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786A -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786A
KR20130055786A KR1020110121396A KR20110121396A KR20130055786A KR 20130055786 A KR20130055786 A KR 20130055786A KR 1020110121396 A KR1020110121396 A KR 1020110121396A KR 20110121396 A KR20110121396 A KR 20110121396A KR 20130055786 A KR20130055786 A KR 20130055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heat
pipe
inlet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156B1 (ko
Inventor
채종우
길기성
Original Assignee
길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기성 filed Critical 길기성
Priority to KR102011012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1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9Alarm systems; Safety sytems, e.g. preventing fire and explo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및 각종 슬러지, 축분 및 각종 축산폐기물 등(이하 '폐기물'이라 통칭함)을 대량으로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직접열에 의한 대류방식과 간접열에 의한 전도방식을 혼용하여 각종 폐기물을 건조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유입되어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피건조물이동관(200), 피건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300), 피건조물이동관(200)내부에 간접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간접열전달관(400), 피건조물이동관(200) 내부에서 발화시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유체저장고(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High efficient waste Dry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및 각종 슬러지, 축분 및 각종 축산폐기물 등(이하 '폐기물'이라 통칭함)을 대량으로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직접열에 의한 대류방식과 간접열에 의한 전도방식을 혼용하여 각종 폐기물을 건조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생활이 윤택해 지면서, 폐기물의 양은 증가하고 있다. 이 폐기물에는 일상 생활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를 비롯하여, 하수나 폐수 처리장의 각종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각종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등이 있다.
폐기물의 처리과정에 대한 환경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폐기물의 약 50%정도를 처리 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해양투기 방식으로 처리되었었다. 2012년부터는 하수오니와 가축분뇨를 2013년부터는 음식물 쓰레기를 해양투기방식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되었다. 육상처리가 불가피하게 된 것이다.
폐기물의 처리과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건조하여 재활용하는 것이다. 폐기물의 건조방법에는 피 건조물에 열풍을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대류전열 건조방식(열풍건조방식 또는 직접가열방식은 모두 동일개념이다)과 열매체에 의해 가열된 면에서 피 건조물을 열전도 형태로 건조시키는 전도전열 건조방식(간접가열 건조방식) 등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대류전열 건조방식을 이용한 건조기는 회전 건조기, 밴드 건조기 기류 건조기 및 유동상 건조기 등이 있다. 전도전열 건조방식의 건조기는 디스크 건조기, 패들 건조기 및 박막 건조기 등이 있다.
이들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바로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 이 수분으로 인해 건조 효율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으며, 유기물 성분이 전체 고형물 중 차지하는 비중이 60%이상인 유기성 슬러지(유기성 폐수 슬러지, 축분 또는 인분 등)인 경우 유기물 성분이 수분과의 상호 작용으로 건조효율이 감소한다.
폐기물의 건조방식에 있어서, 대류전열 건조방식은 열효율이 좋아 건조 시간이 짧고,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 및 점착력이 높은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설규모가 커서 기계설비 비용이 증가하며, 유해가스(악취 포함)의 배출이 우려되고 특히 직접열을 가함으로써 유기 물질 또는 분진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전도전열 건조방식은 밀폐된 공간에서 건조가 진행되어 악취나 분진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체류시간이 길어 건조 효율이 떨어지며 대부분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므로 이송 중에 열과의 접촉 면적이 적어 열효율의 저하로 처리비용이 증가한다. 별도의 열매체 승온 장치 등이 필요하므로 초기 투자 비용이 증가하고 유지보수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건조시 필요한 열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처리비용을 절감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건조시 발생가능한 건조기 내부의 발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운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고열로 피건조물의 건조함에 따라 건조기의 열변형(신축)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고자 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건조기의 내부에서 피건조물이 건조될 때 발생되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내벽에 점착됨에 따라 전도열의 전열감소로 인한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피건조물이동관 및 그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의 단면형상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원(100); 상기 열원(100)의 열이 내부에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메인입구(210), 상기 메인입구(210)로 유입된 열원(100)이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열로 활용된 후 배출되는 통로인 메인출구(220),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피건조물투입구(230), 및 투입된 피건조물이 건조된 후 배출되는 피건조물배출구(240)가 구비되는 피건조물이동관(200); 및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건조물투입구(230)에서 투입된 피건조물을 상기 피건조물배출구(24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나선형의 플라이트(310, 310a) 및 상기 플라이트(310, 310a)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트(310, 310a)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320, 320a)이 구비되는 스크류(300); 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300)의 회전축(320, 320a)은 상기 원통형의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양측 단부측에 고정되어 회동하되, 상기 회전축(320, 320a)은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중심축(C)으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하향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나선형의 플라이트(310, 310a)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320, 