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868B1 - 이동식 옥외 소방함 - Google Patents

이동식 옥외 소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868B1
KR101619868B1 KR1020140145319A KR20140145319A KR101619868B1 KR 101619868 B1 KR101619868 B1 KR 101619868B1 KR 1020140145319 A KR1020140145319 A KR 1020140145319A KR 20140145319 A KR20140145319 A KR 20140145319A KR 101619868 B1 KR101619868 B1 KR 101619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ter
pressure
opening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513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102014014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8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 소방함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소방함(100)의 작동을 관리하는 제어부(8)와, 소방용수의 분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와, 개폐밸브(2)의 작동에 의한 압력변화를 제어부(8)로 전달하는 압력챔버(4)와, 제어부(8)를 통해 압력챔버(4)의 압력변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압력챔버(4) 내의 압력변화시에 제어부(8)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모터(10)와, 회전모터(10)의 회전으로 연결관(12)을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가 이송관(20)을 통해 고압으로 흐르도록 하는 펌프(18)와, 이송관(20) 상에 설치되어 개폐밸브(2)의 개방으로 고압의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소방호스(32)와, 연결관(20)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22)와, 소방함(100)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부(14)로 구성하여서, 화재발생시 소방호스(32)가 연결된 상태로 개폐밸브(2)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음에 따라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추가피해를 막을 수 있으며, 이동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산중의 사찰, 문화재, 재래시장, 섬지역 등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지역은 어느 곳에나 설치가 가능하며, 자체 발전시설을 구비함에 따라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옥외 소방함{MOVABLE OUTDOOR FIRE EXTINGUISHING BOX}
본 발명은 소방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발생시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여 화재를 즉시 진압할 수 있는 옥외 소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요소 도로변 또는 대형 건축물의 주변에 화재 진압에 소요되는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소화전을 설치하며, 설치된 후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 보수 및 사용될 수 있게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 제작 및 시공된다. 사용빈도는 낮으나 화재 발생시 반드시 작동되어야 하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시설물이다.
이와 같은 소화전은 지하에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를 설치하고 있으며, 화재시 소방함에 보관된 소방호스를 소화전의 방수구에 연결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사용된다.
종래와 같이 소화전과 소방함이 분리되어 설치된 상황에서 소방함에 보관된 소방호스를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사람이 위급한 상황에서 소화전의 방수구에 연결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며, 그에 따라 화재의 초기진화에 실패하여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산중의 사찰, 문화재, 재래시장, 섬지역 등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는 곳에는 소화전을 설치하기 어려워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산중의 사찰이나 문화재 시설에는 지리적으로 접근이 어려워 화재발생시 소방차나 소방인력을 빠른 시간내에 투입할 수 없어 소중한 문화유산이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21902호, '지상 소화전' 국내 등록특허 제10-1035373호, '옥외 소방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진압이 용이하지 못한 외지에서의 화재발생시 누구나 쉽게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함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동식 옥외 소화전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옥외 소방함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소방함(100)의 작동을 관리하는 제어부(8)와, 소방용수의 분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와, 개폐밸브(2)의 작동에 의한 압력변화를 제어부(8)로 전달하는 압력챔버(4)와, 제어부(8)를 통해 압력챔버(4)의 압력변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압력챔버(4) 내의 압력변화시에 제어부(8)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모터(10)와, 회전모터(10)의 회전으로 연결관(12)을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가 이송관(20)을 통해 고압으로 흐르도록 하는 펌프(18)와, 이송관(20) 상에 설치되어 개폐밸브(2)의 개방으로 고압의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소방호스(32)와, 연결관(20)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22)와, 소방함(100)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부(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소방호스가 연결된 상태로 개폐밸브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음에 따라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추가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외 소방함은 소화장비를 일체화되게 이동식으로 설치하여서 산중의 사찰, 문화재, 재래시장, 섬지역 등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지역은 어느 곳에나 설치가 가능하여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 발전시설을 구비함에 따라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외 소방함의 설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옥외 소방함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옥외 소방함에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 구성도,
