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372A -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372A
KR20130054372A KR1020137006849A KR20137006849A KR20130054372A KR 20130054372 A KR20130054372 A KR 20130054372A KR 1020137006849 A KR1020137006849 A KR 1020137006849A KR 20137006849 A KR20137006849 A KR 20137006849A KR 20130054372 A KR20130054372 A KR 2013005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rea
minimum
mirror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467B1 (ko
Inventor
양 리우
Original Assignee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5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이 제시되는바, 단계 A: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 및 이동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 단계 B: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가 포함되는 최소 미러링 영역을 확정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는 단계; 및 단계 C: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 실패로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단계 C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도 제시된다. 해당 방법과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OVEMENT OF IMAGE OBJECT}
본 출원은 2010년8월20일자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010259848.8호, “아이콘의 이동 방법 및 장치”을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에서의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한 이동 단말에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소정 사이즈의 표시 화면이 구비되고 해당 표시 화면에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 영역이라 하며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이다. 표시 영역에는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 이미지 및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래픽 객체(아이콘, 위젯(Widget) 또는 단순 이미지 등일 수 있음)에 대한 클릭을 통해 바로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기존의 스마트 폰을 비롯한 이동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요에 따라 각 그래픽 객체에 대해 드래그 조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즉 그래픽 객체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허용한다. 만약 표시 영역 내의 그래픽 객체가 비교적 적으면 문제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나, 만약 그래픽 객체가 비교적 많으면(이와 상응하게 빈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어짐), 상이한 그래픽 객체의 중첩을 초래하여 그래픽 객체의 이동에 실패하게 되며, 더 나아가 사용자의 사용에 불편을 가져다주어 사용자 경험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감안한 본 발명은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을 제공하여 그래픽 객체에 대한 이동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데 주요 목적을 둔다.
본 발명은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는 데 다른 목적을 둔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안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에 있어서,
단계 A: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 및 이동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
단계 B: 모듈 X를 이동 방향에 따라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가 포함되는 최소 미러링(Mirroring) 영역을 확정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는 단계; 및
단계 C: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 실패로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단계 C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에 있어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 및 이동 방향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수단;
모듈 X를 이동 방향에 따라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가 포함되는 최소 미러링 영역을 확정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기 위한 제1 이동 수단; 및
미러링을 진행한 후의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 실패로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반복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보다시피, 본 발명의 기술안을 채택하면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이동시켜, 만약 다른 모듈과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만약 다른 모듈과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미러링 기법으로 모듈의 위치를 교환함으로써 상이한 그래픽 객체들 사이의 중첩을 방지하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이동의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술안은 확장성이 훌륭하여 상이한 표시 영역 크기의 이동 단말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술안은 그 구현이 용이하고 실행이 신뢰 가능하며 운영 체제 플랫폼 및 프로그래밍 언어 등의 제한을 받지 않기에 보급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테이블(mask table)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 의한 표시 영역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킨 후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 확정된 최소 경계 직사각형(MBR: Minimum Bounding Rectangle) 영역 A1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 확정된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한 후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 실시예에 의한 구성 구조 예시도.
종래 기술에서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새로운 그래픽 객체 이동 기술안을 제공하여, 상이한 그래픽 객체들 사이의 중첩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상기 그래픽 객체는 아이콘, 위젯(Widget) 또는 단순 이미지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안을 보다 명확하며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 및 이동 방향을 확정한다.
이동 단말의 메이커 및 모델이 상이함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영역의 길이와 너비가 각각 320개 단위 및 240개 단위인 320×240일 수 있으며, 800×480 또는 다른 크기일 수도 있다. 각 그래픽 객체는 모두 일정 크기의 영역(그의 길이와 너비는 표시 영역의 길이와 너비보다 작거나 같아야 함)을 점용하며, 본 실시예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을 모듈 X라 칭한다.
사용자의 조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 및 이동 방향을 확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커서를 이용하여 그래픽 객체1을 선정하여 아래쪽 방향키를 클릭하면, 그래픽 객체1에 대응되는 영역을 모듈 X로 확정하고, 아래 쪽 방향을 이동 방향으로 확정한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제한하지 않는다.
단계 12: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킨다.
단계 13: 모듈 X과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14를 수행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단계 15를 수행한다.
실제 응용에서는 표시 영역을 위해 하나의 2차원 구성의 어레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마스크 테이블이라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의 마스크 테이블 예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의 크기를 4*4로 가정하면 마스크 테이블 내의 각 요소는 두 가지 내용을 기록하도록 구성되며, 그 중 한 가지는 그에 대응되는 그리드가 차지되었는지 여부를 기록하는바 만약 차지되었으면 1로 기록되고 만약 차지되지 않았으면 0으로 기록되며, 다른 한 가지는 그리드를 차지한 모듈의 메모리 주소(각 모듈의 메모리 주소는 모두 유일함)를 기록하는바 만약 그리드가 차지되지 않은 경우 NULL로 기록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그리드가 차지되었고 이 4개의 그리드를 차지한 모듈의 메모리 주소는 0*100이다.
