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517A -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517A
KR20130052517A KR1020120124792A KR20120124792A KR20130052517A KR 20130052517 A KR20130052517 A KR 20130052517A KR 1020120124792 A KR1020120124792 A KR 1020120124792A KR 20120124792 A KR20120124792 A KR 20120124792A KR 20130052517 A KR20130052517 A KR 20130052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nual
roller
paper feed
n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003B1 (ko
Inventor
스스무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6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65H3/68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im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6Flexibl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7/00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220/00 – B65H2406/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65H2407/20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220/00 – B65H2406/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manual intervention of operator
    • B65H2407/21Manual fee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급지 장치는, 닙부의 상류측에 있고 시트 수납부로부터 보내지는 시트의 선단을 닙부로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와, 수동 급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선단부가 시트 안내부와 닙부 사이에 배치되고, 수동의 시트를 닙부로 안내하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수동 안내 부재를 구비한다. 수동의 시트는, 수동 안내 부재에 의해 닙부를 향해 안내되어 급지 롤러에 의해 시트 반송로로 송출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하나의 급지 롤러를 이용하여 급지 카세트의 시트의 겹침 송출을 방지하고, 또, 수동 트레이의 시트를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개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그들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하는 급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시트를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고, 화상 형성부에서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시트 상에 전사한 후, 이 토너상을 시트에 정착하는 프로세스를 거쳐 화상이 형성된다. 시트를 화상 형성부로 송출하는 방식으로서, 복수장의 시트를 급지 카세트에 미리 적재해 두고, 급지 카세트로부터 시트를 1장씩 픽업하여 화상 형성부로 송출하는 카세트 급지 방식과, 수동 트레이에 1장씩 세팅된 시트를 화상 형성부로 송출하는 수동 급지 방식이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급지 카세트와 수동 트레이의 두 방식을 구비하고, 빈번하게 인쇄하는 사이즈의 시트를 급지 카세트에 수용하는 한편, 봉투, 판지 등의 특수 시트 혹은 급지 카세트에 적재하지 않은 사이즈의 시트는 수동 트레이에 올려놓아진다. 그리하여 어느 한 방식이 선택되어 시트가 송출된다.
통상, 급지 카세트로부터 화상 형성부로 송출하기 위해서 카세트 급지 롤러가 이용되며, 또 수동 트레이로부터 송출하기 위해 수동 급지 롤러가 이용된다. 또, 급지 카세트의 시트를 급지 롤러에 의해 화상 형성부로 송출함과 더불어, 수동 트레이의 시트를 급지 카세트와 같은 급지 롤러에 의해 화상 형성부로 송출하도록, 하나의 급지 롤러에 의해 각각의 시트를 송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기술에 대해 제1의 관련 기술의 급지 장치에서는, 급지 카세트 및 수동 트레이가 상하 방향으로 겹쳐 쌓아져 배치된다. 급지 롤러가 급지 카세트 상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동 트레이에는 상측 슬라이드판과 하측 슬라이드판이 시트 송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급지 롤러가 급지 카세트 상에 맞닿고 있을 때는, 급지 카세트 상에 올려놓아진 시트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 한편, 수동 트레이 상의 시트를 송출하는 경우, 상측 슬라이드판을 슬라이드 조작하면, 하측 슬라이드판이 급지 롤러측으로 슬라이드하여, 급지 롤러가 하측 슬라이드판의 상면측으로 들어올려진다. 이에 의해, 수동 트레이에 올려놓아진 시트가 급지 롤러에 의해 송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제1의 관련 기술의 급지 장치에서는, 급지 롤러를 요동시키는 기구가 필요하고, 또 시트 송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상측 슬라이드판 및 하측 슬라이드판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장치 본체가 복잡한 구성으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간단한 구성으로, 하나의 급지 롤러를 이용하여 급지 카세트의 시트의 겹침 송출을 방지하고, 또, 수동 트레이의 봉투나 판지 등의 시트를 확실하게 송출하는 급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국면에 따른 급지 장치는, 시트를 적재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시트 적재 부재가 설치되는 시트 수납부와, 급지 롤러와 상기 급지 롤러에 압접되는 분리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닙부와, 상기 닙부의 상류측에 있고 상기 시트 수납부로부터 보내지는 시트의 선단을 상기 닙부로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와, 상기 시트 수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동으로 시트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수동 급지부와, 상기 수동 급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선단부가 상기 시트 안내부와 상기 닙부 사이에 배치되고, 수동의 시트를 상기 닙부를 향해 안내하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수동 안내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시트 수납부의 시트는, 상기 시트 적재 부재에 적재된 복수장의 시트로부터 최상면의 시트만이 상기 닙부에 의해 분리됨과 더불어 상기 급지 롤러에 의해 시트 반송로로 송출된다. 상기 수동 급지부의 시트는, 상기 수동 안내 부재에 의해 상기 닙부를 향해 안내되고 상기 급지 롤러에 의해 상기 시트 반송로로 송출된다.