도 4는 저수탱크의 빗물받이구 상세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싱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22)와,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함(100)을 이동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일체화함으로써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는 산중의 사찰, 문화재 시설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옥외 소방함(100)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옥외 소방함(100)은 전반적으로 소방함(100)의 작동을 관리하는 제어부(8)와,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소방호스(32)와, 소방호스(32)로의 소방용수 분사를 관리하는 개폐밸브(2)와, 개폐밸브(2)의 작동에 의한 압력차이 값을 제어부(8)로 전달하는 압력챔버(4)와, 제어부(8)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모터(10)와, 회전모터(10)의 회전으로 소방용수가 고압분사되게 하는 펌프(18)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는 압력챔버(4)의 압력상태관리, 회전모터(10)의 동작신호 명령 등을 제어하여 필요시에 소방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옥외 소방함(100)은 이동설치가 가능한 형태로 외진 산간에 위치하는 사찰, 문화재, 외딴섬 등에 설치될 수 있음에 따라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소방함(100) 내에 발전부(1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가발전을 통해 제어부(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에 축전하거나 제어부(8)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모터(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발전부(14)는 별도의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으며, 옥외 소방함(100)의 외부에 태양열 발전설비를 설치하여서 축전지에 저장한 후 필요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옥외 소방함(100)은 후술하는 저수탱크(22)에 저장된 소방용수를 연결관(12)을 통해 유입시켜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한 펌프(18)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펌프(18)는 제어부(8)에 의한 회전모터(10)의 작동으로 회전하여 연결관(12)을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가 이송관(20)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송관(20)의 끝단에는 고압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분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개폐밸브(2)에는 소방호스(32)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개폐밸브(2)를 개방하는 즉시 소방용수가 자동으로 분사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 소방함(100)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도 용이하게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개폐밸브(2)의 개방에 의해 고압 소방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제어부(8)의 회전모터(10)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압력챔버(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압력챔버(4)는 이송관(20)과 연결되어 개폐밸브(2)의 개폐동작에 의해 내부 압력이 변하게 되며, 제어부(8)를 통해 압력챔버(4)의 내부 압력을 체크함으로써 회전모터(10)를 제어하도록 한다. 압력챔버(4)에는 내부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부(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압력게이지부(6)의 압력상태는 제어부(8)로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개폐밸브(2)의 개방에 의해 압력챔버(4)의 압력이 변하게 되면 압력게이지부(6)의 압력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제어부(8)는 제어신호를 통해 회전모터(10)의 동작시킴으로써 펌프(18)에 의해 고압의 소방용수가 자동으로 소방호스(32)로 분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옥외 소방함(100)은 연결관(12)을 통해 소방함(100)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22)를 지상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방함(100)에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22)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저수탱크(22) 일측에는 소방용수를 저수탱크(22) 내에 채워넣기 위한 유입관(24)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빗물을 받아 저장하기 위한 빗물받이부(28)를 저수탱크(22)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빗물받이부(28)는 빗물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깔때기 모양으로 설치되며, 도 4에서와 같이 빗물이 모아지는 빗물받이부(28)의 하부에는 저수탱크(22) 내에 채워진 소방용수의 보관을 위한 체크밸브(30)가 설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30)는 빗물을 모아 저수탱크(22)로 공급할 때에는 개방상태가 되며, 저수탱크(22) 내에 소방용수가 가득차게 되면 체크밸브(30)를 통해 입구를 폐쇄하여 소방용수가 증발하여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이물질이 저수탱크(22)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수탱크(22)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저수탱크(22) 하측으로 유출되는 유출관(26)이 막혀 화재시 소방용수가 소방함(100)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받이부(28)에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를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는 나뭇잎이나 벌레가 저수탱크(22)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그물망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소방호스가 연결된 상태로 개폐밸브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음에 따라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추가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외 소방함은 소화장비를 일체화되게 이동식으로 설치하여서 산중의 사찰, 문화재, 재래시장, 섬지역 등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지역은 어느 곳에나 설치가 가능하여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 발전시설을 구비함에 따라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 개폐밸브 (4)-- 압력챔버
(6)-- 압력게이지부 (8)-- 제어부
(10)-- 회전모터 (12)-- 연결관
(14)-- 발전부 (16)-- 전원부
(18)-- 펌프 (20)-- 이송관
(22)-- 저수탱크 (24)-- 유입관
(26)-- 유출관 (28)-- 빗물받이부
(30)-- 체크밸브 (32)-- 소방호스
(100)-- 소방함

