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171A - Cooking vessel for ramyun - Google Patents

Cooking vessel for ramyu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171A
KR20130059171A KR1020110125346A KR20110125346A KR20130059171A KR 20130059171 A KR20130059171 A KR 20130059171A KR 1020110125346 A KR1020110125346 A KR 1020110125346A KR 20110125346 A KR20110125346 A KR 20110125346A KR 20130059171 A KR20130059171 A KR 20130059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main body
cooking
predetermined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장희
신유석
Original Assignee
유장희
(주)굿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희, (주)굿스페이스 filed Critical 유장희
Priority to KR102011012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171A/en
Priority to PCT/KR2012/002191 priority patent/WO2013081253A1/en
Publication of KR2013005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1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8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water-bath, e.g. pasta-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PURPOSE: A cooker for instant noodles is provided to cook the instant noodles in a process in which the instant noodles is secondly cooked by boiling water after firstly cooking with steam through being separated from the water in the inside of a main body of a container in a specific distance. CONSTITUTION: A cooker(100) for instant noodles comprises a main body(110), a lid(130), and an instant noodle holding member. The main body includes a handle(140) equipped on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The main body has specific volume to cook food. The lid is settled on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e instant noodle holding member is separated to an upper part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pecific distance. The instant noodle holding member includes a first holding member(121) and a second holding member(125).

Description

라면용 조리용기{Cooking vessel for ramyun}Cooking vessel for ramyun

본 발명은 라면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면 거치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조리용기의 본체 내부에 상측에 담겨진 물과 일정거리 이격 수용되어 수증기로 1차적으로 익은 후, 끓는 물로 안내되어 끓는 물에 잠겨 2차적으로 익혀지는 과정으로 조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면에 대한 식감이 더욱 쫄깃쫄깃해져 라면 고유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라면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for ramen,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ramen mounting memb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ripened primarily with steam, and then boiled with boiling water. It can be cooked in a secondary cooking process submerged in water, and thus the texture of the ramen becomes more chewy and relates to a ramen cooking container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unique taste of the ramen.

일반적으로 현대인이 주로 섭취하는 음식으로는 주식인 밥과 부식으로 많이 이용되는 라면이 있으며, 밥은 여러 편리한 기능의 전용 조리를 위한 전기밥솥, 압력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의 다양한 밥솥이 개발되어 사용자 기호에 맞게 조리할 수 있으나 라면은 전용 조리기구가 없는 실정이다.In general, foods consumed mainly by modern people include rice, which is a staple food, and ramen, which is widely used for corrosion, and rice has been developed with various rice cookers such as electric rice cookers, pressure rice cookers, and electric pressure cookers for special cooking with various convenient functions. You can cook to your liking, but there is no special cooking utensil.

따라서, 이러한 라면은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에 적당한 물을 넣어 끓을 때 라면과 분말 스프, 건더기 스프 등을 넣어 라면이 익을 때까지 끓는 물에 잠기도록 하여 끓임으로써 조리가 완료된다.Therefore, such a ramen is cooked by boiling and putting the appropriate water in a cooking container such as a pot when boiling to put the ramen and powder soup, dried soup and soaked in boiling water until the ramen ripen.

이와 같이 가정에서 라면을 끓일 때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정확한 물의 계량과 시간의 설정 없이 개략적인 눈짐작과 감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라면을 끓이는 사람에 따라 동일한 라면을 사용하더라도 그 맛이 달라진다.Likewise, when boiling ramen at home, most people are made with rough eyes and senses without accurate water measurement and time setting, so even if the same ramen is used depending on the person who cooks the ramen.

따라서, 물의 양이나 조리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라면의 익은 정도와 국물의 양을 조정하여 먹는 사람의 취향에 맞는 조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며, 통상 라면을 조리하여 섭취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쫄깃쫄깃한 라면과 이에 따른 라면 고유의 맛을 살려 섭취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진다.Therefore,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and cooking time appropriately, the degree of ripening of the ramen and the amount of broth are adjusted to suit the taste of the person who eats. In general, a person who cooks and consumes ramen generally chewy ramen and Accordingly, the ramen has a desire to take advantage of its own taste.

