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532A -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 Google Patents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532A
KR20130051532A KR1020110116706A KR20110116706A KR20130051532A KR 20130051532 A KR20130051532 A KR 20130051532A KR 1020110116706 A KR1020110116706 A KR 1020110116706A KR 20110116706 A KR20110116706 A KR 20110116706A KR 20130051532 A KR20130051532 A KR 2013005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cable
sleeve
stretchab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0689B1 (ko
Inventor
김범술
Original Assignee
화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슬리브를 내장한 하우징에 외피를 탈피한 케이블의 단부를 삽입하고 유니언너트를 체결하여 케이블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커넥터에 있어서, 슬리브의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수축하게 하여 수축되는 슬리브의 단부로 케이블의 심선 및 외피를 견고하게 파지하고, 수축된 슬리브의 단부를 하우징으로 감싸게 한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전기를 통과시키는 통전부(110)와, 통전부(110)의 양단에 각각 연장되고 직경이 교호적으로 확대 및 축소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신축부(120)로 구성되어서, 양측 신축부(120)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심선 간을 통전시키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슬리브(100); 양단을 개구한 중공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00)에 외삽되되, 상기 신축부(120)의 수축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120)의 일부분을 내부의 중공에 있게 하고 단부측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200); 케이블에 관통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양단에 각각 나사체결되며, 나사체결시에 상기 신축부(120)를 가압하여 수축하는 내향플랜지(320)를 구비한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유니언너트(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CABLE CONNECTOR WITH FLEXIBLE SLEEVE}
본 발명은 도전성 슬리브를 내장한 하우징에 외피를 탈피한 케이블의 단부를 삽입하고 유니언너트를 체결하여 케이블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커넥터에 있어서, 유니언너트를 체결할 때에 슬리브의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수축하게 하여 수축되는 슬리브의 단부로 케이블의 심선 및 외피를 견고하게 파지하고, 수축된 슬리브의 단부를 하우징으로 감싸게 한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절단된 두가닥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식은 심선끼리 직접 접촉되게 매듭지은 후에 절연재로 감싸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택되지만, 매듭짓는 과정과 절연재로 감싸는 과정의 번거로움 없이 케이블을 접속하는 종래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2004호에 개시되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체의 양단 개구에 슬롯을 형성된 나사부를 갖추어서 케이블의 심선을 나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조임너트를 체결하여 심선을 압착하게 하고, 연결체의 외주면 및 나사부를 각각 절연 슬리브 및 절연 커버로 감싸서 케이블의 접속부위를 밀폐하고 절연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나사부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절연재에 비해 어려운 연결체에 형성하고, 아울러, 조임너트와 나사부를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해서 나사부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제작하여야만 함에 따라 연결체도 커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으며, 절연 커버가 손상되면 전기가 흐르는 나사부와 조임너트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문제점도 갖게 되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케이블의 외부를 파지하지 아니하여서 장력에 의해 케이블이 빠져나갈 수 있는 문제점도 갖게 되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기술은 물이나 가스의 침투를 절연 커버로만 방지하게 구성되어서, 기밀유지에 취약하였다. 일반적으로, 밀폐를 위해서 패킹을 사용하므로,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조임너트에 패킹을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킹을 사용하는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88260호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5822호를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들은 패킹에만 의존하여 밀폐하므로, 패킹 또는 패킹이 삽입되는 홈에 이물질이 끼이면 틈새가 생길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갖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패킹을 설치할 시에 깨끗이 청소한다 해도 청결 상태를 매번 보장하는 것도 아니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또한, 패킹은 재질 특성상 시간 경과에 따른 노후화 또는 진동에 의한 흠짐 등의 요인으로 인해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데, 이러한 패킹이 적용된 장치는 수중 또는 습기가 많은 곳에 설치되거나 아니면 타 시설물과 연동되게 설치되어서 패킹 교체를 어렵게 한다.
