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684A -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684A
KR20130054684A KR1020110120220A KR20110120220A KR20130054684A KR 20130054684 A KR20130054684 A KR 20130054684A KR 1020110120220 A KR1020110120220 A KR 1020110120220A KR 20110120220 A KR20110120220 A KR 20110120220A KR 20130054684 A KR20130054684 A KR 20130054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gnet
rod
baffle pla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796B1 (ko
Inventor
주형준
이봉현
권성진
김찬중
김규식
김철수
김정민
배철용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7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6Magne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선형 강성을 구현하여 안락성을 증대시키며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비선형 강성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현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현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위하여,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이 진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진동방향으로 극성이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며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스프링과, 상자성체를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배플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석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자력 조절부를 구비하는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Suspension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진동 흡수량을 조절하는 현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 시스템은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자동차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거나 시트와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 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켜 쾌적한 주행이 가능토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 시스템 중 자동차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현가 시스템은 저가형 시트의 경우 선형스프링을 사용하며, 고가형 시트의 경우 에어스프링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피로감을 덜어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현가 시스템은 선형스프링의 경우 안락성이 떨어지고 에어스프링의 경우 압축기 등 구성요소가 많아 부피가 커지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선형 강성을 구현하여 안락성을 증대시키며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비선형 강성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현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현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이 진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진동방향으로 극성이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며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스프링과, 상자성체를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배플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석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자력 조절부를 구비하는 현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은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자석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자석이 고정되는 제1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자석이 고정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자력조절부는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자석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력조절부는 상기 제1자석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위치조절 로드와, 상기 제1자석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조절 로드에 결합되는 위치조절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 로드는 몸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위치조절 로드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력조절부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은 반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프레임의 진동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프레임의 레일이 끼워지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은 입구보다 내부가 크고, 상기 레일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진동 방향으로 형성된 제1로드가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로드가 진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로드와 결합되는 제2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에 걸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시트와, 상기 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또는 그 변형예에 따른 현가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선형 강성을 구현하여 안락성을 증대시키며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비선형 강성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현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현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 시스템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 시스템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 시스템의 프리로드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 시스템의 강성을 하중과 변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현가 시스템은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마그네틱 스프링(300) 및 자력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진동 가능하도록 제2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100)은 상부에 시트가 결합될 수 있고, 제2프레임(200)은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프레임(200)의 상부에 제1프레임(100)이 진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100)의 진동 방향은 제2프레임(200)의 상하 방향 즉, 지면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이 제2프레임(200)에 진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제1프레임(100)은 제1프레임(100)의 진동 방향으로 형성된 제1로드(120)를 포함하고, 제2프레임(200)은 제1로드(120)가 진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100)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한다면, 제1프레임(100)은 제2프레임(200) 방향으로 지면에 수직한 제1로드(120)를 구비하고, 제2프레임(200)은 제1프레임(100) 방향으로 지면에 수직한 제2로드(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로드(120)와 제2로드(220)의 결합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로드(220)는 그 내부에 제1프레임(100)의 진동 방향으로 긴 홀이 형성되고, 그 홀에 제1로드(120)가 삽입되어 진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로드(120)와 제2로드(220)는 서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홈(211)이 형성되어, 제1로드(120)가 진동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네틱 스프링(300)은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은 서로 이격되며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제1프레임(100)에 배치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제2프레임(20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은 그 극성들이 제1프레임(100)의 진동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은 전기에 의해 자성을 띄는 전자석일 수 있지만,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력 조절부(400)는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자성체를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배플 플레이트(410)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자력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할 수 있다. 자력 조절부(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은 제1프레임(100)에 배치되는 제1자석(310)과, 제2프레임(200)에 배치되는 제2자석(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을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으로 설명한다.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은 같은 극성을 마주하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자석(310)의 N극은 제2자석(320)의 N극과 마주하며 이격되고, 제1지석의 S극은 제2자석(320)의 S극에 마주하며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의 NS극은 제1프레임(100)의 진동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프레임(100)은 제1자석(310)이 배치되는 제1하우징(110)을 구비하고, 제2프레임(200)은 제2자석(320)이 배치되는 제2하우징(21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210)은 사각형상의 박스이고, 그 내부에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내부가 하나의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하우징(110)은 반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하우징(110)은 제1자석(310)의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하우징(110)이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로 이루어지면 자력 조절부(400)에 의하더라도, 제1자석(310)의 자력이 조절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1하우징(110)은 제1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진동하기 때문에, 제2하우징(210)에 진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하우징(110)은 제1프레임(100)의 진동 방향으로 레일(111)이 형성되고, 제2하우징(210)은 제1프레임(100)의 레일(111)이 끼워지는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210)은 서로 접촉하는 면에 레일(111)과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211)과 레일(111)의 단면을 살펴보면, 제2하우징(210)의 홈(211)은 그 입구보다 내부가 크고, 레일(111)은 홈(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은 같은 극성이 서로 마주보기 때문에,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의 척력에 의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21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제1자석(310)과 결합되는 자력 조절부(400)를 설명한다.