또, 본 개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상기 급지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 본 개시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더 명확해진다.
본 개시에 의하면, 시트 수납부의 시트를 송출하는 경우, 시트 수납부의 시트가 수동 시트 안내 부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시트 적재 부재로부터 시트 안내부로 보내져, 시트의 선단이 시트 안내부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복수장의 시트를 닙부로 보내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시트는 시트 안내부를 따라 닙부로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안내된다. 닙부에 도착한 시트는, 급지 롤러에 의해 확실하게 시트 반송로로 송출된다. 시트 안내부에서 처리되지 않고 복수장의 시트가 닙부로 보내졌을 때, 복수장의 시트로부터 최상면의 시트만이 닙부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시트가 급지 롤러에 의해 확실하게 시트 반송로로 송출된다. 한편, 수동 급지부 상의 시트를 송출하는 경우, 시트를 수동 급지부 상에 올려놓았을 때, 시트가 수동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어, 시트의 선단을 시트 안내부의 하류측의 닙부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시트를 닙부로 확실하게 보낼 수 있고, 닙부로 보내진 시트는 급지 롤러에 의해 시트 반송로로 송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급지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급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급지 장치의 수동 급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급지 장치의 수동 급지부로부터 시트가 송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급지 장치의 급지 카세트로부터 시트가 송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본 개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개시된 용도나 여기서 나타내는 용어 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인 급지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우측을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으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장치 본체(1a)의 하부에는, 급지 장치(20)가 배치된다. 급지 장치(20)는, 적재된 시트(S)를 수용하는 시트 수납부인 급지 카세트(22)와, 수동 급지부인 수동 트레이(41)를 구비한다. 급지 카세트(22)는 시트(S)를 수납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1a)의 전방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동 트레이(41)는 급지 카세트(22)의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급지 카세트(22)는 장치 본체(1a)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급지 장치(20)의 후방에는, 장치 본체(1a)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장치 본체(1a)의 상면에 형성된 배지부(3)에 이르는 시트 반송로(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 반송로(4)를 따라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픽업 롤러(29), 급지 롤러(30), 레지스트 롤러쌍(8), 화상 형성부(9), 정착부(10) 및 배출 롤러쌍(11)이 배치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22)에는, 급지 카세트(2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 적재판(28)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 적재판(28) 상에 적재된 시트(S)가 픽업 롤러(29)에 의해 시트 반송로(4)를 향해 송출되고, 픽업 롤러(29)에 의해 복수장의 시트(S)가 동시에 보내진 경우에는, 급지 롤러(30)와 분리 패드(35)에 의해 시트(S)가 처리되고, 최상위의 1장만이 송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트 반송로(4)로 송출된 시트(S)는, 레지스트 롤러쌍(8)으로 반송되고, 레지스터 롤러쌍(8)에 의해 타이밍이 조정되어 화상 형성부(9)로 공급된다.
수동 트레이(41)는, 급지 카세트(22)에 적재되어 있지 않은 사이즈의 용지나 봉투, 판지 등의 시트(S)를 화상 형성부(9)에 레지스트 롤러쌍(8)을 통해 송출하는 것이며, 시트(S)는 장치 본체(1a)의 전방으로부터 수동 트레이(41) 상에 올려놓아진다.
화상 형성부(9)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시트(S)에 소정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것이며, 도 1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 담지체인 감광체(14)와, 이 감광체(14)의 주위에 배치되는 대전 장치(15), 현상 장치(16), 클리닝 장치(17), 시트 반송로(4)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14)에 대향 하도록 배치되는 전사 롤러(18) 및 감광체(14)의 전방에 배치되는 노광 장치(19)로 구성되어 있다.
