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807B1 - 전열온수관 - Google Patents

전열온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807B1
KR101314807B1 KR1020120019156A KR20120019156A KR101314807B1 KR 101314807 B1 KR101314807 B1 KR 101314807B1 KR 1020120019156 A KR1020120019156 A KR 1020120019156A KR 20120019156 A KR20120019156 A KR 20120019156A KR 101314807 B1 KR101314807 B1 KR 101314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using
sealing member
rotation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478A (ko
Inventor
김영렬
김범술
Original Assignee
김영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렬 filed Critical 김영렬
Priority to KR1020120019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8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10Heat storage materials, e.g. phase change materials or static water enclosed in a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을 위한 파이프의 내부에 전열선 및 열매체를 수용하는 전열온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선과 연결되는 리드선을 파이프의 외부로 인출함에 있어 열매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커넥터부에서 리드선이 관통되는 밀폐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전열선 및 리드선의 회전에 의한 꼬임을 방지하고, 회전방지부재의 환형 가압돌기 및 밀폐부재의 외향 환형돌기를 이용하여 밀폐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한 전열온수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열온수관{ELECTRIC HEATING PIPE}
본 발명은 난방을 위한 파이프의 내부에 전열선 및 열매체를 수용하는 전열온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선과 연결되는 리드선을 파이프의 외부로 인출함에 있어 열매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커넥터부에서 전열선 및 리드선의 회전에 의한 꼬임을 방지하고, 밀폐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한 전열온수관에 관한 것이다.
전열온수관은 바닥 배관하는 난방 파이프의 내부에 전열선을 비치한 후에 열매체를 충진한 상태로 밀봉한 난방수단으로서, 전열선에 연결되는 리드선을 외부로 인출하여 리드선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열매체를 가열하여 난방한다. 여기서, 열매체는 전열선에 전기가 공급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축열하여 서서히 방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난방 파이프의 내부에 충진한 열매체의 누출이다. 특히, 난방 파이프의 내부에서 전열선에 연결한 리드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부분, 즉, 커넥터 부분에서의 밀폐가 문제이다.
도 1에 도시된 한국 등록특허 제10-0511058호에서 제안한 전열온수관은, 제1내통(5-1)과 상기 제1내통(5-1)의 외측을 둘러싸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제1외통(5-2)이 일단에 형성되는 연결부재(5); 전열선(2)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제1내통(5-1)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홈(6-1)이 축방향을 따라 내부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단과 타단에는 제1단턱부(6-2)와 제2단턱부(6-3)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5)의 제1외통(5-2)과 제1내통(5-1)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내통(5-1)의 단부가 상기 홈(6-1)에 끼워 맞춰지는 밀봉부재(60); 일단에는 상기 제1단턱부(6-2) 계단면의 측면과 하면에 접하는 플랜지(7-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단턱부(6-3)와 맞닿는 걸림턱(7-2)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재(6)의 외주면을 감싸는 압착부재(7); 및 상기 플랜지(7-1)를 매개로 상기 밀봉부재(6)를 상기 연결부재(5)에 밀착 고정시키며 상기 제1외통(5-2)에 체결되는 결합수단(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결합수단(8)을 연결부재(5)의 제1외통(5-2)에 체결함으로써 밀봉부재(6)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쉽게 밀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8)을 회전시켜 제1외통(5-2)에 나사체결함에 따라, 압착부재(7) 및 밀봉부재(6)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밀봉부재(6)의 회전은 전열선(2)을 꼬이게 하여 전열선(2)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밀봉부재(6)를 결합수단(8)으로 고정할 시에 밀봉부재(6)를 회전시키지 않는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밀봉부재(6)에서 전열선(2)이 관통하는 부위를 확실하게 밀봉하는 구조를 갖추지 아니하여 전열선(2)이 관통하는 부위에서 열매체가 누출될 수 있다.
