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242A - 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or alkylene glycols - Google Patents

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or alkylene glyco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242A
KR20130056242A KR1020127030331A KR20127030331A KR20130056242A KR 20130056242 A KR20130056242 A KR 20130056242A KR 1020127030331 A KR1020127030331 A KR 1020127030331A KR 20127030331 A KR20127030331 A KR 20127030331A KR 20130056242 A KR20130056242 A KR 20130056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alkylene
carbonate
reaction
alkali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3347B1 (en
Inventor
마사히코 야마기시
다카요시 오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2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3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0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 C07C29/1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of esters of mineral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0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 C07C29/1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of ethers, including cyclic ethers, e.g. oxiranes
    • C07C29/103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of ethers, including cyclic ethers, e.g. oxiranes of cyclic ethers
    • C07C29/10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lysis of ethers, including cyclic ethers, e.g. oxiranes of cyclic ethers of oxi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74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07C29/76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 C07C29/80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20Dihydroxylic alcoh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촉매 및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의 존재하에, 알킬렌옥사이드, 물 및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생성시키는 반응 공정과, 그 반응 공정에서 얻어지는 반응액으로부터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회수하여, 촉매를 함유하는 촉매액을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 순환 공정을 구비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수분해 속도를 유지하면서 반응계 내에 석출물이 축적되지 않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전 가능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반응액 중의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an alkali metal carbonate, alkylene carbonate, water and carbon dioxide are reacted to produc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nd alkylene carbonate and / or from the reaction liquid obtained in the reaction step. In a method for producing an alkylene carbonate and / or an alkylene glycol having a catalyst circulation step of recovering alkylene glycol and circulating a catalyst liquid containing a catalyst in a reaction step, precipitates are formed in the reaction system while maintaining a hydrolysis r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be stably operated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accumulated. The method of this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of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said alkali metal carbonate, or the chlorine ion derived from this alkali metal chloride in a reaction liquid.

Description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OR ALKYLENE GLYCOLS}Process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 / OR ALKYLENE GLYCOLS}

본 발명은 촉매 및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의 존재하에, 알킬렌옥사이드,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생성시키고, 또한 그 반응액 중의 알킬렌카보네이트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알킬렌글리콜을 생성시키는 것에 의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kylene oxide is produced by reacting alkylene oxide and carbon dioxide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an alkali metal carbonate, and generating alkylene glycol by hydrolyzing the alkylene carbonate in the reaction solution. It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arbonates and / or alkylene glycols.

에틸렌글리콜은 에틸렌옥사이드와 물을 직접 반응시켜 가수분해하는 방법에 의해 대규모로 제조되고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가수분해시에 있어서, 디에틸렌글리콜이나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부생을 제어하기 위해, 에틸렌글리콜에 대하여 화학량론량보다 대과잉의 물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생성된 에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증류하여 대과잉의 물을 탈수시킬 필요가 있어, 정제된 에틸렌글리콜을 취득하는 데에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Ethylene glycol is produced on a large scale by a method of directly reacting ethylene oxide with water to hydrolyze. In this method, in order to control by-products such as diethylene glycol and triethylene glycol during hydrolysis, Excessive water must be used rather than stoichiometric amount.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distill the produced | generated ethylene glycol aqueous solution and to dehydrate excessive amount of water, and there exists a problem that a lot of energy is needed to acquire refined ethylene glycol.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이산화탄소의 존재하에 물과 에틸렌옥사이드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에틸렌글리콜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반응은, 에틸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의 반응으로 에틸렌카보네이트 (이하, 「카보네이트화 공정」이라고 한다) 를 생성시키고, 이어서 에틸렌카보네이트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에틸렌글리콜을 생성시키는 (이하, 「가수분해 공정」이라고 한다) 2 단계로 반응을 실시한다. 에틸렌카보네이트의 가수분해에서는, 디에틸렌글리콜이나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은 거의 부생되지 않기 때문에 가수분해는 화학량론보다 약간 과잉의 물로 실행시킬 수 있어, 생성된 에틸렌글리콜 수용액의 탈수에 드는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에틸렌카보네이트의 가수분해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생성되기 때문에, 이 이산화탄소는 순환 사용된다. 또한, 이 방법에서 중간체로서 생성된 에틸렌카보네이트를 발출함으로써 에틸렌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 method of solving this problem, the method of manufacturing ethylene glycol by making water and ethylene oxide react in presence of carbon dioxide is proposed. This reaction generates ethylene carbon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arbonated process") by reaction of ethylene oxide and carbon dioxide, and then generates ethylene glycol by hydrolyzing ethylene carbon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hydrolysis process"). Reaction is carried out in two steps. In the hydrolysis of ethylene carbonate, since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and the like are hardly produced by-products, hydrolysis can be performed with a little excess of water than stoichiometry,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cost of dehydration of the produced ethylene glycol aqueous solution. Can be. Moreover, since carbon dioxide is produced by hydrolysis of ethylene carbonate, this carbon dioxide is circulated and used.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ethylene carbonate by extracting the ethylene carbonate produced as an intermediate in this method.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카보네이트화 공정에 있어서 촉매의 활성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고, 그 대책으로서, 가수분해 공정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에 동반하는 응축액을 카보네이트화 공정으로 되돌림으로써 카보네이트화 촉매의 활성 저하를 막는 방법 (특허문헌 1 을 참조) 이나, 카보네이트화 공정의 촉매의 활성 저하의 원인이 그 촉매의 염소화인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그 촉매액에 무기 요오드화물 또는 무기 브롬화물을 첨가하여 유기 용매 중에 카보네이트화 촉매 유래의 염화물을 침전시키고 제거함으로써 촉매를 재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를 참조).In the above method, deterioration of the activity of the catalyst has been a problem in the carbonation step until now, and as a countermeasure, the activity of the carbonation catalyst is lowered by returning the condensate accompanying carbon dioxide released in the hydrolysis step to the carbonation step. In the organic solvent, an inorganic iodide or an inorganic bromide was added to the catalyst solution because it was found that the cause of the activity of the catalyst (see Patent Literature 1) and the catalyst of the carbonation step was chlorination. The method of regenerating a catalyst by precipitating and removing the chloride derived from a carbonation catalyst is disclosed (refer patent document 2).

그러나, 가수분해 공정에서의 촉매의 활성 저하 및 그 방지 방법은, 지금까지 개시되어 있는 것이 없다.However, the activity reduction of the catalyst in the hydrolysis step and the prevention method thereof have not been disclosed so far.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3563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14356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92384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4-292384

본 발명은 촉매 및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의 존재하에, 알킬렌옥사이드, 물 및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생성시키는 반응 공정과, 그 반응 공정에서 얻어지는 반응액으로부터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회수하고, 촉매를 함유하는 촉매액을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 순환 공정을 구비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수분해 속도를 유지하면서 반응계 내에 석출물이 축적되지 않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전 가능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ction step of reacting alkylene oxide, water and carbon dioxide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an alkali metal carbonate to produc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nd alkylene carbonate from the reaction solution obtained in the reaction step. And / or a method for producing an alkylene carbonate and / or an alkylene glycol comprising a catalyst circulation step of recovering alkylene glycol and circulating a catalyst liquid containing a catalyst in a reaction step, wherein the reaction system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a hydrolysis r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be stably operated for a long time without depositing precipitates in the container.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가수분해 촉매의 활성 저하의 원인에 관해서 검토한 결과, 반응계 내에 존재하는 탄산칼륨이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서 염화칼륨으로 변화하고, 그 결과, 에틸렌카보네이트의 가수분해 반응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상세하게는, 가수분해 반응의 속도가 저하되는 원인은, 원료인 에틸렌옥사이드의 제조 공정에서 반응의 선택성 향상을 위해 클로로탄화수소가 선택성 조절제로서 공급되고 있고, 이 클로로탄화수소가 에틸렌글리콜 또는 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제조 공정에 미량 혼입되고, 또한 분해되어 염소 이온이 됨으로써 반응액에 함유되는 탄산칼륨을 염화칼륨으로 변환하여, 조금씩 에틸렌카보네이트의 가수분해 반응의 속도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e of the activity fall of a hydrolysis catalyst, potassium carbonate which exists in a reaction system changes to potassium chloride as reaction progresses, As a result, the valence of ethylene carbonate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decomposition reaction was lowered. Specifically,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n the rate of the hydrolysis reaction i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electivity of the reac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ethylene oxide as a raw material, chlorohydrocarbon is supplied as the selectivity regulator, and this chlorohydrocarbon is used to produce ethylene glycol or ethylene carbonate. It was thought that the potassium carbonate contained in the reaction liquid was converted into potassium chloride by gradually mixing it in a small amount and decomposing to become chlorine ions, thereby slowly decreasing the rate of hydrolysis reaction of ethylene carbonate.

그리고, 반응계 내에 존재하는 유기 클로르 화합물을 해석한 결과, 카보네이트화 공정에서 회수되는 과잉의 이산화탄소 또는 가수분해 반응기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냉각했을 때에 얻어지는 응축액 중에 80 ∼ 420 ppm 으로 고농도의 유기 클로르 화합물이 체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rganic chlor compound present in the reaction system, a high concentration of organic chlor compound is retained at 80 to 420 ppm in the condensate obtained when cooling the excess carbon dioxide recovered from the carbonation step or the carbon dioxide released from the hydrolysis reactor. I could see that I was doing.

즉, 가수분해 반응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되어 있는 유기 클로르 화합물은 카보네이트화 반응기 또는 가수분해 반응기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응축한 액에 농축되어 있어, 이 액을 회수하고 있는 것이 원인으로, 점차 프로세스 내에 유기 클로르 화합물이 축적되고, 또한 축적된 유기 클로르 화합물이 점차로 분해되어, 가수분해 촉매로서 사용하고 있는 탄산칼륨이 염소 이온에 의해 중화되어 버리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유기 클로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을 계외로 블리드함으로써, 놀랍게도 가수분해 촉매의 염소화를 방지하고, 가수분해 촉매의 활성 저하를 막을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That is, the organic chlor compound which causes the hydrolysis reaction to fall is concentrated in the liquid which condensed the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a carbonation reactor or a hydrolysis reactor, and is recovering this liqui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c chlor compound gradually accumulates in the process, and the accumulated organic chlor compound gradually decomposes, and the potassium carbonate used as the hydrolysis catalyst is neutralized by chlorine ions.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by bleeding a liquid containing an organic chlor compound out of the system, it is surprisingly possible to prevent the chlorination of the hydrolysis catalyst and to prevent the activity degradation of the hydrolysis catalyst.

