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077B1 -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077B1
KR100856077B1 KR1020080013877A KR20080013877A KR100856077B1 KR 100856077 B1 KR100856077 B1 KR 100856077B1 KR 1020080013877 A KR1020080013877 A KR 1020080013877A KR 20080013877 A KR20080013877 A KR 20080013877A KR 100856077 B1 KR100856077 B1 KR 100856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ater
supply line
road
supply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1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4Fixed devices, e.g. permanently- installed fl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경계석(10)과; 전면이 개구되어 경계석(10)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21)와, 본체(21)를 개폐하는 개폐패널(22)로 구성된 보호케이스(20)와; 분기라인(90) 상에 설치되어, 보호케이스(20)의 본체(21) 내부에 배치되며, 분사구(31)가 도로 방향으로 노출되는 분사노즐(30)과; 청소용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40)과; 공급라인(40)에 설치되어, 청소용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급라인제어밸브(50)와; 공급라인(40)으로부터 각각의 분사노즐(30)로 분기되어, 공급라인(40)으로부터의 청소용수를 분사노즐(30)로 분기하는 분기라인(90)과; 분기라인(90) 상에 설치되고, 보호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되어, 분사노즐(30)로의 청소용수 유량을 수동제어하는 분기라인제어밸브(100)로 이루어져, 차도를 청결하게 함은 물론, 청소 비용을 줄이고, 청소시 차량의 정체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Equipment supplying the cleaning water on the road}
본 발명은, 경계석과 차도사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인도 사이에는 경계석이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 지으며, 차도를 통행하는 차량이 인도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경계석과 차도 사이에는 단턱이져, 차도에 있는 먼지나 흙이 경계석과 차도사이로 밀려와 쌓인다.
쌓인 먼지나 흙은, 차도의 미관을 해치며, 차도를 통행하는 수많은 차량에 의해 흩어지면서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호흡기로 들어가 보행자의 건강에 해를 입힌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로 청소용 살수차를 사용하여 차도와 경계석 사이에 쌓인 흙이나 먼지를 제거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살수차를 이용하면, 살수차 운행으로 인해 운영비가 많이 들고, 차도를 통행하는 차량이 정체되었다.
따라서, 차도와 경계석 사이의 청결을 깨끗하게 함은 물론, 청소시 청소비용이 적게 들고 차량의 정체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위해 발명된 것으로, 차도를 청결하게 함은 물론, 청소 비용을 줄이고, 청소시 차량의 정체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차도청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경계석과; 전면이 개구되어 경계석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를 개폐하는 개폐패널로 구성된 보호케이스와; 분기라인 상에 설치되어, 보호케이스의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분사구가 도로 방향으로 노출되는 분사노즐과; 청소용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청소용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급라인제어밸브와; 공급라인으로부터 각각의 분사노즐로 분기되어, 공급라인으로부터의 청소용수를 분사노즐로 분기하는 분기라인과; 분기라인 상에 설치되고, 보호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분사노즐로의 청소용수 유량을 수동제어하는 분기라인제어밸브;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경계석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청소용수가 차도와 경계석 사이로 분사되는 구조로 되어, 차도를 청결하게 함은 물론, 청소 비용을 줄이고, 청소시 차량의 정체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의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는,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경계석과(10)과, 경계석(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분사노즐(30)과, 분사노즐(30)과 연결되어 청소용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40)과, 공급라인(40)에 설치되는 공급라인제어밸브(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계석(10)은,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 지으며 차도를 통행하는 차량이 인도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에 상기 경계석(10)은, 내부에 전면이 개구된 수납부(11)가 형성되어 수납부(11)에 보호케이스(20)가 설치된다.
상기 보호케이스(20)는, 내부에 전면이 개구된 수용부(21a)가 형성되어 경계석(10)의 수납부(11)에 설치되는 본체(21)와, 본체(21)를 개폐하는 개폐패널(22)로 구성된다. 이때, 개폐패널(22)은, 보호케이스(20)가 경계석(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부재(B)에 의해 경계석(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체결부재(B)는 통상적으로 볼트가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케이스(20) 내부로 인입된 공급라인(40)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분사노즐(30)은, 별도의 체결부재(N)를 매개로 일단이 공급라인(40)에 연결되며, 타단이 개폐패널(2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에는 다수의 분사구(31)가 형성되며, 분사구(31)의 방향이 경계석 방향을 향하거나 차도 방향을 향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N)는 너트가 사용되며 공급라인(40)과 분사노즐(30)의 각 단과 나사 결합된다.
상기 공급라인(40)은, 차도나 인도에 매설되며 이때, 공급라인(40)의 일단 이 보호케이스(20)의 수용부(21a)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공급라인(40)은 상수도관 또는 중수도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된다.
상기 공급라인제어밸브(50)는, 수동식 밸브로서 공급라인(40)에 설치되며, 관리자가 공급라인제어밸브(50)를 조작하여 공급라인(40)을 흐르는 청소용수의 유량을 제어한다.