한편, 라면을 조리하기 위한 통상의 라면용 조리용기는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뚜껑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ramen cooking container for cooking ramen includes a main body is formed in the upper opening and a li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특히, 특허문헌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라면용 조리용기는 통상의 냄비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 쫄깃쫄깃한 라면으로 조리하여 라면 고유의 맛을 살리기 위하여 조리시간 및 조리를 위한 물의 수위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벽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라면의 개수에 따라 물을 조절하기 위한 수면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아울러 본체의 손잡이에 결착되거나 별도로 준비되어 조리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조리 타이머 등이 적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Patent Documents 1 and 2, a conventional ramen cooking container uses a conventional pot, and at this time, adjusts the cooking time and the water level for cooking to enhance the unique taste of the ramen by cooking with a chewy ramen. To this end,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includes a water surface display unit for adjusting wat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ramen to be cooked, and a cooking timer for adjusting cooking time is applied to the handle of the main body or prepared separately. .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는 조리시간 및 조리용 물의 수위를 조절함에도 라면이 수용된 물이 끓을 때 끓는 물의 수중에 잠겨 조리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근본적으로 라면의 조리가 수중에서 이루어지므로 라면이 쫄깃쫄깃하게 조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king container for a ram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o be cooked in the water of boiling water when the water containing the ramen is boiled even though the cooking time and the water level of the cooking water are adjusted. Since the cooking is made in the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men is not cooked chewy.

또한, 라면이 쫄깃쫄깃하게 조리되지 못하므로 인하여 라면 고유의 맛이 떨어져 섭취자의 섭취 만족도를 떨어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men is not chew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rinsic taste of the ramen is dropped, thereby reducing the intake satisfaction of the intake user.

따라서, 조리상 안전을 고려하여 라면이 수중에 잠겨 조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라면이 쫄깃쫄깃하게 조리되어 라면 고유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라면용 조리용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cooking safety,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a ramen cooking container that enables the ramen to be cooked in water so that the ramen is cooked chewyly to further enhance the unique taste of the ramen. It is true.

KR 20-0165203 Y1 1999.10.14.KR 20-0165203 Y1 1999.10.14. KR 20-0325511 Y1 2003.08.25.KR 20-0325511 Y1 2003.08.2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면 거치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조리용기의 본체 내부에 상측에 담겨진 물과 일정거리 이격 수용되어 수증기로 1차적으로 익은 후, 끓는 물에 잠기도록 안내되어 끓는 물에 의해 2차적으로 익혀지는 과정으로 조리될 수 있도록 한 라면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amen mounting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cooking vessel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ripen first with steam, and then immersed in boiling water to guide boil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container for ramen that can be cooked in a secondary cooking process by water.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끓는 물의 수증기를 통하여 1차적으로 익힌 후 끓는 물에 잠기도록 안내되어 2차적으로 익혀 조리됨으로써 라면에 대한 식감이 더욱 쫄깃쫄깃해져 라면 고유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oil in boiling water primarily cooked through the steam of boiling water and then cooked by cooking secondly, the texture of the ramen more chewy can further enhance the unique taste of ramen It is in making i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라면 거치부재의 몸체 표면상에 다수의 슬릿 및 연통공을 형성함으로써 가열에 따라 발생하는 수증기가 거치된 라면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증기로 인한 1차적으로 익히는 조리과정이 라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slits and communication holes on the surface of the body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to allow the steam generated by heating to be evenly contacted throughout the entire ramen. The purpose is to ensure that the cooking process primarily cooked by water vapor is made evenly throughout the rame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는 상단 외주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한편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일정 체적을 가지되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라면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 고정되는 한편, 상기 본체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중앙 측으로 하향 만곡되어 일정길이 경사지게 연장되어 라면의 바닥면 테두리를 임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 일정거리 이격수용되어 물이 끓음에 따라 발생된 수증기를 일정시간 접촉시켜 라면이 유연하게 풀어지면서 끓는 물로 하향 안내시키는 라면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s is as follows. That is, the rame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volume to cook food, but to seal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n open upper part. In the ramen cooking vessel including a lid seated on the upper side, while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being curved downward downward from the inner edge of the main body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Temporarily supporting the bottom rim of the main body, the water received inside the main body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contact the water vapor generated as the water boils for a certain time, if the ramen is released flexibly to guide down to boiling water It further comprises.