대전 장치(15)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된 도전성 고무 롤러(15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도전성 고무 롤러(15a)가 감광체(14)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감광체(14)가 회전하면, 도전성 고무 롤러(15a)가 감광체(14)의 표면에 접촉하여 종동 회전하며, 이 때, 도전성 고무 롤러(15a)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체(14)의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되게 된다.
이어서, 노광 장치(19)로부터 사출되는 빔광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정전 잠상이 감광체(14) 상에 형성되고, 현상 장치(16)에 의해 정전 잠상에 토너가 부착되어 감광체(14)의 표면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레지스트 롤러쌍(8)으로부터 감광체(14)와 전사 롤러(18) 사이(전사 위치)에 시트(S)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공급되고, 전사 롤러(18)에 의해 시트(S) 상에 감광체(14)의 표면의 토너상이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S)는, 감광체(14)로부터 분리되어 정착부(10)를 향해 반송된다. 이 정착부(10)는,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화상 형성부(9)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화상 형성부(9)에서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S)는, 정착부(10)에 구비된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에 의해 가열, 가압되고, 시트(S)에 전사된 토너상이 정착된다.
화상 형성된 시트(S)는, 배출 롤러쌍(11)에 의해 배지부(3)로 배출된다. 한편, 전사 후에 감광체(14)의 표면에 잔류한 토너는 클리닝 장치(17)에 의해 제거되고, 감광체(14)는 대전 장치(15)에 의해 다시 대전되어, 이하 동일하게 하여 화상 형성을 한다.
도 2~도 5를 이용하여 급지 장치(20)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급지 장치(20)의 급지 롤러(30) 주변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수동 트레이(4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수동 트레이(41)로부터 시트(S)가 송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급지 롤러(30) 주변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급지 카세트(22)로부터 시트(S)가 송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급지 롤러(30) 주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22)는, 시트 적재 부재인 시트 적재판(28)과, 리프트판(33)을 구비한다. 장치 본체(1a)에는, 픽업 롤러(29)와, 급지 롤러(30)와, 분리 부재인 분리 패드(35)가 설치된다.
시트 적재판(28)은, 급지 카세트(2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S)의 송출 방향의 상류측을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의 둘레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시트 적재판(28) 상에 시트(S)가 적재된다.
리프트판(33)은 시트 적재판(28)의 하방에 설치되고, 기어(34)에 의해 회동 된다. 급지 카세트(22)가 장치 본체(1a)에 장착되면, 기어(34)는, 장치 본체(1a)측에 설치한 구동 기어(도시 생략)에 맞물려, 구동 기어를 통해 장치 본체(1a)에 설치한 승강 모터(도시 생략)에 구동 연결된다. 승강 모터의 일방향의 회전 구동에 의해, 리프트판(33)이 서서히 상승하면, 리프트판(33)의 선단에 맞닿는 시트 적재판(28)이 상승한다. 시트 적재판(28)이 상승하면, 시트 적재판(28) 상에 적재된 시트(S)는, 픽업 롤러(29)에 눌린다. 픽업 롤러(29)에 의해, 시트 적재판(28) 상에 적재된 시트 다발의 상측의 1장 혹은 복수장의 시트(S)가 급지 롤러(30)측으로 보내진다. 한편, 승강 모터의 타방향의 회전 구동에 의해, 리프트판(33)이 서서히 하강하면, 시트 적재판(28)이 하강한다.
급지 롤러(30)는, 급지 카세트(22)로부터 보내진 시트(S), 혹은 수동 트레이(41)에 올려놓아진 시트(S)를 시트 반송로(4)로 송출함과 더불어, 급지 카세트(22)로부터 복수장의 시트(S)가 보내진 경우, 복수장의 시트(S)로부터 최상면의 시트(S)만을 분리 패드(35)와 함께 분리하여 시트 반송로(4)로 송출하는 것이다. 급지 롤러(30)는, 롤러(31)와 한 쌍의 산륜(32)을 갖고, 시트(S)의 폭방향(도 2의 지면의 표리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장치 본체(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31)는, 고무 등의 탄성재에 의해 바깥 가장자리의 일부가 빠진 원형상, 예를 들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산륜(32)은, 표면이 매끄러운 수지 등에 의해 롤러(31)의 외주직경보다 약간 작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롤러(31)의 축방향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분리 패드(35)는 급지 롤러(3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분리 패드(35)는, 급지 롤러(30)의 축방향 길이와 대략 같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또 급지 롤러(30)에 대향하는 표면이 마찰면에서 형성된다. 분리 패드(35)는 지지 부재(37)에 접착 부재에 의해 부착된다.