320a)의 축방향에서 봤을 때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갖거나,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은 축방향에서 봤을 때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측으로 간접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열이 유입되는 간접열입구(410), 유입된 열이 배출되는 간접열출구(420) 및 유입된 열이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나선형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격벽(430)을 포함하는 간접열전달관(40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에 구비된 메인입구(210)의 일측에는 상기 열원(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부에서 건조되는 피건조물의 발화시 소화할 수 있도록 소화유체저장고(5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소화유체저장고(500)의 소화유체는 상기 메인입구(210)와 연통되거나,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일측에 구비된 별도의 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크류(300)의 회전축(320)은 중공축으로 내부에 유로(32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320)의 일측에는 보조입구(322)가 타측에는 보조출구(323)가 각각 구비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보조입구(322)에 유입되어 보조출구(323)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크류(300)에 구비된 플라이트(310)의 단부는, 상기 회전축(3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형성된 걸림턱(3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320)의 일측단부에는 열변형방지수단(6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열변형방지수단(600)은, 상기 회전축(32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10); 상기 베어링(610)과 체결되며,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 및 간접열전달관(400)의 신축에 따라 함께 회전축(3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630); 상기 슬라이더(6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축(640); 및 상기 안내축(640)을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열변형방지수단(600)은, 피건조물이동관(200) 또는 간접열전달관(400)의 외주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660) 및 상기 지지부(660)의 하부측에 체결되는 롤러(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피건조물 투입구(230)의 상부에는 로터리밸브(7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피건조물투입구(230)에 피건조물이 투입될 때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피건조물이동관(200) 내부의 온도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크류(300) 회전축(320a)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프레임(315)이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315)의 타측단부에는 나선형의 플라이트(310a)가 연결되어, 회전축(320a)과 플라이트(310a) 사이에 공간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건조시 필요한 열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처리비용을 절감하였다. 본 발명은 직접열에 의한 건조된 열풍을 사용하지 않고, 습윤 열풍을 사용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시 발생할 수 있는 발화의 위험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였으며, 피건조물의 건조시 발생가능한 건조기 내부의 발화시 연소기 내부 소화유체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 등을 제공하여, 발화시 안전하게 소화시킬 수 있다. 고열로 피건조물의 건조함에 따라 건조기의 열변형(신축)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동관 및 그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의 단면형상을 제공하여 건조기의 내부에서 피건조물이 건조될 때 피건조물의 건조기 벽에 점착 현상으로 인한 간접열의 전열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측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중 플라이트의 회전각에 따른 단면형상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증 플라이트의 회전에 따른 파형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중 열변형방지수단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 중 로터리밸브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 중 스크류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 중 피건조물이동관의 단면측을 나타내는 개념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측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열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유입되어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피건조물이동관(200), 피건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300), 피건조물이동관(200)내부에 간접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간접열전달관(400), 피건조물이동관(200) 내부에서 발화시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유체저장고(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등을 참고하여 보다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열원(100)은 피건조물에 직접열 또는 간접열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특히 열원(100)은 화력 등이 이용되는 연소기(미도시)를 활용하여 건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원(100)으로 약 200℃이상의 과열증기(습윤공기)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열증기는 역전점 온도 이상 온도에서 경막전열계수 값이 증가되어 피건조물의 건조속도가 건공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크게 증가하므로 피건조물의 건조 효과를 배가시키며, 고온의 건공기에 의한 발화의 위험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원(100)의 열은 후술하는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메인입구(210)로 유입된다. 한편, 외부공기(외기)는 후술하는 스크류(300)의 회전축(320) 일측 단부에 구비된 보조입구(322)로 유입되어 스크류(300)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피건조물이동관(200)에 대하여 상술한다. 피건조물이동관(200)은 열원(100)의 열이 유입되는 메인입구(210), 유입된 열이 배출되는 메인출구(220),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피건조물투입구(230), 및 투입된 피건조물이 건조된 후 배출되는 피건조물배출구(240) 등이 구비된다. 피건조물투입구(230)로 투입된 피건조물은 메인입구(210)로 유입된 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여 건조되기 시작하며, 건조된 건조물은 후술하는 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피건조물이동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피건조물배출구(240)로 배출된다. 건조된 피건조물은 별도 마련된 건조물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재활용된다. 한편, 건조시에 발생되는 가스, 수증기 등은 메인출구(220)를 통하여 배출된다. 