따라서, 마스크 테이블에 대한 검색을 통해, 이동된 후의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바로 확정할 수 있으며 어느 모듈과의 중첩이 발생하는지를 알 수 있다.
단계 14: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15: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가 포함되는 최소 미러링(Mirroring) 영역을 확정하여 해당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13 중의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킨 후의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단계는 이하와 같이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1)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2) 모듈 X(원위치로 복귀된 후) 및 저지 모듈이 포함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을 확정한다.
3)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 내에 위치하는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이러한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을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정하며, 만약 이러한 모듈이 존재하면,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 내에 위치하는 모듈, 모듈 X 및 저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를 확정하여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를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정한다.
4) 최소 미러링 영역 내에서 모듈 X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는 양변의 중점(中點)의 연결선을 축으로 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해 미러링을 진행한다. 미러링 기법은 종래 기술이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들어 단계 11 내지 단계 15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 의한 표시 영역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의 크기를 4×4로 가정하며, 각각 모듈1, 모듈2, 모듈3 및 모듈4인 모두 4개의 모듈을 포함하며, 모듈2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즉 1개의 그리드)만큼 이동시킨 후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후의 모듈2와 모듈4 사이에는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모듈4가 바로 저지 모듈이다(실제 응용에서, 저지 모듈의 개수는 여러 개일 수 있으나, 여기서는 한개인 예를 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 의해 확정된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는 모듈2 및 모듈4의 전체 영역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모듈3의 전체 영역 및 모듈1의 일부 영역도 포함한다. 따라서,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은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확정될 수 없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 의해 확정된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는 모듈2, 모듈4 및 모듈3의 전체 영역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모듈1의 전체 영역도 포함하며,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를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에서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한 후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미러링 영역의 좌우 양변의 중점의 연결선을 축으로 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한다.
단계 16: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 실패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단계 17을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미러링을 진행한 후의 결과에 대해 처리를 진행한다. 만약 계속하여 이동할 경우 표시 영역의 범위를 벗어난다면 모듈 X를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단계 17: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킨다.
단계 18: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14를 수행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단계 16을 반복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단계 17을 통해 이동시킨 후의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에 이르기까지 도 1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완성된다. 후속적으로 만약 사용자가 그래픽 객체를 계속하여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 구조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정 수단(81), 제1 이동 수단(82)와 제2 이동 수단(83)을 포함한다.
여기서, 확정 수단(81)은,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 및 이동 방향을 확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이동 수단(82)는,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가 포함되는 최소 미러링 영역을 확정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이동 수단(83)은, 미러링을 진행한 후의 모듈 X가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할 수 없으면 이동 실패로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자신의 기능을 반복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제1 이동 수단(82)는 구체적으로 이동 서브 수단 및 미러링 서브 수단(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동 서브 수단은,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미러링 서브 수단에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통지하는 데 사용된다.
미러링 서브 수단은,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킨 후의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며,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 및 저지 모듈이 포함된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을 확정하며, 더 나아가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 내에 위치하는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이러한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을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정하고, 만약 이러한 모듈이 존재하면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 내에 위치하는 모듈, 모듈 X 및 저지 모듈이 포함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를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정하며, 최소 미러링 영역에서 모듈 X의 이동 방향과 평행되는 양변의 중점의 연결선을 축으로 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는 데 사용된다.
도 8에 도신된 장치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 프로세스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의 해당 설명을 참조하시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요컨대, 본 발명의 기술안에 의하면 그래픽 객체에 대한 이동의 성공률을 향상시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 하드웨어적인 실시예, 완전 소프트웨어적인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결합 실시예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는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메모리와 광학 메모리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을 통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절차 및/블록과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절차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삽입식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을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지령을 통해,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특정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해당 컴퓨터 독출 가능한 메모리 내에 저장된 지령을 통해 지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지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상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적으로 구현되는 처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지령은 흐름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보다시피,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에 대한 여러 가지 변경과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변경과 변형도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기술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도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81 : 확정 수단
82 : 제1 이동 수단
83 : 제2 이동 수단

Claims (5)

  1. 단계 A: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 및 이동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
    단계 B: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가 포함되는 최소 미러링 영역을 확정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는 단계; 및
    단계 C: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 실패로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단계 C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전에,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 X가 포함되는 최소 미러링 영역을 확정하는 것은,
    모듈 X 및 저지 모듈이 포함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을 확정하는 단계;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 내에 위치하는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을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정하는 단계; 및
    만약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모듈이 존재하면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모듈, 모듈 X 및 저지 모듈이 포함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를 확정하여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를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는 것은,
    최소 미러링 영역에서 모듈 X의 이동 방향과 평행되는 양변의 중점의 연결선을 축으로 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4. 이동시키고자 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모듈 X 및 이동 방향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수단;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가 포함되는 최소 미러링 영역을 확정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기 위한 제1 이동 수단; 및
    미러링을 진행한 후의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이동 실패로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자신의 기능을 반복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수단은, 이동 서브 수단 및 미러링 서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서브 수단은, 모듈 X를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키고 모듈 X와 다른 모듈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이동 결과로 간주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만약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면 상기 미러링 서브 수단에 통지하며,
    상기 미러링 서브 수단은, 이동 방향상에서 한개 단위만큼 이동시킨 후의 모듈 X와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모듈을 저지 모듈로 확정하고 모듈 X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모듈 X 및 저지 모듈이 포함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A1을 확정하며, 또한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1을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정하며, 만약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모듈이 존재하면 일부 영역이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모듈, 모듈 X 및 저지 모듈이 포함되는 전체 영역의 최소 경계 직사각형 영역 A2를 최소 미러링 영역으로 정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서 모듈 X의 이동 방향과 평행되는 양변의 중점의 연결선을 축으로 하여 최소 미러링 영역에 대한 미러링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객체 이동 장치.