또한, 물이나 가스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밀봉재로 틈새를 막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수작업에 의한 것이어서 밀폐 상태를 보장하지 못하며, 별도의 부가장치를 설치하거나 아니면 패킹이 설치되는 부위의 구조를 변경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부가장치에 대한 설치비용 및 설계변경의 어려움을 수반한다.
한편, 케이블(또는 배관)을 연결하는 경우에 케이블을 견고하게 파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진동에 의한 접속부위의 파손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밀폐를 위한 부가재로 케이블을 견고하게 파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R 20-0342004 Y1 2004.02.04. KR 10-2010-0088260 A 2010.08.09. KR 20-0375822 Y1 2005.03.09.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심선을 내부에서 견고하게 파지하는 한편,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절연상태도 양호하게 한 케이블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선을 감싸는 외피도 견고하게 파지하고, 종래 패킹을 대신하여 미세한 틈새도 메워 기밀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하는 케이블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커넥터에 있어서, 전기를 통과시키는 통전부(110)와, 통전부(110)의 양단에 각각 연장되고 직경이 교호적으로 확대 및 축소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신축부(120)로 구성되어서, 양측 신축부(120)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심선 간을 통전시키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슬리브(100); 양단을 개구한 중공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00)에 외삽되되, 상기 신축부(120)의 수축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120)의 일부분을 내부의 중공에 있게 하고 단부측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200); 케이블에 관통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양단에 각각 나사체결되며, 나사체결시에 상기 신축부(120)를 가압하여 수축하는 내향플랜지(320)를 구비한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유니언너트(3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부(120)는, 상기 통전부(110)의 단부에 연장되는 제1 주름관(121)과, 제1 주름관(121)의 단부에 연장되는 제2 주름관(12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주름관(121)의 주름 깊이(121a)를 상기 제2 주름관(122)의 주름 깊이(122a)보다 크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부(120)의 제1 주름관(121)과 제2 주름관(122)은, 수축되기 전의 상태에서, 외측면으로 돌출된 산정상들(121c, 122c)을 상기 통전부(110)의 외주면의 연장선 상에 맞춰지게 형성되어서, 케이블의 심선이 제1 주름관(121)을 관통하되, 케이블의 외피(12)가 제2 주름관(121)보다 주름 깊이가 큰 제1 주름관(121)에 걸리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은, 상기 통전부(110)와 신축부(120)가 t서로 이어지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을 점차 크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부(120)는, 수축되어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에 수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주름관(121)은, 내측면에 형성되는 산정상(121b)을 뾰족한 단면을 갖게 하고, 상기 제2 주름관(122)은, 내측면에 형성되는 산정상(122b)을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부(110)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향플랜지(320)의 내측면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구의 주변에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단턱(330)이 조성되고, 유동성의 실링재(341)를 피복(342)으로 감싼 링 형상의 실링튜브(340)가 상기 단턱(330)에 삽입되며, 상기 신축부(121)의 단부에는 상기 실링튜브(340)를 파열시킬 크랙킹부(123)가 조성되어서, 유니언너트(300)를 하우징(200)의 단부에 나사체결할 시에 상기 크랙킹부(123)에 의해 상기 실링튜브(340)를 파열시켜 실링재(341)를 유출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슬리브(100)의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수축시켜 케이블을 파지함에 따라 슬리브(100) 및 하우징(200)의 단부를 오므러들게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일반 유니언너트의 나사체결로만 결합이 완료되므로 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도 용이하며, 케이블의 심선이 연결되는 부위를 절연재로 감싸므로 별도의 절연수단을 부가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더욱이, 슬리브(100)의 단부를 수축되면서 내외부 산정상간의 높이차가 줄어드는 신축 가능한 신축부(120)로 제작하므로, 슬리브의 단부에 나사산을 조성함에 따라 슬리브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하여야만 하였여서 슬림화하기 어렵던 문제점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선(11)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의 외피(12)도 견고하게 파지하므로 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져도 빠지지 아니하여 사고의 우려가 없고, 더욱이, 유니언너트(300)를 하우징(200)의 유니언나사(210)에 체결 완료되는 시점에서 틈새를 유동성 실링제(341)로 빈틈 없이 메우므로, 완전 밀폐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에서, 슬리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에서, 슬리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에서, 실링튜브의 상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에서, 실링튜브의 측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분리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구체적으로 