카보네이트화 공정, 또는 가수분해 반응기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응축액에는 에틸렌글리콜이 약 5 %에서 30 % 정도 함유되어 있어, 염소 이온 (유기 클로르 화합물) 을 블리드할 때에 동시에 이 에틸렌글리콜도 블리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지만, 유기 클로르 화합물은 탄산칼륨이 없는 조건에서 증류하면, 분해되지 않고 에틸렌글리콜과 증류 분리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The carbon dioxide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carbonation process or the hydrolysis reactor contains about 5% to 30% of ethylene glycol, which causes the problem of bleeding ethylene glycol at the same time as the chlorine ion (organic chlor compound) is bleeded.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organic chlor compound can be distilled off from ethylene glycol without being decomposed by distillation under conditions without potassium carbonate.

이들 지견을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반응액 중의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가수분해 촉매)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을 제거하면서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가수분해 속도를 유지하면서 반응계 내에 석출물이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전 가능한 것을 알아내었다.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inventors maintain the hydrolysis rate by carrying out the reaction while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alkali metal carbonate (hydrolysis catalyst) or the chlorine ion derived from the alkali metal chloride in the reaction solu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 precipitate can be operated stably for a long time without generating precipitates in the reaction system.

요컨대, 본 발명의 요지는, In shor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촉매 및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의 존재하에, 알킬렌옥사이드, 물 및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생성시키는 반응 공정과, 그 반응 공정에서 얻어지는 반응액으로부터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회수하는 공정과, 촉매를 함유하는 촉매액을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 순환 공정을 구비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An alkylene carbonate from a reaction step of reacting alkylene oxide, water and carbon dioxide to produc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an alkali metal carbonate, and a reaction solution obtained in the reaction step. And / or a process for recovering alkylene glycol, and a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comprising a catalyst circulation step of circulating a catalyst liquid containing a catalyst in a reaction step,

반응액 중의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n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an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carbonate of the alkali metal or a chlorine ion derived from the alkali metal chloride in the reaction solution.

(2) 반응액 중의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상기 반응 공정 중의 촉매를 함유하는 반응액의 일부 또는 전량을 취득하여 그 반응액에 함유되는 알킬렌글리콜의 적어도 일부를 증류 분리하고, 또한 그 증류 분리에 있어서 석출되는 고체를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촉매 순환 공정이 그 증류 분리에 있어서 석출되는 고체를 분리한 잔류액을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것인 (1) 에 기재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2) The step of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carbonate of the alkali metal in the reaction solution acquires a part or the whole amount of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catalyst in the reaction step and at least the alkylene glycol contained in the reaction solution. Part (1) of distilling off and separating solids precipitated in the distillation separation, wherein the catalyst circulating step circulates the residual liquid from which the solids precipitated in the distillation separation is circulated in the reaction step. A process for preparing the alkylene carbonates and / or alkylene glycols described,

(3) 반응액 중의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상기 반응 공정 중의 촉매를 함유하는 반응액의 일부 또는 전량을 취득하여 그 반응액에 함유되는 알킬렌글리콜의 적어도 일부를 증류 분리하고, 또한, 그 증류 분리에 있어서 석출되는 고체를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촉매 순환 공정이 또한 그 증류 분리에 있어서 석출되는 고체를 분리한 잔류액으로부터, 다시 촉매를 분리 회수한 후에, 회수한 촉매를 상기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3) The step of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carbonate of the alkali metal in the reaction solution acquires a part or the whole amount of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catalyst in the reaction step and at least the alkylene glycol contained in the reaction solution. After distilling a part and separating solids precipitated in the distillation, the catalyst circulating step further separates and recovers the catalyst from the residual liquid from which the solid precipitated in the distillation is separated.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ccording to (1), wherein the recovered catalyst is circulated in the reaction step,

(4) 상기 석출되는 고체의 분리를, 80 ℃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또는 (3) 에 기재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4)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ccording to (2) or (3), wherein the precipitated solid is separated at 80 ° C or higher.

(5) 상기 반응 공정이 촉매 및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의 존재하에,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생성시키는 카보네이트화 공정, 및 카보네이트화 공정의 반응액 중의 알킬렌카보네이트를 가수분해하여 알킬렌글리콜을 생성시키는 가수분해 공정을 포함하고, (5) The reaction step is a carbonation step of reacting alkylene oxide and carbon dioxide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an alkali metal carbonate to produce an alkylene carbonate, and hydrolyzing the alkylene carbonate in the reaction solution of the carbonation step. A hydrolysis process for producing alkylene glycol,

상기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의 제거 공정이, The removal process of the chlorine ion derived from the said alkali metal chloride,

카보네이트화 공정 및/또는 가수분해 공정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냉각하는 응축 공정과, 촉매 순환 공정에서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액의 알칼리도가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3 ㏖/㏖ 이상이 되도록 상기 응축 공정에서 얻어진 응축액을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 에 기재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The condensation step of cooling the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released in the carbonation step and / or the hydrolysis step, and the alkalinity of the catalyst liquid circulated from the catalyst circulation step to the reaction step is 0.03 mol / mol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atalyst concentra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s described in (1) contain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condensate obtained by the condensation process,

(6) 상기 염소 이온 제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응축액을 다시 탈수 증류하여 안에 함유되는 물 및 유기 클로르 화합물을 제거한 후, 나머지 액을 상기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5) 에 기재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6) The alkylene carbonate according to (5), wherein in the chlorine ion removal step, the condensate is dehydrated again to remove water and organic chlor compound contained therein, and then the remaining liquid is circulated to the reaction step. Or a method for preparing alkylene glycol,

(7) 상기 유기 클로르 화합물이 에틸렌클로르하이드린인 (6) 에 기재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7)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ccording to (6), wherein the organic chlor compound is ethylene chlorhydrin,

(8) 상기 응축액을 순환시키는 장소가, 상기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지는 가수분해 반응액에 함유되는 물을 증류 분리하는 증류탑의 가수분해 반응액 공급단 또는 그보다 위의 단인 (5)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8) The place where the condensate is circulated is a hydrolysis reaction solution supply stage of a distillation column for distilling water contained in the hydrolysis reaction solution obtained in the hydrolysis step or above (5) to (7).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상기 반응 공정에,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을 추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9) A method for producing th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carbonate of the alkali metal is further added to the reaction step.

(10) 알킬렌카보네이트가 에틸렌카보네이트이고, 알킬렌글리콜이 에틸렌글리콜인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10)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alkylene carbonate and / or the alkylene glyco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wherein the alkylene carbonate is ethylene carbonate and the alkylene glycol is ethylene glycol.

에 있다.Is in.

도 1 은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지는 응축액을 반응계외로 배출하는 반응계에서, 카보네이트화 공정으로 순환시키고 있는 촉매액의 알칼리도 (촉매액 중에 함유되는 가수분해 촉매의 OH 기의 농도) 의 촉매 농도에 대한 비율과 운전 일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는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지는 응축액을 반응계외로 배출하는 반응계에서, 카보네이트화 공정으로 순환시키고 있는 촉매액 중에 함유되는 칼륨에 대한 염소 이온 농도와 운전 일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은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지는 응축액을 반응계외로 배출시키지 않은 반응계에서, 카보네이트화 공정으로 순환시키고 있는 촉매액의 알칼리도의 촉매 농도에 대한 비율과 운전 일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ratio of the catalyst concentration of the alkalinity (concentration of the OH group of the hydrolysis catalyst contained in the catalyst liquid) of the catalyst liquid circulated in the carbonation process in the reaction system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obtained in the hydrolysis step out of the reaction system; This graph shows th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driving days.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ions for potassium contained in the catalyst liquid circulated by the carbonation process and the number of operating days in the reaction system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obtained in the hydrolysis step out of the reaction system.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the catalyst concentration of alkalinity of the catalyst liquid circulated in the carbonation process and the number of operating days in the reaction system in which the condensate obtained in the hydrolysis step is not discharged out of the reaction system.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나 예시물 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shown below, an example, etc., It can change arbitrarily and can implement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은, 촉매 및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의 존재하에, 알킬렌옥사이드, 물 및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생성시키는 반응 공정과, 그 반응 공정에서 얻어지는 반응액으로부터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회수하는 공정과, 촉매를 함유하는 촉매액을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 순환 공정을 구비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응액 중의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kylene reaction in which an alkylene oxide, water and carbon dioxide are reacted to produce an alkylene carbonate and / or an alkylene glycol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an alkali metal carbonate, and alkylene from the reaction liquid obtained in the reaction step. A method for producing an alkylene carbonate and / or an alkylene glycol comprising a step of recovering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nd a catalyst circulation step of circulating a catalyst liquid containing a catalyst in a reaction step, wherein It is a method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carbonate of an alkali metal, or the chlorine ion derived from this alkali metal chloride.

본 발명의 반응 공정이란,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생성시키는 카보네이트화 공정」과, 「상기 카보네이트화 공정 후의 반응액 중의 알킬렌카보네이트를 다시 가수분해하는 가수분해 공정」의 양쪽을 의미한다. 이하에 카보네이트화 공정과 가수분해 공정에 관해서 설명하는데, 2 개로 분리된 반응계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반응기 내에서 실시해도 된다.The reaction process of this invention means both the "carbonation process which produces | generates an alkylene carbonate", and the "hydrolysis process which hydrolyzes the alkylene carbonate in the reaction liquid after the said carbonation process again." Although a carbonation process and a hydrolysis process are demonstrated below, it is not limited to two separate reaction systems, You may carry out in the same reactor.

