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442A -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442A
KR20130055442A KR1020110121192A KR20110121192A KR20130055442A KR 20130055442 A KR20130055442 A KR 20130055442A KR 1020110121192 A KR1020110121192 A KR 1020110121192A KR 20110121192 A KR20110121192 A KR 20110121192A KR 20130055442 A KR20130055442 A KR 20130055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haft
pulley
stirring devic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지태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442A/ko
Priority to US13/307,742 priority patent/US20130126436A1/en
Publication of KR2013005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6Stirrers shaped as cylinders, ball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 B01F27/8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with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tirrer, e.g.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pivoting the stirrer about a vertical axis in order to co-operate with differen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30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 B01F29/3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upling to rotating frames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B01F29/321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upling to rotating frames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of test-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30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 B01F29/3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upling to rotating frames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B01F29/32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upling to rotating frames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of two or more containers supported for simultaneous mixing, e.g. for bottles in c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30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 B01F29/33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by imparting a combination of movements to two or mor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20Mixing the contents of independent containers, e.g. test tubes
    • B01F31/24Mixing the contents of independent containers, e.g. test tubes the containers being submitted to a recti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3Driving arrangements for vertical stirrer shafts
    • B01F35/3231Driving several stirrer shafts, e.g. about the sam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2Matrix clea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6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e.g. magnetic drain bo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 B01F35/41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by supporting only one extremity of the shaft
    • B01F35/411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by supporting only one extremity of the shaft at the top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6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analyte bound to insoluble magnetic carrier, e.g. using magnetic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동력부 및 상기 회전 동력부로부터 제1 동력전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로부터 제2 동력전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팔로우 샤프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쉘을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반장치{Sti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와 액체, 액체와 고체, 또는 분체 등을 휘저어 섞기 위한 교반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산업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현재, 핵산 등의 생물학적 물질들을 추출, 변형, 이용하는 등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실험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 타겟을 선별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또는 장치이다.
이러한 타겟의 추출 방법 또는 장치에는, 추출 효율을 높이고 추출물질의 순도를 높이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생물학적 물질에서 실험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 타겟을 유체로부터 추출하는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비드(bead) 또는 파티클(particle)을 이용한 방식인데, 이는 비드의 표면에 타겟을 포획할 수 있도록 타겟에 대응되는 리셉터(receptor)를 코팅하는 등의 처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때에 이용되는 비드는 자성에 반응하는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적절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다수개의 비드를 타겟이 함유되어 있는 유체 내부에 집어넣으면, 이 과정에서 비드 표면의 리셉터와 접촉한 타겟은 리셉터에 의해 포획된다. 위와 같은 과정은 비드와 타겟이 접촉하는 횟수가 증가할 수록 더욱 활성화되는데, 이는 교반 장치를 이용해 유체를 휘젓거나 유체 주변에 변화하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비드를 유체 내에서 움직이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위 과정을 거친 후의 비드에는 실험자의 의도대로 타겟 물질 이외에도 다른 불순물들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불순물에 의한 실험 결과의 신뢰성 저하를 막기 위해서, 추출된 물질로부터 타겟 물질을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불순물 제거 과정은, 우선 비드들을 자석으로써 포집한 후 이를 다른 세정액에 유입시킴으로써 진행되며, 세정액 내에서 불순물들은 비드로부터 제거된다.
