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710A -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 - Google Patents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710A
KR20130053710A KR1020110119299A KR20110119299A KR20130053710A KR 20130053710 A KR20130053710 A KR 20130053710A KR 1020110119299 A KR1020110119299 A KR 1020110119299A KR 20110119299 A KR20110119299 A KR 20110119299A KR 20130053710 A KR20130053710 A KR 2013005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leeve
tension reel
groov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350B1 (ko
Inventor
우동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1011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3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Strip)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기구; 상기 이송기구로부터 이송되는 스트립의 선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이 권취되기 위한 슬리브(Sleeve);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한 텐션릴(Tension Reel);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유닛; 및 상기 제1센서유닛이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이 슬리브에 코일로 권취되는 과정에서 스트립의 선단부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슬리브에 권취된 스트립에 단차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리브에 권취된 스트립에 대한 자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Strip into Coil}
본 발명은 슬리브에 스트립을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Coil)은 스트립(Strip)을 슬리브(Sleeve)에 권취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스트립은 일련의 제철 공정을 거쳐 제작된 철판 등이다. 슬리브는 일종의 고무 튜브로, 코일의 내권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슬리브에 스트립을 권취하는 공정은 스트립 권취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의 개략인 측면도이고, 도 2는 스트립에 단차마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0)는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기구(11), 및 슬리브(20)가 설치되는 텐션릴(Tension Reel)(12)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기구(11)는 스트립(100)을 텐션릴(12) 쪽으로 이송한다. 텐션릴(12)은 슬리브(20)에 스트립(100)이 권취되도록 회전한다. 스트립(100)은 이송기구(11)에 의해 텐션릴(12) 쪽으로 이송되어 슬리브(20)에 접촉된 후, 텐션릴(12)이 회전함에 따라 슬리브(20)에 권취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0)에 있어서, 스트립(100)은 이송기구(11)에 의해 이송되어 슬리브(20)에 최초로 접촉하는 도달위치(A)에서, 도달위치(A)에 도달한 선단부(110)가 갖는 두께로 인해 단차(B)가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트립(100)은 슬리브(20)에 권취되면서 선단부(110)에 의해 형성된 단차(B)를 지남에 따라 벤딩(Bending)된다. 따라서, 스트립(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단차마크(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0)는 슬리브(20)에 권취된 스트립(100) 중에서 단차마크(C)가 형성된 부분을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자재 손실과 비용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립에 단차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슬리브에 스트립을 권취할 수 있는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는 스트립(Strip)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기구; 상기 이송기구로부터 이송되는 스트립의 선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이 권취되기 위한 슬리브(Sleeve);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한 텐션릴(Tension Reel); 상기 슬리브에 상기 스트립이 권취되도록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 및 상기 이송기구에 설치되고,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제1센서유닛이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이송기구가 스트립을 텐션롤에 지지된 슬리브 쪽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기구에 설치된 제1센서유닛이 스트립의 선단부를 감지하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제1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홈에 상기 선단부가 삽입된 스트립을 상기 슬리브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트립이 슬리브에 코일로 권취되는 과정에서 스트립의 선단부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슬리브에 권취된 스트립에 단차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리브에 권취된 스트립에 단차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슬리브에 권취된 스트립에 대한 자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의 개략인 측면도
도 2는 스트립에 단차마크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 공급부, 및 절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의 선단부가 슬리브의 제1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가 코일로 권취하기 위해 스트립을 슬리브에 권취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에 있어서 벨트랩퍼와 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 공급부, 및 절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의 선단부가 슬리브의 제1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가 코일로 권취하기 위해 스트립을 슬리브에 권취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에 있어서 벨트랩퍼와 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스트립(Strip)(100)을 슬리브(Sleeve)(2)에 코일로 권취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스트립(100)은 일련의 제철 공정을 거쳐 제조된 철판 등이다. 상기 스트립(100)은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공급부(200)에서 절단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슬리브(2)에 소정 길이 또는 소정 횟수로 권취됨으로써, 코일로 제조된다.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소정 길이 또는 소정 횟수로 권취되도록 상기 스트립(100)을 절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슬리브(2),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슬리브(2) 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기구(3), 상기 슬리브(2)를 지지하기 위한 텐션릴(Tension Reel)(4),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권취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5), 및 상기 스트립(100)의 선단부(110)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유닛(6)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이송기구(3)로부터 상기 텐션릴(4) 쪽으로 이송되어 상기 슬리브(2)에 접촉한 후,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다. 