Claims (2)

  1. 옥외 소방함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소방함(100)의 작동을 관리하는 제어부(8)와,
    개방과 동시에 소방용수가 자동으로 분사되는 개폐밸브(2)와,
    소방용수가 분사되는 이송관(20)과 연결되며, 내부 압력변화를 체크하는 압력게이지부(6)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밸브(2)의 개폐동작에 의한 내부 압력상태를 실시간으로 제어부(8)에 전송하는 압력챔버(4)와,
    제어부(8)를 통해 압력챔버(4)의 압력변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개폐밸브(2)이 동작으로 인한 압력챔버(4) 내의 압력변화시에 제어부(8)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모터(10)와,
    회전모터(10)의 회전으로 연결관(12)을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가 이송관(20)을 통해 고압으로 흐르도록 하는 펌프(18)와,
    이송관(20) 상에 설치되어 개폐밸브(2)의 개방으로 고압의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소방호스(32)와,
    지상에 설치되어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빗물받이부(28)를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빗물받이부(28)의 하부에는 빗물과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30)를 설치하여 소방용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소방용수를 연결관(12)을 통해 소방함(100) 내로 공급하는 저수탱크(22)와,
    화석연료를 이용한 발전과 외부에 설치된 태양열 발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자가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소방함(100)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부(14)로 구성하며,
    개폐밸브(2)의 개방에 의해 변화된 압력챔버(4) 내의 압력을 제어부(8)에 의해 체크하고 회전모터(10)를 동작시켜 소방용수가 자동으로 소방호스(32)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옥외 소방함.
  2. 삭제
KR1020140145319A 2014-10-24 2014-10-24 이동식 옥외 소방함 KR101619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319A KR101619868B1 (ko) 2014-10-24 2014-10-24 이동식 옥외 소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319A KR101619868B1 (ko) 2014-10-24 2014-10-24 이동식 옥외 소방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13A KR20160048513A (ko) 2016-05-04
KR101619868B1 true KR101619868B1 (ko) 2016-05-12

Family

ID=5602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319A KR101619868B1 (ko) 2014-10-24 2014-10-24 이동식 옥외 소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275A (zh) * 2020-08-24 2020-12-01 福建闽山消防有限公司 一种可调节压力的地上消防栓及其调节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1264B (zh) * 2019-03-04 2024-02-27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消防喷水机械、供水机械、喷水设备、系统及控制方法
CN112316343B (zh) * 2020-10-22 2021-11-12 上海市建工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流量开关在250米以上高层建筑消防系统中的应用
KR102361092B1 (ko) * 2021-05-06 2022-02-15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비상용 소화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18Y1 (ko) * 2002-02-27 2002-05-30 김경주 캐비니트형 간이 스프링클러장치
KR200466329Y1 (ko) * 2012-11-23 2013-04-12 변종철 우수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18Y1 (ko) * 2002-02-27 2002-05-30 김경주 캐비니트형 간이 스프링클러장치
KR200466329Y1 (ko) * 2012-11-23 2013-04-12 변종철 우수저장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275A (zh) * 2020-08-24 2020-12-01 福建闽山消防有限公司 一种可调节压力的地上消防栓及其调节方法
CN112012275B (zh) * 2020-08-24 2021-09-21 福建闽山消防有限公司 一种可调节压力的地上消防栓及其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13A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6643B2 (en) Hydro fire mitigation system
KR101619868B1 (ko) 이동식 옥외 소방함
US20180063529A1 (en)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KR102015231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US20150321033A1 (en)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KR102007127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WO2017019566A1 (en)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CN102755709A (zh) 酒店消防系统调试方法
CN104888382A (zh) 一种用于偏远地区的山林自动灭火系统
US52189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surge protection and protection of fire hydrant systems
JPH0263569A (ja) 自動配水制御弁システム
KR100757705B1 (ko) 소화전 설비용 사수방지장치
KR101034175B1 (ko) 고압가스를 이용한 소화전
KR101054030B1 (ko) 도로결빙 방지시스템
JP2006077410A (ja) 屋根の散水装置
US20170274234A1 (en) Method of installing, designing, servicing or testing a water-based fire protection system
CN103170077A (zh) 林区集雨储水或高原高山管道引水储水防火灭火防虫施肥新方案
CN207017354U (zh) 高寒地区超出地面消防水池的取水口系统
KR200451906Y1 (ko) 드레인 밸브에 다수개의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유수검지 확인장치
RU2658796C2 (ru) Система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объекта
KR101202548B1 (ko) 소방수 공급설비
CN209612048U (zh) 一种扑救仪控电子控制柜间火灾的消防系统
KR101389799B1 (ko)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급수 시스템
KR100972144B1 (ko) 회전식 소화전
CN210194755U (zh) 一种集成于路灯的消防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