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906A - 수중유형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906A
KR20130056906A KR1020137010450A KR20137010450A KR20130056906A KR 20130056906 A KR20130056906 A KR 20130056906A KR 1020137010450 A KR1020137010450 A KR 1020137010450A KR 20137010450 A KR20137010450 A KR 20137010450A KR 20130056906 A KR20130056906 A KR 2013005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ass
acid
surfacta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191B1 (ko
Inventor
다쿠야 히루마
테츠야 가네마루
유키코 사토
? 구보타
가츠히코 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3005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4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macromolecular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요철보정효과 및 사용성도 우수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는 (a) 비닐계 모노머 100 중량부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0.1 ~ 20 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를 포함하는 수상과, (b) 유상과, (c)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피부외용제 전량 중 0.01 ~ 5 질량% 또한 계면활성제 전량중 3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8

(상기 화학식 1 중, R은 수소 또는 메틸기, l은 1 ~ 50, m은 1 ~ 50을 나타냄)

Description

수중유형 피부외용제{EXTERNAL OIL-IN-WATER-TYPE SKIN PREPARATION}
본 발명은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성이 뛰어나고 요철보정효과 및 사용성도 우수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외용제에 분말을 배합함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의 보호, 기미, 주근깨 등의 은폐, 피지 흡수 등의 기능을 부여해 왔다.
특히,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는 양호한 감촉과 다기능성을 갖는 점에서, 이들에 분말을 배합하여 예를 들어 유화형 파운데이션, 유액, 크림 등으로 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의 수상에는 안정적으로 배합 가능한 분말 성분은 실질적으로 실리카뿐이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실리카 특유의 단단한 보송보송함 밖에 제제에 부여할 수 없고 또한 고배합함으로써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최근 수지입자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이 수지입자는 도료용 광택제거제, 광학필름, 반사방지필름, 외용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175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256625호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에 상기와 같은 분말을 배합함으로써 사용성을 부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지만 안정성에는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정성도 매우 우수하면서 요철보정효과 및 사용성도 우수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상중에 수지입자를 포함하고, 특정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유화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이 양호하고, 요철보정효과 및 사용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는 (a) 비닐계 모노머-100 중량부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0.1 ~ 20 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를 포함하는 수상,
(b) 유상,
(c)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피부외용제 전량 중 0.01 ~ 5 질량% 또한 계면활성제 전량 중 3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기, l은 1 ~ 50, m은 1 ~ 50을 나타낸다).
상기 피부외용제에서 상기 수지입자를 피부외용제 전량 중 0.1 ~ 13 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외용제에서 유상에 분산시킨 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는 (a) 수지입자를 포함하는 수상, (b) 유상, (c)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이고, 안정성이 뛰어나고 요철보정효과 및 사용성도 우수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수지입자 및 구상 실리카의 흡착특성을 나타내는 계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60)경화피마자유)흡착등온선이다.
도 2는 수지입자 및 구상 실리카의 흡착특성을 나타내는 각 계면활성제 흡착 등온선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는 (a) 수지입자를 포함하는 수상, (b) 유상, (c)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피부외용제이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서 상술한다.
[(a) 수지입자를 포함하는 수상]
본 발명의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에는 수상 중에 수지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지입자는 비닐계 모노머 100 중량부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0.1 ~ 20 질량부로 이루어진 폴리머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l은 1 ~ 50, m은 1 ~ 50을 나타낸다. l이 50을 초과하면, 중합안정성이 저하되어 합착(合着) 입자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m이 50을 초과하면 중합안정성이 저하되어 합착 입자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아크릴산 또는 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벤질,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산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크릴산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 등의 메타크릴산 또는 그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 이외의 비닐계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모노머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닐계 모노머에는 가교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가교성 모노머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노나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데카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데카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티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푸탈산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플로락톤변성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플로락톤 변성 히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모노머, 디비닐벤젠, 디비닐나프탈렌 및 그 유도체인 방향족 디비닐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성 모노머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성 모노머의 양은 비닐계 모노머 전량 중, 0.5 ~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5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성 모노머의 비율이 너무 많으면 분말이 단단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교성 모노머의 비율이 너무 적으면 내용제성(耐溶劑性)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수지입자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현탁중합, 유화중합, 시드중합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현탁중합 및 유화중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조건으로 모노머 혼합물을 현탁 또는 유화시키고, 이어서 중합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비닐계 모노머에 용해시켜도 좋고, 비닐계 모노머에 용해시켜도 좋으며, 수성매체에 분산시켜도 좋다. 또한, 공지의 현탁안정제 또는 유화제를 사용해도 좋다.
