for frembringelse av et slikt gulvsystem.
CA2846915A1 (en) Irregular trapezoidal building unit and wall structure including same
RU2754246C1 (ru) Панель
KR20130059261A (ko) 블록
EP1939386B1 (en) Wedge with a slot
US11384487B2 (en) Paver and pavement made therefrom
CN102182293B (zh) 锁扣地板块
WO2005068746A1 (en) Floorboard
CN101587997B (zh) 连接器
CN102146727B (zh) Pvc锁扣地板
JP3194137U (ja) ブロックの敷設構造
JP7220906B2 (ja) 十字方向の引き出し構造体及び同引き出し構造体を用いた物品収納具
KR102052366B1 (ko) 계단블록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