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649A - 클러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649A
KR20130057649A KR1020110123502A KR20110123502A KR20130057649A KR 20130057649 A KR20130057649 A KR 20130057649A KR 1020110123502 A KR1020110123502 A KR 1020110123502A KR 20110123502 A KR20110123502 A KR 20110123502A KR 20130057649 A KR20130057649 A KR 20130057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housing
chamber
pressur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942B1 (ko
Inventor
이동근
이성철
김성진
백병철
Original Assignee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942B1/ko
Priority to US14/360,411 priority patent/US9163675B2/en
Priority to PCT/KR2011/009414 priority patent/WO2013077486A1/ko
Publication of KR2013005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being distinctly separate from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0Clutch systems with a plurality of fluid-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48/04Control by fluid pressure providing power as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57Hydraulic circuit layouts, i.e. details of hydraulic circuit elements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16D2048/0284Hydraulic circuit layouts, i.e. details of hydraulic circuit elements or the arrangement thereof characterised by valve arrangements supplying fluid to a two chamb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8Sensors; Details or arrange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2Actuator
    • F16D2500/1026Hydraulic
    • F16D2500/1027Details about the hydrauli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2Signal inputs from the actuator
    • F16D2500/3026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0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pedals
    • F16D2500/31413Clutch 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2Look-up tables
    • F16D2500/70205Clutch actuator
    • F16D2500/70235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06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유격을 직선 거리 센서를 사용한 비접촉식 방식의 변위검출계를 이용하여 기구부의 소형화 및 동작시 오차를 감소시키고,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러치 제어 장치{CLUTCH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클러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유격을 직선 거리 센서를 사용한 비접촉식 방식의 변위검출계를 이용하여 기구부의 소형화 및 동작시 오차를 감소시키고,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는 한쌍의 동심 회전축을 쉽고 빠르게 연결 및 차단시켜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는 보통 원동기와 기계로 전달되는 입력축 사이에 있어 기계를 작동 또는 정지시켜주며, 자동차에서처럼 무부하 상태에서 기관을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상용차에 사용되는 클러치는 기관의 회전력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능과 기관과 변속기 사이의 동력흐름을 필요할 때마다 일시 차단하는 동력차단기능을 수행하고, 부드러우면서도 진동이 없는 발진을 가능하게 하며, 기관과 동력전달장치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플라이휠과 함께 기관의 회전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클러치 장치의 구조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는 클러치 페달(1)과 상기 클러치 페달(1)의 힘을 전달시키는 마스터 실린더(3)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3)와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시키는 공기펌프(5)와 상기 공기펌프(5)에서 공급된 공압을 받아 작동되는 피스톤로드(7a)를 가진 부스터실린더(7)와 상기 부스터실린더(7)에서 제공된 공압으로 클러치(11)를 작동시키는 릴리즈실린더(9)와 힌지고정되어 상기 릴리즈 실린더(9)와 상기 클러치(11)를 연결시키는 시프트레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릴리즈실린더(9)의 푸시로드(9a)는 스프링(9b)에 의해 복귀력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는 운전자가 상기 클러치 페달(1)을 밟으면, 그 힘이 상기 마스터실린더(3)의 피스톤로드(3a)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펌프(5)에서 공급되고 있는 공압이 공압 유도부(51)를 거쳐 상기 부스터 실린더(7)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압은 상기 부스터실린더(7)의 피스톤로드(7a)를 이동시켜 상기 릴리즈실린더(9)의 푸시로드(9a)를 이동시키며, 상기 푸시로드(9a)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시프트레버(13)가 상기 클러치(11)의 클러치 디스크가 엔진의 구동판에서 분리되어 휠로의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클러치는 장시간 정체와 서행이 반복되는 구간이나 시내 주행시 상기 클러치페달을 수없이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피로도가 가중될 뿐만 아니라 무릎과 허리 등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를 창작할 경우에는 운전 중 편리하고 승차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초기 구입 비용이 증가하고, 주행 중 수동변속기에 비해 20~30 퍼센트 정도의 연료소비가 많게 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미오토 클러치의 개념들이 다수 제시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후 수리 및 관리의 문제가 있으며, 기존의 차량에 부착하는 방식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차량에 간단한 탈, 부착이 가능한 구조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구조의 클러치 제어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세미오토 클러치의 경우에는 클러치 동작을 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그 회전값을 포텐시오메터로 읽어 직선 변위값으로 변환하여 클러치 유격을 계산하여 변속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를 위해 기구부의 대형화 및 차량장착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회전값을 변위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기구적인 SLIP 등을 통한 오차로 인해 불필요한 변속충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식 스위치를 통해 클러치의 단속이 이루어져 기어변속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기존의 차량에 간단한 탈부착이 이루어지며 제품의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초보 운전자들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반클러치 상태의 자동 구현으로 다양한 운전조건에서도 손쉬운 운전이 가능하며, 악조건시 강한 반클러치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운전할 수 있는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클러치 유격을 PSD 센서 등과 같은 직선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촉식 방식의 변위검출계를 이용하여 기구부의 소형화 및 동작시 오차를 감소시키는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러치(11)를 작동시키는 부스터 실린더(7)에 연결되어 클러치를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이고,