수상에 배합되는 본 발명의 수지입자는 피부외용제 전량 중 0.1 ~ 13 질량%,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8 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입자의 배합량이 0.1 질량% 미만이면 배합에 의한 효과의 발현을 기대할 수 없다. 수지입자의 배합량이 13 질량%를 초과하면 경시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a) 수상에는 상기 필수성분인 수지입자 이외에 화장료, 의약품 등에 통상 사용 가능한 수성성분을, 유화물의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a) 수상의 주성분으로서 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탄올 등의 저급알콜을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a) 수상에는 증점제로서 숙시노글루칸, 잔탄검,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배합에 의해 분체의 분산안정성이 더욱 향상되고 또한 시간경과에 따른 유화입자의 침강이나 크리밍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유화조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루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젤라틴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수상에 배합 가능한 보습제로서는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크실리톨, 말티톨, 말토오스, D-만니톨 등을 들 수 잇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아라비아고무,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Quince ceed)(마르멜로), 조류콜로이드(갈조 엑기스)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플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전분,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아르긴산나트륨 등의 아르긴산계 고분자,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POL 등)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 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 옥틸, 살리실산 페닐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파라메톡시계피산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계피산 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우로카닌산,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이온 봉쇄제로서는 에데트산나트륨염, 메타린산나트륨,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아스코르빈산, α-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을 들 수 있다.
약제로서는 비타민 A유,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이노시톨, 염산피리독신, 니코틴산 벤질, 니코틴산 아미드,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 인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 dl-α-토코페롤2-L아스코르빈산 인산디에스테르칼륨염,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판토텐산, 비오틴 등의 비타민류, 알란토인, 아쥴렌 등의 항염증제, 알부틴 등의 미백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수렴제, 유황, 염화라이소자임, 염산피리독신, γ-오리자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는 유리의 상태에서 사용되는 이외에, 조염 가능한 것은 산 또는 염기의 염의 형태로, 또한 카르본산기를 갖는 것은 그 에스테르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a) 수상, 즉 수성성분의 배합량은 피부외용제 전량 중 50 ~ 90 질량%가 바람직하고 60 ~ 80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b) 유상]
(b) 성분인 유상에는 화장료, 의약품에 통상 사용 가능한 유성성분을 유화물의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액상유분으로서는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사슬형 실리콘유, 및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형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극성유분으로서는 옥탄산 세틸, 라우린산 헥실,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옥틸,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이소팔미틴산 옥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데실, 숙신산2-에틸헥실, 세바신산디에틸 등의 에스테르유 등을 들 수 있다.
비극성유로서는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다.
고형 유분으로서는 카카오지, 야자유, 마유,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피마자유 등의 고체 유지, 파라핀 왁스(직쇄탄화수소), 미세결정질 왁스(분기포화탄화수소), 세레신 왁스, 목랍, 몬탄 왁스, 피셔트로프슈(fischer tropsch) 왁스 등의 탄화수소류, 밀랍, 라놀린, 카르나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쌀겨 왁스(라이스 왁스), 경랍, 호호바유, 쌀겨 왁스, 케이폭 왁스, 베이베리 왁스, 셸락 왁스,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릴산 헥실, 환원 라놀린, 경질 라놀린, POE라놀린알콜에테르, POE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의 왁스류,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등의 고급 지방산,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미리스틸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등의 고급알콜 등을 들 수 있다.
(b) 유상, 즉 유성 성분의 배합량은 피부외용제 전량 중 1 ~ 40 질량%가 바람직하고, 10 ~ 30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에는 분체 및 분산제를 배합해도 좋다. 즉, 상기와 같은 유성 성분을 분산매로 하여 분체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분체 분산물을 배합할 수 있다. 유상에 분체분산물을 배합하는 경우, 일반적인 수중유형 유화조성물보다도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a) ~ (c) 성분을 배합한 경우, 유상에 분체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로 한 경우에도, 경시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했다.
유상중에 배합되는 분체 및 분산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 의약품에 통상 사용 가능한 것을 배합할 수 있다.