메인출구(220)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 수증기 등은 정화장치(미도시)을 통하여 정화된 후 외기로 방출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출되는 가스, 수증기 등이 건조기의 건조열로 재활용되도록 열원발생장치(도면번호 '100' 또는 별도의 열원)에서 가열시켜 고온의 습윤공기를 만들어 간접열입구(410)로 투입시켜,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간접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수증기 등은 건조실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습도를 높여 피건조물의 건조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공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출구(220) 측에 송풍기(800)를 구비하여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스크류(300)가 타원형상을 갖을 때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다. 피건조물이동관(200) 및 간접열전달관(400)은 동일 중심(O)을 갖는 원통형상을 갖는 것이다. 반면, 도 7을 참고하면, 스크류(300)가 원형의 형상을 갖을 때,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단면형상은 타원형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건조과정 중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벽 보다 구체적으로 피건조물이동관(200)의 하측 내벽에 피건조물이 점착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스크류(300)에 대하여 상술한다. 스크류(300)는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피건조물투입구(230)에서 투입된 피건조물을 상기 피건조물배출구(24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나선형의 플라이트(310)와 플라이트(310)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플라이트(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320)을 갖는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스크류(300)의 회전축(320)은 원통형의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중심축(C)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는 피건조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기체 및 수증기 등의 통로를 마련해주기 위함이다.
도 1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스크류(300)에 구비된 플라이트(310)의 단부는 회전축(3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돌출형성된 걸림턱(311)이 마련된다. 플라이트(310)의 단부가 소정각도만큼 절곡된 것이다. 이는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부에 쌓이는 피건조물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면서 피건조물이동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스크류(300) 회전축(320a)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프레임(315)이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315)의 타측단부에는 나선형의 플라이트(310a)가 연결되어, 회전축(320a)과 플라이트(310a) 사이에 공간부(316)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공간부(316)가 회전축(320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피건조물의 이동시 열풍에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됨으로써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피건조물이동관(200)의 가상의 원의 중심(O)과 간접열전달관(400)의 가상의 원의 중심(O)는 일치되도록 설계된다. 반면 본 발명의 플라이트외주면(330)의 중심(320)은 전술한 원의 중심(O)보다 소정 거리만큼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플라이트 외주면(330)의 중심은 회전축(320)의 중심을 의미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플라이트 외주면(330)을 회전축(320)의 축방향으로 정사영했을 때 타원형이 되도록 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트 외주면이 원형을 갖을 경우 피건조물의 건조시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주면 측에 피건조물이 점착 고화됨에 따라 건조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2의 'A'는 점착 고화되는 피건조물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즉, 플라이트 외주면(330a)를 회전축(320)의 축방향으로 정사영했을 때 원형이라면, 도 2의 빗금친 면적(A)만큼 피건조물이 점착 고화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트 외주면(332)이 타원형으로 구비될 경우 (회전각도(0°~ 315°까지)에 따라 총 8가지의 상태를 도시함) 점착 고화되는 피건조물이 없어지거나, 제거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고하면, 타원형의 플라이트 외주면(332)에 있어서, 타원형의 장축과 단축을 함께 갖고 있음에 따라 원형의 플라이트 외주면에 비하여 면적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을 참고하여, 간접열전달관(400)을 상술한다. 간접열의 열원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소기(미도시)를 활용하여 건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원(100) 또는 기타 열원에서 공급되는 약 400℃이상의 과열증기(습윤공기 또는 건조시 발생된 유증기를 가열하여 만들어진 고온의 습공기)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간접열전달관(400)은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측으로 간접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였다. 즉, 간접열전달관(400)은 열이 유입되는 간접열입구(410), 유입된 열이 배출되는 간접열출구(420) 및 유입된 열이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나선형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격벽(430)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유입된 열은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면서 간접열전달관(400)의 간접열출구(420)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간접열전달관(400) 외부로 열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접열전달관(400) 외부를 단열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접열전달관(400)은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을 물론이며, 더 나아가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부로 간접열을 공급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소화유체저장고(500)에 대하여 상술한다. 소화유체저장고(500)는 피건조물이동관(200) 내부에서 과열로 인하여 발화시 이를 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소화유체는 물 또는 질소 등을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소화유체저장고(500)는 열원(100)에서 메인입구(210)로 유입되는 관로상에 3방향 밸브(미도시)를 사용하여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별도의 입구(미도시)를 마련하여 소화유체를 피건조물이동관(200) 내부로 유입시킬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또한, 소화유체는 사용자의 수동 작동에 의하여 투입시킬 수도 있으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등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소화유체저장고(500)의 내부유체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열변형방지수단(600)에 대하여 상술한다.