(1) 카보네이트화 공정 (1) Carbonation Process

카보네이트화 공정의 촉매 (본 명세서 중에서는, 이것을 「카보네이트화 촉매」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는, 알칼리 금속의 브롬화물 또는 요오드화물,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겐화물, 알킬아민, 제 4 급 암모늄염, 유기 주석 또는 게르마늄 혹은 텔루르 화합물, 할로겐화 유기 포스포늄염 등의 공지된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 중에서도, 4 급 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 또는 브로마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트리페닐메틸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 트리페닐프로필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 트리페닐벤질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카보네이트화 촉매는, 알킬렌옥사이드에 대하여 0.001 ∼ 0.05 배 몰이 되도록 반응계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catalyst of a carbonation process (this may be called a "carbonate catalyst" in this specification), the bromide or iodide of an alkali metal, the halide of an alkaline earth metal, the alkylamine, the quaternary ammonium salt, and organic tin O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suitably from well-known things, such as a germanium or a tellurium compound, and a halogenated organic phosphonium salt. Especially, quaternary phosphonium iodide or bromide is used preferably.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triphenylmethylphosphonium iodide, triphenylpropylphosphonium iodide, triphenylbenzylphosphonium iodide, tributylmethylphosphonium iodide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supply such a carbonation catalyst to a reaction system so that it may become 0.001-0.05 mol with respect to an alkylene oxide.

본 발명의 카보네이트화 공정에서는, 카보네이트화 반응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가수분해 반응도 동시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수분해 반응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촉매로서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을 반응계 내에 공존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카보네이트화 공정에 나트륨 또는 칼륨 등, 바람직하게는 칼륨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을 첨가하면 되고, 어느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더라도 이들은 반응계 내에서는 탄산염으로서 존재한다. 이 경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바람직하게는 탄산칼륨은 4 급 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 등의 상기 카보네이트화 촉매에 대하여, 몰비로 0.01 ∼ 1.0 이 되도록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을 반응계에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e carbonation process of this invention, not only a carbonation reaction but also the hydrolysis reaction mentioned later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e cas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hydrolysis reaction, an alkali metal carbonate is coexisted in the reaction system as the hydrolysis catalyst. Specifically, sodium, potassium or the like, preferably potassium hydroxide, carbonate or bicarbonate may be added to the carbonation step, and any alkali metal compound is added, and these exist as carbonates in the reaction system. In this case, the alkali metal carbonate, preferably potassium carbonate, is preferably present in a molar ratio of 0.01 to 1.0 with respect to the carbonation catalyst such as quaternary phosphonium iodide. It is also preferable to add an alkali metal carbonate to the reaction system in order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을 반응계에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carbonate of the said alkali metal, or the chlorine ion derived from this alkali metal chloride from a reaction system.

원료의 알킬렌옥사이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이 사용된다. 알킬렌옥사이드로는 순도가 높은 정제 알킬렌옥사이드를 사용해도 되고, 미정제물이어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클로로탄화수소 등의 염소 화합물을 미량 함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의 경우, WO 2004/056794호 등에 기재된 에틸렌옥사이드의 제조 공정에서 얻어지는, 물을 함유한 순도가 낮은 조제(粗劑) 에틸렌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생성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는, 에틸렌카보네이트이다.Ethylene oxide, propylene oxide, etc. are used for the alkylene oxide of a raw material. As the alkylene oxide, purified alkylene oxide having a high purity may be used or a crude product may be used, but usually contains a small amount of chlorine compounds such as chlorohydrocarbons. 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ethylene oxide, a crude ethylene oxide having low purity containing water obtained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ethylene oxide described in WO 2004/056794 or the like can be used. The alkylene carbonate produced as a preferabl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thylene carbonate.

카보네이트화 공정에 있어서, 물이 존재하는 것에 의하면, 알킬렌옥사이드는 알킬렌카보네이트뿐만 아니라 알킬렌글리콜로도 전화되기 때문에, 알킬렌옥사이드에 대하여 등몰 이하의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으로도 반응은 용이하게 진행된다. 가수분해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알킬렌옥사이드에 대한 물의 양은, 통상적으로 알킬렌옥사이드에 대하여 1.0 ∼ 10 배 몰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알킬렌옥사이드에 대하여 등몰 이하의 양으로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만, 이들의 양비에 관해서는 반드시 엄밀한 제약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0.1 배 몰 이상 5.0 배 몰 이하이다.In the carbonation step, since water is present, the alkylene oxide is converted not only to the alkylene carbonate but also to the alkylene glycol, so that the reaction proceeds easily even at an equimolar amount of carbon dioxide or less relative to the alkylene oxide. . When performing a hydrolysis process simultaneously, it is preferable to use about 1.0-10 times mole of the quantity of the water with respect to an alkylene oxide normally with respect to an alkylene oxide. Moreover, although carbon dioxide has sufficient effect in the quantity below equimolar with respect to alkylene oxide, there is not necessarily a restriction | limiting with respect to these ratios. Preferably they are 0.1 times mole or more and 5.0 times mole or less.

카보네이트화 공정의 반응 온도는, 통상 50 ∼ 200 ℃ 이지만, 100 ℃ ∼ 170 ℃ 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압력은 통상 0.5 ∼ 5.0 ㎫ 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3.0 ㎫ 에서 실시된다.Although reaction temperature of a carbonation process is 50-200 degreeC normally,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at 100 degreeC-170 degreeC. Moreover, although reaction pressure is 0.5-5.0 Mpa normally, Preferably it is implemented at 1.0-3.0 Mpa.

카보네이트화 반응은 임의의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기포탑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도중에 열 제거용의 열교환기 및 순환용의 펌프를 구비한 액순환 도관을 갖는 기포탑을 사용하여 탑 내의 반응액을 액순환 도관을 경유하여 순환시킴으로써 반응 온도를 제어하고, 탑저로부터 원료인 알킬렌옥사이드, 이산화탄소, 촉매, 및 필요에 따라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반응을 실행시킨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69110호에 개시되어 있는, 이젝터형 노즐을 구비한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기포탑에서 알킬렌옥사이드를 완전히 반응시키는 것은 비효율이기 때문에, 기포탑의 뒤에 관형 반응기를 배치하고, 액 중의 알킬렌옥사이드를 추가로 반응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carbonation reac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any apparatus, but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using a bubble column. As an example, the reaction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circulating the reaction liquid in the tower via the liquid circulation conduit using a bubble column having a liquid circulation conduit having a heat exchanger for heat removal and a pump for circulation in the middle, and controlling the reaction temperature. Phosphorus alkylene oxide, carbon dioxide, catalyst, and water are continuously supplied as necessary to continuously carry out the reaction. Moreover,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the reactor provided with the ejector type nozzle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1-269110. Moreover, since it is inefficient to fully react an alkylene oxide in a bubble column, it is also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a tubular reactor behind a bubble column, and to further react the alkylene oxide in a liquid.

본 양태에 있어서는, 카보네이트화 공정에서 얻어진 반응액은 가수분해 공정으로 보내진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반응액의 일부 또는 전량을 알킬렌카보네이트의 제조 공정으로 보내어, 알킬렌카보네이트를 회수해도 된다. 알킬렌카보네이트를 회수한 나머지 반응액은, 카보네이트화 공정에서 얻어진 나머지 액과 합하여 가수분해 공정으로 보낸다.In this aspect, the reaction liquid obtained at the carbonation process is sent to a hydrolysis process. However, in some cases, part or all of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sent to the production step of the alkylene carbonate to recover the alkylene carbonate. The remaining reaction liquid which collect | recovered alkylene carbonate is combined with the remaining liquid obtained at the carbonation process, and is sent to a hydrolysis process.

(2) 가수분해 공정 (2) hydrolysis process

가수분해 반응은 고온에서 실시하는 쪽이 반응 속도의 면에서 유리하지만, 지나치게 고온으로 하면 알킬렌글리콜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통상은 100 ∼ 180 ℃ 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압력은 액의 비점까지의 범위이면 임의이지만, 통상은 상압 ∼ 2.1 ㎫ 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서 반응 온도를 높게 하거나, 반응 압력을 낮게 하거나 하여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hydrolysis reaction is advantageously carried out at a high temperature in view of the reaction rate. However, if the temperature is too high, the alkylene glycol may be deteriorated. Therefore, the hydrolysis reaction is preferably performed at 100 to 180 ° C. Although the reaction pressure is arbitrary as long as it reaches the boiling point of a liquid,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normally at normal pressure-2.1 MPa, and also, as hydrolysis progresses, reaction temperature is made high or reaction pressure is made low, and hydrolysis is promoted. It is also preferable to make it.

카보네이트화 공정에서 얻은 반응액에 대한 물의 양은, 함유되는 알킬렌카보네이트에 대하여 등몰 이상의 양이 있으면 충분하지만, 가수분해의 진행에 따라 탄산 가스에 동반하는 수분을 고려하여 여분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적으로는 원료로서 사용한 알킬렌옥사이드의 10 배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5 배 몰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첨가 방법은 카보네이트화 공정의 처음에 일괄적으로 첨가하는 방법, 가수분해 공정에서 추가하는 방법, 가수분해 공정에서 반응의 진행에 따라서 몇 차례 나눠서 첨가하는 방법, 스팀으로 공급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The amount of water to the reaction solution obtained in the carbonation step is sufficient if the amount of the equimolar or more relative to the alkylene carbonate contained, but is preferably added in consideration of the moisture accompanying the carbonic acid gas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hydrolysis, Usually,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10 times mole or less, Preferably it is 1-5 times mole of the alkylene oxide used as a raw material. The method of adding water includes a method of adding in a batch at the beginning of the carbonation process, a method of adding in a hydrolysis process, a method of adding it several times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the reaction in a hydrolysis process, and supplying with steam. Any method may be sufficient.