분체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분말[예를 들어,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 칼슘(소(燒) 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틴산 아연, 팔미틴산 칼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등), 질화붕소 등]; 유기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벵가라), 티탄산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예를 들면, 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예를 들면, 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예를 들면, 흑산화철, 저차산화티탄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코팅 마이카, 산화티탄 코팅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팅 탈크, 착색 산화티탄 코팅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생선 비늘박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 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분말을 배합하는 경우, 피부외용제 전량 중 0.1 ~ 4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 30 질량%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글리세린 변성실리콘, 카르복시변성실리콘, 지방산 부가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부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장쇄 알콜, 지방산 소르비탄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를 배합하는 경우, 피부외용제 전량 중 0.1 ~ 1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0.5 ~ 5 질량%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c) 성분인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b) 유상에 분체 및 분산제를 배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분산제의 배합량은 (c)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에 포함되지 않는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의 옥시에틸렌기의 부가몰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옥시에틸렌기의 부가몰수가 30미만이면, HLB가 낮고(소수성이 높고) 수중유형 활성제로서 부적합한 경우가 있다. 또한, 옥시에틸렌기의 부가몰수가 100을 초과하면 유화제로서 기능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POE변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 POE·POP변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 POE소르비탄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POE글리세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의 친수기로 변성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황산화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나트륨염,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케릴벤젠설폰산나트륨, 모노부틸페닐페놀모노설폰산나트륨, 디부틸페닐페놀디설폰산나트륨, 디옥틸설포숙신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는 피부외용제 전량 중 0.01 질량% ~ 5 질량% 또한 계면활성제 전량중 30 질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의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전량 중 50 질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계면활성제가 100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활성제가 피부외용제 전량 중 0.01 질량% 미만밖에 배합하지 않은 경우, 또는 계면활성제 전량 중 30 질량% 미만밖에 배합하지 않는 경우, 유화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계면활성제가 피부외용제 전량 중 5 질량%를 초과하면 사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 이외의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이외의 폴리옥시알킬렌계 계면활성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지방산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는 종래 피부에 적용되고 있는 화장료, 의약품, 및 의약부외품에 널리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용액, 유액, 크림, 데이용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리퀴드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헤어젤 등의 액상, 유액상 내지 크림상의 제품, 피부과용 연고의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그 성분이 배합되는 계에 대한 질량%로 나타낸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시험의 평가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1): 경시적 안정성
시료를 50 ℃에서 4주간 정치한 후, 외관 및 점도에 대해서 평가했다.
○ …외관 및 점도에 변화가 없고 안정성이 양호하다.
○△…매우 약간 외관 및/또는 점도에 변화가 있지만 문제없는 범위이다.
△ …약간, 외관 및/또는 점도에 변화가 있고 주의가 필요하다.
△×…외관 및/또는 점도의 변화가 있고 안정성이 염려된다.
× …외관 및 점도의 변화가 크고 불안정하다.
평가 (2): 분말의 분산안정성
시료를 50 ㎖의 샘플관에 넣고 실온에서 45 rpm의 속도로 4 시간 회전시킨 후, 분말의 응집 정도를 시각에 의해 평가했다.
○ …색선, 응집물이 전혀 없다.
○△…매우 약간 색줄, 응집물이 있지만 문제없는 범위이다.
△ …약간, 색선, 응집물이 있다.
△×…색선, 응집물이 있다.
× …색선, 응집물이 많이 있다.
평가 (3): 요철보정효과
시료를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요철보정효과를 전문 패널 10 명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 9 명 이상이 요철보정력이 있다고 인정했다.
○△…패널 7 명 이상 9 명 미만이 요철보정력이 있다고 인정했다.
△…패널 5 명 이상 7 명 미만이 요철보정력이 있다고 인정했다.
△×…패널 3 명 이상 5 명 미만이 요철보정력이 있다고 인정했다.
×…패널 3 명 미만이 요철보정력이 있다고 인정했다.
평가 (4): 사용성
시료를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사용성을 전문패널 10 명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 …패널 9 명 이상이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인정했다.
○△…패널 7 명 이상 9 명 미만이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인정했다.
△ …패널 5 명 이상 7 명 미만이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인정했다.
△×…패널 3 명 이상 5 명 미만이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인정했다.
× …패널 3 명 미만이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인정했다.
우선 본 발명자들은 수상에 각종 분말성분을 배합한 화장수(시험예 1-1, 1-2), 수중유형 파운데이션(시험예 1-3~1-7)을 하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평가항목 (1) 또는 (2)에 대해서 상기 채점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화장수 제조방법
이온교환수에 각 원료를 차례로 첨가, 교반 혼합하고 각각의 화장수를 수득했다.
