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894A - 동파 방지용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동파 방지용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894A
KR20130054894A KR1020110121278A KR20110121278A KR20130054894A KR 20130054894 A KR20130054894 A KR 20130054894A KR 1020110121278 A KR1020110121278 A KR 1020110121278A KR 20110121278 A KR20110121278 A KR 20110121278A KR 20130054894 A KR20130054894 A KR 20130054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ing
valve
pressur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학
Original Assignee
이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학 filed Critical 이주학
Priority to KR1020110121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4894A/ko
Publication of KR2013005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more than on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동파방지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세차장치 등에 설치하여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체크밸브(10)를 구성하되, 상기 체크밸브(10)는, 몸통(10a) 내부의 통수구(11)에 판형밸브(12)를 설치하되, 상기 판형밸브(12) 전후부에는 탄성이 강한 스프링(13)과 탄성이 약한 스프링(14)을 대응 설치한 뒤 입력 측 케이스(10b)와 배출 측 케이스(10c)를 조립함으로서, 수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판형밸브(12)가 탄성이 강한 스프링(13)에 의해 통수구(11)를 개방시키고, 수압이 작용할 때는 수압에 의해 판형 밸브(12)가 탄성이 강한 스프링(14)을 가압하여 통수구(11)를 막아 닫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압력이 작용하면 판형밸브(12)가 통수구(11)를 막게 되어 공급되는 세차용수가 분사노즐(8)을 통해 분사되게 됨으로 고압의 세차가 가능해지고, 고압밸브를 잠그면 통수구(11)가 개방되어 분사관 또는 세차건 등의 내부에 남아있던 물이 자연적으로 배수되게 됨으로서 동절기에 동파 예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동파 방지용 체크밸브{A check valve for protecting from frozen breaking}
본 발명은 수압이 작용할 때는 그 압력에 의해 닫치고, 압력이 해제되면 자동 개방되어 관체 내부에 잔류되어 있던 물 등의 유체를 자연 배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한 동파 방지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는 통상 공급되는 유체나 기체가 소정의 압력으로 작용할 때는 개방되고, 압력이 해제 되면 밸브가 자동으로 닫쳐 유체나 기체가 역류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 밸브 몸체 내부의 통수공에 설치되는 밸브가 스프링에 의해 항상 통수공을 막아 폐쇄하게끔 구성하는데, 물이나 기름 등 유체가 소정의 압력으로 통과 될 때는 그 압력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밸브를 밀어 개방시키고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가 닫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통상의 체크밸브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유체나 기체의 압력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는 구성이기에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세차장 등에 설치된 세차건이나 하부세차장치 등의 장치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폐단이 따랐다.
왜냐하면 전술한 체크밸브는 그 구조의 특성상 압력이 작용할 때만 강제로 밸브가 개방되고 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이 밸브를 밀어 통수공을 막아버리기 때문에 세차장치에 적용하였을 경우 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배수되어야 하는 잔류수가 호스나 관 속에 남아 있을 수 밖에 없게 되며, 따라서 동절기에는 위와 같이 호스나 관 속에 남아 있는 잔류수가 얼어 작동이 될 수 없게 하거나 또는 호수나 관을 동파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을 다량 사용할 수밖에 없는 세차업계에서는 세차용수를 사용하고 난 뒤에 호스나 관 속에 남아 있는 잔류수를 자연적으로 배수시킴으로서 동파를 예방할 수 있는 체크밸브의 개발 및 보급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고압의 물로 차체 하부나 표면을 세차하는 셀프세차장이나 공사장에서 세차건이나 차량하부세차장치에 설치 사용할 때 세차용수를 분사 또는 분무할 때와 같이 압력이 작용할 때는 자동으로 닫쳐 고압세차가 이루어지게 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내부에 잔류되어 있던 물이 자연적으로 배수되어 동파를 예방하게 하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세차장치 등에 설치하여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체크밸브(10)를 구성하되,