KR 10-0511058 B1 2005.08.22. KR 20-0249618 Y1 2001.09.2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매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선을 관통시킨 밀봉부재(본 발명의 밀폐부재)를 장착함에 있어서, 밀봉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전열온수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부재에서 전선이 관통하는 부위의 밀폐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한 전열온수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파이프(10)의 내부에 전열선(20)을 입선하고 열매체를 충진한 전열온수관에 있어서, 전열선(20)과 외부의 리드선(30)이 연결되는 커넥터부(100)는, 내부에 단턱(111)이 형성된 2중 내경을 갖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경이 작은 쪽을 파이프(10)의 단부에 고정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서 내경이 큰 쪽에 억지로 삽입되어 단턱(111)에 걸리게 되며, 전열선(20)에 연결된 리드선(30)이 관통되는 신축성 재질의 밀폐부재(140); 리드선(30)이 관통되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140)의 단부에 겹쳐지는 회전방지부재(150); 상기 하우징(110)에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를 가압하여 상기 밀폐부재(140)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밀어 넣는 마감너트(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는 돌출형성된 회전방지돌기(152)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회전방지돌기(152)가 끼워지는 회전방지홈(112)을 상기 밀폐부재(140)가 삽입되는 단부에 구비하여서, 상기 마감너트(160)를 하우징(110)에 나사체결할 시에 밀폐부재(140)의 회전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는, 상기 밀폐부재(140)에 접하는 면에서 리드선(30)이 관통되는 관통구(151)의 주변에 환형의 가압돌기(153)를 구비하여서, 밀폐부재(140)에서 리드선(30)의 관통되는 부위를 상기 가압돌기(153)로 가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부재(140)는, 외주면 둘레를 한바퀴 돌아 서로 이어지는 외향 환형돌기(142)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될 때에 상기 외향 환형돌기(142)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눌리며 밀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선(30)은 단부에 길이방향의 삽입홈(31)을 구비하여 상기 전열선(20)의 단부를 상기 삽입홈(31)에 삽입한 후에 압착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선(30) 및 전열선(20)은 테프론으로 감싼 전선이고, 상기 리드선(30)에서 상기 삽입홈(31)이 구비된 부분의 테프론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전열선(20)의 단부를 감싼 테프론에 테프론 용접되는 한편, 상기 밀폐부재(140)의 환형돌기(142)는 서로 이격되도록 두개가 조성되고, 상기 삽입홈(31) 및 테프론 용접에 의해 연결된 부위를 양측 환형돌기(142)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10)는 나선형 주름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10)는 나선형 주름이 있는 주름관부(12) 및 주름이 없는 평관부(13)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는 관이되, 배관 길이를 맞출 때에 평관부(13)의 중간을 절단하여 배관 길이를 맞춤으로써 양단에 평관부(13)가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형성된 평관부(13)에 상기 커넥터부(100)의 하우징(110) 또는 엔드캡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커넥터부에서 밀폐를 위한 하우징(110)의 내부에 밀폐부재(140)를 밀어넣는 과정에서 마감너트(160)를 회전시키더라도 회전방지부재(150)를 개재된 상태이어서 밀폐부재(140)를 회전시키지 아니하므로, 전열선 및 리드선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부재(140)에서 리드선(30)이 관통되는 부위를 회전방지부재(150)의 환형 가압돌기(153)로 눌려주므로 관통 부위의 밀폐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부재(140)의 외주면에 외향 환형돌기(142)를 형성하여서, 밀폐부재(140)를 하우징(110)의 내주면이 더욱 밀착되고, 전열선(20)과 리드선(30)의 접속 부위를 더욱 양호하게 밀폐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선형 주름관을 파이프로 사용함으로써 파이프를 굴곡하여 배관하더라도 전열선(20)과 파이프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열매체(40)에 의한 축열 성능을 유지한다.