하지만 상기 과정에서 다수개의 비드들이 서로 떨어지지 않은 채로 뭉쳐서 하나의 군집을 형성한 채로 세정액에 투입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에 군집의 외부에 위치하여 세정액과 접촉되는 비드의 표면에는 불순물 제거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반면, 군집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정액과 접촉이 어려운 비드의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들은 실험자의 의도와는 달리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이는 비드로부터 추출된 타겟의 순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세정액 내로 유입된 비드들이 뭉치지 않고 퍼지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교반장치 등을 이용해서 세정액을 휘저음으로써 비드들을 분리시키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종래의 교반장치는 다수개의 샤프트 및 모터를 포함하며, 각각의 샤프트에 부착된 기어들은 서로 맞물려 있어서 다수개의 샤프트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의 교반장치는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기어를 통해 각 샤프트에 전달하여 회전시키기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교반장치는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하는 구조적 특성상 기어의 맞물림저항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교반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부하를 증가시킨다. 이는 사용되는 모터 및 교반장치 전체의 크기의 증가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 또한 매우 커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등 상품성에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교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회전 동력부 및, 상기 회전 동력부로부터 제1 동력전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로부터 제2 동력전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팔로우 샤프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쉘을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에는 회전축을 따라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샤프트의 중공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일 단부는 막혀있고 타 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캡은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캡의 탈착을 위해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벨트, 랙앤피니언(rack and pinion), 롤러, 기어 및 체인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제1 동력전달부와 제2 동력전달부는 벨트로 구성될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와 제2 동력전달부는 각각 다른 이종의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력전달부는 벨트로 구성되고, 제2 동력전달부는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는, 벨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동력전달부는, 벨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벨트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에 설치된 제1 풀리 및 상기 제2 벨트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 및 상기 팔로우 샤프트에 설치된 제2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메인 샤프트에 설치된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에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를 동시에 회전하게 하는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상기 제1 풀리의 상부 및 상기 제2 풀리의 하부에는, 또는 상기 팔로우 샤프트의 상기 제2풀리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1벨트 및 상기 제2벨트는 일면에 돌기가 형성된 타이밍 벨트이며, 상기 제1풀리 및 상기 제2풀리에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돌기와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장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장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들은 적어도 두 개의 행과 열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벨트는 인접하는 열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교반장치의 작동효율을 상승시키고,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의 저감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교반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교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교반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교반장치를 Ⅳ-Ⅳ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교반장치에서 제2지지판 및 제2베어링을 제외한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교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교반장치 중 Ⅶ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샤프트 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교반장치 중 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교반장치 중 메인 샤프트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교반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교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교반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교반장치를 Ⅳ-Ⅳ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교반장치에서 제2지지판 및 제2베어링을 제외한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교반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교반장치 중 Ⅶ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샤프트 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4의 교반장치 중 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교반장치 중 메인 샤프트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교반장치(100)는 액체 또는 고체 등이 수용되어 있는 시험관 등에 샤프트를 넣고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액체 또는 고체 등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들을 고루 섞는 등의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교반장치(100)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들을 포함하는 샤프트 쉘(120), 상기 샤프트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생산하는 회전 동력부(110), 그리고 회전 동력부(110)에서 생산된 동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벨트(130) 등을 포함한다. 또한 교반장치(100)는 샤프트들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140) 및 벨트(1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캡(160) 및 지지판(17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동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100)에서 샤프트(121,122)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생산하며, 모터(111)와 동력부 풀리(112)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111)는 회전력을 생산하는 구성요소로서, 전기의 공급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생산하는 일반적인 전동모터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동력부(110)는 샤프트(121,122)에 전달될 수 있는 회전력을 생산하는 구성요소라면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예와 비슷하게 모터를 구성요소로 하더라도 상기 전동모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초음파 모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111)에는 모터의 회전 속도 또는 토크 등을 적절하게 변환시켜서 외부로 출력하는 기어박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샤프트는 저속 또는 고속으로 회전할 필요가 있는데, 기어박스(미도시)는 단일한 회전 속도 및 토크를 출력하는 모터(1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회전 속도 및 토크로 변환시켜서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기어박스(미도시)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가 필요한 회전속도를 가지도록 적절히 컨트롤할 수 있다.
모터(111)로부터 생산된 동력은 직접적으로 또는 기어박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동력부 풀리(112)에 전달되게 된다. 동력부 풀리(112)는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이때 동력부 풀리(112)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1벨트(131)도 동력부 풀리(112)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벨트(131)는 후술할 바와 같이 회전 동력부(110)에서 생산된 동력을 각 샤프트 쉘(120)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제1벨트(131)를 통해 많은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동력부 풀리(112)와 제1벨트(131) 사이에는 강한 마찰력이 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벨트(131)를 통해 더 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제1벨트(131)는 일면에 다수 개의 돌기가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제1벨트(131)의 돌기가 형성되는 일면과 접촉하는 동력부 풀리(112)의 측면에는 상기 제1벨트(131)의 돌기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는 치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벨트에 형성된 돌기와 동력부 풀리(112)에 형성된 치형은 서로 맞물려서 작동되며, 이는 평평한 면을 갖는 제1벨트(131) 및 동력부 풀리(112)의 조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 현상이 없어서 상대적으로 더 강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동력부(110)에서 생산된 동력은 제1벨트(131)를 통해 각 샤프트 쉘(120)에 전달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교반장치(100)는 4개의 샤프트 쉘(120)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2지지판(172)의 중앙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돌출부를 기준으로 할 때 돌출부가 구획하는 각 영역에는 6개의 샤프트들(121,122)을 포함하는 하나의 샤프트 쉘(120)이 위치해 있다. 또한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된 Ⅶ 부분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부분은 하나의 샤프트 쉘(120)을 나타내고 있다.