상기 선단부(110)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이송기구(3)로부터 상기 텐션릴(4) 쪽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슬리브(2)에 최초로 접촉되는 스트립(100)의 시작부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슬리브(2)는 상기 선단부(110)가 삽입되기 위한 제1홈(21,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제1센서유닛(6, 도 4에 도시됨)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 에 삽입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단부(110)가 갖는 두께로 인해 단차(B, 도 1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에 단차마크(C,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슬리브(2), 상기 이송기구(3), 텐션릴(4), 상기 회전기구(5), 및 상기 제1센서유닛(6)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슬리브(2)는 상기 텐션릴(4)에 지지된다. 상기 슬리브(2)는 일종의 고무 튜브로, 코일의 내권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리브(2)는 상기 텐션릴(4)에 삽입되어 상기 텐션릴(4)에 결합된다. 상기 슬리브(2)는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슬리브(2)에 코일로 권취된다. 상기 슬리브(2)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코일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에는 상기 제1홈(21, 도 4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이송기구(3)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단부(110)가 갖는 두께(110T, 도 5에 도시됨)로 인해 단차(B, 도 1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면서 상기 선단부(110)가 위치된 지점을 지나는 과정에서 벤딩(Bending)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에 단차마크(C,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일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선단부(110)로부터 70m ~ 80m 정도에 해당하는 스트립(100)이 단차마크(C, 도 2에 도시됨)로 인해 사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 전부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홈(21)은 상기 슬리브(2)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2)의 원주는 상기 스트립(100)이 권취되는 상기 슬리브(2)의 둘레이다. 상기 제1홈(21)은 최대 깊이(21T, 도 6에 도시됨)가 상기 선단부(110)가 갖는 두께(110T, 도 5에 도시됨)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면, 상기 선단부(110)는 상기 슬리브(2)의 원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단차(B, 도 1에 도시됨)를 형성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홈(21)의 최대 깊이(21T)는 2 mm일 수 있다.
상기 제1홈(21)은 상기 슬리브(2)가 회전하는 방향(D 화살표 방향, 도 6에 도시됨)(이하, '제1방향'이라 함)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E 화살표 방향, 도 6에 도시됨)(이하, '제2방향'이라 함)을 향할수록 깊이가 줄어들게 형성된다. 상기 제1홈(21)은 최대 깊이(21T)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E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깊이가 줄어들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고, 상기 제1홈(21)이 갖는 길이(21L, 도 6에 도시됨)만큼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게 권취된 후, 상기 슬리브(2)의 원주를 따라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다. 상기 제1홈(21)이 갖는 길이(21L)는 50 mm 일 수 있다. 상기 제1홈(21)의 최대 깊이(21T)와 길이(21L)는, 상기 선단부(110)의 두께,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는 횟수에 따른 코일의 두께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에서 상기 제1홈(21)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제1홈(21)이 최대 깊이(21T)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E 화살표 방향)을 향하면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텐션릴(4)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텐션릴(4) 및 상기 절단부(300, 도 4에 도시됨)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텐션릴(4) 쪽으로 이송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공급부(200, 도 4에 도시됨)로부터 상기 절단부(300) 및 상기 이송기구(3)를 지나 상기 텐션릴(4) 쪽으로 이동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한 제1구동롤(31)과 제2구동롤(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텐션릴(4)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장치는 모터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텐션릴(4)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 제1컨베이어(33)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제1컨베이어(33)에 지지되어 상기 텐션릴(4)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33)는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을 통과한 스트립(100)이 상기 텐션릴(4)에 지지된 슬리브(2)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컨베이어(33)는 일측이 상기 제1구동롤(31)을 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텐션릴(4)에 지지된 슬리브(2)를 향하게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릴(4)에 지지된 슬리브(2)가 상기 제1구동롤(31)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된 경우, 상기 제1컨베이어(33)는 하측방향(F 화살표 방향, 도 4에 도시됨)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33)는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을 통과한 스트립(100)을 상기 텐션릴(4)에 지지된 슬리브(2) 쪽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33)로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한 다양한 컨베이어(Conveyor)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컨베이어(33)로 Threading Conveyor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N회(N은 1보다 큰 정수) 권취될 때까지, 상기 제1컨베이어(33)는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컨베이어(33)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2회 권취될 때까지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N회 권취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33)는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33)가 정지한 이후,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리브(2)에 계속하여 권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도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절단부(30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 제2컨베이어(34)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제2컨베이어(34)에 지지되어 상기 절단부(300)에서 상기 제1구동롤(31)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34)는 상기 절단부(300)를 통과한 스트립(100)이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 사이를 통과하도록 이송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34)로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한 다양한 컨베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컨베이어(34)로 Magnet Conveyor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N회 권취될 때까지, 상기 제2컨베이어(34)는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컨베이어(34)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2회 권취될 때까지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N회 권취되면, 상기 제2컨베이어(34)는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컨베이어(34)가 정지한 이후,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리브(2)에 계속하여 권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도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소정 길이 또는 소정 횟수로 권취되면, 상기 스트립(100)을 절단한다.