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830A -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830A
KR20130051830A KR1020110117204A KR20110117204A KR20130051830A KR 20130051830 A KR20130051830 A KR 20130051830A KR 1020110117204 A KR1020110117204 A KR 1020110117204A KR 20110117204 A KR20110117204 A KR 20110117204A KR 20130051830 A KR20130051830 A KR 20130051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system
vehicle
variable intake
val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192B1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192B1/ko
Priority to JP2012142047A priority patent/JP2013104425A/ja
Priority to US13/536,736 priority patent/US20130118450A1/en
Priority to CN2012102869775A priority patent/CN103104383A/zh
Priority to DE102012105801A priority patent/DE102012105801A1/de
Publication of KR2013005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05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15Oscillating pipe charging, i.e. variable intake pipe length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73Flap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94Actuators or controllers therefor; Diagnosis; Cal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02M35/042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combined with other devices, e.g. heaters ; for use other than engine air intake cleaning, e.g. air intake filters arranged in the fuel vapour recovery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73Sensors for intake systems
    • F02M35/1038Sensors for intake systems for temperature or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Abstract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은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각 연소실로 공급해 주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공기를 흡입하는 메인 덕트와 보조 덕트가 연결된 에어 크리너 본체와, ⅱ)에어 크리너 본체의 내부에서 보조 덕트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밸브 하우징과, ⅲ)밸브 하우징에 구성되며, 보조 덕트의 관로 개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밸브 어셈블리와, ⅳ)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밸브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엑츄에이터는 영구 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모터축이 구비된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VARIABLE INTAK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각 연소실로 공급해 주는 공기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변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탑재하는 엔진의 가변 흡기 시스템에서는 흡기 덕트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에어 크리너 박스 내부의 필터 엘리먼트에 의해 여과하고, 엔진을 고속 고부하 영역에서 운전하는 때의 흡기 공기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복수의 흡기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가변 흡기 시스템은 두 갈래로 분지되는 흡기 덕트를 에어 크리너 하우징에 접속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엔진의 저속 저부하 영역에서는 흡기 덕트의 일측만 개방하고, 엔진의 고속 고부하 영역에서는 흡기 덕트의 쌍방을 모두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흡기 시스템은 두 개의 흡기 덕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 및 그 밸브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가 구비되는 바, 이 중에서 엑츄에이터는 반능동 타입과 능동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반능동 타입의 엑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진공식 엑츄에이터, 자석을 이용한 자연 개폐식 엑츄에이터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능동 타입의 엑츄에이터는 DC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 반능동 타입의 엑츄에이터는 흡기 덕트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엔진의 최대 RPM에서 완전 개방되지 않아 흡압 상승으로 인해 최대 출력이 손실되며, 가속 부밍의 선형성이 저하되고 응답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능동 타입의 엑츄에이터는 고가의 DC 모터를 사용하므로,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이 복잡하며, 코킹 부위 등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신속 정확한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속 부밍의 선형화 및 흡기 부압과 소음 저감의 최적화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가가 저렴하고 소음이 없으며, 신속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은,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각 연소실로 공급해 주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공기를 흡입하는 메인 덕트와 보조 덕트가 연결된 에어 크리너 본체와, ⅱ)상기 에어 크리너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 덕트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밸브 하우징과, ⅲ)상기 밸브 하우징에 구성되며, 상기 보조 덕트의 관로 개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밸브 어셈블리와, ⅳ)상기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엑츄에이터는 영구 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모터축이 구비된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은, 상기 리니어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밸브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모터축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 전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샤프트와, 상기 밸브 샤프트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볼 조인트를 통해 상기 모터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밸브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모터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일이 감기며 상기 모터축이 가이드부재를 통해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축의 직선 운동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벽과 지지판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은, 상기 에어 크리너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 크리너 바디의 공기 흡입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은, 제어 