각 샤프트 쉘(120)은 한 개의 메인 샤프트(121), 다섯 개의 팔로우 샤프트(122), 제1풀리(123), 제2풀리(124) 및 아이들러 풀리(125)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우선 본 발명의 교반장치에서 풀리(pulley)는 벨트풀리 또는 벨트바퀴를 나타내며, 벨트와 접촉하며 회전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풀리는 제1풀리(123) 및 제2풀리(124)를 포함하며, 이는 각각 제1벨트(131) 및 제2벨트(132)와 접촉하며 회전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벨트(131)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접촉하는 제1풀리(123)의 측면에는 상기 돌기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풀리(124)와 제2벨트(132) 사이의 원활한 동력 전달을 위해서, 마찬가지로 제2벨트(132)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돌기가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벨트(132)와 접촉하는 제2풀리(124)의 측면에는 상기 돌기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121, 122)는 회전 동력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회전체로서, 그 일부가 액체 등의 내부에 포함된 채로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액체 등을 뒤섞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샤프트(121,122)는 길게 연장된 원통의 형상을 가지며, 원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샤프트(121,122)를 관통하도록 내부에는 중공부(121a,1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중공부(121a,122a)에는 긴 막대 형태의 자석(미도시)이 들어와서 액체 내부에 포함된 마그네틱 비드(magnetic bead)를 포집하는 경우에 쓰일 수 있다.
교반장치(100)는 생물학적 시료를 추출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쓰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의 특성상 결과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교반장치(100)는 샤프트(121,122)의 하부 일부를 덮는 캡(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캡(160)은 일회용으로, 또는 일회 사용 후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샤프트(121,122)에 대해서 탈착이 가능한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9를 살펴보면,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도록 본 실시예에서 캡(160)은 일단이 막혀있고 타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에 샤프트(121, 122)의 하부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서 상기 타단의 주변에는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16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60a)에 상응하도록 샤프트(121, 122)의 하부 일부에는 캡(160)의 탈착을 위해서 상기 돌기(160a)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121b, 12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캡(160)에 형성된 돌출부(160a)의 일부가 샤프트(121, 122)에 형성된 홈(121b, 122b)에 수용됨으로써, 캡(160)이 샤프트(121, 122)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이 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캡(160)이 샤프트(121, 122)에 탈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캡은 샤프트(121,122)에 형성된 중공부(121a,122a)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캡의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 형태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개시된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미도시)을 샤프트(121,122)에 형성된 중공부(121a,122a)에 삽입시켜 마그네틱 비드를 포집시키는 경우, 자석(미도시)의 자기장이 캡(160)을 통과하여 마그네틱 비드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캡(160)은 자기장을 차폐시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 캡은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샤프트(121,122)는 제1지지판(171) 및 제2지지판(172)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때, 제1지지판(171) 및 제2지지판(172)과 샤프트(121,12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샤프트(121,122)의 원활한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1지지판(171) 및 제2지지판(172)과 각각 접촉하는 샤프트(121,122)의 일부에는 베어링(1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샤프트(121,122)는 메인 샤프트(121)와 팔로우 샤프트(122)를 포함하는데, 메인 샤프트(121)는 회전 동력부(110)로부터 제1벨트(131)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이며, 팔로우 샤프트(122)는 메인 샤프트(121)로부터 제2벨트(132)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샤프트이다.