가수분해 공정의 반응기는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반응의 진행에 수반하여 탄산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한 탄산 가스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반응은 흡열 반응이기 때문에 온도의 저하를 막기 위해 가열용의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기는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 액을 일부발출하여 외부에 설치한 열교환기로 가열을 실시하고, 재차 반응기로 되돌리는 방법이 있다. 반응기는 1 개의 반응기로 실시해도 되지만, 알킬렌카보네이트의 전화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응기의 내부에 파티션을 형성하여 액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또는 복수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다.Although the reactor of a hydrolysis process does not have a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Since carbon dioxide gas is generated with progress of reaction,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generated carbon dioxide gas. Moreover, since reaction is an endothermic rea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fall,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heat exchanger for a heating.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a heat exchanger inside the reactor, a method of partially extracting the liquid and heating the heat exchanger installed outside, and then returning it to the reactor again. Although the reactor may be carried out in one reactor, in order to maintain the conversion ratio of the alkylene carbonate, there is a method of forming a partition inside the reactor to control the flow of the liquid or reacting using a plurality of reactors.

가수분해 공정에서 사용되는 촉매는, 카보네이트화 공정에서 사용한 촉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가수분해 속도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촉매를 가수분해 공정에서 추가해도 된다.As the catalyst used in the hydrolysis step, the catalyst used in the carbonation step can be used as it is. If the rate of hydrolysis is insufficient, the catalyst may be added in the hydrolysis step.

(3) 회수 공정 (탈수 공정) (3) Recovery process (dehydration process)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알킬렌글리콜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반응액 중에서 분리 취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먼저 증류 설비에 있어서 증류, 바람직하게는 감압 증류하여 물을 분리하는 탈수 공정을 거쳐, 알킬렌글리콜, 디알킬렌글리콜, 그 밖의 고비점 성분 및 카보네이트화 촉매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정제 알킬렌글리콜을 취득한다.The alkylene glycol produced | generated by hydrolysis can be acquired separately in a reaction liquid by a well-known method. Usually, the crude alkyl which consists of alkylene glycol, dialkylene glycol, other high boiling point components, a carbonation catalyst, etc. first through distillation in a distillation installation, Preferably it i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water is separated. Obtain len glycol.

(4) 촉매 분리 공정, 촉매 순환 공정(4) catalyst separation process, catalyst circulation process

본 발명의 반응 공정에 있어서 촉매를 함유하는 액은, 촉매를 적당한 방법으로 분리한 후에, 반응 공정 중 어느 하나로 순환시킨다. 여기서, 촉매를 분리하는 공정을 촉매 분리 공정, 또, 촉매 분리 공정에 의해 얻어진 촉매를 함유하는 액을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공정을 촉매 순환 공정이라고 한다.In the rea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ontaining the catalyst is circulated in one of the reaction steps after the catalyst is separated by a suitable method. Here, the process of separating a catalyst is called a catalyst circulation process, and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liquid containing the catalyst obtained by the catalyst separation process to a reaction process is called a catalyst circulation process.

촉매 분리 공정에 제공되는 촉매를 함유하는 액이란, 카보네이트화 공정 보다 나중의 반응 공정에서 취득되는 것이다.The liquid containing the catalyst provided to a catalyst separation process is acquired at a reaction process later than a carbonation process.

구체적인 촉매 분리 및 순환 공정으로는, 상기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지는 촉매를 함유하는 액을 사용하는 경우, (3)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수분해 공정의 반응액을 탈수한 후, 플러싱조 (槽) 에 공급하여 알킬렌글리콜 및 디알킬렌글리콜 등의 고비점물의 대부분을 기화시켜 분리하고, 잔류한 알킬렌글리콜, 디알킬렌글리콜, 고비점물 및 촉매를 함유하는 액을 회수하여 촉매액으로서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킨다. 여기서의 촉매액은, 카보네이트화 공정으로 순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 분리는 알킬렌글리콜 및 디알킬렌글리콜 등의 증발을 촉진하기 위해 감압하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 장치로는 리보일러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여 증발에 필요한 에너지를 보급하고 또한 증발량을 제어한다.As a specific catalyst separation and circulation process, when using the liquid containing the catalyst obtained by the said hydrolysis process, after dehydrating the reaction liquid of a hydrolysis process as described in (3), it supplies to a flushing tank. Most of the high boiling point such as alkylene glycol and dialkylene glycol are vaporized and separated, and the liquid containing the remaining alkylene glycol, dialkylene glycol, high boiling point and catalyst is recovered and circulated to the reaction process as a catalyst liquid. Let's do it. It is preferable to circulate the catalyst liquid here in a carbonation process. The catalyst separa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reduced pressure to promote evaporation of alkylene glycol and dialkylene glycol. As the evaporation apparatus, a reboiler is used to supply energy necessary for evaporation and to control the amount of evaporation.

(5)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제거 공정(5) Alkali metal chloride removal process derived from carbonate of alkali metal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수분해 촉매로서 존재시키고 있던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이 중화되어 염화물로 된 것 (본 명세서 중에서는, 「알칼리 금속 염화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의 제거 방법으로는, 반응계에 존재하는 상기 알칼리 금속 염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반응 공정 중 어느 것의 반응액을 발출하여 그 반응액 중에 함유된 알칼리 금속 염화물을 제거한 후에, 본 발명의 반응 공정 중 어느 하나로 순환시키는 방법이 채택된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카보네이트화 촉매 유래의 염화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무기 브롬화물 또는 무기 요오드화물을 첨가해도 되고,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removing an alkali metal carbonate that is present as a hydrolysis catalyst is neutralized to form a chloride (in this specification, sometimes referred to as "alkali metal chloride"). do. As a method of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carbonate of the alkali metal, any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alkali metal chloride present in the reaction system. Preferably, the reaction of any of the reaction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xtracting the liquid to remove the alkali metal chloride contained in the reaction liquid, a method of circulating with any of the reaction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Moreover, in the method of this invention, in order to remove the chloride derived from a carbonation catalyst, you may add or may not add an inorganic bromide or an inorganic iodide.

발출하는 반응액으로는, 먼저, 알칼리 금속 염화물의 농도가 2 중량% 이하, 상세하게는 0.1 중량% ∼ 1 중량% 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출한 반응액 중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염화물 자체가 석출되어 폐색 트러블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알칼리 금속 염화물 제거 처리에 제공되는 반응액으로는, 카보네이트화 공정 후의 반응액이면 어느 것이라도 되지만, 연속 운전 중의 가수분해 공정의 반응액이나, 또는 그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지는 반응액, 또는, 그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지는 반응액으로부터 알킬렌글리콜과 물을 발출한 액 (본 명세서 중에서는, 이것을 「촉매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들 수 있다.As a reaction liquid to be extra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ensity | concentration of alkali metal chloride is 2 weight% or less first, in detail to 0.1 weight%-1 weight%. If the concentration of the alkali metal chloride in the extracted reaction solution is too high, chloride itself is precipitated, which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causes clogging problems. The reaction liquid provided in the alkali metal chloride removal treatment may be any reaction liquid after the carbonation step, but the reaction liquid obtained in the hydrolysis step during the continuous operation, or the reaction liquid obtained in the hydrolysis step, or the valence thereof. The liquid which extracted alkylene glycol and water from the reaction liquid obtained by a decomposition process (this may be called "catalyst liquid" in this specification) is mentioned.

이 반응액의 발출은 연속적이어도 되고 간헐적이어도 된다. 또한, 발출 방법은, 반응액을 전량 발출해도 상관없지만, 반응액의 일부를 발출하는 쪽이 처리하는 반응액의 양이 적어 처리가 용이하다.The extraction of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continuous or intermittent. In addition, although the extraction method may extract a whole quantity of reaction liquid, it is easy to process because the amount of reaction liquid which a part which extracts a part of reaction liquid processes is small.

상기 반응액으로부터 알칼리 금속 염화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그 자체가 공지된 어떠한 방법에 따라도 되지만,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취득한 반응액 중에 함유되는 적어도 일부의 알킬렌글리콜을 증류 분리하고, 그 증류 분리에 있어서 석출되는 고형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나,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하에 반응액 중에 함유되는 알킬렌글리콜 및 고비점 성분을 증발시켜 회수했을 때에 석출되는 고형분을 제거하는 것에 의한 방법을 설명한다.The method for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from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any method known per se, but specifically, at least part of the alkylene glycol contained in the reaction solution obtained above is distilled off and the distillation is performed. The method of removing the solid content precipitated in separation | separation, the method of using ion exchange resin, etc. are mentioned. The method by removing the solid content which precipitates when the alkylene glycol and high boiling point component contained in a reaction liquid are evaporated and collect | recovered below is demonstrated.

먼저, 발출한 반응액은, 취득한 반응액 중에 함유되는 적어도 일부의 알킬렌글리콜을 증류 분리하는 공정 (이하, 「증류 공정」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 제공된다. 그 증류 공정은, 액체 중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농도가 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이 될 때까지 실시하는 것이다. 또한, 이 증류 분리 공정은 알킬렌글리콜을 증류 분리하는 것이지만, 반응액 중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농도를 상기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 디알킬렌글리콜, 트리알킬렌글리콜 등의 고비점 성분을 분리해도 된다.First, the extracted reaction solution is provided in a step of distilling off at least part of the alkylene glycol contained in the obtained reaction solution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a "distillation step"). The distillation step is carried out until the alkali metal chloride concentration in the liquid is 0.5%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1% by weight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this distillation separation process distills alkylene glycol, you may isolate high boiling point components, such as dialkylene glycol and a trialkylene glycol, in order to make the alkali metal chloride concentration in a reaction liquid into the above-mentioned range.

구체적인 증류 방법으로는, 감압하, 구체적으로는 500 torr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200 torr 로, 촉매가 열화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 120 ∼ 200 ℃ 바람직하게는 120 ∼ 180 ℃ 에서 실시된다. 증류 장치로는 리보일러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여, 증발에 필요한 에너지를 보급하고, 또한 증발량을 제어한다.As a specific distillation method, under reduced pressure, specifically 500 torr or less, Preferably it is 30-200 torr, The temperature which does not deteriorate a catalyst, 120-200 degreeC, It carries out at 120-180 degreeC preferably. As a distillation apparatus, the thing equipped with the reboiler is used, the energy required for evaporation is replenished, and the amount of evaporation is controlled.