도 1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케이블을 연결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케이블들을 결합하기 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슬리브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실링튜브의 상면 단면도이고, 도 6은 실링튜브의 측면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케이블(10)들의 단부에서 외피(12)를 탈피하여 심선(11)을 노출시킨 후에 심선(11)이 노출된 케이블(10)의 단부를 양측 개구에 삽입하게 하여 케이블(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이를 위해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슬리브(100)와,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슬리브(100)의 외주면을 감싸게 형성되는 하우징(200)과,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200)의 양단에 각각 나사체결되는 유니언너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100)는, 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형상을 살펴보면 중공관 형상의 통전부(110)를 중심으로 하고 통전부(110)의 양단에 각각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된 신축부(120)가 연장되어 이어진다.
상기 신축부(120)는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직경이 교호적으로 확대 및 축소되어서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며, 케이블의 단부를 삽입하기 전에는 신장된 상태로 두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의 단부를 삽입한 후에 유니언너트(300)를 체결하면 길이방향으로 수축된다. 여기서, 직경을 교호적으로 확대 및 축소시킨 상기 신축부(120)의 주름관 형상이라 함은, 둘레방향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는 산정상 및 골들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나선형을 이루는 수나사산을 외주면에 형성하고 나선형을 이루는 암나사산을 내주면에 형성하되 외주면 수나사산의 산정상을 따라가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의 골이 조성되게 하는 주름관을 의미하기도 한다.
상기 통전부(110)는 양단에 이어진 신축부(12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서처럼 중공관 형상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후술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에(120)에 케이블(10)의 단부를 삽입할 시에 심선(11)의 단부를 삽입하게 하려면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통전부(110)를 속이 채워진 봉의 형태로 형성하면 노출시킬 심선(11)의 길이를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하우징(200)은, 양단을 개구한 중공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00)에 외삽되되, 상기 슬리브(100)의 통전부(110) 외주면에 밀착되게 고정되지만, 상기 슬리브(100)의 신축부(120)에는 고정되지 아니하여 신축부(120)를 자유롭게 신축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신축부(120)는 수축하기 전의 상태에서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있게 하고 단부측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200)의 길이보다 통전부(110)의 길이를 짧게 한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상기 신축부(120)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신축부(120)를 수축시켜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하우징(200)은 슬리브(100)를 절연하기 위해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양단 개구를 외주면에 수나사산(211)을 조성한 유니언나사(210)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200)의 양단을 유니언나사(210)로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유니언너트(300)를 외삽하여 나사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리브(100)의 외주면에 요철(111)을 형성함으로써, 슬리브(100)의 외주면을 감싸게 형성되는 하우징(200)으로부터 슬리브(100)가 빠지지 아니하게 하며, 상기 하우징(200)에서 수나사산(211)이 끝나는 몸통측의 외주면에는 필요에 따라서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220)가 조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니언너트(30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310)이 조성된 짧은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니언나사(210)에 외삽되어 나사체결되며, 유니언나사(210)에 나사체결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에 해당되는 개구된 단부에는 내향으로 절곡된 내향플랜지(320)로 형성되어서 내향플랜지(320)의 내부 통로를 통해 케이블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0)의 유니언나사(210)에 나사체결됨에 따라 상기 내향플랜지(320)로 상기 슬리브(120)의 신축부(120)를 가압하여 수축시킨다. 여기서, 상기 내향플랜지(320)는 외피(12)를 탈피하지 아니한 케이블(10)을 관통시킬 정도의 내경값을 갖게 하면서, 동시에 케이블(10)의 외피(12)와의 틈새를 작게 함으로써 신축부(120)가 그 틈새를 통과하지 아니할 정도의 내경값을 갖게 하여 신축부(120)를 가압하는 데 문제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블커넥터로 케이블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케이블커넥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8은 케이블커넥터를 이용하여 양측 케이블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을 연결하기 전에는 슬리브(100)의 신축부(120)가 수축되기 전의 상태이므로 슬리브(100)의 신축부(120)가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유니언너트(300)는 하우징(200)의 유니언나사(210)에 체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케이블(10)의 단부에서 외피(12)를 탈피하여 심선(12)을 노출시키고, 이와 같이 준비된 양측의 케이블(10)에 유니언너트(300)를 외삽한다.