메인 샤프트(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벨트(131)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동력을 제2벨트(132)를 통해 다른 팔로우 샤프트(122)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메인 샤프트(121)에는 제1벨트(131)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제1풀리(123), 및 제2벨트(132)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제2풀리(124)가 모두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샤프트(121)에 설치된 제1풀리(123) 및 제2풀리(124)는 전부 제1지지판(171) 및 제2지지판(17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메인 샤프트(121)에 설치된 제1풀리(123)는 상단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제2 지지판(172)에 가까이에 위치하며, 제2풀리(124)는 하단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제1 지지판(171)에 가까이 위치한다. 제1풀리(123)와 제2풀리(124)는 모두 샤프트에 부착되어 있어서, 제1풀리(123)와 제2풀리(124)가 회전할 때 샤프트도 같이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 때 보다 안정적인 회전운동을 위해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메인 샤프트(121)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 홈(12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풀리(123) 및 제2풀리(124)에 형성된 풀리 홈(123c,124c)과 샤프트 홈(121c)에는 각각 강체(rigid body)인 키(180)의 일부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키(180)는 메인 샤프트(121), 제1풀리(123) 및 제2풀리(124)가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들을 구속하며, 보다 강한 회전력의 전달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팔로우 샤프트(122)는 메인 샤프트(121)로부터 제2벨트(132)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팔로우 샤프트(122)에는 제2벨트(132)와 접촉하며 회전하는 제2풀리(1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를 살펴보면, 메인 샤프트(121)의 제1풀리(123)가 설치된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한 팔로우 샤프트(122)의 상단에는 별도의 풀리(pulley)가 배치되지 않아서, 팔로우 샤프트(122)는 제1벨트(131)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술한 키(180)가 팔로우 샤프트(122)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키(180)는 전술한 메인 샤프트(121)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일부가 팔로우 샤프트(122)와 제2풀리(124)에 각각 형성된 홈(미도시)에 수용되어서 팔로우 샤프트(122)와 제2풀리(124)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구속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샤프트 쉘(120)의 전체적인 배치를 살펴보면, 하나의 샤프트 쉘(120)은 한 개의 메인 샤프트(121)와 다섯 개의 팔로우 샤프트(122), 그리고 추가적으로 아이들러 풀리(125)를 포함한다. 총 6개의 샤프트(121,122)는 2행 3열의 구조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샤프트의 제2풀리(124)와 아이들러 풀리(125)는 제2벨트(13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모든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면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또한 한 샤프트 쉘에 포함될 수 있는 샤프트의 수도 6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의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특징적으로 한 행의 풀리(123,124)들은 그 중 인접하는 두 풀리 사이로 제2벨트(132)가 관통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2벨트(132)의 이와 같은 지그재그 형태의 배치는 제2벨트(132)와 제2풀리(124)가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서 보다 안정적인 동력의 전달을 구현하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도 8에는 도 7의 샤프트 쉘(120) 배치에 관한 일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샤프트 쉘(120 )은 도 7과는 달리 한 행의 풀리(123,124)에서 인접하는 두 풀리 사이로 제2벨트(132)가 관통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후술할 제2 장력 조절 장치(152 )에 의해서 이러한 배치로도 제2벨트(132)와 제2풀리(124)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동력을 벨트를 통해서 전달하는 만큼, 벨트의 장력에 따라서 동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는 제1벨트 및 제2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0)도 역시 제1벨트(131) 및 제2벨트(132) 각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장치(150)를 포함하고 있다. 장력 조절 장치(150)는 제1벨트(131)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장력 조절 장치(151)와 제2벨트(132)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장력 조절 장치(15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장력 조절 장치(151)는 회전 동력부(110)에 설치되어서, 회전 동력부(110)가 샤프트 쉘(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혹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즉, 제1 장력 조절 장치(151)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동력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회전 동력부(110)가 샤프트 쉘(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벨트(131)의 장력은 강해지며, 반대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벨트(131)의 장력은 약해진다. 