도 1은 종래 전열온수관의 커넥터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의 단면도 및 커넥터부의 부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에서, 회전방지부재(150)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의 사시도로서, 파이프를 나선형 주름관으로 형성하였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의 사시도로서, 파이프를 다른 형태의 주름관으로 형성하였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단면도이고, 도 4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회전방지부재(15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은, 종래 전열온수관과 유사하게 난방용으로 배관되는 파이프(10)의 내부에 전열선(20)을 입선하고 열매체(30)를 파이프(10)에 충진한 후에 파이프(10)의 양단을 막되 전열선(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선(30)을 외부로 인출하여 리드선(30)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는 전열선(20)을 파이프(10) 길이의 두배 정도 되게 마련하고 전열선(20) 중간을 접은 후에 접은 부위를 파이프(10)의 일단에서 입선하여 타단까지 배선되게 한다. 그리고, 파이프(10)의 일단에서 전열선(20)의 양 단부에 각각 한가닥의 리드선(30)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전열선(20)과 연결되는 두가닥의 리드선(30)은 파이프(10)의 일단에서 커넥터부(100)를 통해 인출하고, 파이프(10)의 타단은 엔드캡으로 막는다. 하지만,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예시된 것에 한정할 필요 없이, 전열선을 파이프 길이 정도로 마련하여 입선한 후에 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리드선에 연결하여 인출하는 전열온수관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엔드캡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커넥터부를 설치하여 리드선을 인출한다.
전열선(20)과 리드선(30)이 연결되고 리드선(30)이 인출되는 커넥터부(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부(100)는 일단의 개구를 파이프(10)의 단부에 연결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을 파이프(10)의 단부에 연결할 시에 하우징(110)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캡너트(120)와, 파이프(10)의 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가압링(130)과, 하우징(110)의 타단 개구에 삽입되는 밀폐부재(140)와, 밀폐부재(140)의 단부에 겹쳐지는 회전방지부재(150)와, 하우징(110)의 타단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마감너트(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파이프(10)에 연결되는 리드선(30)은 밀폐부재(140), 회전방지부재(150) 및 마감너트(160)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단턱(111)에 형성되어 2중 내경을 갖으며, 파이프(10)의 단부를 내경이 작은 쪽에 고정하고, 상기 밀폐부재(140)를 단턱(111)에 걸릴 때까지 내경이 큰 쪽에 삽입한다. 파이프(10)의 단부에 연결되는 하우징(110)의 일단은 파이프(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측 단관부(113)와, 내측 단관부(113)와 이격되어 외부를 감싸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측 단관부(114)를 구비한다. 여기서, 파이프(10)의 단부는 내측 단관부(113)와 외측 단관부(114)의 사이에 끼워지고, 내측 단관부(113)는 외측 단관부(114)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링(130)은, 파이프(10)의 단부 외주면에 외삽되는 링으로서, 내주면에 내향 환형돌기(13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내향 환형돌기(132)는 상기 가압링(13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한바퀴 돌도록 환형을 이루며, 서로 거리를 두고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캡너트(120)는, 파이프(10)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 단관부(114)에 나사체결로 고정된다. 상기 캡너트(120)는 내향으로 절곡된 걸림턱(121)을 갖고 있어서, 하우징(110)의 외측 단관부(114)에 나사체결될 때에 상기 가압링(130)을 걸림턱(121)으로 밀어 외측 단관부(114)를 향해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가압링(130)의 양측은 각각 단부로 갈수록 관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131)를 갖추고, 상기 캡너트(120)의 걸림턱(121)은 상기 가압링(130)에 닿는 부분이 테이퍼부(131)의 형상에 맞게 경사를 이루고, 외측 단관부(114)의 단부도 상기 가압링(130)에 닿는 부분이 테이퍼부(131)의 형상에 맞게 경사를 이루는 내향 테이퍼부(115)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캡너트(120)를 상기 외측 단관부(114)에 나사체결하면 상기 가압링(130)은 걸림턱(121)에 의해 밀려 외측 단관부(114)를 향해 이동하다가 외측 단관부(114)에 닿게 된 후에 오므리게 되어 파이프(10)를 누른다. 결국, 파이프(10)도 오므리게 되어 내측 단관부(113)에 밀착되므로 밀폐 상태로 된다. 이러한 가압링(130)의 테이퍼부(131)를 이용하여 밀폐하는 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9618호에도 기술되었으므로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상기 밀폐부재(140)는, 전열선(20)에 연결된 리드선(3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141)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둘레를 한바퀴 돌아 서로 이어지는 외향 환형돌기(14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40)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중공에 억지로 삽입함에 따라 수축되며, 특히, 외주면에 돌출된 외향 환형돌기(142)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눌려 수축하면서 밀착되므로, 밀폐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외향 환형돌기(14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외향 환형돌기(142)는 돌출된 상태로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평평해질 정도로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눌리게 된다. 