알칼리 금속 염화물 이외의 조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적어도 알킬렌글리콜, 필요에 따라 고비점물을 증류 분리하고 액체 중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농도가 0.5 중량% 를 초과하면, 알칼리 금속 염화물이 석출되어 나온다. 석출된 알칼리 금속 염화물인 고형물을 용액부와 분리한다. 분리의 방법으로는 여과 분리, 원심 분리, 침전 분리 등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고, 어느 방법이어도 문제없다.Although it changes also with compositions other than alkali metal chloride, at least an alkylene glycol and the high boiling point are distilled off as needed, and alkali metal chloride precipitates out when the alkali metal chloride concentration in a liquid exceeds 0.5 weight%. The solid, precipitated alkali metal chloride, is separated from the solution portion. As a separation method, it can carry out by methods, such as filtration separation, centrifugal separation, and sedimentation separation, and any method may be used.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침전조를 경유하여 침전 분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온도는 저온인 쪽이 용해도가 작아, 제거 효과가 높아지지만, 본 방법에서는 지나치게 냉각하면, 용액부인 촉매 용액의 점성이 늘어나 유동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180 ℃ 이하에서 취급하도록 가열 또는 보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전조는 증발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해도 상관없지만, 증류 장치와 침전조를 일체로 하여 열교환기로 가열한 반응액을 중단 또는 상부로부터 직접 침전조에 플러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sedimentation is carried out via a settling tank, in general, the lower the temperature, the lower the solubility and the higher the removal effect. However, in the present method, if too cooled, the viscosity of the catalyst solution as a solution portion is increased. Since the fluidity is elongated and the fluidity disappears, it is preferable to heat or insulate to handle at 80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90 degreeC or more and 180 degrees C or less. The settling tank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vaporation device, but it is preferable to flush the reaction liquid heated by the heat exchanger with the distillation device and the settling tank integrally or to flush the settling tank directly from the top.

침전된 고형물인 알칼리 금속 염화물은, 고액 분리한 후, 고체로서 회수하는 방법이나, 침전조에 있는 잔류액을 드레인 라인으로부터 발출한 후, 나머지 알칼리 금속 염화물을 용매에 용해한 후, 무해화 처리하거나, 또는, 맨홀로부터 고체인 채로 발출하여 무해화 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분리 회수되는 용액부는, 상기한 촉매 분리 공정을 실시한 촉매를 함유하는 액으로서 반응기, 바람직하게는 카보네이트화 공정의 반응기에 공급하여, 촉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촉매 순환 공정). 또한, 고형물을 제거한 후의 용액부인 촉매액은, 여기에 다시 촉매 분리 공정으로서 촉매만을 분리 회수하여 촉매 순환 공정에 제공할 수도 있다. 촉매의 회수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273802호 등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Alkali metal chlorides, which are precipitated solids, are solid-liquid separated and recovered as a solid, or after the residual liquid in the settling tank is extracted from the drain line, the remaining alkali metal chlorides are dissolved in a solvent, and then detoxified. The treatment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a method such as extraction from a manhole while being solid and detoxification treatment. In addition, the solution part separated and recovered above can be supplied as a liquid containing the catalyst which performed the above-mentioned catalyst separation process to a reactor, preferably the reactor of a carbonation process, and can be used as a catalyst (catalyst circul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catalyst liquid which is the solution part after removing a solid substance can be separated and collect | recovered only as a catalyst separation process here again, and can also provide it to a catalyst circulation process. As a method for recovering the catalyst, for example, a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4273802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6)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 제거 공정(6) Chlorine ion removal process derived from alkali metal chloride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수분해 촉매로서 존재시키고 있던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이 중화된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도 반응계에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제 2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의 제거 방법으로는, 반응계에 존재하는 당해 염소 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액의 알칼리도 (촉매액 중에 함유되는 가수분해 촉매의 OH 기의 농도) 가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3 ㏖/㏖ 이상이 되도록 하기에 서술하는 응축액을 계외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촉매액의 알칼리도가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3 ㏖/㏖ 이하로 하면, 가수분해 속도가 저하되고, 공업적으로 유리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상기 촉매액의 알칼리도는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3 ㏖/㏖ 이상으로 조정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5 ㏖/㏖ 이상으로 조정된다. 상기 알칼리도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촉매액에 관해서 산에 의해 적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lorine ion derived from an alkali metal chloride neutralized by an alkali metal carbonate present as a hydrolysis catalyst is also included. The method for removing chlorine ions derived from the alkali metal chloride may be any method as long as the method can remove the chlorine ions present in the reaction system. Preferably, the alkalinity of the catalyst liquid circulated in the reaction step (in the catalyst liquid The condensate described below is discharged out of the system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OH group of the hydrolysis catalyst to be contained is 0.03 mol / mol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atalyst concentration. When the alkalinity of the catalyst liquid is 0.03 mol / mol or less with respect to the catalyst concentration, the rate of hydrolysis de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an industrially advantageous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The alkalinity of the catalyst liquid is adjusted to 0.03 mol / mol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atalyst concentration, more preferably 0.05 mol / mol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atalyst concentration. The alkalinity can be measured by a known method. Specifically, it can carry out by titration with an acid regarding a catalyst liquid.

또한, 상기 응축액을 계외로 배출하는 지표로서, 상기 촉매액에 함유되는 염소 이온이, 함유하는 알칼리 금속에 대하여 몰비로 3 미만이 되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As an index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out of the system,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hlorine ion contained in the catalyst liquid that is less than 3 in a molar ratio with respect to the alkali metal contained.

염소 이온 농도의 몰비가, 함유하는 알칼리 금속에 대하여 3 이상이 되면, 가수분해 촉매로서 첨가되고 있는 알칼리 금속이 중화되어, 가수분해 촉매로서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순환시키는 촉매액 중의 염소 이온의 알칼리 금속에 대한 몰비는 3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이다. 순환시키는 촉매액 중의 염소 이온 농도는, 침전 적정이나 이온 크로마토그래프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molar ratio of chlorine ion concentration becomes three or more with respect to the alkali metal to contain, the alkali metal added as a hydrolysis catalyst may be neutralized and may not function as a hydrolysis catalyst. The molar ratio of chlorine ions to alkali metal in the catalyst liquid to be circulated is less than 3, preferably less than 2, most preferably less than 1. The chlorine ion concentration in the catalyst liquid to be circulated can be measured by methods commonly used, such as precipitation titration and ion chromatography.

몰비가 상기 범위가 되는 응축액의 배출량을 경험치로서 아는 경우에는, 순환시키는 촉매액 중의 염소 이온 농도를 감시하지 않아도 당해 양을 배출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If the molar ratio knows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ndensate within the above range as an empirical value, a method of discharging the amount can be taken without monitoring the chlorine ion concentration in the circulating catalyst liquid.

상기한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 제거 방법을 하는 경우,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카보네이트화 공정 및/또는 가수분해 공정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냉각하는 응축 공정을 포함한다.When the chlorine ion removal method derived from the alkali metal chloride is perform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the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released in the carbonation step and / or hydrolysis step is cooled. Condensation process.

카보네이트화 공정에서 염소 이온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반응기의 기상부를 냉각하여 응축액을 회수하고, 이것을 발출하여 배출한다. 배출량은 전량이어도 되며, 상기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액 중의 알칼리도가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3 ㏖/㏖ 이상이 되는 데에 충분한 양이면 된다. 응축액 중에는 염소 이온 (유기 클로르 화합물) 외에 원료인 알킬렌옥사이드가 함유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알킬렌옥사이드를 회수한 후에, 염소 이온 (유기 클로르 화합물) 을 함유하는 용액으로서 배출한다.In the case of removing chlorine ion in a carbonation process, the gaseous-phase part of a reactor is cooled, a condensate is collect | recovered, it is extracted and discharged. The amount of the discharge may be any amount, and may be an amount sufficient for the alkalinity in the catalyst liquid circulated in the reaction step to be 0.03 mol / mol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atalyst concentration. Since the condensate contains an alkylene oxide as a raw material in addition to the chlorine ions (organic chlor compound), the alkylene oxide is recovered if necessary and then discharged as a solution containing chlorine ions (organic chlor compound).

또한, 가수분해 공정에서 염소 이온 (유기 클로르 화합물) 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의 진행에 따라서 발생하는 탄산 가스를 냉각하여 탄산 가스에 동반된 수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염소 이온 (유기 클로르 화합물) 은 응축액 중에 회수된다. 그래서, 그 응축액을 전량, 또는 상기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액의 알칼리도가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3 ㏖/㏖ 이상이 되는 데에 충분한 양을 반응계외로 발출하여 배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In the case of removing chlorine ions (organic chlor compound) in the hydrolysis step, the chlorine ions (organic chlor compound) are cooled by cooling the carbon dioxide ga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hydrolysis and condensing water vapor accompanying the carbon dioxide gas. Recovered in the condensate. Therefore, a method is used in which the entire amount or the alkalinity of the catalyst liquid circulating in the reaction step is extracted outside the reaction system and discharged in an amount sufficient to be 0.03 mol / mol or more relative to the catalyst concentration.