열변형방지수단(600)은 간접열전달관(400) 및 피건조물이동관(200) 등의 열변형 즉,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가 가변(신축)될 경우 이들을 지지하는 부분을 고정할 경우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축(320)의 일측단부에는 열변형방지수단(600)이 구비된다. 열변형방지수단(600)은 회전축(32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10)이 구비된다. 베어링(610)과 체결되며 피건조물이동관(200) 및 간접열전달관(400)의 신축에 따라 함께 회전축(3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630)가 구비된다. 슬라이더(6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축(640)이 슬라이더(630)에 구비된다. 한편, 안내축(640)을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650)가 구비된다. 즉, 베이스(680)의 상부측에 안내축(64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650)가 안내축(640)의 양단부를 지지고정한다. 안내축(640)의 길이는 간접열전달관(400) 및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신축 길이를 고려하면 될 것이다. 안내축(640)은 슬라이더(630)에 삽입되며, 슬라이더(630)의 상부측에 지지체(620)가 고정지지된다. 지지체(620)의 상부측에 회전축(320)의 회전을 보조하기 위한 베어링(610)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열변형방지수단(600)은 피건조물이동관(200) 또는 간접열전달관(400)의 외주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660)가 구비된다. 지지부(660)의 하부측에 체결되는 롤러(670)가 구비되어 피건조물이동관(200) 또는 간접열전달관(400)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를 참고하여 피건조물 투입구(23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로터리밸브(700)에 의하여 상술한다. 로터리밸브(700)는 상부측에 피건조물이 들어오는 투입구(710), 그 하부에 몸체(720)가 구비되며, 몸체(720)의 하부에는 피건조물투입구(230)와 연결되는 연결부(730)가 구비된다. 한편, 몸체(720)의 내부에는 다수의 날개가 구비된 회전판(740)이 구비되며, 회전판(74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750) 및 구동부(760)가 구비된다. 구동부(760)는 일측에 구비된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러한 로터리 밸브(760) 구조로 인하여, 회전판(740)의 특정 영역 내로 피건조물이 유입되어 회전축(750) 및 이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750)이 별도의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피건조물을 건조기 내로 투입시킨다. 투입과정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조기 내의 온도 하강을 예방한다.
100 : 열원 200 : 피건조물이동관
300 : 스크류 400 : 간접열전달관
500 : 소화유체저장고 600 : 열변형방지수단

Claims (9)

  1. 열원(100);
    상기 열원(100)의 열이 내부에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메인입구(210), 상기 메인입구(210)로 유입된 열원(100)이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열로 활용된 후 배출되는 통로인 메인출구(220),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피건조물투입구(230), 및 투입된 피건조물이 건조된 후 배출되는 피건조물배출구(240)가 구비되는 피건조물이동관(200); 및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건조물투입구(230)에서 투입된 피건조물을 상기 피건조물배출구(24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나선형의 플라이트(310, 310a) 및 상기 플라이트(310, 310a)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플라이트(310, 310a)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320, 320a)이 구비되는 스크류(300); 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300)의 회전축(320, 320a)은 상기 원통형의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양측 단부측에 고정되어 회동하되, 상기 회전축(320, 320a)은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중심축(C)으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하향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나선형의 플라이트(310, 310a)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320, 320a)의 축방향에서 봤을 때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갖거나,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은 축방향에서 봤을 때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측으로 간접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열이 유입되는 간접열입구(410), 유입된 열이 배출되는 간접열출구(420) 및 유입된 열이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나선형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격벽(430)을 포함하는 간접열전달관(4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에 구비된 메인입구(210)의 일측에는 상기 열원(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내부에서 건조되는 피건조물의 발화시 소화할 수 있도록 소화유체저장고(5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소화유체저장고(500)의 소화유체는 상기 메인입구(210)와 연통되거나,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의 일측에 구비된 별도의 입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00)의 회전축(320)은 중공축으로 내부에 유로(32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320)의 일측에는 보조입구(322)가 타측에는 보조출구(323)가 각각 구비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보조입구(322)에 유입되어 보조출구(323)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00)에 구비된 플라이트(310)의 단부는,
    상기 회전축(3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형성된 걸림턱(31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20)의 일측단부에는 열변형방지수단(6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열변형방지수단(600)은,