·수중유형 피부외용제(파운데이션) 제조방법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이소도데칸, 이소옥탄산세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아미노변성실리콘, 라우릴PEG-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이소스테아린산, 산화티탄,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을 교반 혼합한다(유상 파트). 별도로, 이온교환수,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디메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Na 크로스폴리머, 숙시노글루칸, 메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에탄올, 에데트산삼나트륨·이수화물, 폴리옥시에틸렌(60)경화피마자유를 교반 혼합한 후, 분말(구상실리카, 또는 폴리우레탄수지분말)을 첨가, 분산한다. 유상파트를 첨가, 교반 혼합하고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를 제조했다.
Figure pct00003
*1:산스페아L-51(AGC에스아이테크사제)
*2: 플라스틱파우더 D-400(도시키피그멘토사제)
표 1에 따르면, 수성 조성물에 5질량%의 분말성분을 배합한 시험예 1-1, 1-2는 모두 경시적 안정성이 우수했다.
한편, 수상에 분말성분을 배합하고 있지 않은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인 시험예 1-3은 분산안정성은 양호했다.
수상에 구상실리카를 배합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인 시험예 1-4, 1-5는 그 배합량을 많게 함에 따라서, 시료의 분산안정성이 떨어졌다.
수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분말을 배합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인 시험예 1-6, 1-7도 또한 다량으로 배합하면 분산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이 되었다.
이와 같이, 수계에 안정적으로 배합 가능한 분말 성분을 유화계의 외상인 수상에 배합해도 특히 분말성분을 고배합한 경우에 유화안정성이 나빠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수상중의 분말과 유화안정성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수중에 분말 10 질량% 및 각종 농도(0.1, 0.3, 0.5, 1, 3, 5, 10 질량%)의 계면활성제(표 1에서 사용한 폴리옥시에틸렌(60)경화피마자유)를 배합하고 흡착등온선을 측정했다. 분말로서는 구상 실리카와, 하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지입자를 사용하여 검토를 실시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수지입자의 제조에서 사용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의 구조는 이하와 같다.
Figure pct00004
·수지입자 합성방법
교반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용량 1L의 반응용기에 라우릴황산나트륨 1 g을 용해시킨 물 500 g을 넣고 거기에 제3 인산칼슘 120 g을 분산시켰다. 이것에 미리 조제해 둔 메타크릴산메틸 300 g과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7g의 혼합물에,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블렌머 50PEP-300(니치유사제), l=약 3.5, m=약 2.5) 63.4 g과 과산화벤조일 1.0 g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5 g을 용해시킨 혼합액을 넣고 T.K호모믹서에서 교반함으로써 액적경(液滴徑)을 조제했다. 다음에 반응용기를 50℃로 가온하여 교반하면서 현탁 중합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100℃에서 2시간 가온처리를 실시하여 평균입자경 7.9 ㎛의 수지입자를 수득했다.
도 1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는 분말성분에 흡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분말성분에 의한 계면활성제의 흡착이 유화안정성에 악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흡착량은 분말성분에 따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구상실리카와 비교하면, 수지입자를 배합한 경우에 계면활성제의 흡착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잇다.
다음에 수지입자를 수중유형 유화계의 수상에 배합하고, 안정성에 대해서 검증을 실시했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배합조성으로 이루어진 수중유형 파운데이션을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평가항목 (2)~(4)에 대해서 상기 채점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2에 따르면 수지입자를 수상에 배합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인 시험예 2-1에서 시료의 안정성은 양호했다.
또한, 수지입자를 5질량% 배합한 시험예 2-2에서도 시료의 안정성은 양호했다.
또한, 시험예 2-2에서 유상에 분체 분산물을 사용하지 않았고, 통상의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의 경우에도 모든 평가에서 우수하였다.
이상에서 계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60)경화피마자유)의 흡착량이 적은 수지입자를, 상기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수중유형 유화계의 수상에 배합함으로써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가 수득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이와 같은 수지입자를 배합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는 요철보정효과 및 사용성도 우수한 것이 명백해졌다.
다음에, 수지입자와 각종 계면활성제의 흡착량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수중에 수지입자 10 질량%를 배합한 계에서, 각종 농도(0.3, 1, 3, 5, 10 질량%)의 각종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경우의 흡착등온선을 도 2에 도시한다. 결과에는 도 1의 결과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 중의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은 3 질량% 이상은 용해되지 않아서 측정 불가능하였으므로, 0.3 질량%, 1 질량%의 2개의 농도로 측정을 실시했다. 또한, 카본산계 계면활성제인 스테아린산나트륨,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인 N-스테아로일-L-글루타민산 나트륨에서는 용해되지 않았으므로 측정할 수 없었다.