따라서, 회전 동력부(110)를 이동시키면서 제1벨트(131)에 적당한 장력이 가해지는 지점에서 고정시킴으로써 제1벨트(131)에 적절한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1벨트(13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 실시예에 개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장력 조절 장치(152)는 아이들러 풀리(125)에 설치되어서, 아이들러 풀리(125)가 포함된 샤프트 쉘(120) 내의 샤프트(121,122)로부터 아이들러 풀리(125)가 멀어지는 방향 혹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즉, 제2 장력 조절 장치(152)는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아이들러 풀리(125)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아이들러 풀리(125)가 샤프트 쉘(120) 내의 샤프트(121,1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벨트(132)의 장력은 강해지며, 반대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벨트(132)의 장력은 약해진다. 따라서, 아이들러 풀리(125)를 이동시키면서 제2벨트(132)에 적당한 장력이 가해지는 지점에서 고정시킴으로써 제2벨트(132)에 적절한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2벨트(13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 실시예에 개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샤프트 쉘(120)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샤프트 쉘(120 )은 2행 3열로 배치된 6개의 샤프트 및 제2 장력 조절 장치(152 )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의 제2 장력 조절 장치(152 )는 각 행의 샤프트들 중에서 인접하는 열의 샤프트들 사이에 위치하여, 제2벨트(132)의 장력을 조절한다. 본 제2 장력 조절 장치(152 )는 제2벨트(132)를 인접하는 샤프트들 사이의 공간으로 일부 이동시킴으로써, 제2벨트(132)의 장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제2벨트(132)와 제2풀리(124)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샤프트의 원활한 회전 운동에 기여한다. 본 제2 장력 조절 장치(152 )는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동시에 제2벨트(132)를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제2 장력 조절 장치(152 )는 샤프트 쉘(120)의 내부로 이동할수록 제2벨트(132)의 장력이 강해지며, 반대로 샤프트 쉘(120)의 외부로 이동할수록 제2벨트(132)의 장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제2 장력 조절 장치(152 )를 이동시키면서 제2벨트(132)에 적당한 장력이 가해지는 지점에서 이를 고정시킴으로써 제2벨트(132)에 가해지는 적절한 수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베어링(141, 142)은 샤프트(121, 12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요소로서, 본 실시예의 베어링은 제1베어링(141)과 제2베어링(142)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베어링(141)은 제1지지판(17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며, 제1베어링(141)에 형성된 구멍에는 샤프트(121, 122)가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1베어링(141)은 내면과 외면을 각각 샤프트(121, 122)와 제1지지판(171)과 접촉하여, 샤프트(121, 122)가 회전 중에 흔들리는 현상을 줄이며 샤프트(121, 122)가 적은 마찰을 받으며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 제1베어링(141)은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을 포함한 다양한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제2베어링(142)은 제2지지판(172)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며, 제2베어링(142)에 형성된 구멍에는 샤프트 (121, 122)가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2베어링(142)은 내면과 외면을 각각 샤프트(121, 122)와 제2지지판(172)과 접촉하여서, 샤프트(121, 122)가 회전 중에 흔들리는 현상을 줄이며 샤프트(121, 122)가 적은 마찰을 받으며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 제2베어링(142)은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을 포함한 다양한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메인 샤프트(121)의 제1풀리(123)의 상부에는 제2베어링(142)이, 제2풀리(124)의 하부에는 제1베어링(141)이 설치되어 있고, 팔로우 샤프트(122)의 제2풀리(124)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제2베어링(142)과 제1베어링(141)이 설치되어 있어서, 샤프트(121,122)의 회전을 가이드함으로써 샤프트(121,122)의 원활한 회전 및 회전 중 흔들림 감소에 크게 기여를 한다.
다음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제1벨트(131) 및 제2벨트(132)의 장력을 적당히 조절하기 위해서 장력 조절 장치(151,152)를 사용한다. 제1벨트(131)의 장력 조절을 위해서 회전 동력부(110)를 이동시키면서 제1벨트(131)에 작용하는 장력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지점에서 회전 동력부(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벨트(132)의 장력 조절을 위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아이들러 풀리(125)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장력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샤프트(121, 122)의 일부를 액체 등의 내부에 넣은 후 회전 동력부(110)를 작동시킨다. 전기를 전달받은 모터(111)에서 발생한 동력은 동력부 풀리(112)를 통해서 제1벨트(131)에 전달된다. 동력을 전달받은 제1벨트(131)는 이와 접촉하는 각 샤프트 쉘(120)의 메인 샤프트(121)에 설치된 제1풀리(123)와 접촉하며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제1풀리(123)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풀리(123)를 회전시킨다. 제1풀리(123)의 회전은 메인 샤프트(121)뿐 아니라 이에 부착된 제2풀리(124)도 함께 회전시키며, 제2풀리(124)의 회전력은 제2벨트(132)를 통해서 같은 샤프트 쉘(120) 내부의 팔로우 샤프트(122)에 전달되어 팔로우 샤프트(122)를 회전시킨다. 이 때 샤프트 쉘(120)과 제2벨트(132)의 배치 특성상, 각 열의 인접하는 샤프트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이러한 샤프트의 회전은 액체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액체를 뒤섞는다.