상기 밀폐부재(140)의 재질은, 예를 들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길이를 갖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들어갔을 때에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보이게 되는 일면에 상기 회전방지부재(150)가 겹쳐진다.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는, 리드선(3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151)를 구비하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너트(160)는 리드선(30)를 통과시킨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에 외삽식으로 나사체결되는 너트로서, 나사체결되는 중에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밀어넣기 위한 가압턱(151)을 내향으로 돌출되게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부재(140)는 마감너트(160)를 하우징(110)에 나사체결함에 따라 가압턱(151)에 눌리는 회전방지부재(150)에 의해서 하우징(11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간다.
상기 마감너트(160)를 하우징(110)에 나사체결로 고정하면, 상기 밀폐부재(14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억지 끼움되고, 이때, 밀폐부재(140)가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눌려 수축하므로 밀폐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너트(160)를 상기 하우징(110)에 나사체결하기 위해 회전시키면, 마감너트(160)와 회전방지부재(150) 간의 마찰저항, 및 회전방지부재(150)와 밀폐부재(140) 간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밀폐부재(140)가 회전할 수 있다. 밀폐부재(140)의 회전은 리드선(30) 및 전열선(20)을 꼬이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너트(160)의 나사체결시에 밀폐부재(140)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는 둘레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15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회전방지돌기(152)가 끼워지는 회전방지홈(11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홈(112)은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밀폐부재(140)가 삽입되는 단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방지돌기(152) 및 회전방지홈(112)를 구비함으로써, 마감너트(160)를 하우징(110)에 나사체결하기 시작하는 초기에는 마감너트(160)가 회전방지부재(150)와의 마찰저항이 적게 되어 회전방지부재(150)를 회전시키지 아니하고 겉돌며 하우징에 나사체결된다. 그리고, 나사체결 깊이가 깊어지는 순간에 회전방지돌기(152)와 회전방지홈(112)가 끼움결합되므로, 마감너트(160)가 회전방지부재(150)와의 마찰저항이 커지게 되더라도 회전방지부재(150)를 회전시키지 아니하면서 하우징(110)에 나사체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는 밀폐부재(140)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하우징(110)의 단부 개구에 내삽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하우징(110)의 단부 개구에 내삽되는 형태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다만, 회전방지돌기(152)와 회전방지홈(112)의 끼움결합에 의해 회전방지부재(150)가 회전하지 않게 하고, 회전방지부재(140)를 마감너트(160)의 내부에 여유있게 끼울 수 있으며, 밀폐부재(140)를 가압링(130)에 삽입하여 충분히 수축시킴으로써 밀폐 상태로만 하면 되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본 발명에 기술된 사항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밀폐부재(140)를 충분히 수축시키고 회전방지부재(140)를 마감너트(160)의 내부에 여유있게 끼울 수 있다는 전제하에 하우징(110)의 단부에 맞닿게 하고 하우징(110)의 단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회전방지돌기(152)를 조성한 구조, 아니면, 회전방지돌기(152)를 하우징(110)의 단부에 돌출 형성하고 회전방지홈(112)을 회전방지부재(150)에 형성한 구조, 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는 상기 밀폐부재(140)와 접하는 면에서 리드선(30)이 관통되는 관통구(151)의 주변에 환형의 가압돌기(153)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마감너트(160)에 눌려 상기 밀폐부재(140)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밀어 넣을 때에, 상기 밀폐부재(140)에서 리드선(30)이 관통되는 부위를 다른 부분에 비해 더욱 강하게 가압한다. 물론, 리드선(30)이 관통하는 밀폐부재(140)의 관통구(141)와 회전방지부재(150)의 관통구(151)는 서로 겹쳐져 연통된다. 이에 따라, 밀폐부재(140)의 관통구(141)는 주변이 상기 가압돌기(153)에 의해 강하게 눌려 수축되므로, 리드선(30)을 강하게 누르고, 결국 밀폐상태를 더욱 좋게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10)의 내부에 삽입하는 전열선(20)은 내피(21)로 피복한 후에 외피(22)로 내피(21)를 피복한 이중 피복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내피(21)는 전열선(20)의 방수를 위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피(22)는 전열선(20)을 보호하기 위해서 테프론으로 이루어진다.