도 2에 따르면, 동일한 수지입자를 배합한 경우에도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 그 흡착량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농도에 관계없이 POE(50)POP(40)디메틸에테르의 흡착량이 매우 많았다.
이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60)경화피마자유 이외에도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설폰산계 계면활성제인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을 배합한 경우, 계면활성제의 흡착량이 적고, 유화 입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으므로 유화안정성이 양호한 유화조성물이 수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a)수지입자를 포함하는 수상, (b)유상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에서 (c)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성이 뛰어나고, 요철보정효과 및 사용성도 우수한 피부외용제가 수득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추가적인 검토의 결과 (c)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피부외용제 전량 중 0.01~5 질량% 또한 계면활성제 전량 중 30 질량% 이상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 발견되었다.
다음에, 수지 입자의 배합량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배합조성으로 이루어진 수중유형 메이크업 베이스를, 하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를 평가항목 (1) 및 (2)에 대해서 상기 채점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메이크업 베이스) 제조방법
이온교환수,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알킬변성카르복시비닐폴리머, 시트르산, 시트르산 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이수화물을 70 ℃에서 교반 혼합하고, 가성칼리를 첨가하여 중화한다(옥틸트리에톡시실란/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처리)실리카 피복산화티탄, 에틸헥산산 에틸헥실, 피발산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카프릴릴메티콘, 이소도데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PEG/PPG-50/40디메틸에테르를, 상기 중화물에 첨가하고 유화시켜 35℃까지 냉각한다. 이에 본 발명의 수지입자를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또한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중유형 메이크업 베이스를 수득했다.
Figure pct00006
표 3에 따르면 수지입자를 5 질량% 배합한 시험예 3-2에서 시료의 안정성이 매우 우수했다.
수지입자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분산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수지입자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경시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들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에서 수지입자는 0.1~13 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수중유형 피부외용제의 처방예를 든다. 본 발명은 이 처방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득된 수중유형 피부외용제는 모두 안정성이 우수하고, 요철보정효과 및 사용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하기의 처방예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처방예 1 수중유형 메이크업 베이스
(질량%)
본 발명의 수지입자 5
이온교환수 잔여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5
디프로필렌글리콜 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알킬변성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7
메틸파라벤 0.15
가성칼리 1.2
시트르산 0.01
시트르산나트륨 0.09
에데트산삼나트륨·이수화물 0.03
(옥틸실란/염화4급암모늄 처리)실리카 피복산화티탄 4.5
에틸헥산산에틸헥실 1.66
피발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 1.66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92
카프릴릴메티콘 2
이소도데칸 3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4.07
옥토크릴렌 1.43
폴리옥시에틸렌(6)경화피마자유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0.5
(제법)
표 3의 제법와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처방예 2 수중유형 파운데이션
(질량%)
본 발명의 수지입자 10
이온교환수 잔여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1
1,3-부티렌글리콜 4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0.2
디메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Na크로스폴리머 0.5
숙시노글루칸 0.05
메틸파라벤 0.2
페녹시에탄올 0.2
에탄올 2
에데트산삼나트륨·이수화물 0.2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15
이소도데칸 1
이소옥탄산세틸 2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
아미노변성실리콘 2
라우릴PEG-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0.5
이소스테아린산 0.5
실리콘 처리 산화티탄 8
실리콘 처리 벵가라 0.7
실리콘 처리 황산화철 2
실리콘 처리 흑산화철 0.1
폴리옥시에틸렌(60)경화피마자유 2
(제법)
표 2의 제법과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처방예 3 크림
(질량%)
유동파라핀 3
바세린 1
디메틸폴리실록산 1
스테아릴알콜 1.8
베헤닐알콜 1.6
글리세린 8
디프로필렌글리콜 5
마카데미아너트유 2
경화유 3