로직으로서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른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을 산출하고,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엑츄에이터에 인가하며,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한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구동으로서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에어 크리너 바디의 공기 흡입 압력에 따라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을 산출하고,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엑츄에이터에 인가하며,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한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구동으로서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에어 크리너 바디의 흡압 신호값을 피드백 하여 엔진의 운전 영역이나 조건과 무관하게 일정한 흡압값을 유지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로서 보이스-코일 모터와 같은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반능동 타입에 비해 가속 부밍의 선형화 및 흡기 부압과 소음 저감의 최적화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능동 타입에 비해 원가가 저렴하고 소음이 없으며 신속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의 다른 일 부분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엑츄에이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동력 전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100)은 엔진의 각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차량 엔진의 흡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변 흡기 시스템(100)은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에어 크리너에 구성되는 바,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각 연소실로 공급해 주는 공기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가변 흡기 시스템(100)은 공기를 흡입하는 두 개의 덕트를 에어 크리너에 구성하여 엔진의 저중속 구간에서는 하나의 덕트를 통해 각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하고, 엔진의 고중속 구간에서는 흡기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두 개의 덕트를 통해 각 연소실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100)은 기존의 반능동 타입에 비해 가속 부밍의 선형화 및 흡기 부압과 소음 저감의 최적화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능동 타입에 비해 원가가 저렴하고 소음이 없으며 신속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의 다른 일 부분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에어 크리너 본체(10)와, 밸브 하우징(20)과, 밸브 어셈블리(30)와, 엑츄에이터(50)와, 동력 전달유닛(70)과, 제어기(9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크리너 본체(10)는 엔진의 각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흡기)를 필터링 하는 것으로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엘리먼트(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에어 크리너 본체(10)는 흡입 공기가 유입되는 두 개의 흡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 각각의 흡입부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메인 덕트(11)와 보조 덕트(1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덕트(11)는 엔진의 저중속 구간에서 흡입 공기를 각 연소실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보조 덕트(13)는 엔진의 중고속 구간에서 메인 덕트(11)와 함께 흡입 공기를 각 연소실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 크리너 본체(10)에는 메인 덕트(11) 및/또는 보조 덕트(1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각 연소실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 크리너 본체(10)는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 기술의 에어 크리너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20)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밸브 어셈블리(30)와 엑츄에이터(50)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 크리너 본체(10)의 내부에서 플랜지를 통해 보조 덕트(13)의 단부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밸브 하우징(20)은 보조 덕트(13)와 연결되는 관로를 지니며 에어 크리너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30)는 밸브 하우징(20)과 통하는 보조 덕트(13)의 관로 개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밸브 어셈블리(30)는 밸브 하우징(20)의 자유단에 구성되는 바, 밸브 프레임(31), 밸브 샤프트(33) 및 플랩부재(3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밸브 프레임(31)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밸브 하우징(20)의 자유단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밸브 샤프트(33)는 밸브 하우징(20)의 내부 중심 방향을 가로지르며 밸브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부시와 부시 가이드 등을 통해 밸브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 샤프트(33)는 밸브 프레임(31)을 관통하여 밸브 하우징(20)의 자유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랩부재(35)는 밸브 하우징(20)의 관로를 실질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체로서 구비되며, 밸브 하우징(20)의 관로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밸브 샤프트(33)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엑츄에이터(50)는 밸브 어셈블리(30)의 밸브 샤프트(33)에 구동력(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 하우징(20)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엑츄에이터(50)는 보이스-코일 모터와 같은 리니어 모터(51)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51)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이용한 것으로, 영구 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후진 직선 운동을 하는 모터축(52)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니어 모터(51)는 도 4에서와 같이, 모터 하우징(53)과, 영구 자석(55)과, 지지판(57)과, 탄성부재(59)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53)은 장착 브라켓(54)을 통해 밸브 하우징(20)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모터축(52)이 한 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영구 자석(55)은 모터 하우징(53)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일(56)이 감기며 모터축(52)이 가이드부재(61)를 통해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니어 모터(51)는 영구 자석(55)의 자기장에 놓여 있는 코일(56)에 전류가 인가되면, 그 전류에 비례해 모터축(52)이 가이드부재(61)를 통해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57)은 모터축(52)에 고정되며, 모터 하우징(53)의 내부에서 모터축(52)의 직선 운동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9)는 모터 하우징(53)의 내벽과 지지판(57) 사이에 장착되며, 지지판(57)으로 탄발력을 발휘한다.
