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329Y1 - 우수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우수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329Y1
KR200466329Y1 KR2020120010792U KR20120010792U KR200466329Y1 KR 200466329 Y1 KR200466329 Y1 KR 200466329Y1 KR 2020120010792 U KR2020120010792 U KR 2020120010792U KR 20120010792 U KR20120010792 U KR 20120010792U KR 200466329 Y1 KR200466329 Y1 KR 200466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inlet
wa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철
Original Assignee
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종철 filed Critical 변종철
Priority to KR2020120010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3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우수의 강하시에 빗물을 효율적으로 취수하여 활용할 수 있는 우수저장탱크를 구성하되, 용량별로 다양하게 기성화 된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단독주택이나 중소규모의 건축물 또는 농촌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수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저장탱크{A Store Tank For Rainwater}
본 고안은 우수의 강하시에 빗물을 효율적으로 취수하여 활용하기 위한 우수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물부족 현상이 여러 국가의 주요한 이슈로 작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또한 이를 방치할 수 없는 국면에 와 있다.
이러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각도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 방안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그 대안으로, 자연적으로 내리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나 빗물저장탱크들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빗물 저장탱크는 파형 강관이나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현장제작에 의해 만들어짐으로써 시공 과정 중 작업장이나 기상 등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되고, 저장 탱크의 크기가 대용량 위주로 현장제작되기 때문에 단독주택이나 중소규모의 건축물에서 적용이 어렵고, 따라서 빗물 이용의 확산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우수의 강하시에 빗물을 효율적으로 취수하여 활용할 수 있는 우수저장탱크를 구성하되, 용량별로 다양하게 기성화 된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단독주택이나 중소규모의 건축물 또는 농촌의 경작지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수저장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의 우수저장탱크는 빗물을 취수하여 활용하기 위한 우수저장탱크에 있어서, 상부에 빗물을 모으는 집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홈의 중앙에 빗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우수저장조의 상부를 밀폐시 잠금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집수커버와; 상기 집수커버의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유입조절수단과; 상부가 개방되며 상부에 집수커버의 체결부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수저장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저장탱크에서, 상기 유입조절수단은 집수홈에 받아지는 빗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집수커버의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부레부와 상기 부레부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 공간을 갖도록 설치되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금속망 형태의 여과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저장탱크에서, 상기 부레부는 수위의 변동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유헤드와 상기 부유헤드 하부측에 집수커버의 유입구내에서 부유헤드가 승하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지지체가 일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지지체는 부력 발생에 의해 부유헤드가 상승되면 집수된 물이 통과하여 유입구를 통해 우수저장조로 빗물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우수저장탱크에 의하면, 우수시에 강하하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우수저장탱크를 용량별로 기성화된 제품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별도의 시설투자가 불필요함에 따라 일반가정이나 중소규모의 건축물 또는 농촌의 경작지 등에 쉽게 구비하여 빗물을 취수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저장탱크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저장탱크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저장탱크의 구성중 부레부를 확대하여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저장탱크를 보인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저장탱크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저장탱크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우수저장탱크는 집수커버(10), 유입조절수단(20), 우수저장조(30)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커버(10)는 상부에 빗물을 모으는 집수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홈(11)의 중앙에 빗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11a)가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의 내측에 우수저장조(30)의 상부를 밀폐시 잠금 체결을 위한 체결부(12a)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조절수단(20)은 집수홈(11)에 받아지는 빗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집수커버(10)의 유입구(11a)를 개폐시키는 부레부(21)와 상기 부레부(21)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 공간을 갖도록 설치되어 부레부(21)의 상승작용을 억제함과 아울러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금속망 형태의 여과망(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레부(21)는 도 3에 확대사시도에 보인바와 같이, 수위의 변동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유헤드(21a)와 상기 부유헤드(21a) 하부측에 일체 형성되며 집수커버(10)의 유입구(11a)내에서 부유헤드(21a)가 승하강 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지지체(21b)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지지체(21b)는 바깥둘레면과 저면에 통공(21c)이 형성되어 부력 발생에 의해 부유헤드(21a)가 상승되면 통공(21c)으로 우수가 유입되면서 유입구(11a)를 통해 우수저장조(30)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부레부(21)는 비가 올시에는 집수홈(11)에 받아지는 빗물의 수위에 따라 부유헤드(21a)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작용에 따라 유입구(11a)를 자동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머니 역할을 하며, 평상시에는 유입부(11a)를 막고 있는 마개 역할을 하여 우수저장조(30)에 저장되는 빗물의 증발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우수저장조(30)는 상부가 개방되며 상부에 집수커버(10)의 체결부(12a)를 결합하는 연결부(3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가 배출밸브(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 4에 보인바와 같이, 우수저장탱크는 우수저장조(30)의 상부에 집수커버(10)를 체결하여 밀폐시킨 후, 상기 집수커버(10)의 집수홈(11)에 유입조절수단(20)을 설치하되, 부레부(21)의 가이드지지체(21b)를 유입구(11a)로 삽입하여 부레부(21)를 유입구(11a)로 삽입한 상태에서 여과망(22)을 부레부(21)의 상부측에서 감싸도록 위치시켜 여과망(22)의 테두리를 볼트 또는 피스에 의해 집수홈(11)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는 완료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비가 내릴시에 빗물이 집수커버(10)의 집수홈(11)에 고이면서 어느정도 빗물이 고이게 되면, 부레부(21)의 부유헤드(21a)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막고 있던 유입구(11a)가 개방되게 된다. 이에 집수홈(11)으로 고이던 빗물이 가이드지지체(21b)와 유입구(11a) 사이를 통해 우수저장조(3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레부(21)의 상부에 설치된 여과망(22)에 의해 빗물에 섞여진 이물질은 걸러짐과 동시에 여과망(22)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부레헤드(21a)의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여 유입구(11a)로부터 가이드지지체(21b)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부유헤드(21a)의 부력에 의해 부레부(21)가 승.하강하게 되는데 가이드지지체(21b)가 유입구(11a)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을 지지하면서 부레부(21)가 유입구(11a)를 개폐함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승시 가이드지지체(21b)가 유입구(1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상기 우수저장조(30)에 취수되는 빗물은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밸브(40)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으며,
우수량이 많아 우수저장조(30)에 빗물이 가득 차게 되면, 집수커버(10)의 집수홈(11)의 개방된 상부에 의해 빗물이 자연스럽게 우수저장탱크 외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집수커버 11 : 집수홈 12 : 결합홈
20 : 유입조절수단 21 : 부레부 22 : 여과망
30 : 우수저장조 31 : 연결부 32 : 배출구
40 : 배출밸브