리드선(30)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32)로 피복된다. 그리고, 리드선(30)은 전열선(20)과 연결되는 단부에 요홈 형태의 삽입홈(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31)이 형성된 리드선(30)의 단부에서 외피(3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전열선(20)의 외피(22)를 감쌀 정도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전열선(20) 및 리드선(30)의 연결은, 전열선(20)의 단부에서 상기 리드선(30)의 삽입홈(31) 깊이만큼 내피(21) 및 외피(22)를 탈피하여 상기 삽입홈(31)에 삽입한 후에 상기 삽입홈(31) 부분을 압착한다. 이에 따라, 전열선(20)과 리드선(30)은 전기적으로 양호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리드선(30)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외피(32)는 전열선(20)에 피복된 외피(22)를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감싸며 겹쳐지는 전열선(20)의 외피(22) 단부와 리드선(30)의 외피(32) 단부는 테프론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열선(20)과 리드선(30)이 연결되는 접속점은 상기 밀폐부재(140)의 관통구(141) 내부에 있되, 길이방향으로 보면 밀폐부재(14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환형돌기(142)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밀폐부재(140)를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함에 따라 환형돌기(142)가 눌려지면, 환형돌기(142)이 눌림에 의해 수축하는 밀폐부재(140)가 상기한 접속점 양단을 강하게 압박하므로 밀폐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파이프(10)의 끝단에 설치되는 엔드부(200)는 엔드캡(210), 가압링(220) 및 캡너트(230)로 구성되어서, 커낵터부(100)가 설치되지 않는 파이프(10)의 끝단을 막는다. 이러한 엔드부(200)를 구성하는 엔드캡(210), 가압링(220) 및 캡너트(230)는 각각 커넥터부(100)의 하우징(110), 가압링(130) 및 캡너트(120)에 대응되며, 차이가 나는 부분은 엔드캡(210)이 하우징(110)과 상이하게 막힌 캡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즉, 엔드캡(210)은 일단이 막히고 타단에 내측 단관부(211)와, 외측 단관부(2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단관부(212)의 단부에는 내향 테이퍼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링(220) 및 캡너트(230)는 커넥터부(100)의 가압링(130) 및 캡너트(120)와 동일하고 이들과 엔드캡(210)을 이용하여 파이프(10)의 단부에 설치하는 방식은 커넥터부(100)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은 파이프를 나선형 주름관으로 구성한 전열온수관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은 사시도이고 도 7은 단면도이다.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온수관의 파이프(10)는 나선형 주름관으로 구성됨에 따라 파이프(10)의 내주면을 살펴보면, 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는 요홈(11)이 형성되므로, 피복한 전열선(20)과 파이프(10) 간의 접촉면적을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반 중공관 파이프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열선(20)과 파이프(10) 간의 접촉면적을 줄임에 따라 얻게 되는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열온수관의 파이프(10)는, 바닥 또는 벽 등에 매립 배관함에 있어서 곳곳에 고르게 열을 전달하기 위해서 굴곡지게 매립 배관하므로, 파이프(10)의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20)과 파이프(10)가 서로 접촉된다. 하지만, 전열온수관은 파이프(10)의 내부에 열매체(40)를 충진하여서 전열선(20)에서 발생한 열을 열매체(40)에 저장하여 파이프(10)를 통해 서서히 열을 발산하는 축열식 난방수단으로서, 전열선(20)이 파이프(10)에 직접 닿게 되어 전열선(20)에서 발생한 열이 파이프(10)를 통해 직접 발산되면 전열온수관으로서 축열 성능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전열선(20)이 파이프(1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을 파이프(10)에 삽입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10)를 나선형 주름관으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수단 없이도 축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열선(20)이 파이프(1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수단을 파이프(10)에 삽입하는 작업도 없으므로 배관작업이 더욱 용이하다.
