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279A - 스핀들 모터 - Google Patents

스핀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279A
KR20130055279A KR1020110120942A KR20110120942A KR20130055279A KR 20130055279 A KR20130055279 A KR 20130055279A KR 1020110120942 A KR1020110120942 A KR 1020110120942A KR 20110120942 A KR20110120942 A KR 20110120942A KR 20130055279 A KR20130055279 A KR 20130055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gap
thrust plate
shaft
uppe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신영
김주호
유창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279A/ko
Priority to US13/396,099 priority patent/US20130129268A1/en
Publication of KR2013005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2Assembling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7/1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 F16C17/107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with at least one surface for radial load and at least one surface for axial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11B19/2036Motors characterized by fluid-dynam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70/00Apparatus relating to physics, e.g. instruments
    • F16C2370/12Hard disk driv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는 하단부가 베이스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 설치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제1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는 상부 슬리브와,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와 제2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는 하부 슬리브 및 상기 상,하부 슬리브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터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슬리브는 상기 상부 슬리브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슬리브는 상기 상부 슬리브와 결합시 상기 연장부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상부 슬리브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간극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핀들 모터{Spnindle motor}
본 발명은 스핀들 모터에 관한 것이다.
서버(Server)용의 하드 디스크(Hard disk) 구동 장치 등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는 내충격성이 강한 축을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의 박스에 고정한 소위 축 고정형의 스핀들 모터가 일반적으로 탑재된다.
즉, 서버용의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에 탑재되는 스핀들 모터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서버에 기록되는 정보가 파손 및 기록/판독을 할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샤프트가 고정 설치된다.
한편, 기업용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에 탑재되는 스핀들 모터에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고정형 샤프트를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특성 향상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다시 말해, 스핀들 모터를 구성하는 로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져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여 회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샤프트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데,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와의 갭은 회전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된다.
그런데, 슬리브를 샤프트에 설치하는 경우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슬리브와의 갭을 관리하기 어려우며, 상기한 갭을 관리하기 위하여 조립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는 샤프트와 함께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며, 이 베어링 간극에 윤활유체가 충진된다. 그런데, 외부충격시 윤활유체가 외부로 누설되어 회전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외부충격시 윤활유체의 누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축 고정형의 스핀들 모터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슬리브와의 갭 관리가 용이한 스핀들 모터가 제공된다.
또한, 외부충격시 윤활유체의 누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스핀들 모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는 하단부가 베이스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 설치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제1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는 상부 슬리브와,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와 제2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는 하부 슬리브 및 상기 상,하부 슬리브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터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슬리브는 상기 상부 슬리브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슬리브는 상기 상부 슬리브와 결합시 상기 연장부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상부 슬리브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간극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은 상기 간극조정부의 내주면과 함께 기액게면을 형성토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리브는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과 상기 간극조정부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홈은 상기 상부 슬리브의 저면과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리브는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과 상기 간극조정부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슬리브의 내부면에는 레디얼 방향의 유체 동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압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간극형성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연장부와의 사이 간극과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하부 슬리브의 상면과의 사이 간극의 합은 상기 간극조정부와 상기 연장부의 길이의 차이와 같을 수 있다.