Claims (3)

  1. 상부에 빗물이 모이는 집수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홈(11)의 중앙에 빗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11a)가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의 내측에 우수저장조(30)의 상부를 밀폐시 잠금 체결을 위한 체결부(12a)가 형성된 집수커버(10)와, 상기 집수커버(10)가 상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부(3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가 배출밸브(40)가 설치된 우수저장조(30)로 구성된 우수저장탱크에 있어서,
    상기 집수커버(10)의 유입구(11a)를 빗물의 양에 따라 개폐하는 유입조절수단(20)을 구성하되,
    상기 유입조절수단(20)은 집수홈(11)에 받아지는 빗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집수커버(10)의 유입구(11a)를 개폐시키는 부레부(21)와 상기 부레부(21)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 공간을 갖도록 설치되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금속망 형태의 여과망(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레부(21)는 수위의 변동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유헤드(21a)와 상기 부유헤드(21a) 하부측에 집수커버(10)의 유입구(11a)내에서 부유헤드(21a)가 승하강 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지지체(21b)가 일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지지체(21b)는 부력 발생에 의해 부유헤드(21a)가 상승되면 집수홈(11)에 집수된 물이 통과하여 유입구를 통해 우수저장조(30)로 빗물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21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탱크.

  3. 삭제
KR2020120010792U 2012-11-23 2012-11-23 우수저장탱크 KR200466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92U KR200466329Y1 (ko) 2012-11-23 2012-11-23 우수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92U KR200466329Y1 (ko) 2012-11-23 2012-11-23 우수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329Y1 true KR200466329Y1 (ko) 2013-04-12

Family

ID=5138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792U KR200466329Y1 (ko) 2012-11-23 2012-11-23 우수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3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868B1 (ko) * 2014-10-24 2016-05-12 김경호 이동식 옥외 소방함
KR102195553B1 (ko) 2019-06-28 2020-12-28 (주)월드비텍 증발억제수단이 구비된 우수저장탱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263Y1 (ko) * 2003-07-26 2003-10-17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우수 저수장치
JP2004211385A (ja) * 2002-12-27 2004-07-29 Yotsugi Co Ltd 貯水装置
KR100909940B1 (ko) * 2007-10-02 2009-07-29 이훈재 빗물 활용을 위한 유입 구조
KR101107734B1 (ko) * 2009-06-08 2012-01-25 박노웅 사이펀식 빗물 저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385A (ja) * 2002-12-27 2004-07-29 Yotsugi Co Ltd 貯水装置
KR200330263Y1 (ko) * 2003-07-26 2003-10-17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우수 저수장치
KR100909940B1 (ko) * 2007-10-02 2009-07-29 이훈재 빗물 활용을 위한 유입 구조
KR101107734B1 (ko) * 2009-06-08 2012-01-25 박노웅 사이펀식 빗물 저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868B1 (ko) * 2014-10-24 2016-05-12 김경호 이동식 옥외 소방함
KR102195553B1 (ko) 2019-06-28 2020-12-28 (주)월드비텍 증발억제수단이 구비된 우수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52308U (zh) 一种垂直绿化系统
CN209283842U (zh) 一种屋顶绿化系统
CN104863247B (zh) 带过滤功能的下水道雨篦子
CN206706947U (zh) 一种下凹式绿地
CN213268245U (zh) 一种海绵城市雨水花园自循环渗蓄结构
KR200466329Y1 (ko) 우수저장탱크
CN210382053U (zh) 一种海绵城市生态屋顶
CN208167939U (zh) 一种市政排水井盖
CN106836066B (zh) 一种市政道路安全防护栏
CN211522731U (zh) 一种防积水道路结构
CN205636411U (zh) 一种海绵城市生态植草沟
CN209066534U (zh) 一种园林用雨水收集装置
CN207476354U (zh) 一种海绵城市花坛
CN206517865U (zh) 一种具有遮阳效果的节水型垂直绿化装置
CN205746555U (zh) 一种太阳能草坪灯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102249356B1 (ko)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CN207934163U (zh) 一种厂房防堵排水沟
JP4988523B2 (ja) 雨水回収槽
CN211285795U (zh) 一种收集屋檐雨水的成套装置
CN207469012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路基排水结构
KR101195242B1 (ko) 옥상 배수구 캡 및 이를 이용한 일시저류 가능한 옥상 구조물
CN207484648U (zh) 一种城市下水道井盖
JP5557211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