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는 스트립(100)의 길이 또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는 횟수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양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300)로 전단기(剪斷機, Shear)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공급부(20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공급부(200)는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100)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부(200)는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100)이 감겨져 있는 코일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코일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코일러로부터 풀려서 상기 절단부(300) 쪽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코일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기 위한 제3구동롤(210, 도 4에 도시됨)과 제4구동롤(220, 도 4에 도시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롤(210)과 상기 제4구동롤(220)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제3구동롤(210)과 상기 제4구동롤(2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3구동롤(210)과 상기 제4구동롤(22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단부(300)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3구동롤(210)과 상기 제4구동롤(220)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제3구동롤(210)과 상기 제4구동롤(220)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회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2회전장치는 모터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텐션릴(4)은 상기 이송기구(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텐션릴(4)은 상기 이송기구(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공급부(200, 도 3에 도시됨) 반대편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텐션릴(4)은 상기 슬리브(2)를 지지한다. 상기 슬리브(2)는 상기 텐션릴(4)에 삽입되어 상기 텐션릴(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텐션릴(4)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텐션릴(4)에 지지된 슬리브(2)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2)에는 상기 스트립(100)이 코일로 권취된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텐션릴(4)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텐션릴(4)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와 상기 텐션릴(4)의 회전축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경우,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모터와 상기 텐션릴(4)의 회전축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풀리 및 벨트 등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센서유닛(6, 도 4에 도시됨)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제1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전기구(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감지정보를 상기 회전기구(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단부(110)가 갖는 두께로 인해 단차(B, 도 1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에 단차마크(C,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상기 이송기구(3)에 설치된다.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상기 제1컨베이어(33)와 상기 텐션릴(4)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제1컨베이어(3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상기 제1컨베이어(33)에서 상기 텐션릴(4)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3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텐션릴(4) 쪽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컨베이어(33)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제1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전기구(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감지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홈(21)이 도달위치(AP, 도 5에 도시됨)에 위치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달위치(AP)는, 상기 이송기구(3)가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슬리브(2) 쪽으로 이송함에 따라,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슬리브(2)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리브(2)에 접촉되는 위치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기 위한 광을 방출하는 제1포토센서(61) 및 상기 제1포토센서(61)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제1반사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포토센서(61)와 상기 제1반사부재(62)는, 상기 이송기구(3)와 상기 텐션릴(4) 사이에 위치된 스트립(10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상기 제1반사부재(62) 쪽으로 광을 방출한다.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상기 제1반사부재(62)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제1포토센서(61)와 상기 제1반사부재(62) 사이에 상기 스트립(100)이 없으면,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상기 제1반사부재(62)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한다. 