자력 조절부(400)는 배플 플레이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410)는 상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석에 가깝게 배치되면 자성을 띄어 자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자석에 멀게 배치되면 자성을 잃어 전체적인 자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배플 플레이트(410)는 자석에 영향을 받는 강자성체일 수도 있다.
제1자석(310) 및 제2자석(320)이 영구자석인 경우 제1자석(310) 및 제2자석(320)의 자력의 세기는 고정되어 있지만, 배플 플레이트(410)가 위치에 따라 전체적인 자력이 강하게 또는 약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것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제1자석(310)의 자력 또는 제2자석(320)의 자력이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배플 플레이트(410)는 제1자석(310) 및 제2자석(3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에 가깝게 또는 멀게 이동함에 따라 제1자석(310) 및 제2자석(320)의 자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배플 플레이트(410)는 제1자석(310) 또는 제2자석(32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자석의 자력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손쉽게 자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배플 플레이트(410)는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 중에서 바깥쪽에 위치한 자석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배플 플레이트(410)는 바깥쪽에 배치된 제1자석(3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자석(310)의 자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자력 조절부(400)는 제1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자석(310)의 자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자력 조절부(400)는 제1자석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410), 위치조절 로드(420) 및 위치조절 핸들(43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자력 조절부(400)는 배플 플레이트(4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플 플레이트(4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바(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배플 플레이트(410)는 제1자석(310)에 인접하도록 제1하우징(110)의 바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플 플레이트(410)는 제1자석(310)에 가깝게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위치조절 로드(420)는 배플 플레이트(410)를 관통하며 제1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위치조절 로드(420)는 몸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배플 플레이트(410)는 위치조절 로드(42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조절 로드(420)는 회전함에 따라 나사산들에 의해 배플 플레이트(410)가 제1자석(310)에 멀어지거나 가깝게 이동될 수 있다.
위치조절 로드(4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위치조절 핸들(4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치조절 핸들(430)은 제1자석(310)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위치조절 로드(4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위치조절 로드(420)의 일단은 제1하우징(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위치조절 핸들(430)이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위치조절 핸들(430)을 조작하여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바(4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41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며, 배플 플레이트(410)가 위치조절 로드(420)과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배플 플레이트(410)가 위치조절 로드(420)과 같이 회전한다면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바(440)는 배플 플레이트(410)를 관통하도록 제1하우징(110)에서 위치조절 핸들(43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 시스템은 코일 스프링(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500)은 제1프레임(100)의 진동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500)은 제1로드(120)와 제2로드(220)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코일 스프링(500)은 제1로드(120)와 제2로드(22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 스프링(500)은 일단이 제1로드(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로드(22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500)은 일단이 제2로드(2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하에서 설명할 프리로드(preload) 조절부(600)에 의해 제1로드(120)에 고정될 수 있다.
프리로드 조절부(600)는 하중이 인가될 시에 마그네틱 스프링(300)이 중립 위치에 있도록 제1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중립 위치란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의 같은 극성이 마주보는 위치를 말한다. 이를 위하여, 프리로드 조절부(600)는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프리로드 조절부(600)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리로드 조절부(600)는 결합부재(610), 프리로드 조절 로드(620) 및 프리로드 조절 노브(6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610)는 제1로드(120)와 프리로드 조절 로드(620)가 관통될 수 있다. 이때, 제1로드(120)와 프리로드 조절 로드(620)는 서로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로드 조절 로드(620)는 제1로드(120)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피니언(621)(pin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로드(120)는 프리로드 조절 로드(620)의 피니언(621)에 대응되는 랙(121)(rack)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로드 조절 로드(620)가 회전하면 피니언(621)과 랙(121)에 의해 제1로드(1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프리로드 조절 노브(63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프리로드 조절 로드(62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스프링(300), 특히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의 간격에 따른 하중과 변위에 따른 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코일 스프링(500)의 하중과 변위에 따른 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마그네틱 스프링(300)과 코일 스프링(500)의 조합에 따른 하중과 변위에 따른 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자석(310)과 제2자석(320)의 척력과 인력에 의해, 마그네틱 스프링(300)의 강성은 도시된 바와 같은 선도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제1자석(310)의 자력이 강해자거나 약해진다면 선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제1자석(310)의 자력이 강해질수록 마그네틱 스프링(300)의 강성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나고, 자력이 약해질수록 강성의 변화량이 적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제1간격은 제2간격보다 제1자석(310)과 배플 플레이트(410)의 거리가 가까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코일 스프링(500)의 강성은 하중과 변위가 선형으로 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틱 스프링(300)과 코일 스프링(500)을 조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 스프링의 강성은 하중과 변위에 대해 그래프로 도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자석(310)과 배플 플레이트(410)의 간격이 제1간격 인 경우, 조합 스프링은 제1간격 조합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가 시스템은 일정 구간동안에 하중의 위치 