여기서, 상기 라면 거치부재는 상기 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어 제1 거치부재 및 제2 거치부재의 한 쌍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재는 각각 몸체가 힌지 구조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상단 중앙부에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이 안착되는 안착턱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를 가지며, 한 쌍의 각 거치부재가 마주하는 상기 각 몸체의 단부는 상호 회동시 간섭이 없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힌지에 의해 각각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ramen mounting member is oppos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as a pair of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while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 is a fixed structure of the body, respectively, the hinge It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t one sid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ody so as to be angularly rotatable, and has a hinge connection portion hinged to the seating jaw on which the lid is seated. It is preferable to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y each of the hinge so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during the mutual rotation.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재는 각각 상기 라면이 하단으로부터 일정 폭 만큼 거치되는 몸체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힌지 연결부의 양측에 상기 본체의 안착턱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일정길이 외향 돌출 형성됨이 양호하다.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is formed to project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ly from a seating protrusion which is seated on the seating jaw of the main body at both sides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where the ramen is mounted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a lower end thereof. Is good.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재는 각각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면적에 대하여 개방된 슬릿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복수 개의 연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are each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that are ope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end of the body to a predetermined area and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while the slits of the body are not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portion.

한편, 상기 라면 거치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 테두리와 대응되어 도넛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amen mounting member has a body that is provided in a donut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main body, and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bottom circumference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support tha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dog.

이때, 상기 라면 거치부재의 몸체는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면적에 대하여 개방된 슬릿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복수 개의 연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ody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side, whil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slits are not formed. Do.

본 발명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rame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라면 거치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조리용기의 본체 내부에 상측에 담겨진 물과 일정거리 이격 수용되어 수증기로 1차적으로 익은 후, 끓는 물에 잠기도록 안내되어 끓는 물에 의해 2차적으로 익혀지는 과정으로 조리될 수 있도록 한 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irst, by providing a ramen mounting member is housed in the main body of the cooking vessel spaced apart from a certain distance and first ripened with water vapor, then guided to soak in boiling water to be cooked secondly by boiling wa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one so that it can be cooked.

둘째, 끓는 물의 수증기를 통하여 1차적으로 익힌 후 끓는 물에 잠기도록 안내되어 2차적으로 익혀 조리됨으로써 라면에 대한 식감이 더욱 쫄깃쫄깃해져 라면 고유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it is cooked first through the steam of boiling water and then submerged in boiling water to cook the second time, so that the texture of the ramen becomes more chewy and can further enhance the unique taste of ramen.

셋째, 라면 거치부재의 몸체 표면상에 다수의 슬릿 및 연통공을 형성함으로써 가열에 따라 발생하는 수증기가 거치된 라면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증기로 인한 1차적으로 익히는 조리과정이 라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Third, by forming a plurality of slits and communication holes on the body surface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to ensure that the water vapor generated by heating can be evenly contacted throughout the entire ramen, which is primarily due to water vapor The cooking process can be made evenly throughout the rame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에서 세척시 라면 거치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에서 라면의 조리시 라면 거치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container for ram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when washing in the cooking vessel for the instant nood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ramen holding member when cooking the instant noodles in the cooking bowl for the instant nood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container for ram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amen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에서 세척시 라면 거치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에서 라면의 조리시 라면 거치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oking bowl for instant nood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when cooking the instant noodles in the cooking vessel for a ram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100)는 먼저, 상단 외주에 손잡이(140)가 구비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일정 체적을 가지되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110)의 내면 상단부에 내측으로 턱이 지는 안착턱(111)에 안착되는 뚜껑(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ramen cook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14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p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o cook food, but the upper portion is The main body 110 is formed to be opened, and the lid 130 seated on the seating jaw 111 chin inwar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cover and seal the open top of the main body 110 It is made to include.