상기 스트립(10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포토센서(61)와 상기 제1반사부재(62)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광을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1포토센서(61)가 방출한 광이 상기 선단부(110)에 가려져 상기 제1반사부재(62)로 이동하지 못하거나, 상기 제1반사부재(62)로부터 반사된 광이 상기 선단부(110)에 가려져 상기 제1포토센서(61)로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고, 상기 제1감지정보를 상기 회전기구(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상기 이송기구(3)에서 상기 텐션릴(4)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기구(3)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이송기구(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상기 제1컨베이어(33)에서 상기 텐션릴(4)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33)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제1컨베이어(3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상기 제1컨베이어(33)에서 상기 텐션릴(4) 쪽을 향하는 제1컨베이어(33)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상기 제1컨베이어(33)에서 상기 텐션릴(4)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3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제1컨베이어(33)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제1포토센서(61)가 설치되는 제1설치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설치부재(35)는 상기 제1컨베이어(33)에서 상기 텐션릴(4)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33)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제1컨베이어(3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반사부재(62)는, 상기 이송기구(3)와 상기 텐션릴(4) 사이에 위치된 스트립(100)을 기준으로 상기 제1포토센서(61)의 반대편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반사부재(62)는 상기 제1포토센서(61)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1포토센서(61)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부재(62)는 상기 제1컨베이어(3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제1반사부재(62)가 설치되는 제1설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설치수단은 상기 제1컨베이어(33)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센서유닛(6, 도 7에 도시됨)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스트립(100)은 계속하여 이동하여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도달위치(AP, 도 7에 도시됨)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제1홈(21)이 상기 도달위치(AP)로 이동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킨다. 상기 선단부(110)와 상기 제1홈(21)이 동시에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2)는 제2홈(22,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홈(22)은 상기 슬리브(2)의 원주를 따라 상기 제1홈(21)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센서유닛(6, 도 7에 도시됨)에 의해 감지된 지점부터 상기 도달위치(AP)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110L, 도 6에 도시됨), 및 상기 제2홈(22)이 상기 제1홈(2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22L, 도 7에 도시됨)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도달위치(AP)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110L)는 직선 길이이다. 상기 제2홈(22)이 상기 제1홈(2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22L)는, 상기 제2홈(22)의 위치와 상기 제1홈(21)의 위치를 잇는 원호 길이이다. 상기 제2홈(22)이 상기 제1홈(2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22L)는, 상기 제2홈(22)으로부터 상기 제1홈(21)에서 최대 깊이(21T, 도 6에 도시됨)로 형성된 부분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홈(21)에 상기 선단부(110)가 삽입되도록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기 이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릴(4)을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홈(21)은 상기 제2홈(22)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 상태이다.
다음,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홈(21)이 상기 도달위치(AP)로 이동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도달위치(AP) 쪽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킨다. 예컨대,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홈(21)이 10 mpm의 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선단부(110)가 10 mpm의 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단부(110)와 상기 제1홈(21)이 상기 도달위치(AP)에 동시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선단부(110)는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어 단차(B, 도 1에 도시됨)를 형성하지 않게 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텐션릴(4)을 계속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어 단차(B, 도 1에 도시됨)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면서 상기 선단부(110)가 위치된 지점을 지나는 과정에서 벤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에 단차마크(C,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일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 전부가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슬리브(2)에 권취함으로써, 상기 스트립(100)에 대한 자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센서유닛(6, 도 7에 도시됨)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한 시점부터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될 때까지 상기 텐션릴(4)을 제1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기구(3) 또한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제1속도로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속도는 10 mpm일 수 있다.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되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텐션릴(4)을 상기 제1속도보다 따른 제2속도로 회전시킨다. 예컨대,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2회 권취되면, 상기 텐션릴(4)을 30 mpm의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텐션릴(4)과 상기 스트립(100)의 이동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안정적으로 권취된 이후에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는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슬리브(2)에 코일로 권취하는데 걸리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향상된 품질을 갖는 코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을 제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선단부(110)가 설정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제2속도로 이송한 후,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설정된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제1속도로 이송할 수 있다. 