운전 초기는 염소 이온의 축적량이 적고, 촉매액의 알칼리도가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3 ㏖/㏖ 이상이기 때문에, 그대로 가수분해 반응기로 되돌려도 된다. 응축액의 발출은 염소 이온이 축적되고 나서 실시하면 되지만, 염소 이온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발출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발출은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촉매액 중의 염소 이온 농도나 가수분해 반응의 상황을 감시하면서, 발출량을 조정하면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계외로 발출하여 배출한 응축액의 나머지부는, 카보네이트화 공정이나 가수분해 공정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In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since the accumulation amount of chlorine ions is small and the alkalinity of the catalyst liquid is 0.03 mol / mol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atalyst concentration, it may be returned to the hydrolysis reactor as it is. Although extraction of a condensate may be performed after chlorine ion accumulates, it is also preferable to extract beforehand in order to prevent accumulation of chlorine ion. The extrac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while adjusting the extraction amount while monitoring the chlorine ion concentration in the catalyst liquid and the situation of the hydrolysis reaction. The remaining part of the condensate extracted and discharged out of the reaction system can be circulated in a carbonation step or a hydrolysis step.

반응계외로 발출한 응축액은, 그대로 배수로서, 필요하다면 무해화 처리한 후에 폐기해도 상관없지만, 알킬렌글리콜 등의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로 회수하여 알킬렌글리콜을 제품으로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를 회수할 때, 염소 이온 (유기 클로르 화합물) 이 다시 염소로서 프로세스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탈수 증류를 실시하여, 물과 함께 유기 클로르 화합물을 증류 분리한 후 알킬렌글리콜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densate extracted outside the reaction system may be disposed as it is as waste water and then disposed of after detoxification if necessary, but organic matters such as alkylene glycol are contained. . When recovering the waste water, in order to prevent the chlorine ion (organic chlor compound) from returning back to the process as chlorine, dehydration is carried out in advance, and the alkylene glycol is recovered after distilling off the organic chlor compound with water. It is preferable.

또한, 또다른 염소 이온 제거 방법으로는, 상기 탈수 공정의 증류탑의 가수분해 반응액 공급단 또는 그보다 위의 단에 상기 응축액을 공급하고 염소 이온 (유기 클로르 화합물) 을 수분과 동시에 탑정에서부터 배출하는 방법도 사용된다. 가수분해 공정으로부터 오는 반응액은 가수분해 촉매를 함유하고 있다. 그 때문에, 공급단 보다 밑의 단에 공급한 경우에는, 염소 이온 (유기 클로르 화합물) 이 가수분해 촉매와 반응하여 염소로서 가수분해 촉매를 중화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어, 이것을 피하기 위해, 가수분해 반응액의 공급단 또는 그보다 위의 단에 공급하여 가수분해 촉매와의 접촉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method for removing chlorine ions, the condensate is supplied to the hydrolysis reaction solution supply stage or the upper stage of the distillation column of the dehydration step, and the chlorine ions (organic chlor compound) are discharged from the column top simultaneously with water. Is also used. The reaction liquid coming from the hydrolysis step contains a hydrolysis catalyst. Therefore, when supplied to the stage below the feed stage, chlorine ions (organic chlor compound) may react with the hydrolysis catalyst to neutralize the hydrolysis catalyst as chlorine, and to avoid this, the hydrolysis reaction liquid It is necessary to feed to or above the feed stage of to avoid contact with the hydrolysis catalyst.

(7) 촉매의 보급 (7) Supply of catalyst

본 발명의 반응 공정에서는, 보다 가수분해 반응 속도를 유지한 채로 운전을 계속하기 위해서, 처음에 가수분해 촉매로서 존재시키는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을 반응 공정에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하는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바람직하게는 탄산칼륨은, 4 급 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 등의 상기 카보네이트화 촉매에 대하여 몰비로 0.01 ∼ 1.0 이 되는 농도를 유지하는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염의 첨가 방법으로는 직접 고체를 투입해도 되지만, 물에 녹여 첨가하거나 또는, 알킬렌글리콜에 용해하여 첨가하는 방법이 취급면에서 유효하다.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의 첨가는 연속적으로 첨가해도 상관없지만, 가수분해 반응의 상황을 감시하면서, 반응 속도가 저하되었을 때에 적량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문제없이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In the rea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tinue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hydrolysis reaction rate more, an alkali metal carbonate initially present as a hydrolysis catalyst may be added to the reaction step. The alkali metal carbonate to be added, preferably potassium carbonate, is preferably such that it maintains a concentration of 0.01 to 1.0 in molar ratio with respect to the carbonation catalyst such as quaternary phosphonium iodide. Although solid may be added directly as a method of adding a carbonate, the method of melt | dissolving and adding in water or melt | dissolving in alkylene glycol is effective from a handling point of view. Although addition of an alkali metal carbonate may be added continuously, operation can be continued without a problem by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when reaction rate falls, monitoring the state of a hydrolysis reaction.

또한, 염소의 제거에 따라서 카보네이트화 촉매에서 유래하는 요오드 또는 브롬과 같은 할로겐이나 촉매 그것이 동반 제거된 경우에는, 카보네이트화 촉매, 가수분해 촉매를 추가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요오드화수소 또는 브롬화수소 등의 사용한 촉매에 대응하는 할로겐화수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chlorine is removed, halogen or a catalyst such as iodine or bromine derived from the carbonation catalyst is removed together, a carbonation catalyst or a hydrolysis catalyst is added or, in some cases, hydrogen iodide or hydrogen bromide. It is preferable to add the hydrogen halide corresponding to the used catalyst.

(8) 알킬렌카보네이트 및 알킬렌글리콜의 정제(8) Purification of Alkylene Carbonate and Alkylene Glycol

이렇게 해서 생성, 회수된 조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미정제 알킬렌글리콜은, 그 자체로 공지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정제할 수 있다.The crude alkylene carbonate and / or crude alkylene glycol thus produced and recovered can be purified as needed by a commonly used method known per se.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an Example is given to the following an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o it further more concretely,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 unless the summary is exceeded.

[실시예 1] Example 1

(1) 카보네이트화 공정 (1) Carbonation Process

이산화탄소로 2.0 ㎫ 에서 가압된 체류 시간 1 시간, 100 ℃ 의 카보네이트화 반응기를 포함하는 카보네이트화 반응 부분에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 5 중량부/Hr, 탄산칼륨 0.8 중량부/Hr, 원료 에틸렌옥사이드 수용액 (60 중량%) 78 중량부/Hr 을 공급함으로써 에틸렌카보네이트 및 에틸렌글리콜 (EG) 을 함유하는 카보네이트화 공정 반응액을 얻었다.5 parts by weight of tributylmethylphosphonium iodide / Hr, 0.8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arbonate / Hr, and raw material ethylene in a carbonation reaction portion including a carbonation reactor at 100 ° C., a residence time pressurized at 2.0 MPa with carbon dioxide. The carbonation process reaction liquid containing ethylene carbonate and ethylene glycol (EG) was obtained by supplying 78 weight part / Hr of oxide aqueous solution (60 weight%).

(2) 가수분해 공정 (2) hydrolysis process

카보네이트화 공정에서 얻어진 반응액을 체류 시간 2 시간, 압력 0.5 ㎫, 온도 150 ℃ 의 가수분해 반응기를 포함하는 가수분해 반응부로 옮기고, 함유되는 에틸렌카보네이트를 가수분해하여, 촉매 및 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가수분해 공정 반응액 87.5 중량부/Hr 을 얻었다.The reaction solution obtained in the carbonation step is transferred to a hydrolysis reaction section including a hydrolysis reactor having a residence time of 2 hours, a pressure of 0.5 MPa, and a temperature of 150 ° C. Decomposition reaction reaction solution 87.5 parts by weight / Hr was obtained.

(3) 정제 (3) Purification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진 반응액을 탑저 140 ℃, 80 torr 의 감압 증류탑에 의해 증류하여, 탑저로부터 탈수된 액을 얻고, 이것을 다시 140 ℃, 60 torr 에서 조작되는 감압 증발기에 의해 에틸렌글리콜의 대부분을 증발시켜, 증발기 저부로부터 촉매가 농축된 촉매액을 13 중량부/Hr 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촉매액은 촉매로서 카보네이트화 반응기로 순환 사용하였다.The reaction solution obtained in the hydrolysis step was distilled by a reduced pressure column at a bottom of 140 ° C. and 80 torr to obtain a dehydrated liquid from the bottom of the column, which was then evaporated most of ethylene glycol by a reduced pressure evaporator operated at 140 ° C. and 60 torr. 13 parts by weight / Hr of a catalyst liquid having a concentrated catalyst was recovered from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The recovered catalyst solution was circulated and used as a catalyst in a carbonation reactor.

운전을 계속한 결과, 가수분해 반응이 불충분해졌기 때문에, 탄산칼륨을 첨가하면서 운전을 계속하였다.As a result of continuing the operation, since the hydrolysis reaction was insufficient, the operation was continued while adding potassium carbonate.

3 개월 운전을 계속한 가수분해 공정에서 반응액을 발출하여 유리제 이배퍼레이터에 그 반응액 100 부를 투입하고, 에틸렌글리콜의 증류 분리 조작을 실시하였다. 압력을 30 torr 로 하고, 가열은 오일 배스를 170 ℃ 로 가열하여 실시하였다.In the hydrolysis process which continued operation for 3 months, the reaction liquid was taken out, 100 parts of the reaction liquid was put into the glass evaporator, and the distillation operation of ethylene glycol was performed. The pressure was 30 torr, and heating was performed by heating an oil bath to 170 degreeC.

상기 반응액 중에 함유되는 에틸렌글리콜이 5 부 증류되어 나온 시점에서, 이배퍼레이터의 보텀 플라스크의 표면에 염화칼륨이 석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증류 조작을 계속하여, 46 부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이 유출된 시점에서 증류 조작을 정지하였다. 플라스크의 바닥에 염화칼륨이 침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상청 부분의 촉매를 함유하는 액을 일부 발출하여, 염화칼륨이 제거된 재생 촉매 용액으로서 상기와 동일하게 카보네이트화 공정 및 가수분해 공정을 실시한 결과, 카보네이트화 반응, 가수분해 반응 모두 문제없이 운전을 추가로 계속할 수 있었다.When 5 parts of ethylene glycol contained in the reaction solution was distilled off, it was confirmed that potassium chloride precipitated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flask of the evaporator. The distillation operation was continued again, and the distillation operation was stopped when the liquid containing 46 parts ethylene glycol as the main component flowed out. It was confirmed that potassium chloride precipitated at the bottom of the flask. Here, a part of the liquid containing the catalyst in the supernatant portion was extracted, and the carbonation step and the hydrolysis step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as the regenerated catalyst solution from which potassium chloride was removed. Could continue further.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 에 있어서, 촉매액으로부터 염화칼륨을 제거하지 않은 것 이외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운전을 계속한 결과, 촉매액에 염화칼륨이 석출되어 촉매액의 순환이 곤란해져서 운전을 정지하였다.In Example 1, operation was continu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otassium chloride was not removed from the catalyst liquid. As a result, potassium chloride precipitated in the catalyst liquid, making it difficult to circulate the catalyst liquid, and the operation was stopped.