즉, 상기 코일(56)에 전류가 인가되며 모터축(52)이 직선 운동을 한 상태에서 전류를 차단하게 되면, 그 모터축(52)은 지지판(57)에 작용하는 탄성부재(5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 전달유닛(70)은 리니어 모터(51)의 모터축(52)과 밸브 어셈블리(30)의 밸브 샤프트(33)를 연결하며, 모터축(52)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유닛(70)은 다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도 5에서와 같이 제1 링크부재(71), 제2 링크부재(72), 및 제3 링크부재(7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링크부재(71)는 모터축(52)의 돌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모터축(52)의 돌출 단부에 결합된 볼 조인트(7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72)는 제1 링크부재(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1 링크부재(71)에 일체로 돌출된 제1 링크 중심축(7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링크부재(73)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밸브 샤프트(33)의 돌출 단부에 연결되며, 제2 링크부재(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링크부재(73)는 제2 링크부재(72)에 일체로 돌출된 제2 링크 중심축(7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90: 도 2 참조)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며,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엑츄에이터(50)의 리니어 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어기(90)는 엔진의 중고속 구간에서 리니어 모터(51)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밸브 어셈블리(30)를 작동시킴으로써 보조 덕트(13)의 개방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90)는 제어 로직으로서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른 보조 덕트(13)의 개방량을 산출하고, 보조 덕트(13)의 개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리니어 모터(51)에 인가하여 리니어 모터(51)의 작동에 의한 밸브 어셈블리(30)의 구동으로서 보조 덕트(13)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100)의 작동 및 제어 방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엔진의 저중속 구간에서 메인 덕트(11)를 통해 흡입 공기를 엔진의 각 연소실로 공급한다. 이 때 엑츄에이터(50)의 리니어 모터(51)는 제어기(90)에 의해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 있다.
즉, 밸브 어셈블리(30)의 플랩부재(35)는 보조 덕트(13)와 통하는 밸브 하우징(20)의 관로를 폐쇄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엔진의 저중속 구간에서 메인 덕트(11)를 통해 흡입 공기를 엔진의 각 연소실로 공급하게 되므로, 흡기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며, 흡기 소음 저감을 위한 레조네이터 등을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중고속 구간에서 제어기(90)는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른 보조 덕트(13)의 개방량을 산출하고, 보조 덕트(13)의 개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리니어 모터(51)의 코일(56)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리니어 모터(51)는 영구 자석(55)의 자기장에 놓여 있는 코일(56)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그 전류에 비례해 모터축(52)이 가이드부재(61)를 통해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리니어 모터(51)의 모터축(52)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모터 하우징(53)의 외측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고, 지지판(57)과 함께 이동하면서 탄성부재(59)를 가압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모터축(52)이 전진 이동함에 따라 동력 전달유닛(70)의 제1 내지 제3 링크부재(71, 72, 73)에 의한 링크 작동으로 밸브 샤프트(33)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밸브 샤프트(33)가 회전함에 따라 플랩부재(35)는 보조 덕트(13)와 통하는 밸브 하우징(20)의 관로를 개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엔진의 중고속 구간에서 메인 덕트(11)와 보조 덕트(13)를 통해 흡입 공기를 엔진의 각 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엔진의 중고속 구간에서 메인 덕트(11)와 보조 덕트(13)를 통해 흡입 공기를 엔진의 각 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출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 상태가 저중속 구간으로 전환하게 되면, 제어기(90)는 리니어 모터(51)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그러면, 리니어 모터(51)의 모터축(52)은 지지판(57)에 작용하는 탄성부재(5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동력 전달유닛(70)에 의해 밸브 어셈블리(30)의 밸브 샤프트(33)가 회전함으로 플랩부재(35)에 의해 밸브 하우징(20)의 관로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100)에 의하면, 밸브 어셈블리(30)를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50)로서 보이스-코일 모터와 같은 리니어 모터(51)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반능동 타입에 비해 가속 부밍의 선형화 및 흡기 부압과 소음 저감의 최적화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능동 타입에 비해 원가가 저렴하고 소음이 없으며 