설정된 지점은, 상기 제1구동롤(31)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3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33)의 2/3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N회 권취될 때까지 상기 제1컨베이어(33), 상기 제1구동롤(31), 및 상기 제2구동롤(33)이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도록 동작시킨 후,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N회 권취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33)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33)가 정지한 이후,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이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도록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을 계속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될 때까지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제1속도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되면,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제2속도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유닛(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유닛(7)은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된 것을 감지하면, 제2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전기구(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유닛(7)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감지정보를 상기 회전기구(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2센서유닛(7)으로부터 상기 제2감지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2센서유닛(7)으로부터 상기 제2감지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텐션릴(4)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2)는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홈(21)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2센서유닛(7)은 광을 방출하는 제2포토센서(71) 및 상기 제2포토센서(71)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제2반사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포토센서(71)는 상기 슬리브(2) 쪽으로 광을 방출한다. 상기 제2반사부재(72)는 상기 제2홈(22)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2)에 결합된다.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2포토센서(71)는 상기 제2반사부재(72)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지 못한다.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되면, 상기 제2포토센서(71)는 상기 제2반사부재(72)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센서유닛(7)은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되었음을 감지하고, 상기 제2감지정보를 상기 회전기구(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정지시킨 후,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제1홈(21)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2포토센서(71)는 상기 제2반사부재(72)를 기준으로 상기 텐션릴(4)의 반대편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포토센서(71)는 상기 텐션릴(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제2포토센서(71)가 설치되는 제2설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설치수단은 상기 제2포토센서(71)가 상기 텐션릴(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포토센서(71)를 지지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2반사부재(72)는 상기 제2홈(22)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2)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반사부재(72)는 상기 제2포토센서(71)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2포토센서(71)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반사부재(72)는 상기 제2포토센서(71)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2포토센서(71)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홈(22)에 삽입되면 상기 슬리브(2)의 원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면서 상기 제2반사부재(72)가 결합된 지점을 지나는 과정에서 벤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반사부재(72)는 상기 슬리브(2)의 원주를 따라 200 mm의 길이, 상기 슬리브(2)의 원주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10 mm의 폭, 및 2 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부재(7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홈(22)은 상기 제2반사부재(72)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스트립(100)에서 상기 슬리브(2) 쪽을 향하는 스트립(100)의 일면(120)에 대해 반대되는 스트립(100)의 타면(130)에 접촉되기 위한 벨트랩퍼(Belt Wrapper)(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랩퍼(8)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벨트랩퍼(8)와 상기 슬리브(2)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리브(2)에 안정적으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벨트랩퍼(8)는 상기 텐션릴(4)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기구(3)의 반대편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벨트랩퍼(8)는 상기 스트립(100)에 접촉되는 벨트(81) 및 상기 벨트(81)를 지지하는 지지롤(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81)는 상기 지지롤(82)에 지지된다. 상기 벨트(81)는 상기 슬리브(2) 또는 상기 스트립(100)에 접촉된다.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권취되기 전이면, 상기 벨트(81)는 상기 슬리브(2)에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면, 상기 벨트(81)와 상기 슬리브(2)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벨트(81)는 상기 슬리브(2)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한다.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권취되면, 상기 벨트(81)는 상기 스트립(100)의 타면(130)에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면, 상기 벨트(81)와 상기 스트립(100)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벨트(81)는 상기 슬리브(2)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한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벨트(81)와 상기 슬리브(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다. 이 경우, 상기 벨트(81)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스트립(10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밀착되면서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롤(82)은 상기 벨트(81)를 지지한다. 상기 벨트랩퍼(8)는 상기 지지롤(82)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롤(82)들은 상기 벨트(81)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롤(82)들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벨트(81)는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롤(82)들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롤(82)들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는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구(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9)는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 또는 상기 스트립(100)에 접촉되도록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9)는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9)는 상기 벨트랩퍼(8)가 결합되는 하우징(91), 및 상기 하우징(91)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91)은 상기 이동수단(92)에 의해 상기 텐션릴(4)에 가까워지는 방향 및 상기 텐션릴(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91)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벨트랩퍼(8)가 함께 이동한다.