[실시예 2] [Example 2]

(1) 카보네이트화 공정 (1) Carbonation Process

이산화탄소로 2.0 ㎫ 에서 가압된 체류 시간 1 시간, 100 ℃ 의 카보네이트화 반응기를 포함하는 카보네이트화 반응 부분에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 5 중량부/Hr, 탄산칼륨 0.8 중량부/Hr, 원료 에틸렌옥사이드 수용액 (60 중량%) 78 중량부/Hr 을 공급함으로써 에틸렌카보네이트 및 에틸렌글리콜 (EG) 을 함유하는 카보네이트화 공정 반응액을 얻었다.5 parts by weight of tributylmethylphosphonium iodide / Hr, 0.8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arbonate / Hr, and raw material ethylene in a carbonation reaction portion including a carbonation reactor at 100 ° C., a residence time pressurized at 2.0 MPa with carbon dioxide. The carbonation process reaction liquid containing ethylene carbonate and ethylene glycol (EG) was obtained by supplying 78 weight part / Hr of oxide aqueous solution (60 weight%).

(2) 가수분해 공정 (2) hydrolysis process

카보네이트화 공정에서 얻어진 반응액을, 먼저 압력 1.8 ㎫, 온도 150 ℃ 의 제 1 가수분해 반응기에서 에틸렌카보네이트의 가수분해 반응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압력 0.2 ㎫, 온도 150 ℃ 의 제 2 가수분해 반응기에서 나머지 에틸렌카보네이트를 가수분해하여, 촉매 및 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가수분해 공정 반응액 87.5 중량부/Hr 을 얻었다. 가수분해에 따라서 발생하는 탄산 가스는 열교환기로 냉각하여 탄산 가스에 동반한 수분은 응축시킨 후, 가수분해 반응기로 되돌려 반응을 계속하였다.The reaction solution obtained in the carbonation step is first subjected to a hydrolysis reaction of ethylene carbonate in a first hydrolysis reactor at a pressure of 1.8 MPa and a temperature of 150 ° C., followed by a second hydrolysis reactor at a pressure of 0.2 MPa and a temperature of 150 ° C. The remaining ethylene carbonate was hydrolyzed to obtain 87.5 parts by weight / Hr of a hydrolysis step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a catalyst and ethylene glycol.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by the hydrolysis was cooled by a heat exchanger to condense the moisture accompanying the carbon dioxide, and then returned to the hydrolysis reactor to continue the reaction.

(3) 탈수/염소 이온 제거 공정(3) Dehydration / chlorine ion removal process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진 반응액을 탑저 140 ℃, 80 torr 의 감압 증류탑에 의해 탈수 증류하여, 탑저로부터 탈수된 액을 얻고, 이것을 다시 140 ℃, 60 torr 에서 조작되는 감압 증발기에 의해 에틸렌글리콜의 대부분을 증발시켜, 증발기 저부로부터 촉매가 농축된 촉매액을 13 중량부/Hr 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촉매액은 촉매로서 제 1 가수분해 반응기로 순환 사용하였다.The reaction solution obtained in the hydrolysis step was dehydrated and distilled by a reduced pressure column at 140 ° C. and 80 torr to obtain a liquid dehydrated from the bottom. This was again removed by a reduced pressure evaporator operated at 140 ° C. and 60 torr. By evaporation, 13 parts by weight / Hr of the catalyst liquid with concentrated catalyst was recovered from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The recovered catalyst solution was circulated and used as the catalyst in the first hydrolysis reactor.

상기 운전을 계속한 후, 제 1 가수분해 반응기에서 발생한 탄산 가스를 냉각하여 탄산 가스에 동반되는 수증기의 응축액을 분석한 결과, 응축액 중에 에틸렌클로르하이드린이 167 ppm, 클로르메틸디옥솔란이 273 ppm, 에틸렌글리콜이 17.2 중량% 함유되어 있었다. 거기서, 응축액의 전량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발출을 시작하였다.After the operation was continued, the carbon dioxide gas generated in the first hydrolysis reactor was cooled and the condensate of water vapor accompanying the carbon dioxide was analyzed. As a result, 167 ppm of ethylene chlorhydrin and 273 ppm of chlormethyldioxolane were found in the condensate. Ethylene glycol was contained 17.2 wt%. There, the extraction was started continuously for the entire amount of the condensate.

100 일간 운전을 실시하여, 가수분해 속도의 지표인 알칼리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알칼리도는, 카보네이트화 공정으로 순환시키고 있는 촉매액 중에 함유되는 가수분해 촉매가 되는 OH 기의 몰수를 산으로 적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또한, 촉매액의 농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없애기 위해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아이오다이드의 몰수로 나눈 값이다. 이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수분해 반응의 반응 속도의 저하는 보이지 않고, 상기 촉매액의 알칼리도는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3 ㏖/㏖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It operated for 100 days and evaluated using the alkalinity which is an index of the hydrolysis rate. The said alkalinity was measured by titrating the number-of-moles of the OH group used as the hydrolysis catalyst contained in the catalyst liquid circulated by a carbonation process with an acid. In addition, in order to remove the influence by the change of the density | concentration of a catalyst liquid, it is the value divided by the number-of-moles of tributylmethyl phosphonium iodide. This result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fall of the reaction rate of a hydrolysis reaction was not seen, and the alkalinity of the said catalyst liquid maintained 0.03 mol / mol or more with respect to catalyst concentration.

또한, 상기 촉매액 중에 함유되는 염소 이온 농도 및 칼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칼륨의 측정 방법은,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발광 분광 분석법이다. 염소 이온의 측정 방법은 침전 적정 분석법이다. 이 결과를 표 1 및 도 2 에 나타낸다. 표 1 및 도 2 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촉매액 중에 함유되는 염소 이온 농도는, 알칼리 금속 농도에 대하여 몰비로 3 미만이었다.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ions and potassium contained in the catalyst solution were measured. The measuring method of potassium is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emission spectroscopy. The measurement method of chlorine ion is precipitation titration analysis. This result is shown in Table 1 and FIG. As can be seen from Table 1 and FIG. 2, the chlorine ion concentration contained in the catalyst liquid was less than 3 in molar ratio with respect to the alkali metal concentration.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실시예 3] [Example 3]

상기 실시예 2 에서 발출한 응축액과 가수분해 반응액과 함께 이론단 8 단의 증류탑으로 증류를 실시하여, 에틸렌클로르하이드린 및 클로르메틸디옥솔란을 수분과 함께 탑정에서부터 증류 배출시키고, 증류탑의 탑저에서 유기 클로르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에틸렌글리콜을 회수하였다.The distillation was carried out in the distillation column of the theoretical stage 8 together with the condensate and the hydrolysis reaction solution extracted in Example 2, and ethylene chlorhydrin and chlormethyldioxolane were distilled off from the top of the column together with water, and at the bottom of the column. Ethylene glycol, which did not contain an organic chlor compound, was recovered.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제 1 가수분해 반응기에서 발생한 탄산 가스를 냉각하여 얻어진 탄산 가스에 동반되는 수증기의 응축액을 그대로 가수분해 공정에 공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에틸렌글리콜의 생성을 실시하였다. 230 일간 운전을 계속하고, 카보네이트화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액 중의 가수분해 촉매의 알칼리도를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도 3 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가수분해 촉매의 알칼리도는 감소하여 가수분해 반응의 반응 속도가 점차로 느려져 에틸렌카보네이트의 전화율이 99.9 % 이상이었던 것이 98.8 % 까지 저하되었다.Ethylene glycol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condensate of water vapor accompanying the carbon dioxide gas obtained by cooling the carbon dioxide gas generated in the first hydrolysis reactor was supplied to the hydrolysis step as it was. The operation was continued for 230 days, and the alkalinity of the hydrolysis catalyst in the catalyst liquid circulated in the carbonation step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This result is shown in FIG. As can be seen from FIG. 3, the alkalinity of the hydrolysis catalyst decreases, and the reaction rate of the hydrolysis reaction gradually slows down to 98.8% that the conversion rate of ethylene carbonate was 99.9% or more.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가수분해 공정에 있어서의 촉매의 열화를 막고, 가수분해 속도를 유지하면서 반응계 내에 석출물이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전 가능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의 채용에 의해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효율적이면서 로스가 적게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which can stably oper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preventing the catalyst from deteriorating in the hydrolysis step and maintaining the hydrolysis rate without generating precipitates in the reaction system is provided. Is provided. By employ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produc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efficiently and with low loss.