제1 하우징(35)과, 상기 제1 하우징(35)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전방에 유압조절 로드부(46)가 제공되는 몸체부(44)와, 상기 부스터 실린더(7)에 연결된 유압라인(83)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조절 로드부(46)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4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압라인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실린더(82)와, 상기 몸체부(44)가 상기 제1 하우징(35) 내에서 이동하는 직선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71)와, 상기 제1 하우징(35)의 후방에 제공되는 제2 하우징(31)과, 상기 제2 하우징(31)을 각각 밀폐된 제1 챔버(32) 및 제2 챔버(33)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챔버(32) 및 제2 챔버(33)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31)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피스톤 헤드부(41)와, 상기 피스톤 헤드부(41)와 상기 몸체부(44)를 연결시켜주는 피스톤 로드(43)와, 상기 제1 챔버(32) 내에 제공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유닛(20)과, 상기 센서부(71)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유닛(20)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9)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조절 유닛(20)은, 외부에 위치하는 압축 펌프와 공기통로관(201)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기통로관(201)과 상기 제1 챔버(32) 사이에 공기가 유출입되는 복수의 오리피스들과, 상기 제어부(39)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복수의 오리피스들의 개폐를 조절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오리피스들은 각각의 직경이 다르게 제공되는 제1 오리피스(21), 제2 오리피스(22) 및 제3 오리피스(23)이고,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은,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 제2 솔레노이드 밸브(62), 및 제3 솔레노이드 밸브(6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44)와 함께 이동되는 반사판(7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21)는 상기 제1 하우징(35)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판(72)과의 직선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챔버(33) 내에는 상기 피스톤 헤드부(41)를 상기 제1 챔버(32) 측으로 밀어내도록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75)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린더(82)와 클러치 페달(1)의 조작에 의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마스터 실린더(3)를 연결하는 밸브(85)와, 상기 클러치 페달(1)의 누름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클러치 페달(1)의 누름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어부(39)에 의해 상기 압축 펌프의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3)들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차량에 간단한 탈부착이 이루어지며 제품의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초보 운전자들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클러치 유격을 PSD 센서 등과 같은 직선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촉식 방식의 변위검출계를 이용하여 기구부의 소형화 및 동작시 오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러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제어 장치의 장착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압력 조절 유닛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제어 장치의 장착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제어 장치의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제어 장치가 기존의 클러치 구성에 결합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핵심적 사항이 부각되도록 다소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본 발명은 클러치(11)를 작동시키는 부스터 실린더(7)에 연결되어 클러치를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이고, 클러치 페달(1)과는 마스터 실린더(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제어 장치는 크게 제1 하우징(35)과, 상기 제1 하우징(35)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하우징으로 구분된다. 본 명세서에서 "후방"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실린더(8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방"이라 함은 실린더(82) 측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핵심은 후술할 제1 챔버(32)내의 압력 조절 유닛(20)에 있는데, 압력 조절 유닛(2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펌프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공기통로관(201)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제어 장치는, 제1 하우징(35)과, 상기 제1 하우징(35)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전방에 유압조절 로드부(46)가 제공되는 몸체부(44)와, 상기 부스터 실린더(7)에 연결된 유압라인(83)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조절 로드부(46)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4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압라인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실린더(8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몸체부(44)가 직선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몸체부(44)의 직선 이동 거리를 직접 측정하여 클러치를 제어하는 것에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고 회전센서에 의해서 위치 제어를 하였던 기술이 공개되었으나, 이는 직선값을 회전값으로 측정한 후 다시 직선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응답성능이 매우 불안정하고, 특히 스테핑 모터가 마모되는 경우 위치제어의 오차가 발생할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스테핑모터를 제외하고 PSD 센서와 같은 직선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서 위치제어하도록 하여 선형값이 정확하고, 비접촉식으로 마모의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내구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하던 스테핑 모터의 경우에는 습기에 매우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클러치 제어 장치의 장착위치는 그 특성상 차량의 하부가 되어야 하므로 방습과 관련한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습 성능이 매우 좋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 위치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44)가 상기 제1 하우징(35) 내에서 이동하는 직선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71)를 포함한다. 센서부(7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44)의 상대적인 직선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PSD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 직선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거리 측정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몸체부(44)와 함께 이동되는 반사판(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1)는 상기 제1 하우징(35)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반사판(72)은 상기 몸체부(44)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바, 그 이동한 직선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부(21)와 반사판(72)사이의 측정된 거리는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39)로 전송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 근거로 활용된다.