상부 슬리브의 연장부와 하부 슬리브의 간극조정부를 통해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슬리브와의 갭이 일정하도록 상,하부 슬리브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회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 슬리브의 연장부와 하부 슬리브의 간극조정부에 의해 기액계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외부충격시 윤활유체의 누설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구비되는 상부 슬리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구비되는 상부 슬리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구비되는 상부 슬리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100)는 베이스부재(110), 샤프트(120), 스러스트 플레이트(130), 상부 슬리브(140), 하부 슬리브(150) 및 로터 허브(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100)는 일예로서 서버용의 하드디스크 구동 장치 등의 정보 기록 재생장치에 채용되는 모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100)는 크게 스테이터(20)와 로터(40)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20)는 회전하는 부재를 제외한 모든 고정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베이스부재(110), 샤프트(120), 스러스트 플레이트(130), 스테이터 코어(10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40)는 샤프트(1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부 슬리브(140), 하부 슬리브(150), 로터 허브(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10)는 샤프트(120)의 하단부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홀(11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110)에는 설치홀(112)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스테이터 코어(102)가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102)에는 코일(104)이 권선되며, 스테이터 코어(102)에 권선된 코일(104)의 일단부는 베이스부재(110)의 인출홀(116)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114)의 내부에는 하부 슬리브(15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120)는 하단부가 베이스부재(110)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샤프트(120)의 하단부는 베이스부재(110)의 설치홀(11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스러스트 플레이트(130)는 샤프트(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러스트 플레이트(130)는 샤프트(12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러스트 플레이트(130)의 저면 또는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로터(40)의 회전시 충진된 윤활유체를 펌핑하여 스러스트 유체 동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스러스트 동압 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러스트 플레이트(130)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30)가 샤프트(120)의 중앙부에 설치되므로, 베어링 스팬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부 슬리브(140)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샤프트(120)와 제1 베어링 간극(C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베어링 간극(C1)에는 윤활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슬리브(140)는 로터 허브(160)의 회전시 로터 허브(160)와 함께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슬리브(140)의 외부면은 로터 허브(160)의 내부면에 접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슬리브(140)의 내부면에는 레디얼 방향의 유체 동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압 그루브(1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동압 그루브(142)의 상부측에는 윤활유체와 공기와의 계면, 즉 제1 기액계면(G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슬리브(140)는 하부 슬리브(15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연장부(144)의 외주면은 윤활유체와 공기와의 계면, 즉 제2 기액계면(G2)을 형성토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부 슬리브(140)에는 연통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슬리브(140)의 저면, 보다 자세하게는 연장부(144)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 슬리브(140)의 저면과, 상부 슬리브(140)의 외주면에는 연통홈(14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와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되는 공간과의 기압이 동일할 수 있어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축 방향은 도 1에서 상,하 방향, 즉 샤프트(12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샤프트(12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반경방향은 도 1에서 좌,우 방향, 즉 로터 허브(160)의 외주면으로부터 샤프트(120)를 향하는 방향, 또는 샤프트(120)로부터 로터 허브(160)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원주방향은 로터 허브(16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하부 슬리브(150)는 상부 슬리브(14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샤프트(120)와 제2 베어링 간극(C2)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슬리브(150)는 상부 슬리브(140)의 조립시 연장부(144)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상부 슬리브(140)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간극형성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간극형성부(152)의 상면이 상부 슬리브(140)의 저면에 접합되도록 하부 슬리브(150)와 상부 슬리브(140)가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 슬리브(140)와 하부 슬리브(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30)와 상,하부 슬리브(140,150)에 형성되는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간극형성부(152)의 상면이 상부 슬리브(140)의 저면에 접합되도록 하부 슬리브(150)와 상부 슬리브(140)를 고정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30)와 상,하부 슬리브(140,150)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의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스러스트 플레이트(130)와 상,하부 슬리브(140,150)에 의해 형성되는 축 방향 간극은 h1 - h2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간극형성부(152)의 내주면과 연장부(144)의 외주면의 사이에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슬리브(140)에는 간극형성부(152)의 내주면과 연장부(144)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극형성부(152)의 내주면과 연장부(144)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대기압 상태가 되어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러스트 플레이트(140)는 하부 슬리브(150)의 간극형성부(152)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슬리브(140)와 하부 슬리브(1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도 윤활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러스트 플레이트(140)는 윤활유체에 잠겨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하부 슬리브(150)의 하단부, 다시 말해 동압 그루브(154)의 하부측에는 윤활유체와 공기와의 계면, 즉 제3 기액계면(G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간극형성부(152) 외주면 상단부는 로터 허브(160)의 내주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 허브(160)의 회전시 하부 슬리브(150)는 상부 슬리브(140)와 로터 허브(16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슬리브(150)의 내부면에는 레디얼 방향의 유체 동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압 그루브(15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슬리브(150)의 회전시 제2 베어링 간극(C2)에 충진된 윤활유체를 펌핑하여 유체동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부 슬리브(150)의 내부면에는 동압 그루브(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슬리브(140)의 동압 그루브(142)와 하부 슬리브(150)의 동압 그루브(154) 사이에 스러스트 플레이트(130)가 배치되므로, 동압 그루브(142,154) 사이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 스팬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국 회전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슬리브(140)의 연장부(144)가 하부 슬리브의 간극형성부(15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 슬리브(140)의 연장부(144)가 하부 슬리브(150)의 간극형성부(152)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부 슬리브(140)에 간극형성부가 구비되고 하부 슬리브(150)에 연장부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로터 허브(160)는 상,하부 슬리브(140,15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 허브(160)는 중앙에 관통홀(162a)이 형성되는 바디(162)와, 바디(162)의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마그넷 장착부(164) 및 마그넷 장착부(164)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 안착부(166)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바디(162)의 내부면은 상부 슬리브(140)의 외부면과 하부 슬리브(150)의 간극형성부(152) 외부면과 접합될 수 있다.