Claims (10)

촉매 및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의 존재하에, 알킬렌옥사이드, 물 및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생성시키는 반응 공정과, 그 반응 공정에서 얻어지는 반응액으로부터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을 회수하는 공정과, 촉매를 함유하는 촉매액을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 순환 공정을 구비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응액 중의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an alkali metal carbonate, alkylene carbonate, water and carbon dioxide are reacted to produc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and alkylene carbonate and / or from the reaction liquid obtained in the reaction step.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provided with the process of collect | recovering alkylene glycol and the catalyst circulation process which circulates the catalyst liquid containing a catalyst to a reaction process,
A method for producing an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an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carbonate of the alkali metal or a chlorine ion derived from the alkali metal chloride in the reaction solution.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액 중의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상기 반응 공정 중의 촉매를 함유하는 반응액의 일부 또는 전량을 취득하여 그 반응액에 함유되는 알킬렌글리콜의 적어도 일부를 증류 분리하고, 또한 그 증류 분리에 있어서 석출되는 고체를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촉매 순환 공정이 그 증류 분리에 있어서 석출되는 고체를 분리한 잔류액을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것인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carbonate of the alkali metal in the reaction solution acquires a part or whole amount of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catalyst in the reaction step and distills at least a part of the alkylene glycol contained in the reaction solution. To separate and precipitate solids in the distillation, and the catalyst circulating step circulates the residual liquid from which the solids precipitated in the distillation is circulated to the reaction step. Method for producing lene glycol.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액 중의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유래의 알칼리 금속 염화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상기 반응 공정 중의 촉매를 함유하는 반응액의 일부 또는 전량을 취득하여 그 반응액에 함유되는 알킬렌글리콜의 적어도 일부를 증류 분리하고, 또한 그 증류 분리에 있어서 석출되는 고체를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촉매 순환 공정이 그 증류 분리에 있어서 석출되는 고체를 분리한 잔류액으로부터, 다시 촉매를 분리 회수한 후에, 회수한 촉매를 상기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removing the alkali metal chloride derived from the carbonate of the alkali metal in the reaction solution acquires a part or whole amount of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catalyst in the reaction step and distills at least a part of the alkylene glycol contained in the reaction solution. Separating and further separating the solids precipitated in the distillation separation, and after the catalyst circulating step separates and recovers the catalyst from the residual liquid from which the solids precipitated in the distillation separation, the recovered catalyst is A process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which is circulated in a reaction step.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되는 고체의 분리를, 80 ℃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Separation of the precipitated solid is carried out at 80 ℃ or mo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product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공정이 촉매 및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의 존재하에,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알킬렌카보네이트를 생성시키는 카보네이트화 공정, 및 카보네이트화 공정의 반응액 중의 알킬렌카보네이트를 가수분해하여 알킬렌글리콜을 생성시키는 가수분해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 염화물 유래의 염소 이온의 제거 공정이,
카보네이트화 공정 및/또는 가수분해 공정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냉각하는 응축 공정과, 촉매 순환 공정에서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촉매액의 알칼리도가 촉매 농도에 대하여 0.03 ㏖/㏖ 이상이 되도록 상기 응축 공정에서 얻어진 응축액을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reaction step,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an alkali metal carbonate, an alkylene carbonate is formed by reacting an alkylene oxide with carbon dioxide to produce an alkylene carbonate, and an alkylene glycol by hydrolyzing the alkylene carbonate in the reaction solution of the carbonation step. A hydrolysis process for producing
The removal process of the chlorine ion derived from the said alkali metal chloride,
The condensation step of cooling the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released in the carbonation step and / or the hydrolysis step, and the alkalinity of the catalyst liquid circulated from the catalyst circulation step to the reaction step is 0.03 mol / mol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atalyst concentration. A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comprising the step of discharging the condensate obtained in the condensation step.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이온 제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응축액을 다시 탈수 증류하여 안에 함유되는 물 및 유기 클로르 화합물을 제거한 후, 나머지 액을 상기 반응 공정으로 순환시키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in the chlorine ion removal step, wherein the condensate is dehydrated again to remove water and organic chlor compound contained therein and then the remaining liquid is circulated to the reaction step.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클로르 화합물이 에틸렌클로르하이드린인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wherein the organic chlor compound is ethylene chlorhydrin.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액을 순환시키는 장소가, 상기 가수분해 공정에서 얻어지는 가수분해 반응액에 함유되는 물을 증류 분리하는 증류탑의 가수분해 반응액 공급단 또는 그보다 위의 단인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wherein the condensate is circulated is a hydrolysis reaction solution supply stage or a stage above the distillation column for distilling water contained in the hydrolysis reaction liquid obtained in the hydrolysis step. Way.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공정에, 상기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을 추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method for producing an alkylene carbonate and / or an alkylene glycol, wherein the alkali metal carbonate is further added to the reaction step.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렌카보네이트가 에틸렌카보네이트이고, 알킬렌글리콜이 에틸렌글리콜인 알킬렌카보네이트 및/또는 알킬렌글리콜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wherein alkylene carbonate is ethylene carbonate and alkylene glycol is ethylene glycol.
KR1020127030331A 2010-04-28 2011-04-21 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or alkylene glycols KR1016633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3785 2010-04-28
JPJP-P-2010-103785 2010-04-28
JP2010158779 2010-07-13
JPJP-P-2010-158779 2010-07-13
PCT/JP2011/059855 WO2011136127A1 (en) 2010-04-28 2011-04-21 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or alkylene glycol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016A Division KR101671155B1 (en) 2010-04-28 2011-04-21 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or alkylene glyc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42A true KR20130056242A (en) 2013-05-29
KR101663347B1 KR101663347B1 (en) 2016-10-06

Family

ID=448614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331A KR101663347B1 (en) 2010-04-28 2011-04-21 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or alkylene glycols
KR1020167008016A KR101671155B1 (en) 2010-04-28 2011-04-21 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or alkylene glycol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016A KR101671155B1 (en) 2010-04-28 2011-04-21 Process for production of alkylene carbonates and/or alkylene glycol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725019B2 (en)
KR (2) KR101663347B1 (en)
CN (1) CN102858727B (en)
BR (1) BR112012027617B1 (en)
SG (1) SG185059A1 (en)
TW (1) TWI511947B (en)
WO (1) WO201113612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240B1 (en) * 2019-10-14 2020-09-01 그린케미칼 주식회사 Alkylenecarbonate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2985B2 (en) * 2012-03-30 2016-04-13 株式会社日本触媒 Process for producing ethylene glycols
JP2014148481A (en) * 2013-02-01 2014-08-21 Mitsubishi Chemicals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alkylene carbonate
EA039838B1 (en) * 2018-12-10 2022-03-18 Шелл Интернэшнл Рисерч Маатсхаппий Б.В.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thylene glycol
CN109867654B (en) * 2019-02-19 2021-06-29 胜华新能源科技(东营)有限公司 Method for preparing alkylene carbonate from alkylene oxide and carbon dioxi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563A (en) 1998-11-13 2000-05-23 Mitsubishi Chemicals Corp Production of ethylene glycol
JP2004292384A (en) 2003-03-27 2004-10-21 Mitsubishi Chemicals Corp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KR20050098900A (en) * 2003-02-07 2005-10-12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and method for regenerating catalyst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0029A (en) * 1979-12-24 1981-07-21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Preparation of high-purity alkylene glycol
SG74047A1 (en) * 1997-04-30 2000-07-18 Mitsubishi Chem Corp Process for producing alkylene glycol
JP3690129B2 (en) * 1998-08-10 2005-08-31 三菱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glycol
JP3921843B2 (en) * 1998-10-27 2007-05-30 三菱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ethylene glycol
JP3750376B2 (en) * 1998-11-06 2006-03-01 三菱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ethylene glycol
JP2001031601A (en) * 1999-07-14 2001-02-06 Nippon Shokubai Co Ltd Production of highly pure monoethylene glycol
JP2001031600A (en) * 1999-07-14 2001-02-06 Nippon Shokubai Co Ltd Production of highly pure monoethylene glycol
US6437199B1 (en) * 1999-07-14 2002-08-20 Nippon Shokubai Co., Ltd. Method for production of high-purity monoethylene glycol
JP4333153B2 (en) * 2003-02-07 2009-09-16 三菱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glycol
PE20070478A1 (en) * 2005-08-02 2007-05-18 Shell Int Research PREPARATION PROCESS OF ALKYLENE GLYCO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563A (en) 1998-11-13 2000-05-23 Mitsubishi Chemicals Corp Production of ethylene glycol
KR20050098900A (en) * 2003-02-07 2005-10-12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and method for regenerating catalyst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JP2004292384A (en) 2003-03-27 2004-10-21 Mitsubishi Chemicals Corp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240B1 (en) * 2019-10-14 2020-09-01 그린케미칼 주식회사 Alkylenecarbonate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21075618A1 (en) * 2019-10-14 2021-04-22 그린케미칼 주식회사 Alkylene carbonate production system, and production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25019B2 (en) 2015-05-27
JPWO2011136127A1 (en) 2013-07-18
BR112012027617A2 (en) 2016-08-09
TW201141820A (en) 2011-12-01
KR20160039307A (en) 2016-04-08
WO2011136127A1 (en) 2011-11-03
CN102858727B (en) 2014-09-24
TWI511947B (en) 2015-12-11
KR101671155B1 (en) 2016-10-31
BR112012027617B1 (en) 2021-11-09
CN102858727A (en) 2013-01-02
SG185059A1 (en) 2012-12-28
KR101663347B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326B1 (en) Method for preparing trimethylolproane
JP5725019B2 (en) Process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and / or alkylene glycol
US20100032617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epichlorohydrin
JP2011506278A (en) Method for producing diaryl carbonate
EP0380365B1 (en) Method for recovering hydrobromic acid and methanol
KR20120086352A (en) Processes for producing ethylene carbonate and ethylene glycol
US9963436B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epoxy-monomers and epoxides
US3972955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isoprene
EP1311468B1 (en) Fluorinated alkanoic acid purification process
EP2321291B1 (en) Process for producing epoxides
WO2007143319A1 (en) Method of preparing ester-substituted diaryl carbonates
KR100880135B1 (en)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and method for regenerating catalyst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US9422256B2 (en)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epichlorohydrin from glycerol
JP4273802B2 (en)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JP4273799B2 (en)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derivative
US6414204B1 (en) Process for producing allyl chloride
EP1191007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llyl chloride
JP3750376B2 (en) Method for producing ethylene glycol
JP201414848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kylene carbonate
JPS6121554B2 (en)
CN11316601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thylene glycol
PL211851B1 (en) Comprehensiv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chloro-2-methylphenoxyacetic acid
JP2009184942A (en) Method for producing epichlorohydr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