여기서, 상기 라면용 조리용기(100)의 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 길게 연장형성된 편수 타입의 손잡이(130)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조리용기에서와 같은 양수 타입의 손잡이(미도시)가 상기 본체(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향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main body 110 of the ramen cooking container 100 may have a single-handled type handle 130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the figure, and is not shown, but the positive type as in a conventional cooking container. The handle (not shown)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s to face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110).

이때, 상기 본체(110)와 뚜껑(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라면용 조리용기(100)는 라면(200)의 조리를 위하여 상기 라면(200)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일정거리 이격 수용되어 물이 끓음에 따라 발생된 수증기와 일정시간 접촉되어 상기 라면(200)이 유연하게 풀어지면서 끓는 물로 하향 안내시키는 라면 거치부재(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ramen cooking container 100 including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30 is the ramen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10 for cooking the ramen 200 It further comprises a ramen mounting member 120 to be receiv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water and in contact with the steam generated as the water boils for a predetermined time to guide the ramen 200 to the boiled water while being softly released.

이러한 상기 라면 거치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 고정되되, 상기 본체(110)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중앙 측으로 하향 만곡되어 일정길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라면(200)의 바닥면 테두리를 임시적으로 지지하며, 조리시 물이 끓으면 발생하는 수증기의 접촉에 따라 상기 라면(200)이 딱딱한 상태에서 흐물흐물하게 풀어지게 되면, 상기 라면(200)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용되어 끓는 물로 안내되어 끓는 물에 잠겨 조리가 될 수 있다.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is fixed to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curved downward downward from the inner edge of the main body 110 toward the center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ramen Temporarily supports the bottom edge of the (200), and when the water is boiled during cooking, when the ramen 200 is loosened in a hard state, the ramen 200 is the main body It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110 and guided to the boiling water to be cooked in the boiling water.

또한, 상기 라면 거치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어 제1 거치부재(121) 및 제2 거치부재(125)의 한 쌍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각 거치부재(121, 125)는 각각 몸체(122, 126)가 힌지(113, 115) 구조로 상기 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22, 126)의 일측 상단 중앙부에 상기 본체(110)의 안착턱(111)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121a, 125a)를 가진다.In addition,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is oppos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as a pair of the first mount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125, each of the mounting members The main body 121, 125 has a hinge 113, 115 structure in which the body 122, 126 is rotated at an angle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respectively. It has a hinge connecting portion (121a, 125a) that is hinged to the seating jaw 111 of (110).

이때, 상기 제1 거치부재(121) 및 제2 거치부재(125)는 상호 마주하는 각 몸체(122, 126)의 단부가 회동시 간섭이 없도록 일정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호 대향 구비되는 상기 제1 거치부재(121) 및 제2 거치부재(125)는 각각의 상기 힌지(113, 115)에 의해 상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mount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125 is preferably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end of each of the body (122, 126) facing each other there is no interference when rotating, and thus provided with each other The first mount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125 may be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by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the hinges 113 and 115, respectively.

더욱이, 상기 제1 거치부재(121)는 상기 라면(200) 하단으로부터 일정 폭 만큼 거치되는 몸체(122) 상단에 구비된 상기 힌지 연결부(121a) 양측에 상기 본체(110)의 안착턱(111)에 안착되는 안착돌기(121b)가 일정길이만큼 외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안착돌기(121b)는 상기 몸체(122)의 상단 일측 및 타측에 판 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안착턱(111)에 안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mounting member 121 is a seating jaw 111 of the main body 110 on both sides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121a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22 which is mounted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amen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rotrusion 121b to be seated on the outsid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the seating protrusion 121b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top and one side of the body 122 on the plate to the seating jaw 111.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seated on).

여기서, 상기 제1 거치부재(121)는 상기 몸체(122)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면적만큼 개방된 슬릿(123)이 상기 몸체(122)의 하단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mounting member 121 may be a plurality of slits 12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 the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22 is opened by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bottom of the body 122 to the upper side. have.

그리고 상기 몸체(122)의 슬릿(12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복수 개의 연통공(12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슬릿(123) 및 연통공(124)을 통하여 상기 제1 거치부재(121)의 몸체(122) 상면에 하면 테두리가 거치된 상기 라면(200)에 끓는 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접촉이 고르게 원활히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24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slit 123 of the body 122 is not formed,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may be formed through the slit 123 and the communication hole 124.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22 of the 121, the contact of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boiling water to the ramen 200 is mounted on the rim can be smoothly transmitted evenly.