한편, 파이프(10)를 나선형 주름관으로 구성함에 따라 파이프(10)의 단부를 커넥터부(100)의 하우징(110) 단부에 연결할 때, 또는 엔드부(160)의 엔드캡(210)에 연결할 때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방법과는 상이한 연결방식을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 엔드캡(210), 가압링(130, 220) 또는 캡너트(120, 230)의 구조도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 및 엔드캡(210)의 내측 단관부(113, 211)가 파이프(10)의 나선형 주름과 동일한 피치(pitch) 및 모양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파이프(10)에 나사결합식으로 삽입하고, 가압링(130, 220)의 내주면에도 파이프(10)의 나선형 주름과 동일한 피치(pitch) 및 모양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캡너트(120, 230)를 하우징(110)이나 엔드캡(210)에 나사체결함에 따라 캡너트(120, 230)에 밀릴 때에 나사결합식으로 밀리게 하였다. 그리고, 가압링(130, 220)의 양 단부에 테이퍼부(131, 221)를 형성하여 파이프(10)를 가압하는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하지만, 나선형 주름관의 단부에 하우징(110) 또는 엔드캡(210)을 고정하는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5135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65614호, 공개특허 제10-2005-0120245호 등의 종래기술에서 소개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나선형 주름이 있는 주름관부(12)와 주름이 없는 평관부(13)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는 파이프(10)를 사용한다. 그리고, 난방을 위해 배관할 파이프(10)의 길이를 맞출 때에 평관부(13)의 중간을 절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열온수관에 사용하게 되는 파이프(10)는 양단에 각각 평관부(13)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양단에 평관부(13)가 있는 파이프(1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열온수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가압링(130, 220) 및 캡너트(120, 230)를 이용하여 커넥터부(100)의 하우징(110) 또는 엔드부(200)의 엔드캡을 양단에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파이프(10)의 양단에 커넥터부(100) 또는 엔드부(200)를 고정할 때에 상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방식, 즉, 내향 환형돌기(132, 222)를 구비한 가압링(130, 220)을 이용하여 밀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나선형 주름을 갖는 파이프(10)을 사용하되, 평관부(13)를 이용하여 커넥터부(100) 또는 엔드부(200)를 설치함으로써, 주름이 있는 부분에 커넥터부(100) 또는 엔드부(200)를 설치할 때보다는 밀폐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주름관의 단부를 밀폐하는 것보다는 평관의 단부를 밀폐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도 8 및 도 9를 다시 살펴보면, 평관부(13)에는 주름관부(12)와 이어지는 부분에 외향으로 돌출된 환형돌기(14)가 조성되는 데, 이와 같이 조성된 환형돌기(14)는 가압링(130, 220)에 걸리게 함으로써 가압링(130, 220)이 주름관부(12)로 이동하지 못하게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평관부(13)에 조성된 환형돌기(14)는 커넥터부(100) 또는 엔드부(200)를 파이프(10)의 양단에 고정할 때에 가압링(130, 220)이 주름관부(12)가 아닌 평관부(13)를 압착하도록 단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온수관은 마감너트(160)를 하우징(110)에 나사체결하여 밀폐부재(140)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밀어넣을 때에 밀폐부재(140)가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전열선(20) 및 리드선(30)이 회전하지 않고 꼬이지도 아니한다. 이에 따라, 전열선(20) 및 리드선(30)이 회전 또는 꼬임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 및 접속점이 단선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부재(140)에서 리드선(30)이 관통되는 부위를 회전방지부재(150)의 환형 가압돌기(153)로 눌러주므로, 리드선(30)이 관통되는 부위의 밀폐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부재(140)의 외주면에 외향 환형돌기(142)가 형성되므로, 밀폐부재(140)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내주면과 더욱 밀착되게 하고, 전열선(20)과 리드선(30)의 접속점 양단을 강하게 압박하여 접속점의 밀폐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10)를 나선형 주름관으로 사용함으로써 파이프(10)에 별도의 다른 수단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열매체(40)에 의한 축열 성능을 유지하며, 배관 작업도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파이프 11 : 나선형 요홈 12 : 주름관부