다음으로, 케이블(10)의 단부를 하우징(200)의 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신축부(120)에 삽입한다. 이때, 케이블의 단부는 심선(11)이 통전부(110)에 이르고 외피(12)의 끝단이 신축부(120)의 중간지점에 이르도록 신축부(120)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유니언너트(300)를 하우징(200)의 단부에 형성된 유니언나사(210)를 향해 밀어서 나사체결한다. 이때, 케이블(10)의 외피(12)를 감싸며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었던 신축부(120)가 유니언너트(300)의 내향플랜지(320)에 의해 가압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축되면서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을 향해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신축부(120)는 케이블(10)의 심선(11) 및 외피(12)를 압박하여 파지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120)의 신장된 상태와 신축된 상태를 비교하면, 두께(외측에 형성된 산정상들을 잇는 선과 내측에 형성된 산정상들을 잇는 선 사이의 거리)는 신장된 상태에 비해 신축된 상태에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신축되면서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으로 수용되는 신축부(120)는 내측면에서 둘레방향으로 이어진 산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경이 신장된 상태보다는 작아지므로 심선(11) 및 외피(12)를 압박하며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니언너트(300)와 유니언나사(210)를 나사체결로 결합한 이후에는, 하우징(200)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유니언너트(300)에 의해서 신축부(120)를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에 있게 하여 신장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케이블(10)의 단부측 심선(11) 및 외피(12)가 신축부(120)에 파지된 상태로 있게 되며, 결국, 신축부(120)와 케이블 심선(11) 간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양호하게 되고 케이블(10)이 장력을 받더라도 케이블커넥터로부터 이탈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축부(120)는 주름 깊이(121a, 122a)가 서로 다른 제1 주름관(121)과 제2 주름관(122)을 서로 연결한 것이다. 즉, 상기 신축부(120)는 상기 통전부(110)의 단부에 연장되는 제1 주름관(121)과, 제1 주름관(121)의 단부에 연장되는 제2 주름관(122)으로 구성되고, 제1 주름관(121)의 주름 깊이(121a)가 제2 주름관(122)의 주름 깊이(122a)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주름 깊이(121a, 122a)라는 것은 외측면 및 내측면에서 각각 산정상에서 골까지의 높이차(또는 길이)을 말한다.
이에 따라, 내측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산정상에 의한 내경값이, 제2 주름관(122)의 경우보다는 제1 주름관(121)의 경우에 더 작아진다.