스쿠알란 6
스테아린산 2
히드록시스테아린산콜레스테릴 0.5
2-에틸헥산산세틸 4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
수산화칼륨 0.15
헥사메타린산나트륨 0.05
트리메틸글리신 2
본 발명의 수지입자 5
α-토코페롤 2-L-아스코르빈산인산디에스테르칼륨 1
아세트산토코페롤 0.1
첨차 엑기스 0.1
파라벤 적량
에데트산3나트륨 0.05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0.05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0.05
색제 적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5
정제수 잔여
처방예 4 미백 에센스
(질량%)
본 발명의 수지입자 1
바세린 2
디메틸폴리실록산 2
에탄올 5
베헤닐알콜 0.5
바틸알콜 0.2
글리세린 7
1,3-부틸렌글리콜 5
폴리에틸렌글리콜20000 0.5
호호바유 3
스쿠알란 2
히드록시스테아린산피토스테릴 0.5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 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
수산화칼륨 0.1
피로아황산나트륨 0.01
헥사메타린산나트륨 0.05
글리틸레틴산 스테아릴 0.1
판토테닐에틸에테르 0.1
알부틴 7
트라넥삼산 1
아세트산토코페롤 0.1
히알루론산나트륨 0.0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에데트산삼나트륨 0.05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0.1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0.1
황산화철 적량
잔탄검 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정제수 잔여
처방예 5 클렌징 크림
(질량%)
유동파라핀 35
바세린 10
미세결정질왁스 1
본 발명의 수지입자 5
세탄올 2
바틸알콜 1
글리세린 3
디프로필렌글리콜 6
스쿠알란 6
스테아린산 1
2-에틸헥산산세틸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5
피로글루타민산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1
수산화칼륨 0.1
메타린산나트륨 0.02
L-아르기닌 0.1
파라벤 적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5
정제수 잔여
향료 적량
처방예 6 클렌징 크림
(질량%)
디메틸폴리실록산 3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20
에틸알콜 5
본 발명의 수지입자 0.5
오렌지유 0.0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5
수산화칼륨 적량
헥사메타린산나트륨 0.01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0.1
황벽엑기스 0.1
페녹시에탄올 적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공중합체(페뮬렌TR-2) 0.3
정제수 잔여
처방예 7 선스크린 크림
(질량%)
디메틸폴리실록산 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5
트리메틸실록시규산 5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2
디프로필렌글리콜 5
미립자산화아연(소수화처리품 60㎚) 15
파라벤 적량
페녹시에탄올 적량
에데트산삼나트륨 적량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7.5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0.5
구상 폴리아크릴산알킬 분말 5
본 발명의 수지입자 8
정제수 잔여
향료 적량
처방예 8 유액
(질량%)
바세린 5
베헤닐알콜 0.5
바틸알콜 0.5
글리세린 7
1,3-부틸렌글리콜 7
1,2-펜탄디올 1
자일리톨 3
폴리에틸렌글리콜20000 2
경화유 2
호호바유 2
스쿠알란 5
이소스테아린산 0.5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 2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5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0.4
수산화칼륨 적량
피로아황산나트륨 0.01
헥사메타린산나트륨 0.05
글리틸리틴산디칼륨 0.05
트리메틸글리신 3
알부틴 3
효모엑기스 0.1
아세트산토코페롤 0.1
티오타우린 0.1
클라라엑기스 0.1
본 발명의 수지입자 1
벵갈라 적량
쿠인스시드 엑기스 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페녹시에탄올 적량
정제수 잔여
처방예 9 유액
(질량%)
바세린 5
디메틸폴리실록산 2
베헤닐알콜 0.6
바틸알콜 0.5
디프로필렌글리콜 2
1,3-부틸렌글리콜 4
자일리톨 1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1
본 발명의 수지입자 0.5
스쿠알란 5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5
글리틸리틴산디칼륨 0.1
효모엑기스 0.1
작약 엑기스 0.1
EDTA 3나트륨 0.05
잔탄검 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정제수 잔여
향료 적량
처방예 10 클렌징 유액
(질량%)
본 발명의 수지입자 1
유동파라핀 3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5
글리세린 2
디프로필렌글리콜 5
1,3-부티렌글리콜 1
2-에틸헥산산세틸 8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2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1
염화칼슘 0.01
염화마그네슘 0.01
페녹시에탄올 0.2
에데트산3나트륨 0.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정제수 잔여
향료 적량
처방예 11 에센스 젤
(질량%)
본 발명의 수지입자 1.5
디메틸폴리실록산 5
글리세린 2
1,3-부틸렌글리콜 5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3
폴리에틸렌글리콜20000 3
옥탄산세틸 3
시트르산 0.01
시트르산나트륨 0.1
헥사메타린산나트륨 0.1
글리틸리틴산디칼륨 0.1
아스코르빈산글루코시드 2
아세트산토코페롤 0.1
황금엑기스 0.1
범의귀 엑기스 0.1
에데트산삼나트륨 0.1
잔탄검 0.3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공중합체(페뮬렌TR-2) 0.05
한천말 1.5
페녹시에탄올 적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적량
정제수 잔여
(제법)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반투명 유화조성물을 제조한 후 30℃ 이하로 냉각하여 겔화시키고, 충분히 굳어진 시점에서 디스퍼를 사용하여 겔을 파쇄하고 마이크로겔(평균입경 70㎛)로 한 후 탈기하여 젤상 제품을 수득했다.