지지 부재(37)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가압 부재(36)에 의해 급지 롤러(30)측에 탄성가압되고, 또, 급지 롤러(30)측에 이동 가능하게 장치 본체(1a)에 유지되어 있다. 급지 롤러(30)가 회전하여, 롤러(31)가 분리 패드(35)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을 때, 롤러(31)는 분리 패드(35)에 맞닿도록, 또 롤러(31)가 분리 패드(35)에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도 2의 상태), 산륜(32)이 분리 패드(35)에 맞닿도록, 지지 부재(37)는 유지되어 있다. 급지 롤러(30)가 회전하여, 롤러(31)가 분리 패드(35)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을 때, 혹은 산륜(32)이 분리 패드(31)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을 때, 닙부(N)에 소정의 닙압이 작용한다.
따라서, 급지 롤러(30)가 회전하여 시트(S)를 송출할 때, 닙부(N)에서 닙압이 작용하게 되어, 시트(S)는 롤러(31)에 의해 시트 반송로(4)로 송출된다. 시트(S)가 송출된 후, 롤러(31)가 분리 패드(35)에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하고(도 2의 상태), 급지 롤러(30)는 다음 시트(S)의 송출에 대비한다.
지지 부재(37)에는 시트 안내부(37a)가 형성된다. 시트 안내부(37a)는, 닙부(N)의 상류측에서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급지 카세트(22)로부터 보내지는 시트(S)의 선단을 닙부(N)로 안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적재판(28)에 적재된 시트(S)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시트 안내부(37a)로 보내지는데, 시트 안내부(37a)의 경사면은, 이 시트(S)의 경사각보다 큰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시트 안내부(37a)의 경사면은 분리 패드(35)의 경사각보다 큰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급지 카세트(22)로부터 보내진 시트(S)의 선단은 시트 안내부(37a)에 맞닿고, 시트 안내부(37a)를 따라 닙부(N)로 원활하게 진입한다. 또, 급지 카세트(22)로부터 복수장의 시트(S)가 보내진 경우, 시트 안내부(37a)에서, 그 경사면을 따라 복수장의 시트(S)의 상측의 시트(S)가 닙부(N)를 향해 선행하게 되어, 복수장의 시트(S)를 동시에 닙부(N)로 보내는 것이 억제된다.
급지 카세트(22)의 상측에는 수동 트레이(41)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 트레이(41)는, 시트(S)를 올려놓을 수 있는 트레이 본체(42)와, 트레이 본체(42)의 상면에 설치되고, 시트(S)의 폭에 맞춰 시트(S)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한 쌍의 커서(43)와, 올려놓아진 시트(S)를 급지 롤러(30)의 닙부(N)를 향해 안내하는 수동 안내 부재(45)를 구비한다.
트레이 본체(42)에는, 한 쌍의 개구(42a)와 한 쌍의 커서(43)가 설치된다. 한 쌍의 커서(43)는, 각각의 하측 가장자리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 설치되고, 또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랙(44)을 갖는다. 한 쌍의 개구(42a)는 트레이 본체(4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결된다. 각 랙(44)은 각 개구(42a)를 통해 트레이 본체(42)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랙(44)은 서로 역방향을 향하는 치면을 갖고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에 맞물린다. 이에 의해, 한쪽의 커서(43)를 이동시킴으로써 다른쪽의 커서(43)가 한쪽의 커서(43)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동일량만큼 이동하고, 시트(S)의 폭에 맞추어 시트(S)의 위치 결정을 한다.