이와 같이 제1 주름관(121) 및 제2 주름관(122)으로 구성되는 상기 신축부(120)는, 케이블(10)의 단부를 삽입할 시에 심선(11)을 제1 주름관(121)의 위치에 있게 하고 외피(12)를 제2 주름관(122)의 위치에 있게 삽입하여서, 길이방향으로 수축하면 외경값이 작은 심선(11)을 제1 주름관(121)으로 더욱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외피(12)는 심선(11)에 비해 외경값이 크므로, 내주면에서 산정상에 의한 내경값이 제1 주름관(121)에 비해 작은 제2 주름관(122)을 수축하여 파지하더라도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름관(121)과 제2 주름관(122)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되기 전의 상태에서, 외측면으로 돌출된 산정상들(121c, 122c)을 상기 통전부(110)의 외주면의 연장선 상에 맞춰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신축부(120)의 내측면을 보면 제1 주름관(121)의 산정상(121b)이 제2 주름관(122)의 산정상(122b)에 비해 반지름방향으로 더욱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신축부(120)에 케이블의 단부를 삽입하면, 케이블의 심선(11)은 제2 주름관(122)을 통과하여 제1 주름관(121)에 관통되지만 케이블의 외피(12)는 제2 주름관(122)에 삽입된 후에 제1 주름관(121)에 걸리게 되므로, 제1 주름관(121)으로는 심선(11)만을 파지하고 제2 주름관(122)으로는 외피(12)만 파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에서 유니언나사(210)로 형성된 단부의 내부 중공은, 상기 통전부(110)와 신축부(120)가 서로 이어지는 부분(통전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을 점차 크게 한 경사면(212)을 갖춘다. 다시 말해서, 신축부(120)을 신장한 상태에서는 신축부(120)의 외측면과 상기 경사면(212)의 사이에 공간이 조성되지만, 신축부(120)를 수축시켜 상기 경사면(212)이 있는 내부 중공으로 밀어넣으면 신축부(120)의 두께(즉, 외측면의 산정상과 내측면의 산정상 사이의 높이차)가 증가하므로, 신축부(120)와 경사면(212) 사이의 공간이 수축된 신축부(120)에 의해 줄어든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면(212)이 조성되기 전에 비해서 케이블의 심선(11) 및 외피(12)의 압박 정도를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면(212)을 조성하면 수축에 의한 신축부(120)의 두께 증가분 중에 일부가 경사면(212)과의 공간으로 수용되므로 케이블의 심선(11) 및 외피(12)의 압박 정도를 줄이되 하이징(2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압박 정도를 점차 키운다. 결국, 심선(11)의 외경 또는 외피(12)의 두께가 다른 케이블을 연결하긴 위한 케이블커넥터를 제작할 시에, 동일한 신축부(120)를 갖는 슬리브(100)를 사용하되 상기 경사면(212)의 경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한다면 심선(11) 및 외피(12)의 압박 강도를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름관(12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산정상(121b)은 단면 형상으로 보면 끝이 뾰족한 첨단(尖端)을 갖게 형성되어서, 케이블의 심선(11)을 강하게 압박한다. 이와 같이 제1 주름관(121)의 내측 산정상(121b)을 첨단 형상으로 하면, 케이블의 심선(11)이 복수의 단선들을 꼬아 합친 연선(撚線)일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다시 말해서, 연선을 이루는 단선들 간에는 틈새가 있게 마련인데, 상기한 제1 주름관(121)의 내측 산정상(121b)으로 강하게 압박하면 단선들 간의 틈새를 좁히며 압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제2 주름관(12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산정상(122b)은 단면 형상으로 보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게 형성된다. 이는, 케이블의 외피(12)를 산정(122b)상으로 누르며 압박하지만 심선(11)을 보호하는 외피(12)의 흠집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언너트(300)를 하우징(200)의 단부에 형성된 유니언나사(210)에 체결완료한 시점에서 수축된 신축부(120)의 단부가 하우징(200)이 개구된 단부의 선상에 이르게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축부(120)의 단부에 크랙킹부(123)가 조성되고, 이와 같이 조성된 크랙킹부(123)가 유니언너트(300)의 단턱(330)에 끼워지므로, 크랙킹부(123)이 조성된 부위는 신축부(120)가 수축된 상태에 있더라도 하우징(200)의 개구된 단부에 맞추지 아니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신축부(120)는 수축되어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에 수용될 정도로 형성된다. 