본 발명에 관한 교반장치는 벨트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소음의 감소로 인해서 사용자가 소음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불쾌감을 해소하며, 상품성을 높이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요구되는 모터의 부하도 줄일 수 있어서, 작은 크기 및 용량의 모터를 채용함으로써 교반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종래 기술과 같이 기어로써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는, 기어들간의 마찰로 발생하는 열로 인해서 교반장치 자체의 온도가 증가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열이 교반장치가 적용되는 시료에 전달되어 시료를 변형시킬 수 있다는 단점을 가졌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가 종래 기술과는 달리 벨트를 채용한 결과, 작동 시 발생하는 열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교반장치 110: 회전 동력부
120: 샤프트 쉘 121: 메인 샤프트
122: 팔로우 샤프트 131: 제1벨트
132: 제2벨트 133: 제1풀리
134: 제2풀리 150: 장력 조절 장치
160: 캡 171: 제1지지판
172: 제2지지판

Claims (13)

  1. 회전 동력부; 및
    상기 회전 동력부로부터 제1 동력전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로부터 제2 동력전달부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팔로우 샤프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쉘;을 포함하는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회전축을 따라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교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중공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일 단부는 막혀있고 타 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캡을 더 포함하는 교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캡의 탈착을 위해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교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벨트, 랙앤피니언(rack and pinion), 롤러, 기어 및 체인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교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는, 벨트인 교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전달부는, 벨트인 교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에 설치된 제1 풀리; 및
    상기 제2 벨트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 및 상기 팔로우 샤프트에 설치된 제2 풀리;를 더 포함하는 교반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에 설치된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에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를 동시에 회전하게 하는 키를 더 포함하는 교반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 및 상기 제2벨트는 일면에 돌기가 형성된 타이밍 벨트이며,
    상기 제1풀리 및 상기 제2풀리에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돌기와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 교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장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교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장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교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들은 적어도 두 개의 행과 열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벨트는 인접하는 열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관통하여 지나가는 교반장치.
KR1020110121192A 2011-11-18 2011-11-18 교반장치 KR20130055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92A KR20130055442A (ko) 2011-11-18 2011-11-18 교반장치
US13/307,742 US20130126436A1 (en) 2011-11-18 2011-11-30 Stir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92A KR20130055442A (ko) 2011-11-18 2011-11-18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442A true KR20130055442A (ko) 2013-05-28

Family

ID=4842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192A KR20130055442A (ko) 2011-11-18 2011-11-18 교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26436A1 (ko)
KR (1) KR201300554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26245B (zh) * 2014-04-02 2016-03-21 台灣圓點奈米技術股份有限公司 攪拌裝置及齒輪組
ES2672375T3 (es) * 2014-05-13 2018-06-14 Luca Drocco Sistema automatizado para asociar un agitador con un recipiente respectivo para contener fluido y método del mismo
EP3222988A4 (en) * 2014-11-18 2017-11-22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Specimen fragmentation device and method for same
US20180345237A1 (en) * 2015-02-09 2018-12-06 Taiwan Advanced Nanotech Inc. Stirrer set and stirring device
WO2017083705A1 (en) * 2015-11-13 2017-05-1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ell cul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JP6959105B2 (ja) * 2016-11-11 2021-11-02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撹拌装置
US20220364061A1 (en) * 2019-06-28 2022-11-17 Vanderbilt University Bioreactor systems
CN115445489A (zh) * 2022-08-10 2022-12-09 武汉大学 一种采血管混匀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26436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5442A (ko) 교반장치
US5346303A (en) Shaker/incubator
JP5055524B2 (ja) 土壌ふるい器
CN105229216B (zh) 滚筒洗衣机
KR101183819B1 (ko) 고춧가루 철분 제거기
JP2009119587A (ja) 遠心型バレル加工機
CN206427839U (zh) 一种具有双折刀结构的折页机
US20050145646A1 (e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heating a substance in a container
CN211886588U (zh) 一种血液检验摇混装置
KR101719581B1 (ko) 폐 흑연 재생장치 및 그 재생장치를 이용한 폐 흑연 재생방법
CN113117813B (zh) 一种多功能药物研磨装置
JP2011225350A (ja) エレベータドアのドアシュー
JP5335446B2 (ja) 田植機
CN114653265A (zh) 一种绿色畜禽饲料生物添加剂制备系统
CN108032171A (zh) 一种表盖打磨装置
KR100905920B1 (ko) 디스크 세정장치
CN110382341A (zh) 多级变速自行车
CN109847889B (zh) 一种食用油榨油设备用研磨装置
EP2436813B1 (en) Knitting element comprising a rotor and knitting machine comprising that knitting element
CN1443257A (zh) 带有驱动机构的设备
CN102389735A (zh) 混拌机
CN217633548U (zh) 一种磁力型超越离合器
CN209155699U (zh) 一种色母粒搅拌机
CN211042902U (zh) 一种检验科用血液自动混摇装置
JP2004243167A (ja) 乳鉢を用いる摺り潰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