13 : 평관부 14 : 환형돌기
20 : 전열선 21 : 내피 22 : 외피
30 : 리드선 31 : 삽입홈 32 : 외피
40 : 열매체
100 : 커넥터부
110 : 하우징 111 : 단턱 112 : 회전방지홈
113 : 내측 단관부 114 : 외측 단관부 115 : 내향 테이퍼부
120 : 캡너트 121 : 걸림턱
130 : 가압링 131 : 테이퍼부 132 : 내향 환형돌기
140 : 밀폐부재 141 : 관통구 142 : 외향 환형돌기
150 : 회전방지부재 151 : 관통구 152 : 회전방지돌기
153 : 환형 가압돌기
160 : 마감너트 161 : 가압턱
200 : 엔드부
210 : 엔드캡 211 : 내측 단관부 212 : 외측 단관부
213 : 내향 테이퍼부
220 : 가압링 221 : 테이퍼부 222 : 내향 환형돌기
230 : 캡너트 231 : 걸림턱

Claims (7)

  1. 파이프(10)의 내부에 전열선(20)을 입선하고 열매체를 충진한 전열온수관에 있어서,
    전열선(20)과 외부의 리드선(30)이 연결되는 커넥터부(100)는,
    내부에 단턱(111)이 형성된 2중 내경을 갖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경이 작은 쪽을 파이프(10)의 단부에 고정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서 내경이 큰 쪽에 억지로 삽입되어 단턱(111)에 걸리게 되며, 전열선(20)에 연결된 리드선(30)이 관통되는 신축성 재질의 밀폐부재(140);
    리드선(30)이 관통되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140)의 단부에 겹쳐지는 회전방지부재(150);
    상기 하우징(110)에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를 가압하여 상기 밀폐부재(140)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밀어 넣는 마감너트(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는 돌출형성된 회전방지돌기(152)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회전방지돌기(152)가 끼워지는 회전방지홈(112)을 상기 밀폐부재(140)가 삽입되는 단부에 구비하여서,
    상기 마감너트(160)를 하우징(110)에 나사체결할 시에 밀폐부재(140)의 회전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온수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150)는, 상기 밀폐부재(140)에 접하는 면에서 리드선(30)이 관통되는 관통구(151)의 주변에 환형의 가압돌기(153)를 구비하여서, 밀폐부재(140)에서 리드선(30)의 관통되는 부위를 상기 가압돌기(153)로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온수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140)는, 외주면 둘레를 한바퀴 돌아 서로 이어지는 외향 환형돌기(142)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될 때에 상기 외향 환형돌기(142)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눌리며 밀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온수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30)은 단부에 길이방향의 삽입홈(31)을 구비하여 상기 전열선(20)의 단부를 상기 삽입홈(31)에 삽입한 후에 압착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온수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30) 및 전열선(20)은 테프론으로 감싼 전선이고, 상기 리드선(30)에서 상기 삽입홈(31)이 구비된 부분의 테프론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전열선(20)의 단부를 감싼 테프론에 테프론 용접되는 한편,
    상기 밀폐부재(140)의 환형돌기(142)는 서로 이격되도록 두개가 조성되고, 상기 삽입홈(31) 및 테프론 용접에 의해 연결된 부위를 양측 환형돌기(142)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온수관.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는 나선형 주름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온수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는 나선형 주름이 있는 주름관부(12) 및 주름이 없는 평관부(13)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는 관이되, 배관 길이를 맞출 때에 평관부(13)의 중간을 절단하여 배관 길이를 맞춤으로써 양단에 평관부(13)가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형성된 평관부(13)에 상기 커넥터부(100)의 하우징(110) 또는 엔드캡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온수관.