처방예 12 수중유형 유화 파운데이션
(질량%)
(1) 알킬변성실리콘수지피복산화티탄 9
(2) 알킬변성실리콘수지피복초미립자산화티탄(40㎚) 5
(3) 알킬변성실리콘수지피복산화철(적) 0.5
(4) 알킬변성실리콘수지피복산화철(황) 1.5
(5) 알킬변성실리콘수지피복산화철(흑) 0.2
(6)폴리옥시알킬렌변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 0.5
(7) 데카메틸펜타시클로실록산 5
(8)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5
(9) 아크릴실리콘 4
(10) PEG-100 수첨 피마자유 2
(11)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6
(12) 잔탄검 0.1
(13)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0.3
(14)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공중합체(SIMULGEL NSTM: Seppic사제)(함유량: 35~40 질량%) 1.5
(15) 에탄올 5
(16) 본 발명의 수지입자 4
(17)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1)~(9)를 호모믹서에서 혼합 분산한 후, (10)~(17)을 용해한 수상에 대하여 호모믹서를 걸어 첨가했다.
처방예 13 메이크업 베이스
(질량%)
디메틸폴리실록산 6mPas 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잔여
에틸알콜 8
감청피복운모티탄 0.5
메틸실록산 그물형상 중합체 5
가교형 실리콘말(트레필E-506) 15
본 발명의 수지입자 0.1
시트르산 0.02
시트르산나트륨 0.08
아세트산토코페롤 0.1
δ-토코페롤 0.1
메리로트 엑기스 3
정제수 1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5
처방예 14 마스카라
(질량%)
경질이소파라핀 6
디메틸폴리실록산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5
트리메틸실록시규산 5
메틸폴리실록산에멀전 적량
이소프로판올 3
1,3-부틸렌글리콜 6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6
디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1
탄산수소나트륨 0.01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1
아세틸화히알루론산나트륨 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페녹시에탄올 0.3
흑산화철 8
벤토나이트 1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4
폴리비닐알콜 4
아크릴산알킬공중합체 에멀전 12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전 12
나일론 섬유(1-2㎜) 6
정제수 잔여
본 발명의 수지입자 1.5
산화티탄 1
향료 적량
처방예 15 크림
(질량%)
(유상)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트 7.5
스쿠알란 5
디메티콘 3
베헤닐알콜 3
스테아릴알콜 1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1
(수상)
본 발명의 수지입자 13
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리콜 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7
수산화칼륨 0.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여
(제법)
70 ℃의 수상에, 70 ℃로 가온한 유상을 가하고,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분산하고 30 ℃로 냉각하여 크림을 수득했다.
처방예 16 크림
(질량%)
스쿠알란 5
테트라옥탄산펜타에리스리틸 8
디이소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8
디메티콘 3
세탄올 3
스테아릴알콜 2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60)글리세릴 2
본 발명의 수지입자 5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1
트라넥삼산 1
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리콜 7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여

Claims (3)

  1. (a) 비닐계 모노머 100 중량부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0.1~20 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를 포함하는 수상,
    (b) 유상, 및
    (c)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피부외용제 전량 중 0.01~5 질량% 또한 계면활성제 전량 중 3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외용제:
    (화학식 1)
    Figure pct00007

    (상기 화학식 1 중, R은 수소 또는 메틸기, l은 1 ~ 50, m은 1 ~ 50을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입자를 피부외용제 전량 중 0.1 ~ 13 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외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상에 분산한 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외용제.