아울러, 상기 제2 거치부재(125)도 상기 제1 거치부재(121)와 마찬가지로, 상기 라면(200) 하단으로부터 일정 폭 만큼 거치되는 몸체(126) 상단에 구비된 상기 힌지 연결부(125a)의 양측에 상기 본체(110)의 안착턱(111)에 안착되는 안착돌기(125b)가 일정길이만큼 외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안착돌기(125b)는 상기 몸체(126)의 상단 일측 및 타측에 판 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안착턱(111)에 안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first mounting member 121, the second mounting member 125, both sides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125a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126 to be mounted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bottom of the ramen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rotrusion 125b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jaw 111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the seating protrusion 125b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26.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s on the plate to be seated on the seating jaw 111.

여기서, 상기 제2 거치부재(125)는 상기 몸체(126)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면적만큼 개방된 슬릿(127)이 상기 몸체(126)의 하단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mounting member 125 may be a plurality of slits 127 opened by a predetermined area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126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26. have.

그리고 상기 몸체(126)의 슬릿(127)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복수 개의 연통공(12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슬릿(127) 및 연통공(128)을 통하여 상기 제2 거치부재(125)의 몸체(126) 상면에 하면 테두리가 거치된 상기 라면(200)에 끓는 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접촉이 고르게 원활히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28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slit 127 of the body 126 is not formed,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may be formed through the slit 127 and the communication hole 128.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26 of the 125, the contact of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boiling water to the ramen 200 is mounted on the rim can be smoothly transmitted evenly.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거치부재(121) 및 제2 거치부재(125)의 몸체(122, 126)에 형성된 복수의 각 슬릿(123, 127)과 연통공(124, 128)을 통하여 상기 라면(200)의 외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끓는 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접촉이 고르게 원활히 전달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noodle through the plurality of slits 123 and 127 and the communication holes 124 and 128 formed in the bodies 122 and 126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121 and 125, respectively. The contact of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boiling water as a whole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200) can be evenly transferred smoothly.

이와 같이, 수증기의 원활한 접촉을 통하여 거치된 라면(200)이 1차적으로 익게 되어, 딱딱하게 굳어있던 상기 라면(200)이 풀리면서 상기 본체(110)에 수용되어 끓고 있는 물로 안내되어 끓는 물에 잠겨 2차적으로 익을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ramen 200 mounted through the smooth contact of steam is first ripened, and the ramen 200, which has been hardened, is released and guided to boiling water received in the main body 110 while boiling. It is locked and can be cooked secondarily.

따라서, 상기 제1 거치부재(121) 및 제2 거치부재(125)로 이루어진 라면 거치부재(120)에 의해 끓는 물의 수증기를 통하여 1차적으로 익힌 후 끓는 물에 잠기도록 안내되어 2차적으로 익혀 조리됨으로써 라면에 대한 식감이 더욱 쫄깃쫄깃해져 라면 고유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cradle member 121 and the second cradle member 125 is cooked primarily by steaming the boiled water by the ramen cradle member 120 and then guided to be immersed in boiling water and cooked secondly. As a result, the texture of the ramen becomes more chewy and can further enhance the taste of the rame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라면 거치부재(120)에서 상기 제1 거치부재(121) 및 제2 거치부재(125)는 각 몸체(122, 126)가 상기 슬릿(123, 127)과 연통공(124, 128)이 없이, 표면이 격자 상의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한편 테두리는 와이어 프레임 또는 일정 폭을 가지는 판상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와이어 프레임 또는 일정 폭을 가지는 판상 프레임의 상단 중앙부에 상기 힌지 연결부(121a, 125a)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121 and 125, the body 122, 126 each of the slits 123, 127 and the communication hole 124 128), the surface may be formed of a mesh network on the grid while the edge may be formed of a wire frame or a plate-shaped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in this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or the plate-shaped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Hinge connecting portions 121a and 125a are provided.

