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271A -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271A
KR20130056271A KR1020130055050A KR20130055050A KR20130056271A KR 20130056271 A KR20130056271 A KR 20130056271A KR 1020130055050 A KR1020130055050 A KR 1020130055050A KR 20130055050 A KR20130055050 A KR 20130055050A KR 20130056271 A KR20130056271 A KR 20130056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vehicle
steering torque
position error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382B1 (ko
Inventor
김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5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3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2Curvatur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30Road curve radi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0Steering systems
    • B60W2710/202Steer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을 발생하는 차선검출 카메라; 상기 차선검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위치오차(e), 상기 차선의 곡률(γ), 상기 자세각(ψ)과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속(v)을 이용하여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수신하여 조향을 제어하는 조향구동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Lane Keep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자세각을 감지하고 차량의 속도, 차량의 위치오차, 자세각 및 차선의 곡률을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토크를 보조하고자 하는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은 차량에 장착된 차선검출 카메라로부터 차선 정보 및 차량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조향토크를 발생하여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이다.
종래의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은 도로를 달리는 차량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하여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EPS: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에 전달되는 조향토크 어시스트 양은 도로 상에서의 차량 위치의 오차값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하지만, 조향토크 어시스트 후에 차량의 거동 양상은 차량의 속도 및 차량이 차선과 이루는 각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 차량의 거동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의 경우처럼 차량의 속도가 같은 경우 차량의 자세에 따라 조향토크 어시스트 후의 차량의 횡방향 속도가 달라진다.
도 1a처럼 차량이 차선과 평행하게 달리는 경우보다는 도 1b처럼 차선 바깥쪽을 향하여 주행중인 경우에는 조향토크 어시스트 후의 차량의 차선복귀 속도가 작으며, 도 1c처럼 차선 안쪽을 향하여 주행중인 경우에는 조향토크 어시스트 후의 차량의 차선복귀 속도가 커진다. 특히, 도 1d와 같이 도 1a의 경우보다 차량의 속도가 더 크고 차량의 진행방향이 차선 안쪽인 경우에는 조향토크 어시스트 후에 차선복귀 속도가 더욱 더 커져서 오히려 차량이 반대편으로 이탈할 위험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자세각을 감지하고 차량의 속도, 차량의 위치오차, 자세각 및 차선의 곡률을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토크를 보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을 발생하는 차선검출 카메라; 상기 차선검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위치오차(e), 상기 차선의 곡률(γ), 상기 자세각(ψ)과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속(v)을 이용하여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수신하여 조향을 제어하는 조향구동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을 발생하는 차선검출 카메라; 상기 차선검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차선의 곡률(γ)을 이용하여 차선 곡률의 변화율(γ')을 계산하고 차선의 곡률(γ), 곡률의 변화율(γ'),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ψ) 및 차량의 위치오차(e)를 이용하여 기설정 전방거리(dla)에 대한 미래궤적의 횡방향 오차(ela)를 계산하고 상기 미래궤적 횡방향 오차에 비례하는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수신하여 조향을 제어하는 조향구동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선유지 보조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단계;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위치오차(e), 상기 차선의 곡률(γ), 상기 자세각(ψ)과 상기 차속(v)을 이용하여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수신하여 조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유지 보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선유지 보조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차선의 곡률(γ)을 이용하여 차선 곡률의 변화율(γ')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선의 곡률(γ), 상기 곡률의 변화율(γ'), 상기 자세각(ψ) 및 상기 위치오차(e)를 이용하여 기설정 전방거리(dla)에 대한 미래궤적의 횡방향 오차(ela)를 계산하고 상기 미래궤적 횡방향 오차에 비례하는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수신하여 조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유지 보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 차량의 거동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과 차량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차선검출 카메라(212)의 위치와 차선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과 차량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은 차선검출 카메라(212), 차속센서(214), 제어부(220) 및 조향구동장치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조향구동장치로는 EPS(230)를 사용한다.
차선검출 카메라(212)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 정보를 발생한다. 여기서 위치오차는 차선검출 카메라(212) 기준으로 차선 중앙과 떨어져 있는 거리를 의미하며, 차선의 곡률은 현재의 차선검출 카메라(212) 위치에서의 차선의 곡률을 의미하고, 자세각은 차량의 진행방향이 차선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차속센서(214)는 차량의 차속을 검출한다.