상기 이동수단(92)은 상기 하우징(91)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수단(92)은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기 이전에,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에 접촉되도록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킨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벨트랩퍼(8)와 상기 슬리브(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다.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되면, 도 11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92)은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킨다. 예컨대, 상기 이동수단(92)은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2회 권취되면,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슬리브(2)에 2회 권취된 이후, 상기 텐션릴(4)에 의해 소정의 장력(Tension)이 작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92)은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볼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또는 리니어모터(Linear Motor)를 이용한 방식 등으로 상기 하우징(91)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92)은 상기 하우징(91)을 회전 이동시킬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91)을 직선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치(1)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텐션릴(4)에 지지된 슬리브(2) 쪽으로 이송한다(S10). 이러한 공정(S10)은 상기 이송기구(3)가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슬리브(2) 쪽으로 이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공급부(200, 도 3에 도시됨)로부터 상기 절단부(300,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이송기구(3)를 거쳐 상기 슬리브(2)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 도 6에 도시됨)이 삽입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킨다(S20). 이러한 공정(S20)은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단부(110)가 갖는 두께로 인해 단차(B, 도 1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에 단차마크(C,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는 공정(S20)은,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스트립(100)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공정(S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21)은, 상기 제1포토센서(61)에 광이 수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포토센서(61)와 상기 제1반사부재(62) 사이에 상기 스트립(100)이 없으면,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상기 제1반사부재(62)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한다. 상기 스트립(10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포토센서(61)와 상기 제1반사부재(62)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제1포토센서(61)는 광을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1포토센서(61)가 방출한 광이 상기 선단부(110)에 가려져 상기 제1반사부재(62)로 이동하지 못하거나, 상기 제1반사부재(62)로부터 반사된 광이 상기 선단부(110)에 가려져 상기 제1포토센서(61)로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센서유닛(6)은 상기 제1포토센서(61)에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제1감지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회전기구(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포토센서(61)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텐션릴(4)을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S22)이 수행된다. 이러한 공정(S22)은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제1센서유닛(6)으로부터 상기 제1감지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텐션릴(4)을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달위치(AP)에는 상기 제2홈(22)이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포토센서(61)에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는 공정(S23)이 수행된다. 이러한 공정(S23)은,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제1센서유닛(6)으로부터 상기 제1감지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홈(21)이 상기 도달위치(AP)로 이동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텐션릴(4)을 상기 제1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속도는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도달위치(AP) 쪽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이다. 이에 따라, 상기 선단부(110)와 상기 제1홈(21)이 상기 도달위치(AP)에 동시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선단부(110)는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어 단차(B, 도 1에 도시됨)를 형성하지 않게 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홈(21)에 상기 선단부(110)가 삽입된 스트립(100)을 상기 슬리브(2)에 권취한다(S30). 이러한 공정(S30)은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된 이후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텐션릴(4)을 계속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삽입되어 단차(B, 도 1에 도시됨)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면서 상기 선단부(110)가 위치된 지점을 지나는 과정에서 벤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에 단차마크(C,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일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 전부가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슬리브(2)에 권취함으로써, 상기 스트립(100)에 대한 자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슬리브(2)에 권취하는 공정(S30)은,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될 때까지 상기 텐션릴(4)을 제1속도로 회전시키는 공정, 및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되면 상기 텐션릴(4)을 상기 제1속도보다 따른 제2속도로 회전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은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제1홈(21)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안정적으로 권취된 이후에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는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을 권취하는데 걸리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향상된 품질을 갖는 코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을 제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선단부(110)가 설정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제2속도로 이송한 후, 상기 선단부(110)가 상기 설정된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제1속도로 이송할 수 있다. 