상기와 같이, 라면 거치부재(120)에서 상기 제1 거치부재(121) 및 제2 거치부재(125)의 각 몸체(122, 126)가 상기 슬릿(123, 127)과 연통공(124, 128)이 없이, 표면이 격자 상의 메쉬망으로 형성됨으로써 거치된 라면(200)의 외면 전체에 대한 끓는 물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접촉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dies 122 and 126 of the first mount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125 in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communicate with the slits 123 and 127 and the communication holes 124 and 128. ), The surface may be formed of a mesh network on the lattice to contact water vapor generated from boiling water with respect to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mounted ramen 200.

더욱이, 상기 라면 거치부재(120)는 상기 슬릿(123, 127)이 없이 상기 연통공(124, 128)만이 상기 각 몸체(122, 126)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수증기의 라면(200) 전체에 고른 접촉을 위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may be formed in the plurality of the communication holes 124, 128 evenly in each of the body (122, 126) without the slit (123, 127), in addition to the water vapo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ven contact throughout the ramen 200.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oking container for instant nood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면용 조리용기(100')는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라면 거치부재(120)가 본체(110)에 힌지(113, 115)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과 달리, 라면 거치부재(120')가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 거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라면 거치부재(120')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기로 하며, 이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ramen cooking container 10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ramen holding member 12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hinges 113 and 115 to the main body 110. Unlike being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has a difference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mounted and separa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in the following, the ramen mounting member has a difference. Reference will be made mainly to 120 ',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below.

상기 라면용 조리용기(100')는 상단 외주에 손잡이(140')가 구비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일정 체적을 가지되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110')의 내면 상단부에 내측으로 턱이 지는 안착턱(111')에 안착되는 뚜껑(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amen cooking container 100 'is provided with a handle 140'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and has a predetermined volume for cooking food, but has an upper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main body 110 '. It includes a lid 130 'is seated on the seating jaw (111') chin inwar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to cover and seal the open top.

이러한 상기 라면용 조리용기(100')는 라면(200)의 조리를 위하여 상기 라면(200)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일정거리 이격 수용되어 물이 끓음에 따라 발생된 수증기와 일정시간 접촉되어 상기 라면(200)이 유연하게 풀어지면서 끓는 물로 하향 안내시키는 라면 거치부재(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amen cooking container 100 ′ is generated as the water is boi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10 ′ for cooking the ramen 200. It further comprises a ramen mounting member 120 'to be in contact with steam for a predetermined time to guide the down to the boiling water while the flexible ramen 200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라면 거치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도넛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가 상기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121')의 저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연결되는 지지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ramen holding member 120 'is a body 121' having a donut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body 110 'and the body 121' is an inner bottom of the body 110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pport (125 ')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ttom circumference of the body (12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상기 몸체(121')는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면적에 대하여 개방된 슬릿(123')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 몸체(121')는 상기 슬릿(123')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몸체(121')의 면 상에 복수 개의 연통공(124')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121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123' open to a predetermined area from a lower side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ody 121 'is formed of the sli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24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121' on which 123 'is not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면 거치부재(120')의 몸체(121') 표면상에 다수의 슬릿(123') 및 연통공(124')을 형성함으로써 본체(110')의 가열에 따라 발생하는 수증기가 거치된 라면(200)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증기로 인한 1차적으로 익히는 조리과정이 라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lurality of slits 123 'and communication holes 124' on the surface of the body 121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heating of the body 110 ' Steam can be evenly contacted throughout the ramen 200 is mounted, and thus the first cooking process due to steam can be made evenly with respect to the ramen.

다시 말하면, 상기 라면용 조리용기(100')는 복수의 슬릿(123') 및 연통공(124')을 가지는 상기 라면 거치부재(121')를 통하여, 끓는 물의 수증기를 라면(20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촉시켜 상기 라면(200)을 1차적으로 익힌 후 끓는 물에 잠기도록 안내시켜 2차적으로 익혀 조리함으로써 조리된 라면(200)에 대한 식감이 더욱 쫄깃쫄깃해져 라면 고유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oking bowl 100 'for the ramen through the ramen mounting member 121' having a plurality of slits 123 'and communicating holes 124', steam of boiling water to the ramen 200 as a whole By contacting evenly, the ramen 200 is cooked first, then guided to soak in boiling water, and then cooked and cooked secondly to further enhance the texture of the cooked ramen 200. have.