이는, 신축부(120)가 최대한도록 수축되었는 데도 단부가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으로 밀려들어가지 아니하고 외부로 돌출되면 유니언너트(300)를 완전 체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니언너트(300)와 케이블(10) 간의 틈새 및 유니언너트(300)와 하우징(200) 간의 틈새를 실링재(341)로 메울 경우에 유니언너트(300)의 내측면이 하우징(200)의 개구된 단부에 밀착되어야만 적은 양의 실링재(341)로 틈새를 메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니언너트(300)의 내향플랜지(320)의 내측면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구의 주변에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단턱(330)이 조성되고, 유동성의 실링재(341)를 피복(342)으로 감싼 링 형상의 실링튜브(340)가 상기 단턱(330)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120)의 단부에는 상기 실링튜브(340)를 파열시키는 크랙킹부(123)가 조성되며, 이때, 상기 크랙킹부(1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이 뽀족한 돌기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신축부(120)의 단부를 날카롭게 한 끝단으로 이루어지게 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튜브(340)의 내부에 충진되는 실링재(341)는 유동성 접착제나 아니면 유동성 점착제로 이루어져서 주변 물체에 붙어 실링튜브(340)가 설치된 부위를 밀폐시킬 수 있으면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피복(342)은 후술하는 상기 크랙킹부(123)에 의해 파열될 정도의 강도를 갖추면 만족하며, 가능하면 실링튜브(340)를 오링(O-Ring)처럼 끼워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손으로 잡았을 때에 원형에 가깝게 유지하면서, 구멍이 생겨 실링재(341)가 액체처럼 외부로 흘러나올 때에 눌려 압착될 정도의 강도를 갖추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실링튜브(340)를 내향플랜지(320)에 구비한 유니언너트(300)를 하우징(200)의 유니언나사(210)에 나사체결하여 신축부(120)의 단부를 내향플랜지(320)로 가압할 시에 신축부(120)의 단부에 조성된 크랙킹부(123)에 의해 파열되어 실링재(341)가 유출되고, 유니언나사(210)를 유니언너트(300)에 체결완료한 시점에서는 실링튜브(340)를 쥐어짜듯이 하여 내부의 실링재(341)를 유출시킨다. 이와 같이 유출되는 실링재(341)는 내향플랜지(320)의 내주면과 케이블의 외피(12) 간의 틈새, 및 내향플랜지(320)의 내측면과 하우징(200)의 단부 간의 틈새를 메워서, 하우징(200)의 내부를 밀폐한다. 이와 같이 유동성의 실링재(341)로 틈새를 메움으로써 일반적인 오링을 사용할 때에 비해 밀폐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케이블 11 : 심선 12 : 외피
100 : 슬리브 110 : 통전부 111 : 요철
120 : 신축부 121 : 제1 주름관 121a : 주름 깊이
121b : 내측 산정상 121c : 외측 산정상 122 : 제2 주름관
122a : 주름 깊이 122b : 내측 산정상 122c : 외측 산정상
123 : 크랙킹부
200 : 하우징 210 : 유니언나사 211 : 수나사산
212 : 경사면 220 : 플랜지
300 : 유니언너트 310 : 암나사산 320 : 내향플랜지
330 : 단턱 340 : 실링튜브 341 : 실링재
342 : 피복

Claims (8)

  1. 전기를 통과시키는 통전부(110)와, 통전부(110)의 양단에 각각 연장되고 직경이 교호적으로 확대 및 축소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신축부(120)로 구성되어서, 양측 신축부(120)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심선 간을 통전시키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슬리브(100);
    양단을 개구한 중공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00)에 외삽되되, 상기 신축부(120)의 수축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120)의 일부분을 내부의 중공에 있게 하고 단부측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200);
    케이블에 관통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양단에 각각 나사체결되며, 나사체결시에 상기 신축부(120)를 가압하여 수축하는 내향플랜지(320)를 구비한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유니언너트(3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120)는, 상기 통전부(110)의 단부에 연장되는 제1 주름관(121)과, 제1 주름관(121)의 단부에 연장되는 제2 주름관(12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주름관(121)의 주름 깊이(121a)를 상기 제2 주름관(122)의 주름 깊이(122a)보다 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120)의 제1 주름관(121)과 제2 주름관(122)은,
    수축되기 전의 상태에서, 외측면으로 돌출된 산정상들(121c, 122c)을 상기 통전부(110)의 외주면의 연장선 상에 맞춰지게 형성되어서,
    케이블의 심선이 제1 주름관(121)을 관통하되, 케이블의 외피(12)가 제2 주름관(121)보다 주름 깊이가 큰 제1 주름관(121)에 걸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은, 상기 통전부(110)와 신축부(120)가 t서로 이어지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을 점차 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120)는, 수축되어 하우징(200)의 내부 중공에 수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름관(121)은, 내측면에 형성되는 산정상(121b)을 뾰족한 단면을 갖게 하고,