설정된 지점은, 상기 제1구동롤(31)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3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33)의 2/3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N회 권취될 때까지 상기 제1컨베이어(33), 상기 제1구동롤(31), 및 상기 제2구동롤(33)이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도록 동작시킨 후,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슬리브(2)에 N회 권취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33)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33)가 정지한 이후,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이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도록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을 계속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될 때까지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제1속도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되면, 상기 이송기구(3)는 상기 스트립(100)이 상기 제2속도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구동롤(31)과 상기 제2구동롤(32)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상기 제2홈(22, 도 7에 도시됨)을 상기 도달위치(AP, 도 7에 도시됨)에 위치시키는 공정(S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40)은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홈(22)을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시키는 공정(S40)은,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는 공정(S10), 및 상기 도달위치(AP)에 상기 제1홈(21)이 위치되도록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는 공정(S20) 사이에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는 공정(S20)은,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유닛(6)이 상기 선단부(110)를 감지하면,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홈(22)을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시키는 공정(S40)은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는 공정(S10)이 수행되기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홈(22)을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시키는 공정(S40)은, 상기 제2포토센서(71)에 광이 수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공정(S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2포토센서(71)는 상기 제2반사부재(72)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지 못한다.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되면, 상기 제2포토센서(71)는 상기 제2반사부재(72)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센서유닛(7)은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되었음을 감지하고, 상기 제2감지정보를 상기 회전기구(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포토센서(71)에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제2홈(22)이 상기 도달위치(AP)에 위치되게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키는 공정(S42)이 수행된다. 이러한 공정(S42)은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제2센서유닛(7)으로부터 상기 제2감지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텐션릴(4)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포토센서(71)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텐션릴(4)을 정지시키는 공정(S43)이 수행된다. 이러한 공정(S43)은, 상기 회전기구(5)가 상기 제2센서유닛(7)으로부터 상기 제2감지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텐션릴(4)을 정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5)는 상기 제1센서유닛(6)으로부터 상기 제1감지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텐션릴(4)을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방법은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에 접촉되도록 상기 벨트랩퍼(8)을 이동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이동기구(9)가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벨트랩퍼(8)와 상기 슬리브(2)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되기 시작함으로써, 상기 슬리브(2)에 밀착되면서 상기 슬리브(2)에 안정적으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에 접촉되도록 상기 벨트랩퍼(8)을 이동시키는 공정은,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는 공정(S10)이 수행되기 이전 또는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는 공정(S10)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에 접촉되도록 상기 벨트랩퍼(8)을 이동시키는 공정은, 상기 스트립(100)을 이송하는 공정(S10)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스트립(100)을 상기 슬리브(2)에 권취하는 공정(S30)은, 상기 슬리브(2)에 상기 스트립(100)이 N회 권취되면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된 스트립(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이동기구(9)가 상기 벨트랩퍼(8)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벨트랩퍼(8)가 상기 슬리브(2)에 권최된 스트립(100)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스트립(100)은 상기 텐션릴(4)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작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텐션릴(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리브(2)에 권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스트립 권취장치 2 : 슬리브 3 : 이송기구 4 : 텐션릴
5 : 회전기구 6 : 제1센서유닛 7 : 제2센서유닛 8 : 벨트랩퍼
9 : 이동기구 21 : 제1홈 22 : 제2홈 31 : 제1구동롤
32 : 제2구동롤 33 : 제1컨베이어 34 : 제2컨베이어 35 : 제1설치부재
61 : 제1포토센서 62 : 제1반사부재 71 : 제2포토센서
72 : 제2반사부재 81 : 벨트 82 : 지지롤 91 : 하우징
92 : 이동수단 100 : 스트립 110 : 선단부 120 : 일면 130 : 타면
200 : 공급부 210 : 제3구동롤 220 : 제4구동롤 300 : 절단부

Claims (14)

  1. 스트립(Strip)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기구;
    상기 이송기구로부터 이송되는 스트립의 선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이 권취되기 위한 슬리브(Sleeve);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한 텐션릴(Tension Reel);
    상기 슬리브에 상기 스트립이 권취되도록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 및