신속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200)에 의하면, 에어 크리너 바디(110)의 공기 흡입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 이하 도 2 참조)로 출력하는 압력 센서(18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압력 센서(180)는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서 "MAF 센서" 라고도 칭하며, 에어 크리너 바디(1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90)는 압력 센서(180)에 의해 감지된 에어 크리너 바디(110)의 공기 흡입 압력에 따라 보조 덕트(113)의 개방량을 산출하고, 보조 덕트(113)의 개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엑츄에이터(150)에 인가하여 그 엑츄에이터(150)에 의한 밸브 어셈블리(130)의 구동으로서 보조 덕트(113)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90)는 에어 크리너 바디(110)의 흡압 신호값을 피드백 하여 엔진의 운전 영역이나 조건과 무관하게 일정한 흡압값을 유지케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110... 에어 크리너 본체 11... 메인 덕트
13, 113... 보조 덕트 20... 밸브 하우징
30, 130... 밸브 어셈블리 31... 밸브 프레임
33... 밸브 샤프트 35... 플랩부재
50, 150... 엑츄에이터 51... 리니어 모터
52... 모터축 53... 모터 하우징
55... 영구 자석 56... 코일
57... 지지판 59... 탄성부재
61... 가이드부재 70... 동력 전달유닛
71... 제1 링크부재 72... 제2 링크부재
73... 제3 링크부재 75... 볼 조인트
90... 제어기 180... 압력 센서

Claims (9)

  1.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각 연소실로 공급해 주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으로서,
    공기를 흡입하는 메인 덕트와 보조 덕트가 연결된 에어 크리너 본체;
    상기 에어 크리너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 덕트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에 구성되며, 상기 보조 덕트의 관로 개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밸브 어셈블리; 및
    상기 밸브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엑츄에이터는 영구 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모터축이 구비된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밸브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모터축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 전달유닛
    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샤프트와,
    상기 밸브 샤프트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랩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볼 조인트를 통해 상기 모터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밸브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모터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일이 감기며 상기 모터축이 가이드부재를 통해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영구 자석과,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축의 직선 운동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벽과 지지판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크리너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 크리너 바디의 공기 흡입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압력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제어 로직으로서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른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을 산출하고,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엑츄에이터에 인가하며,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한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구동으로서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에어 크리너 바디의 공기 흡입 압력에 따라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을 산출하고,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엑츄에이터에 인가하며,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한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구동으로서 상기 보조 덕트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에어 크리너 바디의 흡압 신호값을 피드백 하여 엔진의 운전 영역이나 조건과 무관하게 일정한 흡압값을 유지케 하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KR1020110117204A 2011-11-10 2011-11-10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KR10130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204A KR101305192B1 (ko) 2011-11-10 2011-11-10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JP2012142047A JP2013104425A (ja) 2011-11-10 2012-06-25 車両用可変吸気システム
US13/536,736 US20130118450A1 (en) 2011-11-10 2012-06-28 Variable intake system for vehicle
CN2012102869775A CN103104383A (zh) 2011-11-10 2012-06-29 用于车辆的可变进气系统