본 실시형태는, 수동 트레이(41)가 급지 카세트(22)의 상방에 배치되고, 급지 카세트(22)(도 2 참조)의 시트(S)와 수동 트레이(41)의 시트(S)를 같은 급지 롤러(30)에 의해 시트 반송로(4)로 송출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는, 수동 트레이(41)에 시트(S)를 올려놓을 때, 수동 트레이(41)에 끼워넣어진 시트(S)의 선단이 시트 안내부(37a)(도 2 참조)에 맞닿아, 시트(S)를 닙부(N)(도 2 참조)로 보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안내부(37a)의 경사면(도 2 참조)은, 수동 트레이(41)의 시트(S)의 재치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고 대향 배치된다. 또한, 수동 트레이(41)로부터 급지 롤러(30)측으로 시트(S)를 송출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수동 트레이(41)의 시트(S)의 재치면이 시트(S)의 송출 방향의 하류측을 하측으로 경사지게하는 구성에서는, 상기 소정의 각도는 더욱 커진다. 이 시트 안내부(37a)의 경사면과 시트(S)의 재치면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 수동 트레이(41)에 끼워넣어진 시트(S)의 선단이 시트 안내부(37a)에 충돌하여, 시트(S)를 닙부(N)(도 2 참조)로 보내기 어려워진다. 특히, 시트(S)가 판지 등의 견고하고 질긴 용지이면, 닙부(N)로의 불송출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래서, 수동 안내 부재(45)를 수동 트레이(41)로부터 급지 롤러(30)측에 연장 설치하고 있다. 수동 안내 부재(45)는, 수동 트레이(41)의 트레이 본체(42)의 선단부(급지 롤러(30)측)의 하면에 접착 부재에 의해 부착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으로 박판 형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 수동 안내 부재(45)는, 트레이 본체(42)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시트 송출 방향으로는, 그 선단부(45a)가 지지 부재(37)의 시트 안내부(37a)와 닙부(N) 사이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도 2 참조). 이 구성에 의해, 시트(S)의 닙부(N)로의 불송출이 해소된다. 또한, 수동 안내 부재(45)의 선단부(45a)는 시트 안내부(37a)의 하류측에 배치되면, 닙부(N) 근방까지 연장하여 배치해도 된다.
또한, 하나의 급지 롤러(30)에 의해, 급지 카세트(22)의 시트(S)와 수동 트레이(41)의 시트(S)를 급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동 안내 부재(45)의 선단부(45a)에는, 급지 롤러(30)나 분리 패드(35)보다 약간 크고 평면에서 봤을 때 U자형상의 절결부(45b)가 형성된다.
수동 안내 부재(45)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절결부(45b)가 급지 롤러(30)나 분리 패드(35)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S1)를 수동 트레이(41) 상에 올려놓으면, 시트(S1)를 닙부(N)로 확실하게 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동 트레이(41)에 끼워넣어진 시트(S1)의 선단은 수동 안내 부재(45)에 의해 급지 롤러(30)를 향해 안내되고, 시트(S1)는 급지 롤러(30)의 산륜(32)의 표면에 맞닿고, 시트(S1)의 두께에 따라 수동 안내 부재(45)는 하측으로 변형된다. 시트(S1)가 산륜(32)의 표면에 맞닿더라도, 산륜(32)의 표면은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장 없이 닙부(N)의 근방으로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S1)를 수동 트레이(4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급지 롤러(30)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롤러(31)가 시트(S1)의 표면에 접촉하고, 시트(S1)가 롤러(31)와 분리 패드(35)에 의해 끼워져 닙부(N)로 보내진다. 닙부(N)로 보내진 시트(S1)는 롤러(31)에 의해 시트 반송로(4)로 확실하게 송출된다. 또, 급지 카세트(22)에 시트(S)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동 트레이(41)로부터 시트(S)가 급지된 경우, 수동 트레이(41)로부터 급지되는 시트(S) 이면의 마찰에 의해, 급지 카세트(22) 내의 시트(S)가 닙(N)까지 반송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다시 수동 트레이(41)로부터 시트(S)를 급지할 때는, 급지 롤러(30)의 롤러(31)가 수동 트레이(41)로부터의 시트(S)에 먼저 접촉하기 때문에, 급지 카세트(22)로부터 시트(S)가 급지되는 경우가 없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22)로부터 시트 반송로(4)로 시트(S)를 송출하는 경우, 픽업 롤러(29)의 회전 구동에 의해, 시트 적재판(28) 상에 적재된 시트(S)가 급지 롤러(30)를 향해 반송된다. 이 경우, 복수의 시트(S2, S3)가 급지 롤러(30)를 향해 보내졌을 때, 상측의 시트(S2)가 시트 안내부(37a)의 경사면을 따라 닙부(N)를 향해 선행하게 되어, 시트(S2, S3)를 동시에 닙부(N)로 보내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나, 복수의 시트(S2, S3)가 닙부(N)로 동시에 보내지게 된 경우에는, 급지 롤러(30)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롤러(31)가 분리 패드(35)에 대향하여 닙부(N)에 소정의 닙압이 작용할 때에, 시트(S2, S3)가 처리되고, 시트(S2)만이 시트 반송로(4)로 송출된다.