또한, 공급라인제어밸브(50)는, 자동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공급라인제어밸브(5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설치되고, 제어유닛(60)을 작동제어하는 입력유닛(70)이 별도의 상황실에 설치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입력유닛(7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공급라인(40)에 흐르는 청소용수의 유량 및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라인제어밸브(50)로 종래에 공지된 전동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별도로 마련된 상황실에는, 제어유닛(6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출력유닛(80)이 구비되어, 제어유닛(6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공급라인제어밸브(50)의 작동상태가 출력유닛(80)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공급라인(40) 상을 흐르는 청소용수의 유량 및 유속 등이 출력유닛(80)에 의해 외부로 출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용수가 상수도관 또는 중수도관에 직접 연결된 공급라인(40)을 통해 공급되지만, 별도로 구비된 청소용수저장탱크(T) 및 물펌프(P)에 의해 공급될 수도 있다.
즉, 도 4와 같이 별도로 구비된 청소용수저장탱크(T)에 공급라인(40)이 연결되고, 청소용수저장탱크(T)와 공급라인(40) 사이에 물펌프(P)가 구비되어, 청소용 수저장탱크(T)에 저장된 청소용수가 물펌프(P)에 의해 고압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물펌프(P)는 제어유닛(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청소용수를 공급라인(40)에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지나 흙이 차도와 경계석(10) 사이에 쌓인 상태에서, 관리자가 공급라인제어밸브(50)를 열면, 공급라인(40)을 통과한 청소용수는 분사노즐(30)에 의해 분사된다. 이때 분사되는 청소용수는 경계석(10)을 향하는 분사구(31)의 방향을 따라 분사되어, 차도와 경계석(10) 사이에 쌓인 먼지나 흙을 씻어내고, 씻겨진 먼지나 흙은, 경계석(10)을 따라 흘러 배수구(D)로 흘러든다.
이때, 관리자는 공급라인제어밸브(50)를 제어하여 분사노즐(30)로 분사되는 유압 및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가 다수의 경계석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라인(40)은 다수의 분기라인(9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분기라인(90)은 각각의 경계석(10)에 설치된 보호케이스(20) 내부로 인입되고, 보호케이스(20) 내부로 인입된 일단에 분사노즐(30)이 연결되며, 분사노즐(30)과 분기라인(90) 사이에 분사노즐(30)로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수동식 분기라인제어밸브(1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분기라인제어밸브(100)는,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보호케이스(20)의 개폐패널(22)을 열어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케이스(20) 내부로 인입된 분기라인(90)과 분기라인제어밸브(100)는 보호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경계석(10)에 다수의 분기라인(90)이 설치된 상태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공급라인(40)을 통해 공급된 청소용수는 각각의 분기라인(90)으로 분기되어, 차도로 분사된다. 이때, 관리자는 공급라인제어밸브(50)를 통해, 각각의 분기라인(90)으로 흐르는 청소용수의 유압 및 유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분기라인제어밸브(100)를 통해 분사노즐(30)로 분사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각의 경계석(10)에 분사노즐(30)이 설치되면, 청소가 필요한 곳만 선택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필요한 양의 청소용수만 쓸 수 있으며, 따라서 쓸데없이 청소용수가 낭비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는, 별도의 살수차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시로 차도와 경계석(10) 사이에 쌓인 이물질이 제거된다. 또한, 차량정체를 걱정해도 되지 않기 때문에 주 야간에 상관없이 수시로 차도와 경계석(10) 사이를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의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고,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 경계석 30; 분사노즐
40; 공급라인 50; 공급라인제어밸브
60; 제어유닛 70; 입력유닛
80; 출력유닛 T; 청소용수저장탱크(T)
P; 물펌프

Claims (4)

  1.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경계석(10)과;
    전면이 개구되어 경계석(10)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21)와, 본체(21)를 개폐하는 개폐패널(22)로 구성된 보호케이스(20)와;
    분기라인(90) 상에 설치되어, 보호케이스(20)의 본체(21) 내부에 배치되며, 분사구(31)가 도로 방향으로 노출되는 분사노즐(30)과;
    청소용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40)과;
    공급라인(40)에 설치되어, 청소용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급라인제어밸브(50)와;
    공급라인(40)으로부터 각각의 분사노즐(30)로 분기되어, 공급라인(40)으로부터의 청소용수를 분사노즐(30)로 분기하는 분기라인(90)과;
    분기라인(90) 상에 설치되고, 보호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되어, 분사노즐(30)로의 청소용수 유량을 수동제어하는 분기라인제어밸브(1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제어밸브(5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60)과, 제어유닛(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공급라인제어밸브(5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40)에 연결되어 분사노즐(30)로 청소용수를 공급하는 청소용수저장탱크(T)와, 공급라인(40)에 설치되고 제어유닛(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청소용수저장탱크(T)로부터의 청소용수를 분사노즐(30)로 고압 이송하는 물펌프(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청소용수공급장치.