상기 체크밸브(10)는, 몸통(10a) 내부의 통수구(11)에 판형밸브(12)를 설치하되, 상기 판형밸브(12) 전후부에는 탄성이 강한 스프링(13)과 탄성이 약한 스프링(14)을 대응 설치한 뒤 입력 측 케이스(10b)와 배출 측 케이스(10c)를 조립함으로서, 수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판형밸브(12)가 탄성이 강한 스프링(13)에 의해 통수구(11)를 개방시키고, 수압이 작용할 때는 수압에 의해 판형 밸브(12)가 탄성이 강한 스프링(14)을 가압하여 통수구(11)를 막아 닫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체크밸브(10)는 셀프세차장치나 공사장 등을 출입하는 차량의 바퀴나 차체하부를 세척하는 장치에 장착하여 세차나 세척시에는 수압에 의해 자연적으로 판형밸브(12)가 닫치면서 세차용수가 세차건 또는 하부세차장치를 통해 차량(7) 세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작용하던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이 강한 스프링(13)의 작용에 의해 판형밸브(12)가 통수구(11)를 개방시키게 되어 분사관 또는 세차건 등의 내부에 남아있던 물이 순식간에 자연적으로 배수되게 됨으로서 동절기에 동파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분사관 내부에 수압이 작용할 때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분사관 내부의 잔류수가 배수될 때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크밸브(10)는 몸통(10a) 내부의 통수구(11)에 판형밸브(12)가 설치되는데, 상기 판형밸브(12) 전후부에는 탄성이 강한 스프링(13)과 탄성이 약한 스프링(14)을 각각 설치한 뒤 몸통(10a)에 전후부에 입력 측 케이스(10b)와 배출 측 케이스(10c)를 조립함으로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체크밸브(10)는 셀프세차장에 설치된 세차장치와 같이 고압의 세차용수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또는 하부를 세차하는 장치에 설치사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세차건(2)과 호스(3) 사이나, 또는 도3과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세차장치의 경우 분사관(9) 끝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분사관(9)에는 체크밸브(10) 보다 안 쪽 부분에 매립관(5')을 연결시킴으로서 고압펌프(1)에서 공급관(5)과 매립관(5')을 통해 고압의 물이 공급될 때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용하는 압력이 판형밸브(12)를 통수구(11)로 밀어 통수구(11)를 닫게 됨으로서 분사관(9)에 장착된 노즐을 통해 세차용수가 고압 분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압펌프(1)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수압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압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3)이 복원되면서 판형밸브(12)를 밀어 통수구(11)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판형밸브(12)의 반대쪽 면에도 스프링(14)이 있지만 탄성력이 스프링(13)보다 약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통수구(1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때 공급관(5)과 매립관(5') 그리고 분사관(9)내에 남아 있던 물이 체크밸브(10)의 통수구(11)를 통해 모두 배수되게 됨으로서 날씨가 매우 추운 동절기에도 세차건이나 차량하부세차장치 등이 동파될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셀프세차장의 세차코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셀프세차장의 세차코너는 천장 중앙부분에 고압펌프(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고압펌프(1)와 연결된 호스(3) 끝에는 세차건(2) 및 거품솔(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 바닥에는 차량의 하부를 세차하는 하부세차장치가 설치된 곳도 있다.