KR1020137006849A 2010-08-20 2011-08-09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1390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2598488A CN102375664B (zh) 2010-08-20 2010-08-20 一种图标移动方法和装置
CN201010259848.8 2010-08-20
PCT/CN2011/078143 WO2012022228A1 (zh) 2010-08-20 2011-08-09 一种图形对象移动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372A true KR20130054372A (ko) 2013-05-24
KR101390467B1 KR101390467B1 (ko) 2014-04-29

Family

ID=4560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849A KR101390467B1 (ko) 2010-08-20 2011-08-09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54772B2 (ko)
EP (1) EP2608003B1 (ko)
JP (1) JP5486135B2 (ko)
KR (1) KR101390467B1 (ko)
CN (1) CN102375664B (ko)
WO (1) WO2012022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3087A (zh) * 2012-05-10 2012-09-26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添加程序至手机待机界面的方法
TWI533196B (zh) * 2014-10-09 2016-05-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虛擬按鈕的顯示方法及其電子裝置與電腦程式產品
CN106162302B (zh) * 2015-04-22 2020-08-18 Tcl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Launcher主界面的编排方法、装置及智能电视
CN106201287A (zh) * 2016-06-29 2016-12-0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的播放状态切换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0882B2 (ja) * 1991-08-30 1998-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自動配置装置
JPH09305782A (ja) * 1996-05-14 1997-11-28 Sumitomo Metal Ind Ltd 電子組版装置のレイアウト方法及び電子組版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2092615A (ja) * 2000-09-20 2002-03-29 Fujitsu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50125742A1 (en) * 2003-12-09 2005-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overlapping graphical user interface workspace
US7509588B2 (en) *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20070265930A1 (en) * 2006-04-26 2007-11-15 Julia Mohr Usability by offering the possibility to change viewing order in a navigation panel
EP1956472A1 (en) * 2007-01-31 2008-08-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icons for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JP4361945B2 (ja) * 2007-07-24 2009-11-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KR101387527B1 (ko) * 2007-12-06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20090112440A (ko) * 2008-04-24 2009-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5253936B2 (ja) * 2008-09-08 2013-07-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59009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메뉴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16893B1 (ko) * 2010-07-05 201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67B1 (ko) 2014-04-29
EP2608003B1 (en) 2017-11-08
WO2012022228A1 (zh) 2012-02-23
US9354772B2 (en) 2016-05-31
JP5486135B2 (ja) 2014-05-07
CN102375664A (zh) 2012-03-14
EP2608003A4 (en) 2016-04-27
JP2013535757A (ja) 2013-09-12
EP2608003A1 (en) 2013-06-26
CN102375664B (zh) 2013-09-04
US20130152004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333B1 (ko)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및 장치, 및 저장 매체
US9792354B2 (en) Context aware user interface parts
CN107608609B (zh) 一种事件对象发送方法与装置
US9298348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s
KR101390467B1 (ko)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CN104049880A (zh) 一种多图片批量选择的方法及装置
CN105183547A (zh) 一种用户界面的任务调度方法和装置
CN111142669A (zh) 二维界面到三维场景的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094669A (zh) 浏览器多标签页的切换方法及装置
CN107391914B (zh) 一种参数显示方法、装置及设备
CN107111418A (zh) 具有最小破坏性的图标位移
US10754523B2 (en) Resizing of images with respect to a single point of convergence or divergence during zooming operations in a user interface
CN113672325A (zh) 悬浮窗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455552B1 (ko) 그래픽 객체 이동 방법 및 장치
US9696872B2 (en) Treemap perspective manipulation
CN104423950B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12445555A (zh) 一种网格布局调整方法及装置
CN103269401B (zh) 一种图标的展示方法及终端
CN117389556A (zh) 一种组件排列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6107475A (zh) 一种数据上传方法、装置及设备
CN105468265A (zh) 用户行为的响应方法和装置
CN117529713A (zh) 用于向网络目的地共享项目的用户交互和反馈信号
CN112817668A (zh) 日期选择器的交互方法和装置
CN110929189A (zh) 视图的处理方法和装置
Topley et al. Interface Controllers and Lay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