KR1020080013877A 2008-02-15 2008-02-15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KR10085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877A KR100856077B1 (ko) 2008-02-15 2008-02-15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877A KR100856077B1 (ko) 2008-02-15 2008-02-15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077B1 true KR100856077B1 (ko) 2008-09-02

Family

ID=4002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877A KR100856077B1 (ko) 2008-02-15 2008-02-15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0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40B1 (ko) * 2011-08-12 2012-03-23 정해수 도로 경계석 겸용 소화전 및 시공방법
KR101280979B1 (ko) * 2011-04-28 2013-07-08 주식회사 리트코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및 이를 포함한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시스템
KR101439529B1 (ko) 2013-01-10 2014-09-17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도로 제설용 융설액 살포 장치
KR101961416B1 (ko) * 2018-11-23 2019-03-22 블락스톤(주) IoT기반 저전력 도로 물분사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6418A (ja) 1997-04-30 1998-11-17 Utec:Kk 消雪用縁石ブロック
JPH11158829A (ja) * 1997-11-28 1999-06-15 Nihon Sekkei Inc 路面洗浄装置
JP2002356824A (ja) 2001-06-01 2002-12-13 Miyashige:Kk 消雪用散水ノズル付き配管ブロック装置
KR100386819B1 (ko) * 2001-01-20 2003-06-09 극동엔지니어링(주) 아스콘 포장 도로용 살수장치
JP2004011092A (ja) 2002-06-03 2004-01-15 Utec:Kk 消雪ブロック及び消雪道路
JP2005016018A (ja) 2003-06-23 2005-01-20 Sankei Kikaku:Kk 散水装置及び散水ブロック
JP2005232939A (ja) 2004-02-17 2005-09-02 Masahiro Imibe トレンチ縁石の集水と散水付きシステム構造
KR200438526Y1 (ko) 2008-01-24 2008-02-26 거송건설 주식회사 제설장비를 갖는 도로방호시설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6418A (ja) 1997-04-30 1998-11-17 Utec:Kk 消雪用縁石ブロック
JPH11158829A (ja) * 1997-11-28 1999-06-15 Nihon Sekkei Inc 路面洗浄装置
KR100386819B1 (ko) * 2001-01-20 2003-06-09 극동엔지니어링(주) 아스콘 포장 도로용 살수장치
JP2002356824A (ja) 2001-06-01 2002-12-13 Miyashige:Kk 消雪用散水ノズル付き配管ブロック装置
JP2004011092A (ja) 2002-06-03 2004-01-15 Utec:Kk 消雪ブロック及び消雪道路
JP2005016018A (ja) 2003-06-23 2005-01-20 Sankei Kikaku:Kk 散水装置及び散水ブロック
JP2005232939A (ja) 2004-02-17 2005-09-02 Masahiro Imibe トレンチ縁石の集水と散水付きシステム構造
KR200438526Y1 (ko) 2008-01-24 2008-02-26 거송건설 주식회사 제설장비를 갖는 도로방호시설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79B1 (ko) * 2011-04-28 2013-07-08 주식회사 리트코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및 이를 포함한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시스템
KR101128440B1 (ko) * 2011-08-12 2012-03-23 정해수 도로 경계석 겸용 소화전 및 시공방법
KR101439529B1 (ko) 2013-01-10 2014-09-17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도로 제설용 융설액 살포 장치
KR101961416B1 (ko) * 2018-11-23 2019-03-22 블락스톤(주) IoT기반 저전력 도로 물분사 시스템
WO2020106101A1 (ko) * 2018-11-23 2020-05-28 블락스톤 주식회사 IoT기반 저전력 도로 물분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077B1 (ko)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KR101594155B1 (ko) 도로 물청소 기능을 구비한 제설제 살포장치
KR101924331B1 (ko) 염수공급관 세척시스템
KR101916018B1 (ko) 개량형 이동식 염수분사 장치
KR200413443Y1 (ko) 염화칼슘용액 및 물 고압 살포차
KR101044526B1 (ko) 도로 표지병
KR20150093960A (ko) 노면 제설차량
KR20110092594A (ko) 클린 로드 시스템 및 그 클린 로드 시스템 작동방법
KR200438526Y1 (ko) 제설장비를 갖는 도로방호시설물
KR200417748Y1 (ko) 터널용 소화장치
KR102073513B1 (ko) 설치가 간편한 다기능 차선분리대용 살수시스템
KR20170035363A (ko) 고압 물 분사를 이용한 세차장 배수 처리시스템
KR101884213B1 (ko) 태양에너지와 지관 파이프를 이용한 개량형 염수분사 장치
KR100548990B1 (ko) 하수관거 세척장치
KR101011465B1 (ko)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KR101280979B1 (ko)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및 이를 포함한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시스템
KR102116337B1 (ko) 차량용 제설제 살포기를 활용한 다목적 청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2560B1 (ko) 이중구조의 수조를 갖는 분수대
KR20060100483A (ko) 건축공사시 트럭 장착식 세륜기
KR20180132187A (ko) 세차장의 배수 처리 시스템
KR200202829Y1 (ko) 특수 특장차용 살포장치
KR102025829B1 (ko) 관로 지장물 제거장치
CN208439239U (zh) 罐车清洗装置
KR100720958B1 (ko) 램프구간용 염수 살포장치
KR20130003124U (ko) 셀프세차장용 자동 하부세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