즉, 로터 허브(160)의 회전시 상부 슬리브(140)와 하부 슬리브(150)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바디(162)의 내부면은 상,하부 슬리브(140,150)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 장착부(164)의 내부면에는 구동 마그넷(106)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넷(106)은 스테이터 코어(102)의 선단에 대향 배치되도록 마그넷 장착부(164)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로터 허브(160)의 회전 구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스테이터 코어(102)에 권선된 코일(104)에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 마그넷(106)과 코일(104)이 권선된 스테이터 코어(102)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에에 의해 로터 허브(160)가 회전될 수 있는 구동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로터 허브(160)가 회전되며, 결국 로터 허브(160)에 접합 설치되는 상,하부 슬리브(140,150)가 로터 허브(16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부 슬리브(140,150)에 형성되는 연장부(144)와 간극형성부(152)에 의해 상,하부 슬리브(140,150)와 스러스트 플레이트(130)가 형성하는 간극의 관리가 가능하여 조립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44)와 간극조정부(1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외부충격시 윤활유체의 외부 누설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외부충격시 윤활유체가 연장부(144)와 간극조정부(1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윤활유체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윤활유체의 누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조립 공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베이스부재(110)의 장착부(114) 내부에 하부 슬리브(150)를 안착 시킨다. 이때, 베이스부재(110)의 설치홀(112)은 하부 슬리브(150)의 개구부 하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20)가 베이스부재(110)에 설치된다. 즉, 샤프트(120)의 하단부가 베이스부재(110)의 설치홀(112)에 삽입되도록 샤프트(120)가 베이스부재(1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샤프트(120)의 하단부는 베이스부재(110)의 설치홀(112)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 슬리브(150)의 상면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30)의 저면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은 일정하게 관리될 수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슬리브(140)를 샤프트(120)에 장착한다. 이때, 하부 슬리브(150)의 간극형성부(152)의 상면이 상부 슬리브(140)의 저면에 접합되도록 하부 슬리브(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슬리브(140)와 하부 슬리브(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30)와 상,하부 슬리브(140,150)에 형성되는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간극형성부(152)의 상면이 상부 슬리브(140)의 저면에 접합되도록 하부 슬리브(150)와 상부 슬리브(140)를 고정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30)와 상,하부 슬리브(140,150)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의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스러스트 플레이트(130)와 상,하부 슬리브(140,150)에 의해 형성되는 축 방향 간극은 h1 - h2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부 슬리브(140,150)에 형성되는 연장부(144)와 간극형성부(152)에 의해 상,하부 슬리브(140,150)와 스러스트 플레이트(130)가 형성하는 간극의 관리가 가능하여 조립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44)와 간극조정부(1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외부충격시 윤활유체의 외부 누설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외부충격시 윤활유체가 연장부(144)와 간극조정부(1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윤활유체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윤활유체의 누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구비되는 상부 슬리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200)는 일예로서, 베이스부재(210), 샤프트(220), 스러스트 플레이트(230), 상부 슬리브(240), 하부 슬리브(250) 및 로터 허브(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재(210), 샤프트(220), 스러스트 플레이트(230), 상부 슬리브(240), 하부 슬리브(250) 및 로터 허브(26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100)는 베이스부재(110), 샤프트(120), 스러스트 플레이트(130), 상부 슬리브(140), 하부 슬리브(150) 및 로터 허브(160)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상부 슬리브(240)는 스러스트 플레이트(2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샤프트(220)와 제1 베어링 간극(C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베어링 간극(C1)에는 윤활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슬리브(240)는 로터 허브9260)의 회전시 로터 허브(260)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슬리브(240)의 외부면은 로터 허브9260)의 내부면에 접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슬리브(240)는 저면으로부터 축방향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244)의 외주면은 윤활유체와 공기와의 계면, 즉 제2 기액계면(G2)을 형성토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슬리브(240)에는 연통홀(24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슬리브(240)의 저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형성되되 연장부(244)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연통홀(246)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와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되는 공간과의 기압이 동일할 수 있어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하부 슬리브(250)에는 간극형성부(252)가 형성되며, 간극형성부(252)의 내주면과 연장부(244)의 외주면의 사이에 제2 기액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슬리브(240)에는 간극형성부(252)의 내주면과 연장부(244)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홈(246)이 