전술한 바와 같은 라면 거치부재(120')는 상기 몸체(121')의 외경이 상기 본체(110')의 내측 테두리와 대응되되 상기 본체(110')의 내측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몸체(121')의 외경이 상기 본체(110')의 내측 테두리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21' corresponds to the inner edge of the main body 110 'and closely adheres to the inner edge of the main body 110'. Moreover,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21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edge of the body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라면 거치부재(120')의 지지대(125')는 하단이 상기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 테두리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1')의 외경이 상기 본체(110')의 내측 테두리에 밀착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125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may have a lower end supported on the inner bottom edge of the main body 110 '.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diameter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main body 110 '.

그리고 상기 라면 거치부재(120')의 지지대(125')는 하단이 상기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 테두리로부터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지지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몸체(121')의 외경이 상기 본체(110')의 내측 테두리와 일정거리 이격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125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may have a lower e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edge of the main body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center, and in this case, the body 121'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inner edge.

아울러, 상술한 라면 거치부재(120')의 지지대(125')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최대량을 기준으로 라면(200)이 수용된 물과 이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길게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지지대(125')는 2단 및 3단 등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단 지지대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125 ′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ramen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ceived water based on the maximum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body 110 ′. Preferably, the support 125 'may be provided with a multi-stage support that can be adjusted in two and three stages.

더욱이, 상기 라면 거치부재(120')의 몸체(121')는 상기 슬릿(123')과 연통공(124')이 없이, 표면이 격자 상의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한편, 테두리는 와이어 프레임 또는 일정 폭을 가지는 판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Moreover, the body 121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120' is formed without a slit 123 'and communicating hole 124', the surface of which is formed by a mesh network on a lattice, while the edge is a wire frame or constant It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formed of a plate-shaped frame having a width.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 라면용 조리용기
110, 110': 본체 111, 111': 안착턱
113, 115: 힌지
120, 120': 라면 거치부재 121: 제1 거치부재
122, 126, 121': 몸체 121a, 125a: 힌지 연결부
121b, 125b: 안착돌기 123, 127, 123': 슬릿
124, 128, 124': 연통공 125: 제2 거치부재
125': 지지대 130, 130': 뚜껑
140, 140': 손잡이
200: 라면
100, 100 ': Ramen cooker
110, 110 ': main body 111, 111': seating jaw
113, 115: hinge
120, 120 ': ramen mounting member 121: first mounting member
122, 126, 121 ': Body 121a, 125a: Hinge connection
121b, 125b: Seating protrusions 123, 127, 123 ': Slit
124, 128, 124 ': Communication hole 125: Second mounting member
125 ': support 130, 130': lid
140, 140 ': handle
200: ramen

Claims (6)