여기서, 급지 카세트(22)로부터 급지 롤러(30)에 시트(S)를 반송할 때, 시트(S)가 수동 안내 부재(45)의 하면에 맞닿는데, 수동 안내 부재(45)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수동 안내 부재(4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시트(S)가 수동 안내 부재(45)를 밀어 올려, 닙부(N)로 확실하게 보내진다.
수동 안내 부재(45)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하나의 급지 롤러(30)에 의해 급지 카세트(22)의 시트(S)가 중복되지 않고 시트 반송로(4)로 송출되고, 또, 수동 트레이(41)의 봉투나 판지 등의 시트(S)가 확실하게 시트 반송로(4)로 송출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장의 시트(S)가 동시에 급지 롤러(30)에 보내진 경우, 급지 롤러(30)와 분리 패드(35)에 의해 시트(S)를 처리하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 둘레가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급지 롤러와 토크 리미터를 갖는 분리 롤러에 의해 처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동 트레이(41)에 수동 안내 부재(45)를 접착 부재 등으로 부착하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동 안내 부재(45)를 장치 본체(1a)에 부착하여, 수동 안내 부재(45)의 선단부(45a)가 시트 안내부(37a)의 하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지 카세트(22)의 시트 적재판(28)이 리프트판(33)을 통해 승강 모터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고, 픽업 롤러(29)에 의해, 시트 적재판(28) 상에 적재된 시트(S)를 급지 롤러(30)측으로 보내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 적재판(28)을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가압하고, 시트 적재판(28)을 급지 롤러(30)의 축에 고정한 캠의 회전과 스프링에 의해 시트 적재판(28)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급지 롤러(30)의 롤러(31)가 상방에 위치할 때(도 2 참조), 시트 적재판(28)은 캠에 의해 하방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급지 롤러(30)가 회전하고 롤러(31)가 분리 패드(35)에 대향할 때, 시트 적재판(28)은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시트 적재판(28)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시트 적재판(28)에 적재된 시트 다발의 상측의 시트(S)가 급지 롤러(30)의 롤러(31)에 눌러지고, 또한 롤러(31)의 회전에 의해 상측의 시트(S)가 송출된다. 급지 카세트(22)로부터 시트(S)를 송출하지 않을 때, 시트 적재판(28)은 급지 카세트(22)의 하방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수동 트레이(41)로부터의 시트(S)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 급지 롤러(30)의 롤러(31)는 시트(S)에 눌리고 또한 송출하는 픽업 롤러(29)의 기능을 겸비하기 때문에, 급지 카세트(22)는 간단한 구성이 되고, 또 소형화된다.