상부 슬리브(24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극형성부(252)의 내주면과 연장부(244)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대기압 상태가 되어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부 슬리브(240,250)에 형성되는 연장부(244)와 간극형성부(252)에 의해 상,하부 슬리브(240,250)와 스러스트 플레이트(230)가 형성하는 간극의 관리가 가능하여 조립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244)와 간극조정부(2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제2 기액계면(G2)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외부충격시 윤활유체의 외부 누설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외부충격시 윤활유체가 연장부(244)와 간극조정부(2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윤활유체의 유동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윤활유체의 누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0, 200 : 스핀들 모터 110, 210 : 베이스부재
120, 220 : 샤프트 130, 230 : 스러스트 플레이트
140, 240 : 상부 슬리브 150, 250 : 하부 슬리브
160, 260 : 로터 허브

Claims (8)

  1. 하단부가 베이스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 설치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제1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는 상부 슬리브;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와 제2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는 하부 슬리브; 및
    상기 상,하부 슬리브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터 허브;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슬리브는 상기 상부 슬리브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슬리브는 상기 상부 슬리브와 결합시 상기 연장부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상부 슬리브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간극조정부를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은 상기 간극조정부의 내주면과 함께 기액게면을 형성토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리브는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과 상기 간극조정부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홈을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홈은 상기 상부 슬리브의 저면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리브는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과 상기 간극조정부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홀을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슬리브의 내부면에는 레디얼 방향의 유체 동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압 그루브가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간극형성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고정 설치되는 스핀들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연장부와의 사이 간극과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하부 슬리브의 상면과의 사이 간극의 합은 상기 간극조정부와 상기 연장부의 길이의 차이와 같은 스핀들 모터.
KR1020110120942A 2011-11-18 2011-11-18 스핀들 모터 KR20130055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942A KR20130055279A (ko) 2011-11-18 2011-11-18 스핀들 모터
US13/396,099 US20130129268A1 (en) 2011-11-18 2012-02-14 Spindle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942A KR20130055279A (ko) 2011-11-18 2011-11-18 스핀들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279A true KR20130055279A (ko) 2013-05-28

Family

ID=4842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942A KR20130055279A (ko) 2011-11-18 2011-11-18 스핀들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29268A1 (ko)
KR (1) KR201300552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7279B2 (en) * 2013-06-20 2015-08-04 Seagate Technology Llc Rotating shaft top cover attached motor
US9418697B2 (en) * 2013-11-19 2016-08-16 Seagate Technology Llc Radial channel with fluid reservoir
TWI705190B (zh) * 2019-08-27 2020-09-2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軸承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29268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6161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
JPWO2005121575A1 (ja) 流体動圧軸受、モータおよび記録媒体駆動装置
KR20130088355A (ko) 스핀들 모터
KR20130055279A (ko) 스핀들 모터
KR20130065194A (ko) 스핀들 모터
JP5521230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ー
JP2015143576A (ja) 動圧軸受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スピンドルモータ
KR101376946B1 (ko) 스핀들 모터
KR20120023860A (ko) 모터
KR20130015157A (ko) 스핀들 모터
KR20130068263A (ko) 스핀들 모터
JP2014155433A (ja)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これを備える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20130055278A (ko) 스핀들 모터
JP2007185073A (ja) 軸受機構、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20140003710A (ko) 스핀들 모터
KR20120140068A (ko) 스핀들 모터
JP5665060B2 (ja) 流体動圧軸受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含むモータ
KR20130068909A (ko) 스핀들 모터
KR20120125735A (ko) 유체 동압 베어링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모터
KR20120127960A (ko) 스핀들 모터
KR20130117522A (ko) 스핀들 모터
KR20130087078A (ko) 스핀들 모터
KR20130102734A (ko) 스핀들 모터
KR20140025247A (ko) 스핀들 모터
KR20130032069A (ko) 스핀들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