이하 몸체부(44)의 작동 원리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하우징(35)의 후방에 제공되는 제2 하우징(31)이 더 제공되는데, 상기 제2 하우징(31)을 각각 밀폐된 제1 챔버(32) 및 제2 챔버(33)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챔버(32) 및 제2 챔버(33)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31)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피스톤 헤드부(41)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헤드부(41)는 피스톤 로드(43)에 의해 상기 몸체부(44)와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 헤드부(41)는 상기 제1 챔버(32)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3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 헤드부(41)는 제1 챔버(32) 및 제2 챔버를 밀폐시키기 위해 피스톤 링(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좀더 바람직하게는 제1 챔버(32) 내의 압력은 변화가 가능하고, 제2 챔버(33) 내의 압력은 대기압 또는 진공상태 등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즉, 압력의 조절은 제1 챔버(32) 내에서만 하는 구조가 경제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챔버(33) 내에는 상기 피스톤 헤드부(41)를 상기 제1 챔버(32) 측으로 밀어내도록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75)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는 피스톤 로드(43)를 감싸는 스프링 형상으로 제공되며, 일단은 피스톤 헤드부(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 하우징(35)과 제2 하우징(31)의 경계 벽면에 고정된다.
제1 챔버(32) 내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탄성부재(75)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 헤드부(41)는 제1 챔버(32) 측으로 이동하려하고, 제1 챔버(32) 내의 압력에 의한 미는 힘이 탄성부재(75)의 복원력보다 큰 경우에는 피스톤 헤드부(41)는 제2 챔버(33)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제1 챔버(32)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피스톤 헤드부(41)의 이동을 제어하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몸체부(44)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챔버(32) 내에 제공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유닛(20)과, 상기 센서부(71)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유닛(20)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9)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조절 유닛(20)은, 외부에 위치하는 압축 펌프(도면 미도시)와 공기통로관(201)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압축 펌프 역시 제어부(39)의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를 압력 조절 유닛(20)에 공급하거나, 반대로 압력 조절 유닛(20)을 통하여 제1 챔버(32)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압력 조절 유닛(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로관(201)과 연결된 내부의 관(25)을 가지는 몸체를 가진다. 내부의 관(25)에는 복수 개의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 개의 오리피스에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시키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서 압력 펌프로부터 제1 챔버(32)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거나, 압력 펌프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1 챔버(32)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여 제1 챔버(32)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통로관(201)과 상기 제1 챔버(32) 사이에 공기가 유출입되는 복수의 오리피스들과, 상기 제어부(39)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복수의 오리피스들의 개폐를 조절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들은 센서부(71)에 의해 측정되는 몸체부(44)의 이동거리의 값에 따라 그 온/오프가 미리 프로그래밍 되어 저장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39)는 솔레노이드 밸브들에 동작 신호값을 전송하게 된다.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은 온/오프를 각각 개별적으로 진행하게 되며, 열려진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한 오리피스의 합이 전체 개방된 면적이 된다.