변화 없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는, 제1자석(310)과 배플 플레이트(410)의 간격이 제2간격 인 경우, 조합스프링은 제2간격 조합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진동이 하중에 적게 전달되도록 즉, 입력되는 진동보다 적은 진동이 하중에 전달되도록, 현가 시스템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 시스템은 자석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하중에 전달되는 진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현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현가 시스템은 시트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동차의 차체에 현가 시스템이 구비되고, 현가 시스템의 상부에 시트가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자동차에 설치된 현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운전자는 시트에 앉아 프리로드 조절부(600)를 조작하여 중립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중립위치로 설정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다르게 전자동으로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전자는 배플 플레이트(410)와 제1자석(3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자석(310)과 배플 플레이트(410)의 간격이 제1간격이 되도록 자력 조절부(400)를 조작하면, 현가 시스템이 운전자의 상하 위치변화 없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진동이 자신에게 전달되는 것을 선호한다면, 운전자는 제1자석(310)과 배플 플레이트(410)의 간격이 제2간격이 되도록 자력 조절부(4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기호에 따라 진동 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프레임 110: 제1하우징
120: 제1로드 200: 제2프레임
210: 제2하우징 220: 제2로드
300: 마그네틱 스프링 400: 자력 조절부
500: 코일 스프링 600: 프리로드 조절부

Claims (12)

  1.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이 진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된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진동방향으로 극성이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며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스프링; 및
    상자성체를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배플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석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자력 조절부;
    를 구비하는, 현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자석들은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자석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현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자석이 고정되는 제1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자석이 고정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자력조절부는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자석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현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조절부는,
    상기 제1자석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위치조절 로드; 및
    상기 제1자석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조절 로드에 결합되는 위치조절 핸들을 포함하는, 현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 로드는 몸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위치조절 로드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현가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조절부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현가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반자성체인, 현가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프레임의 진동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프레임의 레일이 끼워지는 홈을 포함하는, 현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입구보다 내부가 크고, 상기 레일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인, 현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진동 방향으로 형성된 제1로드가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로드가 진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로드와 결합되는 제2로드를 포함하는, 현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에 걸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현가 시스템.
  12. 시트와,
    상기 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현가 시스템;
    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10120220A 2011-11-17 2011-11-17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1281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220A KR101281796B1 (ko) 2011-11-17 2011-11-17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220A KR101281796B1 (ko) 2011-11-17 2011-11-17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684A true KR20130054684A (ko) 2013-05-27
KR101281796B1 KR101281796B1 (ko) 2013-07-04

Family

ID=4866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220A KR101281796B1 (ko) 2011-11-17 2011-11-17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220A (ko) * 2017-08-08 2019-02-18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완충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1305B2 (ja) * 2000-10-30 2012-05-16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マグネットユニット
KR100599273B1 (ko) * 2003-12-29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안티롤 시스템
KR100638418B1 (ko) * 2005-03-28 2006-10-24 대원강업주식회사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220A (ko) * 2017-08-08 2019-02-18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완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796B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0482B1 (en) Magnetic spring structure and vibration relief mechanism having same incorporated therein
CN203133365U (zh) 镜头驱动装置
CN101709763A (zh) 一种水平二自由度隔振机构
CN102428632A (zh) 磁力增强电磁式驱动装置
US6405841B1 (en)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KR20140114602A (ko) 양방향 제어 가능한 전자식 액티브 마운트
CN103262185A (zh) 电磁操作装置
JP5544599B2 (ja) 磁気吸着車両
KR20200086350A (ko) 전자 액추에이터
KR101281796B1 (ko)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09649103A (zh) 悬架系统及车辆
KR101294108B1 (ko)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06004306B (zh) 磁悬浮悬架及具有其的车辆
CN205689655U (zh) 一种电磁减震器
CN209381715U (zh) 一种悬架系统及车辆
JP6103185B2 (ja) 引戸の位置保持装置
KR102383140B1 (ko) 차량용 완충 장치 및 방법
KR101880568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KR101585410B1 (ko) 종횡방향 제어 능동 엔진 마운트
KR101349646B1 (ko) 상용차용 현가장치
CN216231566U (zh) 电磁减震装置、车辆悬架及车辆
CN112644539A (zh) 轨道车辆用磁浮弹簧
JP2020135094A (ja) 操作装置
JPH10245179A (ja) エレベータかごの制振装置
CN219838405U (zh) 悬架系统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