DE102012105801A DE102012105801A1 (de) 2011-11-10 2012-06-29 Variables Ansaugsystem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204A KR101305192B1 (ko) 2011-11-10 2011-11-10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830A true KR20130051830A (ko) 2013-05-21
KR101305192B1 KR101305192B1 (ko) 2013-09-12

Family

ID=4814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204A KR101305192B1 (ko) 2011-11-10 2011-11-10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18450A1 (ko)
JP (1) JP2013104425A (ko)
KR (1) KR101305192B1 (ko)
CN (1) CN103104383A (ko)
DE (1) DE1020121058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456B1 (ko) * 2011-11-30 201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시스템과 그것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9732683B2 (en) 2014-10-16 2017-08-15 Hyundai Motor Company Motor response control method in variable charge mo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042B1 (ko) * 2011-12-01 2014-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 시스템
CN110469435A (zh) * 2019-09-12 2019-11-19 中国北方车辆研究所 可测试的装甲车辆空气滤清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4514A (en) * 1976-11-03 1979-03-13 General Electric Company Linear motion, electromagnetic force motor
JPS54163227U (ko) * 1978-05-09 1979-11-15
JPS59215929A (ja) * 1983-05-24 1984-12-05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2974515B2 (ja) * 1992-09-22 1999-11-10 愛三工業株式会社 吸気制御弁装置
JP3858111B2 (ja) * 1994-03-15 2006-12-13 飯田電機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速度規制方法とガバナー装置
JP2000045894A (ja) * 1998-07-29 2000-02-1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騒音低減装置
DE10119281A1 (de) * 2001-04-20 2002-10-24 Mann & Hummel Filter Schaltverband zum Verschluss von Saugkanälen einer Ansaugvorrichtung mit diesem Schaltverband
JP2007032339A (ja) * 2005-07-25 2007-02-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7182841A (ja) * 2006-01-10 2007-07-19 Honda Motor Co Ltd バルブ駆動装置
US8191535B2 (en) * 2008-10-10 2012-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leeve hydrocarbon trap
ES2381523T3 (es) 2009-01-30 2012-05-29 Vodafone Holding Gmbh Reducción de cargas de señalización desde un dispositivo móvil hacia una red móv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456B1 (ko) * 2011-11-30 201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흡기시스템과 그것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9732683B2 (en) 2014-10-16 2017-08-15 Hyundai Motor Company Motor response control method in variable charge mo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4425A (ja) 2013-05-30
CN103104383A (zh) 2013-05-15
US20130118450A1 (en) 2013-05-16
KR101305192B1 (ko) 2013-09-12
DE102012105801A1 (de)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042B1 (ko) 가변 흡기 시스템
KR101305192B1 (ko)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
US7287503B2 (en) Engine air intake apparatus
US20020170786A1 (en) Actuator with a centrifugal brake
JP2011106445A (ja) エンジンの可変吸気ダクト構造
KR101371456B1 (ko) 가변 흡기시스템과 그것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371497B1 (ko) 가변 흡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5291022A (ja) 可変消音器制御装置
JP6079513B2 (ja) ウェイストゲートバルブの制御装置
US8578968B2 (en) Electrical switching valve
KR102076645B1 (ko)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제어 장치
JP2544551B2 (ja) ダンパ―装置
KR100514837B1 (ko) 차량 가변흡기시스템의 진공액츄에이터
KR100881080B1 (ko) 직선왕복동형 아이들콘트롤 밸브
KR100205457B1 (ko) 레조네이터 유로 사이즈 조절장치
KR20190062974A (ko) 가변형 스노클 덕트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56178A (ko)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EP1371820A2 (e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ally driven valve
KR200305453Y1 (ko) 송풍기의 풍량 조절장치
JP6634944B2 (ja) 電動ファン
KR100921111B1 (ko) 가변 흡기 시스템
JPS6126690Y2 (ko)
JPH03105033A (ja) スロツトルアクチユエータ
JP2018150885A (ja) 可変容量ターボチャージャ、ターボ制御システム
JPS5977246A (ja) ダンパ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