KR1020120019156A 2012-02-24 2012-02-24 전열온수관 KR101314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56A KR101314807B1 (ko) 2012-02-24 2012-02-24 전열온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56A KR101314807B1 (ko) 2012-02-24 2012-02-24 전열온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478A KR20130097478A (ko) 2013-09-03
KR101314807B1 true KR101314807B1 (ko) 2013-10-04

Family

ID=4944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156A KR101314807B1 (ko) 2012-02-24 2012-02-24 전열온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397A1 (ko) * 2020-07-27 2022-02-03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복수개 처치구 병용을 위한 멀티 루멘 구조의 의료용 토출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792B1 (ko) * 2020-03-06 2022-04-14 주식회사 대진센서제작소 절연성 및 보호성이 향상된 센서기구
KR102386793B1 (ko) * 2020-03-06 2022-04-14 주식회사 대진센서제작소 마그네트 온도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165B1 (ko) 2007-05-15 2008-09-10 김기환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KR100866995B1 (ko) 2008-06-20 2008-11-05 태양그린에너지(주) 전열선 삽입 온수관 난방장치
KR100881801B1 (ko) 2008-07-30 2009-02-03 김용권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구조
KR101004457B1 (ko) 2009-12-24 2010-12-31 오양탁 온수관의 전열선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165B1 (ko) 2007-05-15 2008-09-10 김기환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KR100866995B1 (ko) 2008-06-20 2008-11-05 태양그린에너지(주) 전열선 삽입 온수관 난방장치
KR100881801B1 (ko) 2008-07-30 2009-02-03 김용권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구조
KR101004457B1 (ko) 2009-12-24 2010-12-31 오양탁 온수관의 전열선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397A1 (ko) * 2020-07-27 2022-02-03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복수개 처치구 병용을 위한 멀티 루멘 구조의 의료용 토출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478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807B1 (ko) 전열온수관
JP6059252B2 (ja) 接続部材を断熱導管と接続するための接続方法
US20070054563A1 (en) Cable and cable connection assembly
KR200404247Y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의 밀폐장치
JP6314353B2 (ja) 防水性能改善型防爆灯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1392564B1 (ko) 호스 연결구
JP5327858B2 (ja) 管継手、管接続構造及び管接続方法
KR101290689B1 (ko)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CN109167312A (zh) 一种单根电缆穿箱壁的密封方法
KR101485130B1 (ko) 섬유를 이용한 축열식 난방관
CN102939687B (zh) 电磁干扰连接件套筒及其装配组合
JP3587515B2 (ja) ホース接続構造
KR101372468B1 (ko) 전열식 온수난방장치용 온수파이프 밀봉장치
JP2627485B2 (ja) フレキシブル管継手
CN206834660U (zh) 一种软管电缆固定头
KR20110137759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JP2001352655A (ja) 異種ケーブル同士の接続部とその組立方法
CN206036492U (zh) 一种车用pvc水管
KR101167025B1 (ko) 전열 난방파이프 제조방법
KR101167024B1 (ko)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CN206908007U (zh) 一种核电三防电连接器
KR20130066643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