상단 외주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한편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일정 체적을 가지되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라면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 고정되는 한편, 상기 본체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중앙 측으로 하향 만곡되어 일정길이 경사지게 연장되어 라면의 바닥면 테두리를 임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 일정거리 이격 수용되어 물이 끓음에 따라 발생된 수증기를 일정시간 접촉시켜 라면이 유연하게 풀어지면서 끓는 물로 하향 안내시키는 라면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용 조리용기.
While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has a certain volume for cooking food, but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cooking for ramen including a li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 the container,
While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bending downward downward from the inner edge of the main body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obliquely to temporarily support the bottom edge of the rame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Ramen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amen mounting member that is receiv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received water and the steam generated as the water boil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give the ramen flexible release and guides downward to the boiling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 거치부재는 상기 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어 제1 거치부재 및 제2 거치부재의 한 쌍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재는 각각 몸체가 힌지 구조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상단 중앙부에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이 안착되는 안착턱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를 가지며, 한 쌍의 각 거치부재가 마주하는 상기 각 몸체의 단부는 상호 회동시 간섭이 없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힌지에 의해 각각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용 조리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amen holding members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are provided as a pair of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while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hinge structure. It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to have a hinge connection portion hinged to the seating jaw is seated on the lid, the end of each body facing each pair of mounting members are rotated mutually Ramen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in a certain angle rang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y the hinge so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when the dista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재는 각각 상기 라면이 하단으로부터 일정 폭 만큼 거치되는 몸체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힌지 연결부의 양측에 상기 본체의 안착턱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일정길이 외향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용 조리용기.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on which the ramen is mounted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a lower end thereof. Ramen cooking contain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재는 각각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면적에 대하여 개방된 슬릿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복수 개의 연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용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its ope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end of the body to a predetermined area, and a plurality of sli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amen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 거치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 테두리와 대응되어 도넛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용 조리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amen hold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bodies having a donut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bottom circumference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Ramen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that is connec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 거치부재의 몸체는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면적에 대하여 개방된 슬릿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복수 개의 연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용 조리용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body of the ramen mounting member is a plurality of slits that ar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s formed, whil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slit is not formed Ramen cookware.
KR1020110125346A 2011-11-28 2011-11-28 Cooking vessel for ramyun KR2013005917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46A KR20130059171A (en) 2011-11-28 2011-11-28 Cooking vessel for ramyun
PCT/KR2012/002191 WO2013081253A1 (en) 2011-11-28 2012-03-26 Cooking container for instant nood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46A KR20130059171A (en) 2011-11-28 2011-11-28 Cooking vessel for ramyu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71A true KR20130059171A (en) 2013-06-05

Family

ID=4853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346A KR20130059171A (en) 2011-11-28 2011-11-28 Cooking vessel for ramyu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59171A (en)
WO (1) WO2013081253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156B1 (en) * 2012-09-19 2014-08-29 도현민 Plate with the pot lid
KR101894504B1 (en) 2017-08-01 2018-09-04 이금준 Pot for cooking instant-noodles
KR102506894B1 (en) 2022-09-13 2023-03-08 안병석 Ramen stand for ramen cooking vess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5073B2 (en) * 2018-03-06 2020-11-17 Hutzler Manufacturing Co., Inc.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cooking boilov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60Y1 (en) * 2000-06-16 2000-12-15 김석희 A steamed wicker basket of Metal
KR200318987Y1 (en) * 2003-04-11 2003-07-07 허은영 Cooking receptacle
KR100753719B1 (en) * 2006-04-10 2007-08-30 윤호형 Pot for cooking ramyun
KR200455337Y1 (en) * 2009-11-19 2011-09-05 윤지훈 Pot drai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156B1 (en) * 2012-09-19 2014-08-29 도현민 Plate with the pot lid
KR101894504B1 (en) 2017-08-01 2018-09-04 이금준 Pot for cooking instant-noodles
KR102506894B1 (en) 2022-09-13 2023-03-08 안병석 Ramen stand for ramen cooking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1253A1 (en)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9171A (en) Cooking vessel for ramyun
US20180092487A1 (en) Microwave mug cooker device
KR200475450Y1 (en) Steam cooker
CN208755660U (en) A kind of electric cooker of adjustable food steamer height
KR20200123629A (en) Rice cooker for reduced carbohydrate
JP2002125849A (en) Electric rice cooker
KR20110040069A (en) Cooker combined with multi-stage-adjustable steam cooker
KR200318987Y1 (en) Cooking receptacle
KR20200118560A (en) Rice cooker for reduced carbohydrate
KR20170122967A (en) The revolving cookpot
CN202698819U (en) Steaming appliance
CN207784956U (en) A kind of deformable steaming rack for electric rice-cooker
KR20200118561A (en) Rice cooker for reduced carbohydrate
CN207561721U (en) Pot with seasoning cup
JP3547126B2 (en) Steamed pot for shelled shellfish
KR102506894B1 (en) Ramen stand for ramen cooking vessel
JP2017000262A (en) Cooking device
KR20160059002A (en) Instant steam container
CN216364708U (en) Inner pot assembly and heating rice cooker
CN207071038U (en) Heating vessel
CN218651375U (en) Steaming grid
CN107969927A (en) A kind of steam frame of electric cooker
KR20200118559A (en) Rice cooker for reduced carbohydrate
CN211022180U (en) Food steamer and cooking utensil
CN213909837U (en) Food steamer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