제어부(220)는 차선검출 카메라(212)로부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 정보를 수신하고 차속센서(214)로부터 차속을 수신하여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하여 EPS(230)로 출력한다.
EPS(230)는 제어부(220)로부터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수신하여 조향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과 차량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차선검출 카메라(212)의 위치와 차선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듯이, 제어부(220)가 차선검출 카메라(212)로부터 수신한 차량 위치오차를 e, 차선의 곡률을 γ, 차속센서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속도를 v(v는 종방향속도 성분인 vy와 횡방향속도 성분인 vx 로 나뉨)라 하면, 수학식 1과 같이 어시스트 조향토크(Ta)를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때, 제어부(220)가 차선검출 카메라(212)로부터 수신한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을 ψ라 할 때, 차량의 횡방향속도는 (vx = v*sinψ)이므로 수학식 1은 수학식 2가 된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와 같이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함으로써 차량의 위치오차와 차선의 곡률뿐만 아니라 차량의 속도 및 차량이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차로 중앙으로부터 일정거리(즉, la) 떨어진 지점을 임계 제어거리로 설정하여 차량 위치오차 e가 임계 제어거리 la보다 작은 경우에는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은 차선검출 카메라(212), 제어부(220) 및 조향구동장치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조향구동장치로는 EPS(230)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차선검출 카메라(212) 및 EPS(230)의 기능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에서의 차선검출 카메라(212) 및 EPS(230)의 기능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차선검출 카메라(212)로부터 수신한 차선의 곡률(γ)을 이용하여 차선 곡률의 변화율(γ')을 계산하고 차선의 곡률(γ), 곡률의 변화율(γ'),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ψ) 및 차량의 위치오차(e)를 이용하여 기설정 전방거리(dla)에 대한 미래궤적의 횡방향 오차(ela)를 계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과 차량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설정 전방거리를 dla라고 할 때, 미래궤적의 횡방향 오차 ela는 수학식 3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따라서, 어시스트 조향토크(Ta)는 수학식 4와 같이 미래궤적 횡방향 오차인 ela에 비례한 값을 갖도록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이 경우에도 차로 중앙으로부터 일정거리(즉, la) 떨어진 지점을 임계 제어거리로 설정하여 차량 위치오차 e가 임계 제어거리 la보다 큰 경우에만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방법을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방법은 먼저 차속센서(214)로부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고(S702), 차선검출 카메라(212)로부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을 수신한다(S704).
수신된 차량 위치오차가 임계 제어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706), 차량 위치오차가 임계 제어거리를 초과하면 차량 위치오차(e), 차선의 곡률(γ), 자세각(ψ)과 차속(v)을 이용하여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한다(S708).
계산된 어시스트 조향토크는 EPS(230)로 출력되고 EPS ECU(Electronic Control Unit)(232)는 조향이 제어되도록 EPS구동부(234)를 구동한다(S710).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방법을 도 5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 방법은 먼저 차선검출 카메라(212)로부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을 수신한다(S802).
수신된 차량 위치오차가 임계 제어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804), 차량 위치오차가 임계 제어거리를 초과하면 차선의 곡률(γ)을 이용하여 차선 곡률의 변화율(γ')을 계산하고, 차선의 곡률(γ), 곡률의 변화율(γ'), 자세각(ψ) 및 위치오차(e)를 이용하여 기설정 전방거리(dla)에 대한 미래궤적의 횡방향 오차(ela)를 계산한다(S806).
미래궤적 횡방향 오차 계산 후에는 미래궤적 횡방향 오차에 비례하는 어시스트 조향토크를 계산한다(S808).