    상기 제2 주름관(122)은, 내측면에 형성되는 산정상(122b)을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110)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플랜지(320)의 내측면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구의 주변에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단턱(330)이 조성되고, 유동성의 실링재(341)를 피복(342)으로 감싼 링 형상의 실링튜브(340)가 상기 단턱(330)에 삽입되며,
    상기 신축부(121)의 단부에는 상기 실링튜브(340)를 파열시킬 크랙킹부(123)가 조성되어서,
    유니언너트(300)를 하우징(200)의 단부에 나사체결할 시에 상기 크랙킹부(123)에 의해 상기 실링튜브(340)를 파열시켜 실링재(341)를 유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KR1020110116706A 2011-11-10 2011-11-10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KR10129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706A KR101290689B1 (ko) 2011-11-10 2011-11-10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706A KR101290689B1 (ko) 2011-11-10 2011-11-10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532A true KR20130051532A (ko) 2013-05-21
KR101290689B1 KR101290689B1 (ko) 2013-07-29

Family

ID=4866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706A KR101290689B1 (ko) 2011-11-10 2011-11-10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725B1 (ko) 2015-10-16 2016-06-0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전원선과 열선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KR102413102B1 (ko) * 2021-10-29 2022-06-24 주식회사 동명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590U (ja) * 1992-03-19 1993-10-15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樹脂チューブのコネクタ
KR20040102629A (ko) * 2003-05-28 2004-12-08 주식회사 신우피앤티 커넥터 보호관
KR100880050B1 (ko) 2005-08-23 2009-01-22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마찰 결합 슬리브를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0428581Y1 (ko) 2006-07-07 2006-10-16 남북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그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689B1 (ko) 201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2034A (fr) Prolongateur d'ame d'un cable coaxial, et connecteur muni d'un tel prolongateur
US7980873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nsulated conductive wires encapsulated in protective tubing
EP2299545B1 (en) Cable and cable connection assembly
US2788992A (en) Sealing attachment for electric cables or the like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US4030742A (en) Fitting for conduit and electrical cable
KR20100093394A (ko) 주름 파이프용 연결 장치
US20030085575A1 (en) Device for axially retaining a cylindrical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a cable
US816766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llapsible coupler
KR101290687B1 (ko) 케이블커넥터
KR101290689B1 (ko)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KR101156449B1 (ko)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US20160172073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KR101314807B1 (ko) 전열온수관
KR102201374B1 (ko)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KR20090043645A (ko)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US20160172835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CN106356772A (zh) 电缆牵引头及设有该电缆牵引头的电缆结构
JP5308833B2 (ja) 套管、套管の製造方法及び電力ケーブルの終端接続部
KR200210137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200297045Y1 (ko) 슬리브 커버
TWI477013B (zh) Power supply of the shell of the cable waterproof structure
CN112993914A (zh) 电力设备用管线进线口防水装置
JPH09120009A (ja) 通信ケーブルの引っ張り端部
JP2001352655A (ja) 異種ケーブル同士の接続部と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