이러한 압력 조절을 더욱 정밀하게 하기 위해 오리피스는 복수 개를 사용하고, 특히 각각의 오리피스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오리피스들은 각각의 직경이 다르게 제공되는 제1 오리피스(21), 제2 오리피스(22) 및 제3 오리피스(23)이고,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은,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 제2 솔레노이드 밸브(62), 및 제3 솔레노이드 밸브(63)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리피스(21)의 면적이 1㎟, 제2 오리피스(22)의 면적이 0.5㎟, 제3 오리피스(23)의 면적이 0.1㎟로 가정한다. 이 경우, 각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의 조합에 의해 개방된 오리피스의 면적은, 0.1, 0.5, 0.6, 1.0, 1.1, 1.5, 1.6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만일, 모든 오리피스의 면적이 0.5㎟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각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의 조합에 의해 개방된 오리피스의 면적은 0.5, 1.0, 1.5 단 세가지에 불과하여 정밀한 위치 제어에 불리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조작에 따른 오리피스의 개폐여부에 따른 클러치 제어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4는 외부의 압력 펌프가 동작하는 상황에서, 각 오리피스가 개방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오리피스를 통해 압축 공기가 제1 챔버(32)에 유입되고, 제1 챔버(32)의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피스톤 헤드부(41)가 제2 챔버(33)측으로(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몸체부(44)의 전방에 위치한 유압조절 로드부(46)가 실린더(82)의 유압을 유압라인(83)으로 공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피스톤 헤드부(41)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피스톤 헤드부(41)가 탄성부재(75)에 따라 제1 챔버(32) 측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압축 펌프의 동작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오리피스를 통해 제1 챔버(32)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원리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경우, 각각의 오리피스를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개방 또는 폐쇄의 조합을 통하여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개방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피스톤 헤드부(41)가 후방으로 밀리는 속도를 조절하게 되고, 이는 궁극적으로 클러치 장치의 접속 및 이탈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린더(82)와 클러치 페달(1)의 조작에 의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마스터 실린더(3)를 연결하는 밸브(85)와, 상기 클러치 페달(1)의 누름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클러치 페달(1)의 누름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어부(39)에 의해 상기 압축 펌프의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3)들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밸브(85)로는 2-WAY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브는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운전자가 수동을 클러치를 밟는 순간에 이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유압라인에 유체가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즉시 압축 펌프는 오프상태로 전환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되어 몸체부(44)는 후방으로 후퇴하는 구조로 된다.
다만, 이러한 수동 동작은 클러치의 조작 이외에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의 조작에도 연결되어야 한다. 즉, 클러치 이외에도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에도 누름을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제공되고, 누름 감지시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관(25)에 보조 밸브(24)를 더 제공하여, 이러한 상황시에는 보조 밸브(24) 역시 즉각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제1 챔버(32) 내의 압력을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각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제어부는 각각의 센서와 연결되어 있어, 이에 따라 밸브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31 : 제2 하우징, 32 : 제1 챔버, 33 : 제2 챔버, 35 : 제1 하우징, 39 : 제어부, 41 : 피스톤 헤드부, 44 : 몸체부, 46 : 유압조절 로드부, 71 : 센서부

Claims (6)

  1. 클러치(11)를 작동시키는 부스터 실린더(7)에 연결되어 클러치를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35)과,
    상기 제1 하우징(35)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전방에 유압조절 로드부(46)가 제공되는 몸체부(44)와,
    상기 부스터 실린더(7)에 연결된 유압라인(83)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조절 로드부(46)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4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압라인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실린더(82)와,
    상기 몸체부(44)가 상기 제1 하우징(35) 내에서 이동하는 직선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71)와,
    상기 제1 하우징(35)의 후방에 제공되는 제2 하우징(31)과,
    상기 제2 하우징(31)을 각각 밀폐된 제1 챔버(32) 및 제2 챔버(33)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챔버(32) 및 제2 챔버(33)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31)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피스톤 헤드부(41)와,
    상기 피스톤 헤드부(41)와 상기 몸체부(44)를 연결시켜주는 피스톤 로드(43)와,
    상기 제1 챔버(32) 내에 제공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유닛(20)과,
    상기 센서부(71)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유닛(20)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9)를 포함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유닛(20)은,
    외부에 위치하는 압축 펌프와 공기통로관(201)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기통로관(201)과 상기 제1 챔버(32) 사이에 공기가 유출입되는 복수의 오리피스들과,
    상기 제어부(39)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복수의 오리피스들의 개폐를 조절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포함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리피스들은 각각의 직경이 다르게 제공되는 제1 오리피스(21), 제2 오리피스(22) 및 제3 오리피스(23)이고,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은,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 제2 솔레노이드 밸브(62), 및 제3 솔레노이드 밸브(63)인,
    클러치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4)와 함께 이동되는 반사판(7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21)는 상기 제1 하우징(35)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판(72)과의 직선 거리를 측정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33) 내에는 상기 피스톤 헤드부(41)를 상기 제1 챔버(32) 측으로 밀어내도록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75)가 더 제공되는,
    클러치 제어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82)와 클러치 페달(1)의 조작에 의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마스터 실린더(3)를 연결하는 밸브(85)와,
    상기 클러치 페달(1)의 누름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클러치 페달(1)의 누름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어부(39)에 의해 상기 압축 펌프의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3)들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 장치.