    상기 이송기구에 설치되고,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제1센서유닛이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유닛은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기 위한 광을 방출하는 제1포토센서(Photo Sensor), 및 상기 제1포토센서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제1포토센서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1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포토센서는 상기 이송기구에서 상기 텐션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기구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이송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제1포토센서와 상기 제1반사부재 사이에 상기 선단부가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제1포토센서에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홈으로부터 상기 슬리브의 원주를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센서유닛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선단부가 상기 슬리브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상기 제1홈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가 상기 슬리브에 도달하는 도달위치에 상기 제2홈이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유닛은 광을 방출하는 제2포토센서, 및 상기 제2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포토센서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제2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제2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이 상기 제2포토센서에 수광되면 상기 텐션릴을 정지시킨 후, 상기 제1센서유닛이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면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제1센서유닛이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면, 상기 선단부가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상기 슬리브의 원주를 따라 상기 슬리브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깊이가 줄어들게 형성되고, 최대 깊이가 상기 선단부가 갖는 두께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스트립이 권취되도록 상기 스트립에서 상기 슬리브 쪽을 향하는 스트립의 일면에 대해 반대되는 스트립의 타면에 접촉되기 위한 벨트랩퍼(Belt Wrapper); 및
    상기 슬리브에 스트립이 N회(N은 1보다 큰 정수) 권취되면, 상기 벨트랩퍼가 상기 슬리브에 권취된 스트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벨트랩퍼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제1센서유닛이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면 상기 텐션릴을 제1속도로 회전시킨 후, 상기 슬리브에 스트립이 N회(N은 1보다 큰 정수) 권취되면 상기 텐션릴을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9. 이송기구가 스트립을 텐션롤에 지지된 슬리브 쪽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기구에 설치된 제1센서유닛이 스트립의 선단부를 감지하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제1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홈에 상기 선단부가 삽입된 스트립을 상기 슬리브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센서유닛의 제1포토센서에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제2홈을 상기 선단부가 상기 슬리브에 도달하는 상기 도달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홈이 상기 도달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유닛이 상기 선단부를 감지하면,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을 상기 도달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홈에 결합된 제2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이 제2포토센서에 수광되면 상기 텐션릴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단부가 슬리브 쪽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한 제1속도로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키고;
    상기 스트립을 상기 슬리브에 권취하는 단계는, 상기 슬리브에 스트립이 N회(N은 1보다 큰 정수) 권취되면 상기 텐션릴을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벨트랩퍼가 상기 슬리브에 접촉되도록 상기 벨트랩퍼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을 상기 슬리브에 권취하는 단계는 상기 슬리브에 스트립이 N회(N은 1보다 큰 정수) 권취되면, 상기 벨트랩퍼가 상기 슬리브에 권취된 스트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벨트랩퍼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방법.
KR1020110119299A 2011-11-16 2011-11-16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 KR10130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99A KR101309350B1 (ko) 2011-11-16 2011-11-16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99A KR101309350B1 (ko) 2011-11-16 2011-11-16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10A true KR20130053710A (ko) 2013-05-24
KR101309350B1 KR101309350B1 (ko) 2013-09-17

Family

ID=4866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299A KR101309350B1 (ko) 2011-11-16 2011-11-16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65B1 (ko) * 2013-11-19 2015-05-21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5150B (zh) 2015-12-01 2019-04-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在製造製程中的材料張緊系統以及張緊材料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699A (ja) * 1997-03-24 1998-10-06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巻き取り方法
KR19990013683U (ko) * 1997-09-29 1999-04-26 이구택 냉연 스트립의 엔드마크 제거장치
KR100635072B1 (ko) * 1999-12-13 2006-10-16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제품 엔드마크 발생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65B1 (ko) * 2013-11-19 2015-05-21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350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1186A (ko) 솔더링 와이어 공급 장치
EP1286903B1 (en) Supply device for supplying rubber material to a cutting device
US6695027B2 (en) Speed matching system for a web splicer mechanism in a web-fed printing press or the like
KR101309350B1 (ko)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
CN102700236B (zh) 转印膜的张力控制装置及转印膜的张力控制方法
JP2009161262A (ja) 円筒状物品の搬送装置、搬送結束装置及び搬送識別装置
KR100483952B1 (ko) 케이블 자동 권취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8494B1 (ko) 스트립 권취 장치
JP6100083B2 (ja) 一定長さにカットされた部材の巻付体への巻付方法及び巻付体への部材の巻付装置
JP7244083B2 (ja) テープ貼付装置
JPH10139231A (ja) 可撓性帯状材の接合方法及びその接合装置
JP2006289733A (ja) ビードコア形成装置
JP5252967B2 (ja) ラベル供給装置
JP5427514B2 (ja) シート終端検出装置
JPH0549583B2 (ko)
JP5659814B2 (ja) 搬送速度制御システム
JP2021006800A (ja) タイヤ試験機およびタイヤ試験機におけるタイヤ搬送方法
JP2013003117A (ja) シート状材料の厚さ測定方法およびシート状材料の搬送装置
KR101958974B1 (ko) 간지 공급장치
JP2005335920A (ja) コンベヤ
KR100515046B1 (ko) 강판 형상 측정용 샘플 이송장치
JPH05229532A (ja) 物品供給コンベヤにおける物品サイズ検出装置
RU2263064C2 (ru) По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резин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к устройству для резки
US20210061606A1 (en) Sheet supply method and sheet supply device
JP2006027823A (ja) 巻取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