본 개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그들의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하는 급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급지 카세트와 수동 트레이를 구비한 급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시트를 적재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시트 적재 부재가 설치되는 시트 수납부와,
    급지 롤러와 상기 급지 롤러에 압접되는 분리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닙부와,
    상기 닙부의 상류측에 있고 상기 시트 수납부로부터 보내지는 시트의 선단을 상기 닙부로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와,
    상기 시트 수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동으로 시트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수동 급지부와,
    상기 수동 급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선단부가 상기 시트 안내부와 상기 닙부 사이에 배치되고, 수동의 시트를 상기 닙부를 향해 안내하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수동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수납부의 시트는, 상기 시트 적재 부재에 적재된 복수장의 시트로부터 최상면의 시트만이 상기 닙부에 의해 분리됨과 더불어 상기 급지 롤러에 의해 시트 반송로로 송출되고,
    상기 수동 급지부의 시트는, 상기 수동 안내 부재에 의해 상기 닙부를 향해 안내되고 상기 급지 롤러에 의해 상기 시트 반송로로 송출되는, 급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동 안내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분리 부재의 상류 단부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급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동 안내 부재는 상기 수동 급지부에 부착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동 안내 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급지 롤러의 축방향 길이보다 크고 평면에서 봤을 때 U자형상의 절결부가 상기 급지 롤러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급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지 롤러는, 바깥 가장자리의 일부가 빠진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 부재에 압접 가능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축방향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롤러의 외주직경보다 작은 원형상의 산륜을 갖는, 급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산륜은, 그 외주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며, 상기 수동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된 수동 시트는 상기 산륜의 외주면에 맞닿는, 급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급지 롤러가 회전 구동하면, 상기 롤러가 상기 수동 시트를 상기 닙부로 보내는, 급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탄성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급지 롤러를 향해 탄성가압되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안내부를 형성한 지지 부재에 부착되는, 급지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지 장치와, 상기 급지 장치로부터 반송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124792A 2011-11-11 2012-11-06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427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7083 2011-11-11
JP2011247083A JP5487186B2 (ja) 2011-11-11 2011-11-11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517A true KR20130052517A (ko) 2013-05-22
KR101427003B1 KR101427003B1 (ko) 2014-08-06

Family

ID=4714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792A KR101427003B1 (ko) 2011-11-11 2012-11-06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64004B2 (ko)
EP (1) EP2592029B1 (ko)
JP (1) JP5487186B2 (ko)
KR (1) KR101427003B1 (ko)
CN (1) CN1031017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7951B2 (ja) * 2014-03-12 2018-04-11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18605B2 (ja) * 2014-06-26 2016-11-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8313780B (zh) * 2018-01-20 2024-02-06 梵利特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卡片分张送料机构
CN112520475A (zh) * 2020-12-08 2021-03-19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进纸机构及具有该进纸机构的纸张文件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4229A (ja) * 1989-02-02 1990-08-14 Minolta Camera Co Ltd 給紙装置
JPH03256941A (ja) * 1990-03-01 1991-11-15 Nec Corp 手差し給送機構
JPH05286593A (ja) * 1992-04-14 1993-11-02 Nec Eng Ltd 給紙装置
JP3087578B2 (ja) * 1994-09-26 2000-09-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給紙装置
KR100286262B1 (ko) * 1999-01-19 2001-03-15 윤종용 복합기기의 용지 공급장치
JP2002249237A (ja) * 2001-02-23 2002-09-03 Canon Inc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記録装置
JP4168286B2 (ja) * 2005-03-30 2008-10-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US7694950B2 (en) * 2005-03-30 2010-04-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heet feed device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such sheet feed device
JP4500727B2 (ja) * 2005-04-28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記録装置
US7922167B2 (en) * 2006-10-04 2011-04-12 Ricoh Company, Limited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2008162710A (ja) 2006-12-27 2008-07-17 Brother Ind Ltd シート搬送装置
US7448609B2 (en) * 2006-12-28 2008-11-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device
JP2008308314A (ja) 2007-06-18 2008-12-25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KR101330736B1 (ko) * 2008-01-09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100080714A (ko) * 2009-01-02 2010-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3783A (ja) 2013-05-30
CN103101780A (zh) 2013-05-15
CN103101780B (zh) 2016-03-30
KR101427003B1 (ko) 2014-08-06
EP2592029B1 (en) 2016-04-06
US20130119603A1 (en) 2013-05-16
EP2592029A2 (en) 2013-05-15
EP2592029A3 (en) 2014-07-23
US8764004B2 (en) 2014-07-01
JP5487186B2 (ja)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4833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116674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37047A (ja) シート材給送装置、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2015013203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359163B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60334747A1 (en) Sheet containing device, sheet feeder incorporating the sheet contai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taining device
US8430394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30052517A (ko)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372190B2 (ja) シート分離搬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5231751A (ja) 給紙装置
EP2703895A1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83227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398072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788516B2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エンドガイド
JP2007197184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261256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48341B2 (ko)
JP4028138B2 (ja) シート供給装置
JP4924988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89169A (ja) 平版印刷版供給装置
JP2006062762A (ja) 給紙装置
JPH05105244A (ja) 給紙装置
JP2013209171A (ja)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4047058A (ja) シート分離装置、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23936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