또, 셀프세차장의 세차코너에는 동전을 투입함에 따라 세차건(2)이나 거품솔 등 세차방법을 선택하거나 사용시간 또는 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동전투입구(4')가 장착된 콘트롤박스(4)도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세차장치(100)는 다수의 분사노즐(8)을 가진 분사관(9)과, 상기 분사관(9)과 연결된 매립관(5') 및 급수관(5)으로 구성되며 세차폐수가 흘러나가는 배수로(6)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분사관(9)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8)은 차량의 바닥면적과 세차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이 전후좌우로 회전하면서 세차용수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하부 세차장치의 경우 본 발명의 체크밸브(10)는 분사관(9)의 일 단부에 장착되어야 하며, 분사관(9)에 연결 설치되는 매립관(5')은 본 발명의 체크밸브(10) 보다 안쪽에 연결 설치함으로서 고압펌프(1)와 호스(3), 그리고 공급관(5)과 매립관(5')을 통해 고압의 세차용수가 분사관(9)으로 공급될 때 수압에 의해 판형밸브(12)가 자동으로 닫치게 하고, 작용하던 압력이 해제되면 판형밸브(12)가 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됨으로서 잔류되어 있던 물이 자연 배수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크밸브(10)를 세차건이나 하부세차장치를 비롯하여 수압을 이용하여 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구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력의 해제와 동시에 관 속에 남아있던 물을 모두 자연배수시킴으로서 혹한의 동절기에도 안심하고 동파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앞에서 설명한 세차장치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전술한 세차장치외에 동파예방이 필요한 다양한 기구나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1 : 고압펌프 2 : 세차건 3 : 호스
4 : 콘트롤박스 4': 동전투입구 5 : 급수관
6': 배수망 6 : 배수로 7 : 차량
8 : 분사노즐 9 : 분사관 10 : 체크밸브
11 : 통수구 12 : 판형밸브 13,14 : 스프링

Claims (1)

  1. 세차장치 등에 설치하여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체크밸브(10)를 구성하되,
    상기 체크밸브(10)는, 몸통(10a) 내부의 통수구(11)에 판형밸브(12)를 설치하되, 상기 판형밸브(12) 전후부에는 탄성이 강한 스프링(13)과 탄성이 약한 스프링(14)을 대응 설치한 뒤 입력 측 케이스(10b)와 배출 측 케이스(10c)를 조립함으로서, 수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판형밸브(12)가 탄성이 강한 스프링(13)에 의해 통수구(11)를 개방시키고, 수압이 작용할 때는 수압에 의해 판형 밸브(12)가 탄성이 강한 스프링(14)을 가압하여 통수구(11)를 막아 닫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체크밸브.
KR1020110121278A 2011-11-17 2011-11-17 동파 방지용 체크밸브 KR20130054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78A KR20130054894A (ko) 2011-11-17 2011-11-17 동파 방지용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78A KR20130054894A (ko) 2011-11-17 2011-11-17 동파 방지용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894A true KR20130054894A (ko) 2013-05-27

Family

ID=4866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278A KR20130054894A (ko) 2011-11-17 2011-11-17 동파 방지용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48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031B1 (ko) * 2020-11-12 2021-05-24 배상철 자동 잔수 드레인 밸브
US11125443B2 (en) 2018-11-20 2021-09-21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manual gas valv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5443B2 (en) 2018-11-20 2021-09-21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manual gas valve
US11761637B2 (en) 2018-11-20 2023-09-19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manual gas valve
KR102256031B1 (ko) * 2020-11-12 2021-05-24 배상철 자동 잔수 드레인 밸브
WO2022102808A1 (ko) * 2020-11-12 2022-05-19 배상철 자동 잔수 드레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7063A1 (en) Unloader valve for pressurized fluid delivery system
KR100831394B1 (ko) 배관세척장비
KR200456056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KR20130054894A (ko) 동파 방지용 체크밸브
KR101258137B1 (ko)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KR101883281B1 (ko) 변기 막힘 제거 장치
KR101619868B1 (ko) 이동식 옥외 소방함
JP5204339B1 (ja) 凍結防止散布竿
KR100856077B1 (ko)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CN208575065U (zh) 冷却水箱自动清洗装置
KR200335460Y1 (ko) 소방차량의 흡,배출배관내의 잔여수 배수장치
US20190168046A1 (en) Portable Water Storage System
KR20130019963A (ko) 선박의 휠하우스 윈도우 클리닝 시스템
JP2004244883A (ja) 転圧車両の散水装置
KR100340636B1 (ko) 급배수펌프의 수격방지장치
CN105268574A (zh) 一种喷雾主机及其工作方法
KR200346398Y1 (ko) 소방펌프 배관의 잔여 수압 자동 유입 시스템
KR101094473B1 (ko) 물절약형 좌변기
CN105167719A (zh) 一种蒸汽切断回路以及蒸汽地拖
JP2014233665A (ja) 高圧洗浄機用ポンプ、高圧洗浄機
KR20130003124U (ko) 셀프세차장용 자동 하부세차장치
CN205494755U (zh) 自泄防冻消防软管卷盘
KR200318370Y1 (ko) 공기변과 급수밸브를 구비하는 관 세척장치
CN104499548B (zh) 一种马桶圈预冲水装置
CN209575583U (zh) 一种除冰车的消防水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