KR1020110123502A 2011-11-24 2011-11-24 클러치 제어 장치 KR101336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502A KR101336942B1 (ko) 2011-11-24 2011-11-24 클러치 제어 장치
US14/360,411 US9163675B2 (en) 2011-11-24 2011-12-07 Clutch control device
PCT/KR2011/009414 WO2013077486A1 (ko) 2011-11-24 2011-12-07 클러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502A KR101336942B1 (ko) 2011-11-24 2011-11-24 클러치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649A true KR20130057649A (ko) 2013-06-03
KR101336942B1 KR101336942B1 (ko) 2013-12-04

Family

ID=4846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502A KR101336942B1 (ko) 2011-11-24 2011-11-24 클러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63675B2 (ko)
KR (1) KR101336942B1 (ko)
WO (1) WO20130774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205B1 (ko) * 2015-11-10 2016-02-19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변위센서를 이용한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WO2016199950A1 (ko) * 2015-06-09 2016-12-15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저감 방법
KR101923392B1 (ko) * 2018-07-26 2019-02-22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타입 클러치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37A1 (ko) * 2015-11-10 2017-05-18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변위센서를 이용한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US10808772B2 (en) * 2018-10-08 2020-10-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lutch system for automatic emergency braking and remote starting of manual transmission vehicles
FR3125850B1 (fr) * 2021-07-30 2023-07-07 Valeo Embrayages Module de transmission de coup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589A (ja) 1994-04-20 1995-11-07 Jidosha Kiki Co Ltd 半自動クラッチ操作装置
DE4439447C1 (de) * 1994-11-04 1996-03-14 Daimler Benz Ag Notkuppeleinrichtung
KR100207197B1 (ko) 1995-12-30 1999-07-15 정몽규 공압 작동식 반자동 클러치 장치
JP3817297B2 (ja) * 1996-04-17 2006-09-06 ヴァレオユニシアトランスミッション株式会社 自動クラッチ
JP3386974B2 (ja) 1997-03-11 2003-03-17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クラッチ倍力装置
NO316468B1 (no) * 2001-08-23 2004-01-26 Kongsberg Automotive Asa Clutchanordning
DE102006021698A1 (de) * 2006-05-10 2007-11-15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Betätigungsmittels
DE102006037958A1 (de) * 2006-08-12 2008-02-14 Zf Friedrichshafen Ag Kupplungseinrichtung
KR100814340B1 (ko) 2007-03-14 2008-03-18 (주)코리아클러치 자동차용 클러치 제어장치
DE102008036038A1 (de) * 2008-08-01 2010-02-11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Elektrisch betätigbarer Kupplungsausrück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upplungsausrücksystems
WO2010077066A2 (ko) 2008-12-29 2010-07-08 (주)알엠티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9950A1 (ko) * 2015-06-09 2016-12-15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저감 방법
US10125829B2 (en) 2015-06-09 2018-11-13 Wonkwang E&Tech Co., Ltd. Fuel reducing clut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reduction using the same
KR101596205B1 (ko) * 2015-11-10 2016-02-19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변위센서를 이용한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KR101923392B1 (ko) * 2018-07-26 2019-02-22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타입 클러치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3675B2 (en) 2015-10-20
US20140332337A1 (en) 2014-11-13
KR101336942B1 (ko) 2013-12-04
WO2013077486A1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7649A (ko) 클러치 제어 장치
CN104648368B (zh) 电子液压制动系统
KR20130061728A (ko) 차량을 위한 전자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보조 시동 방법
CN108473136A (zh) 作业车辆
KR101751665B1 (ko)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저감 방법
CN103895635A (zh) 车辆用制动液压控制系统
JP5862593B2 (ja) 後付自動クラッチ装置
CN102264568B (zh) 汽车离合器控制装置
CN103016700A (zh) 一种气动助力汽车变速液压操纵装置
KR101854836B1 (ko) 캔 통신 기반의 클러치 제어 장치
CN102859463B (zh) 车辆控制系统
US20090065323A1 (en) Hydraulic actu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clutch
CN106314417B (zh) 一种起步系统、汽车以及方法
KR101596205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US20100326778A1 (en) Brake pedal simulator and brake system
CN109927693A (zh) 制动系统和车辆
KR20160147288A (ko)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저감 방법
KR20160128476A (ko) 연료 저감용 클러치 제어 장치
CN204186837U (zh) 一种带气动离合器总泵的离合踏板
US10125829B2 (en) Fuel reducing clut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reduction using the same
KR101923392B1 (ko) 하이브리드 타입 클러치 제어 장치
CN215805889U (zh) 汽车离合器自动控制系统
KR0144062B1 (ko) 전자식 감응 클러치 제어장치
JPS6222814B2 (ko)
ITMI982643A1 (it) Autoveicolo con una frizione comandabile automaticam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