    상기 회전축(32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10);
    상기 베어링(610)과 체결되며, 상기 피건조물이동관(200) 및 간접열전달관(400)의 신축에 따라 함께 회전축(3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630);
    상기 슬라이더(6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축(640); 및
    상기 안내축(640)을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형방지수단(600)은,
    피건조물이동관(200) 또는 간접열전달관(400)의 외주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660) 및 상기 지지부(660)의 하부측에 체결되는 롤러(6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 투입구(230)의 상부에는 로터리밸브(7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피건조물투입구(230)에 피건조물이 투입될 때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피건조물이동관(200) 내부의 온도 하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00) 회전축(320a)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프레임(315)이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315)의 타측단부에는 나선형의 플라이트(310a)가 연결되어, 회전축(320a)과 플라이트(310a) 사이에 공간부(3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KR1020110121396A 2011-11-21 2011-11-21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KR10127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396A KR101279156B1 (ko) 2011-11-21 2011-11-21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396A KR101279156B1 (ko) 2011-11-21 2011-11-21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786A true KR20130055786A (ko) 2013-05-29
KR101279156B1 KR101279156B1 (ko) 2013-06-26

Family

ID=4866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396A KR101279156B1 (ko) 2011-11-21 2011-11-21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1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6893A (zh) * 2015-06-03 2015-09-09 中建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连续式卧式螺旋锥套回转干燥机
US9964356B2 (en) 2015-06-05 2018-05-08 Kenki Co., Ltd. Drier apparatus
CN108249718A (zh) * 2016-01-25 2018-07-06 金华知产婺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污泥减量消毒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458B1 (ko) * 2015-12-11 2017-03-20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유중증발 건조장치
KR102197839B1 (ko) 2020-07-08 2021-01-04 한경원 열풍 건조장치
KR102442990B1 (ko) 2022-04-12 2022-09-14 주식회사 드라이텍 식물성 잔재 폐기물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4765A (ja) 2002-01-23 2003-07-30 Sumitomo Heavy Ind Ltd 乾燥機
JP2005195277A (ja) 2004-01-08 2005-07-21 Shin Meiwa Ind Co Ltd 廃棄物の乾燥制御方法
JP4183689B2 (ja) 2005-02-08 2008-11-19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間接加熱型攪拌乾燥機
JP4690273B2 (ja) 2006-09-05 2011-06-01 株式会社御池鐵工所 乾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6893A (zh) * 2015-06-03 2015-09-09 中建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连续式卧式螺旋锥套回转干燥机
US9964356B2 (en) 2015-06-05 2018-05-08 Kenki Co., Ltd. Drier apparatus
CN108249718A (zh) * 2016-01-25 2018-07-06 金华知产婺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污泥减量消毒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156B1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156B1 (ko) 고효율 폐기물 건조기
JP3181483U (ja) スラッジを空気で乾燥させる装置
BR112012016328A2 (pt) processo e instalação de secagem de materiais pastosos, em particular lamas de estações de tratamento, com geração de energia térmica
CN106382790A (zh) 一种利用电厂烟气和蒸汽余热的褐煤干燥方法及干燥设备
CN103591779A (zh) 褐煤管式干燥机
HRP20180232T1 (hr) Postupak i oprema za proizvodnju čvrstog goriva iz mulja od otpadne vode
CN108947179A (zh) 一种污泥薄膜干燥机
JP2005238120A (ja) 減圧乾燥/炭化装置
WO2012093782A3 (ko) 슬러지 건조시스템
CN108006655A (zh) 一种热风循环垃圾脱水装置
KR101246098B1 (ko) 히트파이프이용 열매체유 간접가열 건조기
CN105541072A (zh) 一种膜式污泥烘干机
CN105906185A (zh) 一种污泥干化处理装置
JP6068969B2 (ja) Voc排出に対応した乾燥設備
KR101853725B1 (ko)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1236850B1 (ko) 슬러지 처리 장치
CN203857764U (zh) 干燥机
CN208814863U (zh) 一种污泥薄膜干燥机
KR101993646B1 (ko) 고수분 슬러지의 복합 건조장치
HU18478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spare drying particularly heat-sensitive materials furthermore materials generating toxic and/or stinking gases
KR100430073B1 (ko) 오폐수슬러지 건조장치
CN204824569U (zh) 一种膜式污泥烘干机
KR200265980Y1 (ko) 오폐수슬러지 건조장치
KR200335340Y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
KR101851391B1 (ko) 초고온 건조장치의 챔버 단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