계산된 어시스트 조향토크는 EPS(230)로 출력되고 EPS ECU(232)는 조향이 제어되도록 EPS구동부(234)를 구동한다(S8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장착된 차선검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자세각을 감지하고 차량의 속도, 차량의 위치오차, 자세각 및 차선의 곡률을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토크를 보조함으로써 주행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 차선의 곡률, 상기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을 발생하는 차선검출 카메라;
    상기 차선검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위치오차(e), 상기 차선의 곡률(γ), 상기 자세각(ψ) 및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속(v)을 이용하여 어시스트 조향토크 제어값을 계산하고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 제어값을 수신하여 조향을 제어하는 조향구동장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 제어값은,
    상기 차량 위치오차와, 상기 자세각의 사인(sine) 함수값 및 상기 차속을 곱한 값과, 상기 곡률 각각에 비례상수를 곱하여 더하여 계산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 제어값은 상기 차량 위치오차가 임계 위치거리보다 큰 경우에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3. 차선유지 보조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차속(v)을 검출하고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오차(e), 차선의 곡률(γ), 상기 차선과 이루는 자세각(ψ)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위치오차, 상기 차선의 곡률, 상기 자세각과 상기 차속을 이용하여 어시스트 조향토크 제어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 제어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 제어값을 수신하여 조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어시스트 조향토크 제어값은,
    상기 차량 위치오차와, 상기 자세각의 사인(sine) 함수값 및 상기 차속을 곱한 값과, 상기 곡률 각각에 비례상수를 곱하여 더하여 계산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유지 보조 방법.
KR1020130055050A 2013-05-15 2013-05-15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50A KR101272382B1 (ko) 2013-05-15 2013-05-15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50A KR101272382B1 (ko) 2013-05-15 2013-05-15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334A Division KR101272424B1 (ko) 2009-09-24 2009-09-24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71A true KR20130056271A (ko) 2013-05-29
KR101272382B1 KR101272382B1 (ko) 2013-06-07

Family

ID=4866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050A KR101272382B1 (ko) 2013-05-15 2013-05-15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3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361A (ko) * 2014-03-14 2015-09-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차선 유지 보조 장치 및 차선 유지 보조 방법
KR101597771B1 (ko) * 2014-12-09 2016-02-25 주식회사 만도 조향 토크 보정 장치 및 방법
CN117284281A (zh) * 2023-09-26 2023-12-26 上海大学 一种基于激光雷达的车载ar-hud智能驾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4235B2 (ja) * 1995-08-31 2004-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操舵力補正装置
JP3785967B2 (ja) 2001-08-27 2006-06-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追従走行制御装置
KR100460866B1 (ko) 2001-11-07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선 유지 지원 시스템의 보조 토크 발생장치
KR100901411B1 (ko) 2007-09-12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선 유지 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361A (ko) * 2014-03-14 2015-09-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차선 유지 보조 장치 및 차선 유지 보조 방법
KR101597771B1 (ko) * 2014-12-09 2016-02-25 주식회사 만도 조향 토크 보정 장치 및 방법
CN105691453A (zh) * 2014-12-09 2016-06-22 株式会社万都 转向扭矩补偿设备以及转向扭矩补偿方法
CN105691453B (zh) * 2014-12-09 2018-02-16 株式会社万都 转向扭矩补偿设备以及转向扭矩补偿方法
CN117284281A (zh) * 2023-09-26 2023-12-26 上海大学 一种基于激光雷达的车载ar-hud智能驾驶系统
CN117284281B (zh) * 2023-09-26 2024-03-12 上海大学 一种基于激光雷达的车载ar-hud智能驾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382B1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8019B1 (en) System for providing assist torque based on a vehicle state
US9545922B1 (en) Lane keep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378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el alignment change of vehicle
JP6432679B2 (ja) 停車位置設定装置及び方法
KR101272424B1 (ko)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778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keeping
US9120486B1 (en) Vehicle lane keeping techniques
KR102342142B1 (ko) 차선유지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20140129084A1 (en)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for changing la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355735B1 (ko) 차선 유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783075B1 (ko) 모터 위치 센서 고장 발생에 따른 조타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046801B2 (en) Steering assist control apparatus and steering assist control method
US20150375776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fail-safe of electronic control unit
US11560174B2 (en) Automatic steering control device
US20170144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steering
JP201606479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5069341A (ja) 運転支援装置
KR101272382B1 (ko)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372135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a lane
JP2009202673A (ja) 運転支援装置
US20180148092A1 (en) Vehicle driving assist apparatus
KR20170119877A (ko) 차선 유지 제어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조향 제어 방법
US20220332328A1 (en) Device for determining a length of a vehicle combination
JP2007233604A (ja) 道路情報取得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車両用走行制御装置、並びに道路交通システム
KR102389101B1 (ko) 전동식 동력 조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