KR1020137010450A 2010-10-19 2011-09-13 수중유형 피부외용제 KR101351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4335A JP5095799B2 (ja) 2010-10-19 2010-10-19 水中油型皮膚外用剤
JPJP-P-2010-234335 2010-10-19
PCT/JP2011/070833 WO2012053295A1 (ja) 2010-10-19 2011-09-13 水中油型皮膚外用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906A true KR20130056906A (ko) 2013-05-30
KR101351191B1 KR101351191B1 (ko) 2014-01-14

Family

ID=4597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450A KR101351191B1 (ko) 2010-10-19 2011-09-13 수중유형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231401A1 (ko)
EP (1) EP2630948B1 (ko)
JP (1) JP5095799B2 (ko)
KR (1) KR101351191B1 (ko)
CN (1) CN103249399B (ko)
ES (1) ES2695056T3 (ko)
HK (1) HK1187258A1 (ko)
TW (1) TWI429455B (ko)
WO (1) WO2012053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2940B2 (en) * 2012-01-31 2017-01-03 Sekisui Plastics Co., Ltd. Porous resin particle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ispersion liquid, and use thereof
EP2996778A1 (en) * 2013-05-16 2016-03-23 DSM IP Assets B.V.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organic oil and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JP5913411B2 (ja) * 2014-03-26 2016-04-27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70018798A (ko) 2014-06-30 2017-02-2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성 화장료
JP6445305B2 (ja) * 2014-10-31 2018-12-26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JP6395646B2 (ja) * 2015-03-17 2018-09-2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6620623B2 (ja) * 2015-03-31 2019-12-18 日油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JP6925708B2 (ja) * 2017-03-31 2021-08-25 テイカ株式会社 化粧料および化粧料の製造方法
CN110621297A (zh) * 2017-05-19 2019-12-27 株式会社资生堂 水包油型乳化组合物
JP6966284B2 (ja) * 2017-09-29 2021-11-10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EP3751254B1 (en) * 2018-02-05 2024-01-10 Shiseido Company, Ltd. Method for evaluating protective effect against external damage to skin
DE102019212329A1 (de) * 2019-08-19 2021-02-25 Beiersdorf Ag Kosmetische O/W-Emulsion mit Succinoglucan und lipophilen UV-Filtersubstanzen
KR20220161264A (ko) * 2020-03-31 2022-12-06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7534B2 (en) * 2001-03-16 2009-04-14 Kao Corporation Oil-in-water emulsi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348474A (ja) * 2001-05-23 2002-12-04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化粧料原料
JP3886047B2 (ja) 2003-01-10 2007-02-28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AU2005202290B2 (en) * 2004-05-28 2010-07-01 Kao Corporation Cosmetic preparation
JP5075860B2 (ja) * 2008-03-27 2012-11-2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樹脂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87084A (ja) 2012-05-10
CN103249399A (zh) 2013-08-14
TWI429455B (zh) 2014-03-11
US20130231401A1 (en) 2013-09-05
KR101351191B1 (ko) 2014-01-14
EP2630948A1 (en) 2013-08-28
EP2630948A4 (en) 2015-03-04
JP5095799B2 (ja) 2012-12-12
WO2012053295A1 (ja) 2012-04-26
CN103249399B (zh) 2015-12-02
TW201216994A (en) 2012-05-01
ES2695056T3 (es) 2018-12-28
EP2630948B1 (en) 2018-08-22
HK1187258A1 (zh)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191B1 (ko) 수중유형 피부외용제
JP4177120B2 (ja) シリコーンコポリマーとampsポリマーを含む組成物、特に、その美容目的での使用
US7094842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 silicone copolymer and an AMPS-like polymer and/or organic powder
JP4446329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着色剤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と皮膚及び/又は皮膚付属器のメイクアップ及び/又はケアのためのその使用
US6074652A (en) Oil-in-water emulsified composition and oil-in-water emulsifying agent
US2005004801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 silicone elastomer and a block silicone copolymer
JP5260060B2 (ja) 微粒子酸化チタン分散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US10398638B2 (en) Powder dispersant, and powder dispersion composition and cosmetic product containing the same
JP7324217B2 (ja) 油中水型乳化固形化粧料
WO2007029299A1 (ja) セルフタンニング化粧料
US7431938B2 (en) Texturizing composition for cosmetics or pharmaceuticals
US11696886B2 (en) Cosmetic
JP4763170B2 (ja) 表面被覆粉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7243815B2 (ja) 化粧料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JP7347993B2 (ja) 日焼け止め用組成物
JP6831737B2 (ja) 水中油型化粧料
CN110636826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WO2021090740A1 (ja) 水中油型組成物
JP4065438B2 (ja) 皮膚、口唇及び外皮をケアする及び/又はメークアップするための化粧料組成物
WO2022264841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10132620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WO2022224672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23120180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24004579A1 (ja) 分散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CN117794512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